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장 거시경제학의 개관.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제 26 강 : 국제 수지 1 한국경제교육협회 일반인 표준 경제 개념 10. 국제 거래와 환율.
Advertisements

정부의 역할 – 재정정책과 통화정책. POD&mid=tvh&oid=422&aid=
© 김경환, 김종석 제 31 장 총수요와 총공급. © 김경환, 김종석 경기변동의 세 가지 중요한 특징  경기변동은 불규칙적이고 예측하기 어렵다. -불경기와 호경기가 반복되지만, 그 지속기간에는 일정한 패턴이 없다.  대부분의 거시경제변수들은 함께 움직인다. -소득,
구조조정(restructuring)의 필요성
통화량 증가와 인플레이션.
국제금융론 무역학과 교수 한복연.
11 거시경제의 단기균형: 개방경제.
제2장 주요 거시경제변수 제1절 : 국내총생산 제2절 : 실업률 제3절 : 생계비용의 측정 제4절 : 맺음말.
GNP/GDP 국민계정.
국민소득의 측정.
1.화폐수요의 정의 2.화폐수량설 3.유동성선호설 4.신화폐수량설
제6장 상품 및 화폐시장 제1절 : 상품시장과 IS곡선 제2절 : 화폐시장과 LM곡선 제3절 : IS-LM곡선과 정책효과
제 18 장 생산요소시장 1.
거시경제학 강의 1 거시경제학에의 초대.
제 36 장 거시경제에 관한 다섯 가지 쟁점.
경제학원론 7장 국민소득 수준의 결정.
제IV편 거시경제모형과 경제정책 제11장 화폐시장을 고려한 케인스이론(IS-LM모형)
케인즈의 국가개입주의 창원대 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박주필.
단기에서의 총지출과 총생산 CHAPTER 26.
2 거시 경제학의 연구과제와 연구방법.
인플레이션, 총수요, 총공급 CHAPTER 28.
제25장 거시경제문제 : 실업과 인플레이션.
금융정책과 재정정책이 총수요에 미치는 효과.
개방경제의 거시경제 이론 © 2007 Thomson South-Western.
제19장 국민소득 결정이론 민간소비 및 투자활동과 국민경제
거시경제정책의 이론과 실제 CHAPTER 29.
국제금융론 무역학과 교수 한복연.
제 36 장 거시경제에 관한 다섯 가지 쟁점.
생산요소시장.
인플레이션과 실업의 상충관계 © 2007 Thomson South-Western.
응용 : 조세의 경제적 비용 © 2007 Thomson South-Western.
환율에 대하여 예비 9기 조영완.
3차시 1교시 가격통제 학습 목차 1. 학습개요 2. 사전학습 3. 본학습: 1교시 가격통제 - 레슨1. 가격하한제
디플레이션의 정의 ☞ 물가수준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현상 종 류 ① 좋은 영향을 미치는 디플레이션
제 7 장 거시경제의 단기균형: 폐쇄경제.
6 거시경제의 장기균형:폐쇄경제.
제 29 장+ 30 장(일부) 개방경제의 거시경제학: 기본개념.
제19장 솔로우 모형 제1절: 인구가 일정하고 기술진보가 없는 경우 제2절: 인구가 증가하는 경우
제20장 내생적 성장이론 제1절: 자본스톡의 재해석 제2절: 기술진보의 내생화 제3절: 맺음말.
마케팅연구의 필요성 기업의 경영관리 인사관리(men : 인력관리) 재무관리(money : 운전자본)
제10장 단기총공급이론 제1절 케인즈학파의 단기총공급이론 제2절 합리적 기대론자들의 단기총공급 이론 제3절 장기총공급곡선
개방경제의 거시경제 이론.
제16장 투자 제1절 토빈의 q이론 제2절 옵션이론 제3절 건축투자 제4절 재고투자 제5절 맺음말.
제 17 장 재정정책 PowerPoint® Slides by Can Erbil
경 제 학 원 론 경제학원론 제9장 거시경제학 개관.
4 가격 경직성과 총공급곡선.
경기안정화정책: 연방준비제도의 역할 CHAPTER 27.
7.1 경기변동의 후생비용.
제 13 장 거시경제이론의 기초 13.1 거시경제이론의 기본 개념 13.2 총수요와 총공급.
경제학원론 제 3 장 탄력성의 개념과 경제적의의 1.
제 33 장 총수요와 총공급.
3 시장청산과 총공급곡선.
제11장 실물경기변동이론 제1절 경기변동의 정형화된 사실 제2절 시장균형모형 제3절 기술충격과 실물경기변동이론 제4절 평가
국제관계의 이해 제1강. 국제정치란 무엇인가?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제 1 장 서 론.
자본주의란 무엇인가? 정치경제학이란 무엇인가?
6 거시경제의 장기균형:폐쇄경제.
제8장 개방거시경제이론 제1절 주요개념 제2절 먼델-플레밍 모형 제3절 고정환율제도와 소규모 개방경제
제 4 장 가격 경직성과 총공급곡선.
12. 디저트로 만나는 미국 경제학자들 10조 황정환 신현목 주성진
경 제 학 원 론 경제학원론 제12장 실업과 인플레이션.
제 11 장 독점 PowerPoint® Slides by Can Erbil
경 제 학 원 론 경제학원론 제14장 AD-AS와 균형국민소득.
총수요와 총공급.
경제학자처럼 생각하기.
제 1 장 서 론.
9 총수요곡선: 개방경제.
경제학자처럼 생각하기.
제 18 장 화폐, 연방준비제도와 통화정책 PowerPoint® Slides by Can Erbil
기업과 거시경제 제3장 거시경제 관련 용어 분석(Ⅱ) 국제통상학부 장성열 교수.
Presentation transcript:

