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두 보장구 구두는 하지보조기의 기본이 되는 부분 족부는 신체에서 기초기 되는 부분으로 족부의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Matlab 조별 과제(360º 단진자) 2 조 작성자 : 문수민 프로그램 : 송진영, 나정민 발표자 : 백선미, 김준오.
Advertisements

1. 도형의 연결 상태 2. 꼭지점과 변으로 이루어진 도형 Ⅷ. 도형의 관찰 도형의 연결상태 연결상태가 같은 도형 단일폐곡선의 성질 연결상태가 같은 입체도형 뫼비우스의 띠.
학년 체력 검사 * 요령 및 측정방법 * 서울문교초등학교 50m 달리기 출발 전 1. 제자리에서 가볍게 뜀뛰며 준비한다. ( 기록향상효과 ) 2. 출발 직전 ( 제자리 ) 에는 상체를 최대한 앞으로 쏠리게 한다.
뇌 졸 증 환자의 관 절 운 동 건강관리과 정읍시 보건소. 뇌 졸 증 환자의 일 반 적 문제점 ▶ 근육의 약화 ▶ 근육의 약화 ▶ 근 긴장도의 변화 ▶ 근 긴장도의 변화 ▶ 감각 장애 ▶ 감각 장애 ▶ 독립운동의 상실 ▶ 독립운동의 상실 ▶ 지각운동의 장애 ▶ 지각운동의.
2 호선 근골격계 유해요인 조사 결과보고 승무지부 성수지회. 힘차게 전진하는 승무지부 성수지회 근골격계질환예방하여건강한일터쟁취하자!근골격계질환예방하여건강한일터쟁취하자! 유해요인 조사내용 1. 운전실내 의자 불량개소 파악 2. 운전실내 돌출부위 파악 3. 2 호선 전 구간.
Shoulder Complex A 조 발표자 김태훈.
. . . The 10 Minute Success POSTURES (운동자세) R&G Marketing.
세라밴드를 이용한 발목운동법 발목 신전운동 앉은 자세에서 세라밴드의 양쪽을 손으로 고정합니다.
야구 글러브에 대한 것 5학년 4반 6번 백경렬.
견갑골 외전 증후군 (Scapular abduction syndrome)
풀 다운 메뉴 File > New “intent” 이름을 넣고 OK 를 클릭한다.
관절염 용인 세브란스병원 정형외과 과장 김형식.
(Numerical Analysis of Nonlinear Equation)
공차 및 끼워맞춤.
CHAPTER 4 HIP  .
반월상 연골 (meniscus).
과목명 : 임상생체역학실습 담당교수님: 황성수 교수님 발표일: 발표자: 이나임
개인용 전자오락실 설계.
질의 사항 Yield Criteria (1) 소재가 평면응력상태에 놓였을 때(σ3=0), 최대전단응력조건과 전단변형에너지 조건은σ1 – σ2 평면에서 각각 어떤 식으로 표시되는가? (2) σ1 =σ2인 등이축인장에서 σ = Kεn로 주어지는 재료의 네킹시 변형율을 구하라.
다각형.
수술 전/후 사진. 수술 전/후 사진 관절경 수술 적용 질환 7. 수술 후 처치 및 재활 치료 1) 수술 시 발생한 창상 부위(약 1cm 정도)는 감염의 예방을 위해 약 5~7일 정도 소독하며, 수술 후 다리는 누워있는 자세에서 무릎과 발목이 가슴보다 약간 위쪽에.
pH-20N 사용방법 측정항목 pH 보정 (자동보정) Sensor 보관방법 기타 조작방법
3-9 소아의 특수질병에 사용되는 하지 보조기.
Ⅱ. 지구의 변동과 역사 1. 지구의 변동 2. 지구의 역사 3. 우리나라의 지질.
무게중심으로 최적의 안정적인 팽이를 찾아라 03김동균, 04김문성, 09박 홍, 10서영우.
학습 주제 p 역학적 에너지는 보존될까?(1).
하지 보조기 보조기 중에서 하지에 사용하는 보조기를 총칭하는 것. 재활분야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보조기이다.
전기자동차 만들기 전기자동차 기어박스 조립 – 1 (고속형)
수학 토론 대회 -도형의 세가지 무게중심 안다흰 임수빈.
활기찬 하루를 여는 “건강 박수 !!!”.
마인드 맵.
도형의 기초 3. 기본작도 삼각형의 작도 수직이등분선의 작도 각의 이등분선의 작도.
시뮬레이션 기반 가상 보조기구 알고리즘 최적화
2 자동화와 로봇 2 기계 운동의 원리 기계의 이해 기계요소 기계의 동력 전달 과정 금성출판사.
