우리 나라의 포괄수가제도 (DRG 지불제도) : 성과와 전망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가정에서 실천할 돈 관리 시스템 ㈜희망재무설계 이 형주. 1 강 돈 관리의 필요성 1 강 돈 관리의 필요성.
Advertisements

IT 프로젝트. 경쟁의 심화, IT 환경의 복잡성 IT 프로젝트 실패의 지름길 (1/2) 출처 : How Projects Really Work (version 2.0)
13 건강보헙 1 건강보험의 특징 2 진료비 본인 부담제도 3 진료비 지불방법 4 국민건강보험.
국민건강보험의 쟁점 고고인류 김한나 천연섬유 김영화 B 사회학과 전양희 2조2조2조2조.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 127 벤처보육센터 303 호 Tel Fax 산소프트 의료종합정보 시스템 구축 제안서 ( EMR / OCS )
LEGAL RISK for DOCTORS 기업분쟁연구소 소장 조우성 변호사 MANAGEMENT 법무법인 한중 파트너 변호사.
지도교수 : 박진식 교수님 조 원 : 홍승기, 이병용, 백승준, 조근용, 조동현, 한정협, 이상하.
제 1 장 관리회계의 개요. 제 1 장의 주요내용 기업경영의 통찰적 분석 회계란 ? 재무회계와 관리회계의 차이는 ? 기업에서의 경영자의 기능은 ? 관리회계의 의의, 순환과정은 ? 관리회계 담당자가 맡은 역할은 ? 원가관리회계와 관련된 다른 경영학 분야에 대해...
제 56 차 미국 생물안전 프리컨퍼런스 참석 결과 교육기간 : ~10.20.
의료보험 사회보장론 (7 장 ). 1 절. 사회적 위험으로서 질병 - 질병으로 인한 사회적 손실 : 56 조, GDP 대비 6.3%. - 의사중심의 정보비대칭이 매우 큼. - 질병 예방과 소득 및 의료보장이 필요해 짐. 의료보험 : 질병, 부상 등의 치료진료비 지원이.
1. IT 환경 변화 Ⅳ. 프로젝트 추진방안 기업이 당면한 다양한 문제 해결을 위해서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IT 시스템이 개발되었으며, 이는 기업 내 데이터 발생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음. IT 환경 변화는 단순 데이터가 아닌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급격하게.
제10장 활동기준원가계산.
목 차 Ⅰ. 병원경영의 환경분석 Ⅱ. 병원경영의 전략유형 Ⅲ. 병원경영의 최신기법 Ⅳ. 대응전략 1.
포괄수가제 발전을 위한 과제 -원가체계구축 중심- 국민건강보험공단 지불제도개선팀.
2010년 8월 18일 김 용 익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료관리학교실
변비 재활전문센터 재활 간호사 김은화.
Q & A (사실상 혼인·이혼) Q. 사실상 혼인·이혼 관계를 어떻게 처리해야 하나요?   사실 혼인·이혼은 부부 모두 동의 여부를 확인하고, 자녀, 이·통·반장으로부터 「사실(이)혼 확인서」를 징구해야 합니다. 만약 어느 한쪽이 동의하지 않는 경우는.
논문제목 : 확률론적 방법에 의한 건축 개발사업의 재무적 타당성 분석 모델 구축
’12년도 QSB 정착 계획 (Quality System Basic)
메탄 하이드레이트 활용 방법과 기술 환경공학과 천대길.
이 경 근 교수 경영학개론 비즈니스에 대한 이해 사회과학대학 경영학과 이 경 근 교수
2009년 5월 13~20일 2009 혈액투석 적정성평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평가위원 이 규 덕, 양 기 화.
건설관리학 강의슬라이드 9장. 안전관리.
국내 약사 Communication 교육의 발전방향 모색
요양급여 적정성 평가결과 활용을 위한 심포지움
