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화환원적정법-2 2012. 6..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농도 퍼센트 농도 용액 (2) 내 안에 너 있다 !. 학습 목표 용액의 묽고 진한 정도를 결정하는 요인을 설 명할 수 있다.
Advertisements

실험 1. 식초 중의 아세트산 함량 정량 분석화학실험 1 조 신현서 김영진 박철민 담당교수 : 정회일 교수님 담당조교 : 설다운, 전슬아, 류동현 조교님.
I. 주변의 물질 3-1. 금속 알칼리 금속 (p96~97) Lesson 20.. ■ 이번 시간의 학습 목표 1. 알칼리 금속에 대해 이해한다.
산과 염기의 성질. 산 또는 염기가 리트머스시험지나 지시약의 색을 어떻게 변화 시키는가를 알아본다. 산의 금속 또는 어떤 산의 염과 어떻게 반응하는가를 조사하 여 보고 산, 염기의 화학적 성질을 알아본다. 실험목적 실험기구 및 시약 시험관, 시험관 받침대, 스포이드,
식품분석Ⅰ - 조단백정량 3.1 원리 - 단백질은 질소 (N) 를 함유한다. 즉, 식품 중의 단백질을 정량할 때에는 식품 중의 질소 양을 측정한 후, 그 값에 질소계수 를 곱하여 단백질 양을 산출한다. 질소계수 : 단백질 중의 질소 함량은 약 16% 질소계수 조단백질 (
시약 및 Buffer 의 농도 계산법과 Pipette 의 사용법 기초생명과학 및 실험 2 주차.
일정 성분비의 법칙 1. 일정 성분비의 법칙 2. 원자 모형과 화학 반응의 법칙.
Chemical Oxygen Demand COD KMnO4법
(COD ; Chemical Oxygen Demand )
12강. 용액과 농도.
실험에 사용되는 기구 및 시약 : 둥근 플라스크 플라스크 스터링바.
Biochemical Oxygen Demand, BOD
제 2 장 실험기구 1. 전자식 저울 (electronic balance)
염기 비누화 반응 (Saponification)
주방세제의 기능단위 시험 방법 산업생활본부 생활제품팀 김지연.
4장 수용액 반응 4.1 수용액의 일반적인 성질 4.2 침전 반응 4.3 산-염기와 중화 반응 4.4 산화-환원 반응
앙금 생성 반응식(1) 누가 앙금을 만들었는지 쉽게 알려 줘! 앙금 생성 반응식.
부피법 분석 (적정법) Volumetric Analysis (Titrimetry).
산화-환원 적정 (과망간산법) 식품분석/장인숙.
기 술 자 료 집 ㈜ 두 성 테 크 차아염소산나트륨 ( NaOCl ).
투명 비누 만들기.
알데하이드 화합물의 확인 화공 및 신소재 공학부.
염화수소 (티오시안산 제2수은법).
몰리브덴 블루법에 의한 인산염 인(PO4-P) 정량
요오드법 적정의 응용 생활하수의 BOD 측정.
실험의 목적 산화-환원적정법의 원리 이해 산화-환원 반응식의 완결(산화수) 노르말 농도 및 당량 과망간산 용액의 제조법
감압증류(vacuum distillation)
4-6. 광합성 작용(1).
자연과학의 이해 (화학) 초등학교 교과서-6 김한제 과학교육과 과학관 년 6월 첫째주.
과산화수소수의 촉매 분해 진주중학교 3학년 주동욱.
산화-환원 적정.
9. 산화 – 환원 적정 : 과망간산법.
Protein.
중화반응 구현고등학교 지도교사 :이병진.
6-7. 전해질, 화학식으로 표현하기 학습 주제 < 생각열기 >
2조 승선조사 및 실험 진도보고.
식품에 존재하는 물 결합수(bound water): 탄수화물이나 단백질과 같은 식품의 구성성분과 단단히 결합되어 자유로운 이동이 불가능한 형태 자유수(free water): 식품의 조직 안에 물리적으로 갇혀 있는 상태로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한 형태.
Volhard 법에 의한 염화물 시료의 침전적정 (Determination of Chloride by a precipitation titration based on the Volhard Method)
6-9. 앙금 생성 반응이 일어나면 학습 주제 < 생각열기 >
페놀 측정.
6-10. 앙금을 만드는 이온을 찾아라! 학습 주제 < 생각열기 >
(Titration of magnesium with EDTA)
산성비가 식물의 잎과 씨앗에 미치는 영향 한림초등학교 5학년 5반 박성용.
무게법에 의한 강철 속의 니켈 정량 (Gravimetric Determination of Nickel in steel)
식물의 광합성 식물은 어떻게 영양분을 만들까요? 김 수 기.
영양소와 검출 시약의 정색 반응을 말할 수 있다. 2. 검출 시약을 이용해 음식물 속의 영양소 를 검출할 수 있다.
적정(滴定) Titration.
용액 속의 이온은 어떻게 확인할까? 과학 1 학년 1 학기 물질>04.용액 속의 이온은 어떻게 확인할까? (4 / 6 )
산가 및 과산화물가 측정.
광촉매 응용 효과를 극대화하는 방안, 광촉매의 정확한 사용법
Lecture 3 – 농도계산 및 식품기사 시험 안내
ThemeGallery 비누화 반응
1-5 용해도.
(생각열기) 요리를 할 때 뚝배기로 하면 식탁에 올라온 후에도 오랫동 안 음식이 뜨거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 이유는?
과제 3. 물질들의 pH 변화에 대한 저항능력을 비교하라
물의 전기분해 진주중학교 3학년 주동욱.
광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 - 생각열기 – 지구 온난화 해결의 열쇠가 식물에 있다고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metry)
P 86.
국내 중대재해.
Macromolecule analysis Ⅰ
은거울 반응.
감압증류(vacuum distillation)
실험의 목적 저울 사용법의 익힘 무게법 분석의 기초 일정무게로 건조하기. BaCl2 • 2H2O 의 수분함량 측정Determination of water in Barium Chloride Dihydrate.
(Titration of magnesium with EDTA)
지시약의 작용원리 실험방법 1. 지시약의 최대흡수파장 측정
아스피린(Aspirin)의 정량.
주류분석.
기타가스처리 1. 염소의 처리 1) 특징 (1) 가장 적합한 처리법 : Ca(OH)2 수용액 흡수법
저온지구시스템화학 및 실험 Ch.6 용해도도 JYU.
Presentation transcript:

