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videncia stuartii 에 의한 급성중이염 1예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KHIDI 보건산업진흥포럼 염소계 형태와 특징 2. 요도퍼 형태와 특징 할로겐계 살균제 살균소독제 특성비교 1. 사용시 유의점 2. 보관시 참고사항 계면활성제계 살균제 1. Quat 의 형태와 특징 2. 비구아니드계 형태와 특징 살균소독제.
Advertisements

항균제 내성률 ( ~ ) Table 1. 그람음성균의 항균제 내성률 (%) 균주별 항균제 Escherichia coli Klebsiella pneumoniae Pseudomonas aeruginosaAcinetobacter baumanniiEnterobacter.
제 7 차 국제 화학요법 및 항생제 내성 학회 참석 귀국 보고 임 숙 경, 장금찬. 1. 여행 배경 및 목적 ● 최근 사람에서 VRSA, VRE, streptogramin- 내성 E. faecium 등 슈퍼박테리아의 증가로 사람에서 적절한 치료제 부재로 사회적인 문제로.
관세환급 제도 개요 수출용원재료에 대한 관세환급제도의 의의
영,유아 건강문제와 간호 수성대학교 보육교사 아동간호학 수업용.
Media.
개요 세균성 식중독의 정의와 역사 식중독의 정의(식품위생법 제2조) : 식품섭취로 인하여 인체에 유해한 미생물 또는 유독물질에 의하여 발생하였거나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감염형 또는 독소형 질환 식중독의 범주에 영양섭취불량에 의한 질병, 장티푸스ㆍ이질ㆍ콜레라와.
- 뷰티플란트치과의원(양산) : 원장 - 4명, 직원 - 13명 - 뷰티플란트치과의원(부산) : 원장 – 1명, 직원 – 6명
식중독에 대한 이해 전남보건환경연구원 박 학 재.
Chrom-ID 배지를 이용한 MRSA,VRE,ESBL 균주의 검출
항균제 사용의 이론과 실제 I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감염 내과 박 기 호.
요양병원내 노인성 폐렴 전남대병원 노년내과/호흡기내과 김유일.
MIC 법을 이용한 항생제 감수성 검사의 오류분석과 해결방법
VITEK 2 동정 및 감수성 카드 평가 2009년 4월 16일 미생물파트 김 명 숙.
1. 식품 위생의 개요.
Chapter 3 세포대사 (Cell metabolism) - 효소의 중요성 - 대사 경로 (catabolism) - 세포구성분의 생합성 (Anabolism)
병원 감염 관리 이론과 실제 송 재 훈 성균관 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감염내과 / 감염관리실.
기능성화장품 관련 사항 허찬우 화장품연구소.
감염질환의 개요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감염내과 백 경 란.
식품화학 개요.
식육내 항생·항균제 간이검사법 EEC 4-plate 법
피부과학 (모발과학) 허찬우 화장품연구소.
Respiratory Diseases in Children 소아 호흡기 질환
Enterobacteriaceae 장내세균과 세균 Dongwoo Shin
식량과 먹거리.
물의 전기분해로 생성한 신 물질 친환경 살균 소독수 생성장치 Clean Medi Plus TM
아미노산(Amino acid) Amino acids - 아미노산의 기본 구조 - 아미노산의 종류
ESBL 생성 균주의 현황과 검출 임상병리과 미생물계 김미현.
항균제 감수성 검사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
2장-항균작용과 내성의 원리 1. 항균제 종류 및 작용기전을 설명한다 2. 항균제에 대한 미생물 감수성검사를 설명한다.
세균 (Bacteria).
세균(細菌, Bacteria) 특 징 원핵세포 구조 폭 1㎛ 내외의 구형 또는 막대형의 단세포형
[ Nocolyse ] [ Nocotest ] [ Nocobox ].
식품의 맛.
10주차 그람음성 구균.
병원 미생물및 기생충에 작용하는 약물.
혈액배양배지의 비교 미생물계 박지연.
균혈증이 동반된 Hafnia alvei 복막염 1예 송원근, 박민정, 김택경, 이규만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임상병리학교실
11. 발효유의 미생물 1. 발효유 (fermented milk)
MicroScan 김정미
제 1장 식품 위생의 개요 1. 식품의 의의 인체의 형성과 생활 에너지 공급에 필요한 영양소를 최소한 한 종류 이상 함유하고 유해한 물질을 함유하지 않은 천연품 또는 인공품으로서 섭취할 수 있는 것 식품위생법의 목적 식품에 의한 위해 발생을 사전에 방지하고 식품영양의.
사카자키 및 바실러스균 검사법 국립수의과학검역원 축산물규격과 김영조.