P 등속 직선 운동 생각열기 – 자동차를 타고 고속도로를 달릴 때, 속력계 바늘이 일정한 눈금을 가리키며 움직이지 않을 때가 있다. 이 때 자동차의 속력은 어떠할까? ( 속력이 일정하다 .)
다면체 다면체 다면체: 다각형인 면만으로 둘러싸인 입체도 형 면: 다면체를 둘러싸고 있는 다각형
삼각형에서 평행선에 의하여 생기는 선분의 길이의 비
Prof. Byeong June MIN, Department of Physics, Daegu University
보조기학 및 의지학 레포트 담당 교수님 : 강권영 교수님 학번 : 성명 : 서지우
평 면 도 형 삼각형 다각형 원과 부채꼴 다각형과 원 학습내용을 로 선택하세요 다각형과 원
균형이진탐색트리 이진 탐색(binary search)과 이진 탐색 트리(binary search tree)와의 차이점
1. 단면도 그리기 (1) 단면도의 정의 물체의 외형에서 보이지 않는 부분은 숨은선으로 그리지만, 필요한
1. 선분 등분하기 (1) 주어진 선분 수직 2등분 하기 ① 주어진 선분 AB를 그린다. ② 점 A를 중심으로 선분AB보다
Morton foot structure.
Axis of Hanging Point ART-CORE 김 연 자.
골격계 전신 뼈 검사 뼈 삼상골 검사 뼈 단층 영상검사 [Whole body Bone scan]
교실용 SD-101 system (특허 ) 장선: 30x70x0.8t 지주: 주 장선 간격 : 900mm
1. 스케치 평면 설정 평면상의 스케치 스케치를 할 평면 선택 스케치시 Horizontal (x축)으로 사용할 기준축 선택
차동 기어 장치 굽은 길을 돌 때 좌우 구동 바퀴가 회전하는 속도의 차이를 만들어 내는 장치.
작도 작도 작도: 눈금 없는 자와 컴퍼스만을 사용하여 도형을 그리는 것
### 척주 - vertebra  * 경추 - cervical vertebra 7개의 경추는 비교적 크기가 작고, 극돌기가 두갈래로 갈라져있고, 횡돌기에는 구멍이 있다.  * 제1경추 - 환추 first cervical vertevra 두개골과 관절을 이루어 환추(atlas)로.
Chapter 1 단위, 물리량, 벡터.
Chapter 1 단위, 물리량, 벡터.
1. 정투상법 정투상법 정투상도 (1) 정투상의 원리
자동차의 정의 및 제원 자동차의 정의 치수에 의한 제원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3-9 소아의 특수질병에 사용되는 하지 보조기.
제4차시 큰절 남녀 큰절의 기본 동작 대구달서시니어클럽 유아전통예절교육단.
DNA의 구조와 역할 (1) DNA : 이중 나선 구조로 수많은 뉴클레오타이드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5.1-1 전하의 흐름과 전류 학습목표 1. 도선에서 전류의 흐름을 설명할 수 있다.
7장 원운동과 중력의 법칙.
PART 02 케어복지 실천기술론 CHAPTER 19 관절운동.
우선 각 평면도에서 점선으로 강조한 직육면체 형상의 피처를 생성한다. 여기서 컴퓨터응용가공산업기사 준비를
통계학 R을 이용한 분석 제 2 장 자료의 정리.
3. 자동차의 관리 (2) 자동차의 구조 교144쪽.
건설업 안전보건관리10계명 1 6 작업 전 안전점검과 작업 중 정리 정돈 상태를 확인하여 위험을 사전에 제거 또는 통제한 후 작업 하는 것을 습관화해야 합니다. 감전재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가설전기의 접지상태 및 누전 차단기 작동여부 등을 확인하고 필요 시.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2. 굴착기 코스운전 1. 코스 운전 조건 : S 자 코스를 출발하여 반곡점 정지선 안에서 정지 하였다가 정지선 넘은 다음 후진하여 제자리 출발선 까지 4분 이내 완료 한다. 후진 정지선 시간 측정 정차 출발 도착 4분.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생산성 증대 효율성 향상 측정 수행 능력.
Presentation transcript:

구두 보장구 구두는 하지보조기의 기본이 되는 부분 족부는 신체에서 기초기 되는 부분으로 족부의 체중지지가 균형을 이루어야 보행이 원만하게 된다. 알맞고 적절한 구두는 발을 편안하게 해주며 과도한 변형을 예방하고 교정한다 족부의 질환이나 변형에 따라 적절히 구두를 수정하여 주어야 한다

1. 구두의 구성 구두창(sole) 구두굽(heel) 앞날개(vamp)와 뒷날개(quarter)를 이루는 upper 안감(lining)과 보강재(reinforcement)

1. 구두의 구성 맨발인 상태에서는 체중이 종골부분에 집중된다. 굽을 높이면 발바닥 전면으로 체중이 분산되어 체중지지와 보행기능이 촉진된다 이상적인 굽높이 : 3cm전후 구두굽이 5cm를 넘으면 자세가 흐트러지고 보행이 어렵게 된다.

1. 구두의 구성 구두허리는 구두굽의 전면과 볼(ball)사이에 위치 토우 스프링은 보행시 발끝떼기가 원활하도록 rocker effort(흔들효과)가 있다

1. 구두의 구성 보조기의 착용에 적합한 쿠반 힐(cuban hill)은 굽 높이가 약 4cm이다

발의 골격

정상 발과 평발의 압력분포 정상 발 평발

2. 구두 보장구의 수정 구두를 이용한 발의 교정은 족부의 질환이나 변형에 따라 구두의 구조를 변화시켜 발의 균형을 유지하거나 개선하고 발의 체중부하점에서 정상적인 체중을 받도록 하기 위함이다. 정상적인 발의 체중부하점은 제1중족골두(1st metatarsal head)와 제5중족골두 그리고 종골의 족저면(plantar surface of calcaneus)가 이루는 삼각지점이다

2. 구두 보장구의 수정 구두의 수정은 구두 안쪽을 수정하는 것과 구두 바깥 쪽을 수정하는 것으로 나눌 수 있다

1) 외반족의 수정 외반족(pronated foot; pes valgus), 외반슬(genuvalgus), 내측 평편족(medial pes planus)변형은 내측으로 체중이 쏠린다 대책 내측 종아치(medial longitudinal arch)를 받쳐 체중이 외측으로 쏠리게 한다 구두 안쪽의 수정방법과 바깥쪽의 수정방법이 있다. (1) 구두 안쪽의 수정(shoe-to-foot modification) Steel shank Scaphoid pad(navicular pad, cookie insert) Long medial counter

1) 외반족의 수정 (2) 구두 바깥쪽의 수정(shoe-to-floor modification) Thomas heel(orthopedic heel) : 구두굽의 내측이 1.3cm 정도 앞으로 돌출되어 주상골 아래의 위치에 놓인다. 뒷굽에 쐐기를 끼우면 Thomas heel wedge가 된다. Medial sole and heel wedge : 발의 변형에 따라 구두창과 구두굽에 따로 끼울 수 있다. Medial shank filler : 구두 허리(shank)의 내측면이 지면과 일치하도록 구두 내측 공간을 채운다 Valgus strap:구두의 내측에 스트랩을 달아 외측 엎라이트에 맨다

2) 내반족(pes varus)의 수정 족부의 종아치를 받쳐 체중을 내측으로 쏠리게 하는 수정을 사용 내반족(supinated foot;pes varus), 외측 평편족(latreral pes planus)의 발의 변형은 체중이 외측으로 쏠린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외측 종아치를 받쳐 체중이 내측으로 쏠린다 구두 안쪽의 수정방법 Lateral long counter: 구두의 외측 월형을 정상보다 좀더 앞으로 Leteral heel wedge insert: 구두안에 lateral heel wedge insert를 종골의 외측에 넣어 외측 종아치를 들어올려 발이 내측으로 쏠리도록 한다

2) 내반족(pes varus)의 수정 (2) 구두 바깥쪽의 수정 Lateral heel and sole wedge Reverse thomas heel : 발의 내반이나 회외의 반대작용을 하기위해 구두굽의 외측이 전방으로 1.3cm정도 돌출되어 종입방 괸절과 제5조중족골(5th tarsometatarsal joint)을 받쳐준다. Lateral shank filler Lateral flaring: 구두창이나 구두굽을 본래보다 약간 넓게하여 발의 내반 방지 Varus strap: 구두의 외측에 스트랩을 연결하여 내측 엎라이트와 연결

3) 중족골 아치 지주(metarsal arch support) 종족졸 아치에 발생하는 질병 요척족(pes cavus) 점액낭염(bursitis) 모지경직(hallux rigidus) 평편족(splay foot) 종족골통(metatarsalgia) 골절(fracture) 외반모지(hallux valgus) 몰톤 발가락(morton toe) 발바닥 사마귀(plantar warts) 80p-93p정리

3) 중족골 아치 지주 구두 안쪽에서의 수정 Metatarsal pad, dancer pad, metatarsal corset : 중족골 골두부위의 통증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사용

3) 중족골 아치 지주 Levy type inlay : 외반모지의 교정목적으로 엄지와 두번째 발가락사이에 쐐기모양의 장치를 끼워서 엄지발가락을 정상으로 유지한다.