산화환원적정법-2 2012. 6.

학습 목표 과망간산 적정 요오드 적정 브롬산 적정 요오드산 적정

과망간산적정 과망간산적정 (permanganimetry): 산성에서 KMnO4 표준액으로 적정하는 방법 MnO4-+5e+8H+⇌ Mn2++4H2O, E =1.51V Mn의 산화수 +7 +2: 당량수 5 반응에 쓰이는 산: H2SO4 - HCl 쓰지 않음 (이유: Cl-이 Cl2로 산화되면서 MnO4-을 소비함) - HNO3은 자신이 산화반응에 참여  사용 x MnO4-이 Mn2+로의 환원 속도가 늦어 적정 초 다소 시간 필요함 반응이 진행되면 생성된 Mn2+의 촉매작용으로 적정 빠르게 진행 적정 종말점: 무색→연한 홍색 [MnO4-]은 2×10-6 M 정도  농도에 따른 오차 무시 반응의 성질에 따라 예민한 산화환원 지시약 사용 가능

과망간산적정법 2. 종류 직접적정: - 일정량의 반응액에 H2SO4 으로 산성화하고, KMnO4표준액으로 적정 - 종말점: 무색→연한 홍색 역적정: - 산화성 물질의 정량에 활용 - 시료를 일정과량의 환원성 Fe2+, C2O42- 등의 표준액과 반응 후, 과잉의 환원성 표준액을 KMnO4 표준액으로 적정함

과망간산적정 3. 과망간산 적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산: 반응액의 산성 부족시 MnO2가 생성되어 갈색으로 혼탁  충분량의 산 넣고 적정 MnO4-+3e+2H2O ⇌ MnO2+4OH- 온도: 가온해 반응 촉진하기도 함 단, 온도가 80℃를 넘으면 MnO4-이 분해됨 Cl-: 염화제일철(FeCl2)을 KMnO4으로 정량시 Cl-의 영향을 줄이고자 Reinhardt-Zimmermann 시약을 가함 R-Z 시액: MnSO4․4H2O, H2SO4, H3PO4의 수용액