알기쉬운 경영학 Ch.1 경영학이란 무엇인가? 유한대학교.
KOSHA 인증제도 안내.
의료비 지불제도의 현황과 전망 한국보건산업진흥원 강길원.
DynaMed-What is EBM -What is Evidence-Based Medicine ?-
간호관리Ⅱ Chapter 6. 통제 동아인재대학교 장 광 심.
서울월드컵경기장 건설공사 건설사업관리(CM) 적용사례 한미파슨스(주) 김 종 훈.
제2절 법인세의 계산구조와 세무조정 1. 각 사업연도소득에 대한 법인세 계산구조 회계와 사회 결산서상 당기순이익
제약 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임상시험 계약 체결 전략 사무팀 이선기. 제약 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임상시험 계약 체결 전략 사무팀 이선기.
㈜맑은물E&F의 지속성장발전을 위한 전략체계도
대구한의대학교 간호학과 노인요양서비스 전문인력 양성사업단 이 홍 자 교수
제 3 장 품질 경영.
CM 제도 및 활용 방안 이 유 섭 (Ph.D. 수석연구원) 한 국 건 설 기 술 연 구 원.
Call center Service Training/Consulting Solution 은 넥스트 서비스 컨설팅
장애인복지 정책.
의약품 사용량 억제정책에 대한 평가 -보험상환정책을 중심으로- 사공 진 (한양대학교 경제학부 교수)
과호흡증후군 Case Presentation hyperventilation 대전 남부소방서 복수 119안전센터 임선아.
Quality Cosmetic Dentistry
Strictly Confidential
1 보건의료조직 2 병원조직의 구성요소 3 병원조직구조의 형성 4 병원조직의 특성 5 현대병원환경의 변화와 병원조직구조의 과제
선택진료 개편 관련 수가조정방안 설명회 건강보험심사평가원 1.
제 5 강 주방 식재료 관리.
Outsourcing도입전략방식의 연구
제 5 장 ISO 9000 개요 및 QMS의 확립 및 활용 ISO 9000 개요 및 QMS 확립 및 활용방법.
유통관리 유통경로와 중간상의 필요성 유통경로의 길이결정 경로 흐름의 종류 유통경로의 유형 유통경로 설계과정 경로갈등 관리
건강보험 청구 실무 교육과정
환자분류체계 (Patient Classification System)
마음의 성전이 더 아름다운 조촌교회.
CM 및 VE제도의 효율적 활용방안 동 아 대 학 교 건 축 학 부 교 수 이 학 기.
제 10장 인터넷 소비자 비용.
1.비 사업용(자가용 및 관용) 차 종 적 용 상 의 구 분 승합 자동차 (버스) 1 종
Management Cost Calculation Program
PI 추진 시 Change Agent의 역할.
地方自治團體의 財政 < 地方自治團體의 財政 > 1. 意義
’12년도 QSB 정착 계획 (Quality System Basic)
제19장 호텔의 안전관리 제 3부 호텔 업무지원부문의 경영관리 1절 호텔 안전관리의 의의 2절 안전사고의 관리과정
2015년 2학년 1반.
Management Cost Calculation Program
Case Management란 의사소통과 자원의 적절한 활용을 통해,제공된 의료서비스를 사정하고 계획하고 수행하고 조정하고 Monitor하며 평가하는 협력적인 과정이다. High quality, cost-effective outcomes.
해외건설 프로젝트기획 Introduction
제6강 임상진료지침과 진료계획표.
요양 및 의료 급여기준 진료비지불제도 건강보험급여기준.
8단계 3층을 완성한다 Case 1 Case 2 Case 3 Case 4
글로벌 수준에 맞는 기업체 작업환경관리 방향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원장 김광종.
11월 고등부 공과설교 업드림? 업드림! 갈라디아서 6:9-10.
Presentation transcript:

