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질병 니파(Nipah) 바이러스에 대한 조사 Nipah Virus 신종 질병 니파(Nipah) 바이러스에 대한 조사
목 차 니파 바이러스란? 니파 바이러스의 원인체 및 감염경로 니파 바이러스의 특징 국내외 발생현황 임상 증상 및 진단방법 치료 및 예방대책 Reference
1.니파 바이러스란? 명명 : 헨드라양 바이러스로 불려온 바이러스의 이름을 네게리 셈빌란의 지명이름인 니파를 따라 니파(Nipah)로 명명하였다 니파 바이러스 감염증은 돼지, 사람 등 다양한 축종에 발생되는 급성, 열성 바이러스로 인수공통 전염병 1998년 말레이시아에서 처음으로 확인 감수성 동물에 감염시 호흡기 증상 및 신경증상, 사람에게는 치명적인 뇌염을 유발, 사망에 이르게 함
2. 원인체 및 감염경로
니파 바이러스의 원인체 니파 바이러스는 Paramyxoviridae과에 속하는 RNA 바이러스로 1994년 호주에서 처음 발견된 Hendra virus와 유사함을 보여 Hendra like virus로 불리기도 함 오른쪽 그림은 니파바이러스에 감염된 Vero Cell의 전자현미경 사진, 200-300+ nm의 신종바이러스 입자(A, B)가 세포막에 존재(화살표)
니파 바이러스와 헨드라 바이러스 구분 니파 바이러스 (Nipah Virus) 헨드라 바이러스 (Hendra Virus) 원인체 Paramyxovirus(처음에는 Hendra-like virus로 불리다가 Nipah Virus로 공식 명명됨 Paramyxovirus:94~95년 호주에서 15두의 말과 2명의 사람을 치사시킨 원인바이러스 보독동물 과일박쥐와 멧돼지, 설치류, 뾰족쥐, 다람쥐, 박쥐 등 과일박쥐(Fruit Bats) 감수성동물 돼지, 말, 개, 박쥐, 고양이, 사람 말, 고양이, 사람, 박쥐, 조류, 기니피그(인공접종 결과 박쥐와 토끼는 준임상형임 임상증상 일반적으로 모든 동물에서 기침, 호흡곤란 등 신경증상을 나타낸다 사람 : 발열, 혼수 돼지 : 거친 호흡, 심한 각혈 고양이 : 고열, 호흡기증상 Hyperpanea : 신경증상, 식욕부진 말 : 고열, Slight nasal discharge(콧물) 사람 : 호흡기증상, 수막 뇌염 증상 잠복기 14~16일 1~3주
Paramyxovirus 니파라는 이름의 바이러스는 헨드라 바이러스와 근친관계에 있다. 이들 바이러스는 파라믹소 바이러스에 속하는 바이러스로 새로운 Genus에 속함 일반적으로 파라믹소바이러스 과에 속하는 바이러스는 한가지 유형의 동물만 감염시키는 특성을 나타낸다. 그러나 니파 바이러스는 종을 뛰어넘는 Species Jumping을 보인다.
Species jumping? 바이러스가 종을 바꾸는 현상으로 최근 SARS, 조류독감,에이즈 등이 실례 숙주세포 침투과정에서 세포 표면에 붙는데 성공하면 일어날 수 있다 바이러스 성숙에 필요한 Nutrient가 충분히 공급될 수 있어야 한다 비교적 가까운 종 사이에서 일어난다.
Species Jumping은 사람에게 왜 치명적인가? 바이러스가 다른 종으로 Infection이 될 경우 원래의 숙주와는 다른 체계의 면역력을 작동시켜야 함 이것은 시간이 걸림 => 준비가 되어 있지 않으므로 치명적이 된다. Jumping을 한 종에서 전염력을 가지는 경우는 드물지만 예외가 생긴다. (ex. AIDS, SARS) 바이러스와 숙주간의 Coevolution의 개념 바이러스는 계속 진화 중이다! 바이러스 진화의 끝은?