3) 중족골 아치 지주 Morton toe extension : 제1중족골의 비정상적인 단축으로 나타나는 통증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사용 엄지발가락에서 발뒤꿈치까지 발판을 연장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3) 중족골 아치 지주 (2) 구두 바깥쪽에서의 수정 Metatarsal bar, rocker bar, denver bar:중족골 골두에 내려받는 압력을 줄여 정상적인 보행상태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 보행시 발바닥의 중족골두 바로 뒷부분에 체중이 걸리도록 하여야 통증이 감소될 수 있다

3) 중족골 아치 지주 Long steel spring, rocker bar and SACH heel : Long steel spring 은 통증이 심한 강직성 족관절을 위해 발을 충분히 받쳐주기 위해 구두 바닥에 사용한다 Rocker bar는 족부관절들의 운동을 감소시켜 발의 통증을 경감시킨다 SACH heel은 뒤꿈치닿기에서 발끝떼기까지 자연스러운 보행이 되게 한다

하지보조기의 정렬(alignment)과 관절축(Joint axis) 정렬을 위한 기준면 관상면(frontal plane) 시상면(sagittal plane) 횡단면(transverse plane) 1) 관상면에서의 신체정렬 관상면에서의 신체정렬을 위한 두개의 기준선 중앙시상선(midsagittal line) 부시상선(parasagittal line) 보조기 정렬에는 기형에 의한 변형으로 기준선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하지보조기의 정렬(alignment)과 관절축(Joint axis) 관상면에서의 정렬을 위한 신체 자세 뒤꿈치를 약 12인치(30cm)정도 벌리고 똑바로 선 자세에서 신체의 좌우가 똑같이 되도록 코, 배꼽,신체의 중심, 치골결합을 지나 지면에 닿는 수직선을 긋는다 – 중앙시상선 같은 자세에서 고관절 중심을 통하여 슬관절과 족관절을 통과하는 중앙시상선과 평행이 되는 수직선을 긋는다 –부시상선 그림 3-141(113페이지)

하지보조기의 정렬(alignment)과 관절축(Joint axis) 관상면에서의 정렬을 위한 판단기준 정상적인 고관절, 슬관절, 족관절의 굴곡과 신전의 운동축은 중앙시상선과 부시상선에 직각이다. 부시상선은 하지의 기형이 있을 경우 변형이 되어 판단 기준선으로 적합하지 않다 중앙시상선은 하지의 기형에 관계없이 하지보조기 정렬의 판단 기준이 된다. 구두는 지면에 편평하여야 하며 하지의 관절의 관상면상에서의 연장선은 중앙시상선과 수직을 이루어야 한다.

하지보조기의 정렬(alignment)과 관절축(Joint axis) 2) 시상면에서의 신체정렬 고관절(hip joint) 보조기의 고관절 축은 대전자의 근위단에서 상방 ¼인치(6.3mm)되는 지점에 맞춘다 슬관절(knee joint) 인체의 슬관절은 다축관절이며 보조기의 슬관절은 단축이다. 따라서 이 둘을 정확히 맞추기란 어렵다. 보행시에는 보조기의 슬관절을 일반적으로 잠그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되지 않지만 앉을 경우 보조기의 슬관절 처리가 문제가 된다 슬관절의 굴곡과 신전 축은 경골골두(tibial plateau)의 상방3/4인치(1.9cm)에 있으며 슬개골을 제외한 무릎 전후 직경의 1/2지점에 있다고 가정한다

하지보조기의 정렬(alignment)과 관절축(Joint axis) 족관절(ankle joint) 굴곡과 신전의 축은 내측 복수아뼈의 원위단에서 내외측 복숭아뼈 중심을 통과하는 선 내측복숭아뼈는 tibial torsion으로 외측복숭아뼈보다 약간 상방에 위치 그러므로 tibial torsion 정도를 고려하여 보조기의 족관절 축을 맞추어야 한다 3) 수평면(횡단면)에서의 신체정렬 고관절 보조기의 고관절 축은 수평면에서 슬관절 축과 평행하여야 한다 인체의 고관절은 수평에서 수평외전, 수평내전, 외회전, 내회전이 일어난다 슬관절 수평면에서 슬관절 축은 보조기에 대한 참고선으로 제공 슬관절축은 무릎을 90도 구부렸을 때 슬와부(popliteal area)와 평행

하지보조기의 정렬(alignment)과 관절축(Joint axis) 족관절 Tibial torsion현상 이해 Toe out 진행선에 대해 발의 종축이 이루는 각도- 약 15도 족관절 축은 tibial torsion과 toe out 에 따라 다르지만 발의 횡축에서 대략 10도에서 20도 정도 외회전되어 있다 그림 3-142(113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