우리 나라의 포괄수가제도 (DRG 지불제도) : 성과와 전망 강 영 호 울산의대 예방의학교실

포괄수가제란? 개별 진료행위에 따라 진료비를 지불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환례 (case) 별로 비용을 지불하는 것 포괄수가제 = case payment system 지불단위를 묶는 방법 중의 하나 (bundled payment system)

다양한 진료보수지불 방식 굴신제 sliding scale of fees 행위별 수가제 fee-for-service 봉급제 salaried system 포괄수가제 case payment system 환자당 고정비율 적용/일당제 진단명 분류체계를 적용/DRG 인두제 capitated system 총괄계약제 negotiation system 예산제 payment by budget

DRG란? Diagnosis Related Group, 진단명기준환자군 (診斷名基準患者群) 질병분류체계 입원환자 대상 임상적 진료내용과 진료량이 유사한 그룹 입원환자 대상 외래 환자 대상 포괄수가제 : APG(ambulatory patient groups) DRG/PPS PPS : prospective payment system DRG에 의한 포괄수가제, DRG지불제도(우리 나라 용어)

DRG 분류의 예 < 예 > 주진단명 4824 staphylococcal pneumonia 기타 진단명 7803 convulsions 5789 gastrointestinal hemorrhage NOS 수술명 없음 연령 10세 재원기간 14일 ↓ MDC4 (호흡기질환) K-ADRG 079P (Respiratory Infections and Inflammations, 소아) CC class (7803 →1, 5789 →2) K-DRG 079P2

DRG 분류체계의 적용 분야 병원관리 (hospital management) 이용도 조사 (utilization review) 병원 예산책정, 원가분석 및 관리 이용도 조사 (utilization review) 지역별, 의료기관별 자원소모량 평가 3차 진료기관 인증기준 의료의 질 관리 (quality assurance) 진료과정 및 결과의 평가 보건계획 (health planning) DRG에 의한 병원 기능분류 보수지불제도 (payment system)

DRG 분류체계의 보수지불제도 적용사례 국가 적용사례 미국 Medicare (1983년) Medicaid (1988년) 국가 적용사례 미국 Medicare (1983년) Medicaid (1988년) 네델란드, 독일 전면 도입 예정 (2003) 서유럽국가 부분적인 도입 대만 26개 질병군 (1997년) 일본 공공병원의 일부 DRG 싱가포르 DRG지불제도 도입 (1999년)

우리 나라의 DRG 분류체계 1986년 : 개발 1991년 : 수정 향후 2001∼2004년 (?) : 개정 서울대학교 병원연구소에서 K-DRG 분류체계 개발 의료보험청구, 심사업무의 개선 목적 1991년 : 수정 미국 Refined DRG를 기초로 Refined K-DRG가 개발 향후 2001∼2004년 (?) : 개정 K-DRG 분류체계 개정 예정 진료관행의 변화, 의학기술의 발전을 반영하기 위해

우리 나라의 DRG 지불제도 1994년 : 도입 건의 1997년 : 시범사업 실시 현재 : 시범사업 연장 의료보장위원회 : 단계적 도입 건의 1997년 : 시범사업 실시 54개 요양기관 대상, 일부 질환군에 대하여 실시 현재 : 시범사업 연장 3차연도 시범사업 연장 중, 1,200여개 의료기관 참여 수정체수술(안과), 편도·아데노이드수술(이비인후과), 충수절제술, 항문/항문 주위 수술, 서혜/대퇴부 탈장수술(이상 일반외과), 질식분만, 제왕절개술, 자궁/자궁부속기 수술(이상 산부인과), 단순폐렴/늑막염(내과, 소아과)

진료량과 비용 : DRG 지불제도 이전 Average cost Volume Cost

진료량과 비용 : DRG 지불제도 이후 Average cost Volume Cost

DRG 지불제도의 영향 (1) 의료제공자의 유인구조 변화 비용 손실 위험의 전가 진료 효과에 비용 개념이 도입 진료량을 늘이는 유인 →진료량을 줄이는 유인 비용 손실 위험의 전가 비용 손실 위험 (risk) : 보험자 → 의료제공자 진료 효과에 비용 개념이 도입 효과 →비용-효과

DRG 지불제도의 영향 (2) 행위별 수가제 DRG 지불제도 의료비 적정화 효과↓ 효과↑ 의료제공자의 비용의식 없음 있음 의료비 적정화 효과↓ 효과↑ 의료제공자의 비용의식 없음 있음 과잉진료 가능성 크다 적다 과소진료 가능성 적다 크다 과잉진료/환자의 우려 크다 적다 과소진료/환자의 우려 적다 크다 경영방식 마케팅 비용절감 병원경영의 목표 수입증대 비용절감 의료제공자의 재량권 수입에 좌우 비용에 좌우

DRG 지불제도와 신의료기술 (1) 우리 나라 외국 “DRG 지불제도가 의학발전을 저해할 것이다” (58%) 종합병원, 병원 > 의원 외국 신의료기술의 확산에 부정적 효과 cochlear implants 등 신의료기술 확산에 장애가 되지 않았다는 보고 비용-효과적인 신의료기술은 장려 의료제공자들이 지불제도 관련 위원회에 영향력 행사

DRG 지불제도와 신의료기술 (2) : 과제 비용-효과 연구의 활성화 행위별 수가 설정 DRG 분류체계의 개정 의료기술 사용에 대비한 행위별 수가를 혼합 (미국의 사례 : 총 입원진료비의 10%) DRG 분류체계의 개정 확산이 이뤄진 의료기술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