10장 거시경제학의 개관

10장 거시경제학의 개관 10.1. 거시경제학의 본질 10.2. 경기순환 10.3. 장기경제성장 10.1.1. 거시경제학적 질문 10.1.2. 거시경제학: 부분과 전체 10.1.3. 거시경제학: 이론과 정책 10.2. 경기순환 10.3. 장기경제성장 10.4.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 10.5. 국제 불균형

거시경제학적 질문 진학인가 취업인가? 대졸 취업자의 임금수준 은 얼마인가? 자동차 가격은 얼마인가? 저소득층의 대학진학을 위한 정부정책은? 시티은행이 상하이에 새 사무소 개설하는 요인은? 올해 전체 취업자 수는? 노동자의 총급여를 결정하는 요인은? 경제전체의 물가수준은? 고용과 성장을 촉진하기 위한 정부정책은? 수출, 수입을 결정하는 요인은? 미시 경제학 거시경제학

거시경제학: 부분과 전체 미시경제학(Microeconomics): 거시경제학(Macroeconomics): 개별 경제주체의 선택과 개별시장의 움직임. 개별 상품과 생산요소에 대한 수요와 공급 결정, 가격과 거 래량 가계와 기업의 의사결정, 각각의 시장에서 상호작용하는 방 식과 그 결과 거시경제학(Macroeconomics): 개별적 선택의 집합적 결과 구성의 오류(fallacy of composition) 개별의 합 = 전체 ??? 절약의 역설(paradox of thrift), 화폐증가와 물가 경제변수: 국민소득, 이자율, 물가, 실업, 환율

거시경제학: 이론과 정책 거시경제학은 ‘어떤 의미에서’ 정책학. 케인즈와 거시경제학 대공황 이전의 경제학 경제의 자율적 조정(self-regulation)에 대한 신념 “작은 정부” 주장 대공황(Great Depression) 이후 미국: 실업률 25%, 독일: 나치집권 경기침체를 방지하기 위한 정부의 역할 주목 케인즈와 거시경제학 “고용, 이자율, 화폐에 관한 일반이론” 침체의 원인이 수요부족에 있다고 주장 경기부흥을 위한 정부개입 주장 통화정책과 재정정책