미생물의 생장최적온도 및 가열살균 원리 모든 미생물은 생육가능한 온도 범위가 있으며, 증식온도 범위에 따라서 미생물은
손씻기 (hand hygiene) 김현숙.
아미노산이화작용[ catabolism of amino acid , ~酸異化作用 ]
갑주백목(대봉)의 CO2 및 Ethanol 탈삽과 Acetaldehyde에 의한 Tannin의 불용화
기계공학부 서창훈 환경건설교통공학부 김만호
미생물의 종류와 특성
Ⅰ. 서론 신안산대학교 식품생명과학과 지도 교수 : 오성훈 교수님 발표자 : 박태연( ) 김주영( )
9주차 병원감염.
Pseudomonas aeruginosa와 Acinetobacter baumannii에 대한
Catalase 음성 그람양성구균의 동정 원주의대 어 영.
장구균 (Enterococcus)의 간이동정법
C.R.M Manual Tool kit Version1.0
정답: 영양(nutrition), 영양소( nutrient)
기계공학부 서창훈 환경건설교통공학부 김만호
본선대회 일정안내.
실험동물 8단원 문제 이지수, 이경미, 곽금도, 박인선, 전용호.
최초의 생명체는 어떤 생물이었을까? 최초의 생명체 광합성 세균의 진화 진핵 세포의 진화.
휴대용 복합가스 측정기 소하119안전센터 소방장 김형진
레몬과 감귤즙 추출액의 농도에 따른 항균성 실험
6. 영양.
기본 테이블세팅(로맨틱) 푸드스타일리스트 전공 김선아.
환급신청안내 부산세관 납세심사과.
제4장 영아기 영양 권 순복.
치아우식병.
Github: 생명과학 Youngjun Na Github:
Ⅲ. 학교보건관리 Ch.8 전염병 관리 강의교수 : 최 혜 정.
Chapter 항생물질과 면역증강제 및 억제제
Basic Microbiology.
Presentation transcript:

Providencia stuartii 에 의한 급성중이염 1예 전현배, 김영철, 이영경, 박지영, 강희정, 조현찬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임상병리학교실 배 경 급성중이염은 3세 이전 소아의 2/3 가량에서 적어도 한번은 앓게 되는 흔한 소아과 질환으로, 6세 이후에는 발생 빈도가 현저히 감소한다. 급성중이염을 일으키는 가장 흔한 3대 원인균은 Streptococcus pneumoniae, Haemophilus influenzae 및 Moraxella catarrhalis를 들 수 있다. 그 밖에 β-hemolytic streptococcus, Staphylococcus aureus, 그리고 Escherichia coli, Klebsiella pneumoniae, Pseudomonas aeruginosa 등의 그람음성간균이 그 다음 빈도로 동정되는 원인균들이다. Providencia stuartii 는 Enterobacteriaceae에 속하는 그람음성간균으로 주변환경에 산재해 있고, 사람 및 동물의 장 내에서 정상상재균으로 존재한다. 사람에게는 흔히 병원성 감염원으로서 요로감염의 원인균으로 분리된다. 또한 화상 환자의 상처 부위에서도 분리되는 원인균으로도 알려져 있다. P. stuartii가 그 외에 만성중이염에서 적은 빈도로 분리되나 급성중이염의 원인균으로서 확인된 경우는 아직 국내외에서 문헌 보고된 바 없다. 본원 춘천성심병원에서는 최근에 급성삼출성중이염으로 진단받은 2세 여아의 우측 귀에서 농성 분비물 배양 결과 P. stuartii가 분리되어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Table 1. Biochemical reactions of P. stuartii isolate with manual methods TSI Slant / Butt K / A Gas / H2S - / - Motility weak + Indole + Citrate + Phenylalanine deaminase + Methyl red + Voges-Proskauer - Ornithine deaminase - Lysine decarboxylase - Urease - Oxidase - Table 2. Biochemical reactions of P. stuartii isolate with commercial kit (API 20E) Ortho-nitro-phenyl-galactoside - Arginine dihydrolase - Lysine decarboxylase - Ornithine decarboxylase - Citrate + H2S - Urease - Tryptophane desaminase - Indole + Voges-Proskauer - Gelatinase - Glucose + Mannitol - Inositol + Sorbitol - Rhamnose - Saccharose - Melibiose - Amygdaline - Arabinose + Oxidase - 증 례 환자: 김ОО, 2세 여아 주소: 내원 2주 전부터 시작된 우측 이루(otorrhea) 과거력: 특이사항 없었다. 