감염경로 최초발생 원인 : 최초발생 돼지 농장 주위에 과일박쥐 출몰이 잦았다는 역학사항, Hendra Virus 바이러스와의 유사성을 토대로 과일박쥐종이 자연숙주로 확인되었다. 전파 경로 : 감염 돼지의 비점액, 타액, 비인두액, 기관분비액 등 분비물 배출액을 통하여 다른 동물로 전파
감염경로 연구 결과에 따르면 니파 바이러스는 감염된 동물의 소변(urine)과 점액(mucus)으로부터 사람에게 전염되는 특징을 보인다. 돼지의 경우 호흡기에 문제가 생겨 기침이 발생하여 병원체가 체외로 방출되는 기작을 나타낸다 Tropical Fruit bats는 이 바이러스에 대해 별다른 피해를 입지 않지만 carrier역할을 맡음으로 질병의 확산을 유도 질병 발생 초기에는 일본뇌염(Japanese encephalitis)로 진단되었으나 연구가 계속 되면서 돼지를 다루는 성인 노동자가 대부분의 전염 환자
3. 니파 바이러스의 특징
사람에게서 나타나는 특징 사람과 사람간의 감염은 보고되지 않았으며, 돼지로부터 사람으로 감염되는 환자 사망률 약 50% 사람에게 있어 잠복기간은 4~18일정도 증상은 발열로 시작하여 현기증이나 졸음을 느끼고 두통을 호소하게 된다. 인후의 통증을 느끼며 혈압이나 체온이 큰 변동을 보여 혼수상태에 빠지기도 한다
돼지에 대한 감염증상과 사망률 39.9℃ 이상의 급격한 발열로 계속 입을 열고 거친 호흡, 타액의 증가, 때로는 출혈을 동반하는 콧물의 증가가 보인다. 임신돈이 감염되면 유산이나 기형돼지 출산 등의 증상을 보이며, 뇌의 위축도 보인다. 암퇘지는 바닥에 머리를 짓누르거나 파이프를 씹거나, 강직 증상을 보이기도 하고 피가 섞인 콧물을 흘리며 죽는 경우도 있다. 전체적으로 사망률은 2~3%이나 전파율이 상당히 높은 편으로 95% 항체 양성 반응을 보인 곳도 있다.
Infection 돼지간의 감염 : 감염 돼지의 혈액, 분뇨 및 정액 등을 통한 접촉감염과 비말 감염을 일으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호주에서 행해진 실험에 의하면 니파바이러스를 경구 투여한 돼지는 잠복기를 거친 후 가벼운 증상, 주사한 돼지는 7~10일 후 확실한 증상, 발병한 돼지와 같이 사육한 돼지는 항체 양성을 보였으나 증상은 나타나지 않음 양돈장 간의 전파 : 돼지의 이동이 주 원인이나, 농장을 방문하는 출하차, 사료차에 의해서 오염이 된다. 돼지에서 사람으로의 감염 : 감염된 사람은 감염 돼지를 많이 접촉하여 비말이나 상처로부터 감염됐다고 간주한다. 돼지 고기를 섭취하여 감염된 보고는 없다
Figure 1 Figure 1. Axial MRI Findings in Patients with Acute (Panel A) and Relapsed (Panel B) Nipah Virus Encephalitis with Use of Fluid-Attenuated Inversion Recovery. In Panel A, an image of the brain of a patient with acute Nipah virus encephalitis shows multiple discrete hyperintense lesions in the white and gray matter. In Panel B, an image of the brain of a patient with relapsed Nipah virus encephalitis shows confluent lesions involving primarily the cortical gray matter.
Figure 2 Figure 2. Transmission Electron Micrograph of Nipah Virus. Pleomorphic viruses in different stages of development can be seen. Developing viruses with putative M protein accumulating beneath the membrane are indicated by the open arrows. A mature virus (curved arrow) contains ribonucleoprotein (thin arrow) and surface projections (arrowhead). The infected Vero cell (C) from which the viruses are forming and budding is at the bottom of the micrograph. (Courtesy of Dr. Alex Hyatt, Commonwealth Scientific Industrial Research Organization, Australia.)
4. 국내외 발생현황
국내외 발생현황 국내 발생 현황 : 국내에서는 보고되지 않음 국외 발생 현황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에서만 발생이 보고되었으며, 1998년 말레이시아 Perak 주에서 시작되었으며, 보독상태의 돼지가 남쪽으로 매매되면서, 질병이 전파 사람의 경우 199년 5월까지 265명의 뇌염환자가 발병하여 이중 105명 사망 말레이시아 정부는 질병의 전파를 막기 위해 199년 2월말 약 200백만 두의 돼지를 살처분 1999년 3월 싱가폴 도축장에서 수입돼지를 도축중 9명의 인부가 감염되어 이중 1명이 사망함
전파 경로 1998년 9월 29일부터 99년 4월 4일까지 총 229발생 예에서 발열성 뇌염이 발생이 말레이지아 보건부에 의해 보고 – 48%에 해당하는 111예가 사망 99년 3월 13일부터 19일까지 9예의 뇌염증세와 2예의 호흡기 질환이 싱가포르 도축장 근로자에게 발생 – 미확인 바이러스로 판명
발생 현황 1999년에 2, 3, 4월에 걸쳐 네그리 셈빌란 지역에 집중적 발생 감염된 사람들은 주로 돼지와 가까이 접촉한 경험이 있는 성인 남자들 사이에서 발생 사람과 유사한 증상을 보이는 돼지들도 폐사를 보였다. 초기에는 일본뇌염바이러스로 생각하였으며, 몇몇 환자로부터 채취한 가검물에서 일본뇌염 양성 진단
사망자수 주(state) 지역(Location) 일본뇌염/니파 의진 일본뇌염/니파 확진 전체 증례 사망자수 페락 (Perak) 킨타 (Kinta) 2 25 27 15 네겔리 (Negeli) 실카마트 (Silkamat) 3 4 7 9 셈빌란(Sembilan) 부킷 (Bukit) 73 150 223 80 계 78 179 257 100
4. 임상증상 및 진단방법
대상 동물 감수성 동물 : 사람, 돼지, 개, 고양이, 말 산양 등 감수성 동물의 범위가 넓으며, 이 중 사람과 돼지가 감수성이 매우 높다.