거시경제정책의 목표와 수단 거시경제학의 실증적 측면 거시경제학의 정책적 성격 4가지 목표 정책수단 경제 전체에서 일어나는 성격을 탐구 거시경제학의 정책적 성격 국민소득의 안정적인 지속적인 성장을 가져오기 위한 정책 탐구 4가지 목표 국민소득의 지속적인 성장(높은 경제성장률) 완전고용 낮고 안정적인 인플레이션 지속가능한 국제수지 유지(국제수지 균형) 정책수단 재정정책 - 조세, 정부지출 조정 통화정책 – 이자율 조정(통화량 조정)

대공황이후 거시경제

대공황: 성장률과 실업률

Hooverville

Migrant Mother By Dorothea Lange, 1895-1965

대공황은 결코 생산이 부족했던 탓이 아니다! '번영의 20년대‘ 생산증가 대량소비체제 - 내구소비재 1919→1929년 국민총생산이 40% 증가 산업생산이 두 배로 증가 대량소비체제 - 내구소비재 1920년대 자동차등록대수가 800만대에서 2300만대로 증 가 비행기 - Charles Lindbergh 영화 - Charlie Chaplin 축음기, 청소기, 세탁기 등

Empire State Building 1931년 완성

1930년대 뉴욕거리

1930년대 뉴욕

1920년대 서울 숭례문

그렇다면 왜?

두 공황의 비교: 1929년, 2008년 공황발생 이후 산업생산의 변화

10장 거시경제학의 개관 10.1. 거시경제학의 본질 10.2. 경기순환 10.3. 장기경제성장 10.4.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 10.5. 국제 불균형

Sourc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가끔 중단되는 경제성장, 1988–2011 (음영은 경기침체) Source: Federal Reserve Bank of St. Louis

경기순환 도표 그리기

경기후퇴의 고통

10장 거시경제학의 개관 10.1. 거시경제학의 본질 10.2. 경기순환 10.3. 장기경제성장 10.4.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 10.5. 국제 불균형

경제성장 Sources: Angus Maddison, Statisticson World Population, GDP, and Per Capita GDP, 1–2008AD,http://www.ggdc.net/MADDISON/oriindex.htm; Bureau of Economic Analysis.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 국제불균형 원인 고통 개방경제(Open Economy) vs. 폐쇄경제(Closed Economy) 단기: 경기순환이 중요 장기: 화폐공급이 중요 고통 인플레이션: 화폐의 실질구매력 감소 디플레이션: 경기침체 국제불균형 개방경제(Open Economy) vs. 폐쇄경제(Closed Economy) 경상수지 흑자와 적자 저축과 투자의 상대적 크기에 따라 결정

단기, 장기 단기 장기 물가(가격)의 경직성: 초과수요, 초과공급의 조정불가 불완전정보: 경제주체가 관련정보에 대해 인식이 부족한 상 태 장기 물가(가격)의 신축성: 초과수요, 초과공급의 조정 완전정보: 경제주체가 관련정보에 대해 충분히 인식한 상태

국민소득 결정요인 경제의 총산출량을 결정하는 요인들 총수요(소비자신뢰, 재정정책), 총공급(자본설비, 노동 자), 기술진보 자본축적 및 제도(기술혁신, 저축, 숙련 도, 교육수준 등) 경제의 총산출량을 결정하는 요인들은 기간에 따라 다름. 단기: 10년 이하, 총수요가 중요 장기: 10년 정도, 총공급이 중요 최장기(?): 30년 정도, 기술진보 및 제도 등이 중요

케인즈전통와 고전학파 전통 케인즈 전통 고전학파 전통 신고전파 종합 단기에 초점 국민소득 결정과정에서 총수요가 중요 시장(가격기구)의 불완전성 강조 Keynes; Hicks, Tobin; Stiglitz, Krugman 고전학파 전통 장기에 초점 국민소득 결정과정에서 총공급이 중요 시장(가격기구)의 완전성 강조 Ricardo, Say; Friedman; Kydland(쉬들란), Prescott 신고전파 종합 단기 – 케인즈 , 장기 – 고전학파 Samuels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