가족력: 특이사항 없었다. 현병력: 상기 환자는 상기 증상을 주소로 개인병원에서 치료를 받았으나 증세 계속되어 본원 이비인후과 외래를 통해 입원하였다. 이학적소견: 환아는 380C 미만의 미열을 보였고, 이학적 검사상 우측 고막 주변에 지속적으로 배출되는 노란색의 농성 분비물이 관찰되었고, 고막 천공과 함께 외이도 후상벽의 종창도 관찰되었다. 왼쪽 귀는 정상 소견이었다. 방사선검사소견: 측두골 전산단층촬영 결과 우측 유양돌기의 골융합 소견과 중이 내에 염증성 유조직 음영이 관찰되는 급성융합성유양돌기염의 소견을 보였다. 일반검사소견: 일반혈액검사상 백혈구 수는 7,400/μL (호중구 21.0%, 림프구 65.2%, 단핵구 8.0%, 호산구 5.8%), 혈색소는 11.2 g/dL, 혈소판 수는 270,000/μL로 정상 범위내로 나타났다. 간기능 및 신기능 검사와 전해질 검사에서도 모두 정상범위의 결과가 나왔고, 소변검사도 정상 소견이었다. 미생물검사소견: 멸균처리된 면봉을 이용해 외이도 접촉에 따른 오염이 없도록 주의하여 우측 이루에 대한 농 검체를 채취한 후 세균배양 검사가 의뢰되었다. 호기성 세균배양을 위해 혈액한천배지 및 MacConkey 한천배지를 이용하였고, 혐기성 세균배양을 위해 Brucella 한천배지를 사용하였으며, 증균배지용 thioglycolate 액체배지에 각각 배양시켰다. 배양 결과 혈액한천배지에서는 용혈이 없는 회색 집락이 관찰되었고, MacConkey 한천배지에서 무색의 집락이 관찰되었으며, Brucella 한천배지에서는 균이 자라지 않았다. 자란 균 집락에 대한 oxidase 검사는 음성의 결과를 보였고, 그람 염색에서는 그람음성간균이 관찰되었다. TSI (triple sugar iron) 배지에서 사면(slant)은 알칼리성으로, 고층(butt)은 산성으로 나타났으며, 가스 및 H2S는 생성되지 않았다. 운동성은 약하게 나타났으며, indole 검사 양성의 결과를 보였고, ornithine decarboxlyase 음성의 결과를 보였다. 또한 citrate 검사 양성, phenylalanine deaminase 검사 양성, methyl red 검사 양성의 소견과 Voges-Proskauer 검사 음성, urease 검사 음성의 소견을 얻었다(Table 1). 정확한 균 동정을 위해 API 20E 키트(bioMerieux, France)를 이용하였으며, 결과 코드 값 0244202를 얻어 P. stuartii로 동정되었다(Table 2). 디스크확산법을 이용한 항균제 감수성 검사 결과는 Table 3과 같았다. 치료 및 경과: 환아에 대해 입원 직후부터 급성중이염의 1차적인 경험적 항생제로서 amoxicillin-clavulanic acid와 netilmicin을 정맥 투여하였다. 그러나 증세가 크게 호전을 보이지 않던 중, 환아의 우측 이루 검체로 부터 P. stuartii가 분리되었고, 이 균에 대한 항균제 감수성 검사에서 감수성이 있다고 나타난 ceftriaxone과 amikacin으로 치료를 변경하였다. 항생제 변경 후 3일째부터 이루가 감소하였으며, 1주일 후에는 이루와 고막주위 염증 소견도 완전히 소실되었다. 항생제 치료 도중에 이루 증세가 감소되었을 때 시행한 세균 배양 검사에서 P. stuartii를 비롯한 세균이 더 이상 분리되지 않았다. 입원 9일째 환아는 퇴원하였고, 퇴원 후 외래를 통해 추적 관찰하고 있는데, 고막 천공은 아직 남아있으나 그 외의 별다른 문제없이 지내고 있다. Table 3.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P. stuartii Antimicrobial agent Susceptibility Gentamicin R Cephalothin R Ciprofloxacin S Ampicillin R Amikacin S Tobramycin R Ceftriaxone S Ticarcillin-clavulanate S 요 약 Providencia stuartii는 Enterobacteriaceae에 속하는 그람음성간균으로서 만성중이염에는 적은 빈도로 동정되고 있으나, 급성중이염의 원인균으로서는 아직 국내외에서 문헌 보고된 바 없다. 한림대학교 춘천성심병원에서는 최근에 급성삼출성중이염으로 진단받은 2세 여아의 우측 귀의 농성 분비물 배양 결과 P. stuartii가 동정되었고, 이 균에 대한 항균제 감수성 검사에서 감수성이 있다고 나타난 항생제로 치료를 변경함으로써 증세의 호전을 경험하였다. 본 증례는 P. stuartii가 급성중이염의 원인균으로서는 처음 보고되는 것으로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