증상 사람 : 잠복기는 4~18일로 알려져 있으며 비화농성 뇌막염이 유발될 수 있으며, 발열, 두통, 졸음 및 인사불성을 보이고 혼수에 빠지면 대부분 사망하게 된다. 돼지 : 일령에 따라 미묘한 증상의 차이 이유돈이나 육성돈의 경우 전염률은 거의 100%로 높으나 치사율은 1~5%로 낮은편. 호흡기 증상이 심한 경향 모돈의 경우 첫 발생시 증상 없이 유산의 증가가 관찰된다. 임상증상 없이 24시간 내 급사하거나 금성발열, 기침, 호흡곤란, 신경증상, 유연, 비루 현상을 보이게 된다. 개 및 고양이 : 폐사된 개체가 발견되었으며, 개에는 발열, 호흡장애 결막염 등 개 디스템퍼 유사증상이 발생 말, 산양등에서는 항체반응은 있었으나, 임상증상은 없음
진단 역학적 상황과 특징적인 심한 호흡기와 뇌염으로 인한 신경증상 등을 고려하여 본 질병을 의심할 수 있으나 유사한 증상을 보이는 Swine fever, PRRS, 오제스키병 등과의 감별을 위한 실험실 진단이 필요하다. 본 질병의 확진은 의심축으로부터 원인체를 분리 확인하는 것이다. 세포배양(Vero cell 등)법을 이용한 바이러스 분리, 유전자 검출(PCR)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인수공통 전염병 원인체이기 때문에 니파바이러스를 다루기 위해서는 BL(Biosecurity Level) 4 등급을 갖춘 실험실이 필요하다. 또 다른 질병 진단방법으로는 의심축(환자)로부터 니파 바이러스 항체 보유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으로 효소면역법(ELISA), 바이러스 중화 시험 등이 실시되고 있다
5. 치료 및 예방대책
치료 현재 까지 니파 바이러스의 백신은 개발되어 있지 않으며, 현재 헨드라양 바이러스의 성상 등에 연구가 진행 중이다. 그 외 일본뇌염 백신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일본뇌염과 증상이 유사하고 혼합 감염되는 예가 있기 때문이다.
예방대책 현재 99년 이후 추가 발생이 없는 상태이나 과일박쥐에 의해 재발에 대한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상태이다. 국내 유입방지를 위하여 동남아시아 국가들에 대한 지속적인 정부수집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발생국에서는 양돈장, 감염여부조사와 가옥, 축사 등의 분무처리와 국민들에 대한 보건교육, 돼지의 살처분 등의 방역, 예방활동을 강화하고 있다.
말레이시아 정부의 니파에 대한 조치 말레이시아 정부는 199년 4월말까지 90만 1,228두의 돼지를 살처분 하였다. 전국 양돈장 항체조사가 진행되었으며, 항체 양성이 나온 돼지는 모두 살처분되었다. 음성결과가 나온 농장도 3주 후 재검사가 이루어진다. 니파 바이러스에 감염된 돼지는 관련 법률이 없어 보조금 지급이 불가능 하여 인도적 차원의 지원금(1두당 약 14달러)이 지불되었다. 감염지역의 양돈장은 폐사되고, 새롭게 지정된 토지에 사육이 가능하다. 말레이시아 정부는 향후 수출양돈산업을 장려하지 않았다.
6. Reference M. N. Mohd Nor. et al. 2000. Nipah virus infection of pigs in peninsular Malaysia. Rev. sci. tech. Off. int. Epiz., 19(1) : 160~165. K. B. Chua. et al. 2000, Nipah virus : A Recently Emergent Deadly Paramyxovirus. Science 288 : 1432~1435. Yob, J. M. et al. 2001. Nipah virus infection in bats (order Chiroptera) in peninsular Malaysia. Emerg Infect. Dis. 2001 May-Jun, 7(3) : 439~441. Mackenzie, J. S. et al. 2001. Emerging viral diseases of southeast asia and the western pacific, Emerg Infect. Dis. (3 Suppl) : 497~504. Hume Field, et al. 2001. The natural history of Hendra and Nipah viruses. Microbes and Infection. 2001 :<BR.&NBSP;&NBSP;307~314BR>P. Daniles, et al. 2001. Laboratory diagnosis of Nipah and Hendra virus infections, Microbes and Infection. : 289~295. B. T. Eaton. 2001. Introduction to Current focus on Hendra and Nipah viruses, Microbes and Infection : <BR.&NBSP;&NBSP;277~278. p> http://www.nvrqs.go.kr/extra/index.html http://www.pignpork.com/1999/10oct/9910095.htm http://vetmed.chonnam.ac.kr/path/hendralike/menu2.htm http://www.nejm.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