과망간산적정 4. 과망간산표준액 KMnO4 표준액은 미량의 환원성 물질과 서서히 반응해 MnO2 생성,  KMnO4 용액 조제시 약 1주일간 암소 방치 or 수욕(水浴)에서 1시간 가열 후 유리 여과기 또는 석면으로 여과함 갈색병에 넣어 암소 보관 장기간 보존한 표준액은 사용 전 다시 여과 후 재표정 사용한 뷰렛 등을 바로 씻어야 함 (why? MnO2 생성으로 갈색 자국) 갈색 자국: 소량의 진한 염산, 아황산염 혹은 아질산염의 산성용액으로 갈색이 소실되면 물로 씻어 건조

과망간산적정 4. 과망간산표준액 1) 조제: - KMnO4 (158.03, 99.3% 이상) 3.2g을 물에 녹여 1000mL로 함 - 15분간 끓이고 마개를 하여 48시간 이상 방치 - 유리 여과기 또는 Gooch 도가니로 여과함 2) 표정: ① 옥살산나트륨 (Na2C2O4:134.00, 99.95% 이상) - 150~200℃에서 1~1.5시간 건조 후 데시케이터에서 방랭 - 0.3g을 물 30mL로 용해 후 묽은 H2SO4(1→20) 250mL 가함 - 용액의 온도를 30~35℃로 함 - 조제한 KMnO4 용액 40mL를 신속히 가하고 반응액의 홍색이 소실될 때까지 방치 - 반응액을 55~60℃로 가온하면서, 적정을 계속함 - 종말점: 옅은 홍색이 30초 동안 지속되는 점 2KMnO4+5Na2C2O4+8H2SO4 ⇌ K2SO4+2MnSO4+5Na2SO4+10CO2+8H2O 2KMnO4≡5Na2C2O4 0.02 M-KMnO41mL≡6.700mgNa2C2O4

과망간산적정 4. 과망간산표준액 2) 표정 ② 삼산화비소 (As2O3:197.84, 99.98% 이상) - 105℃에서 3~4시간 건조 후, 데시케이터에서 방랭 - 0.25g을 12% NaOH 용액 10mL에 용해하고 HCl(1→2) 15mL, 물 50 mL , 0.004% KIO3 1방울을 가함 - 조제한 KMnO4 용액으로 적정 (종말점: 옅은 홍색이 지속되는 점) - -phenanthroline iron (II): 지시약으로 사용시 정확한 종말점 결정 가능 5As2O3+4KMnO4+12HCl ⇌ 5As2O5+4KCl+4MnCl2+6H2O 4KMnO4≡5As2O3 0.02 M-KMnO4 1mL ≡ 4.946 mg As2O3

과망간산적정 4. 적정 실례 과산화수소수(hydrogen peroxide solution) 과산화수소 (H2O2 : 34.02) 2.5 ~ 3.5 w/v% 함유, 보존제 0.05 % 이하 유기물을 안정제로 넣은 시료: 유기물이 KMnO4을 소비하므로 요오드 적정법 사용 조작: - 시료 2 mL를 정확하게 취해 물 20 mL를 넣은 플라스크에 넣음 - 묽은황산 20 mL를 가함 - 0.02 M 과망간산칼륨액으로 적정 2KMnO4+5H2O2+3H2SO4 =K2SO4+2MnSO4+8H2O+5O2 2KMnO4 ≡ 5H2O2 0.02 M 2KMnO4 1 mL ≡ 1.701 mg H2O2

학습 목표 과망간산적정법 요오드적정법 브롬산 적정 요오드산 적정

요오드적정 요오드적정 ■ 요오드 적정은 I2와 I-계의 산화환원 반응을 이용한 적정 I2+2e ⇌ 2I-, E=0.54V ■ 종류 ① I2 표준액으로 직접 적정 (iodimetry) - 환원성 물질과 I2가 신속히 반응시 이용 ② 분석성분에 과량의 I2 표준액을 가해 반응 후, 과잉의 I2를 Na2S2O3 표준액으로 역적정: - I2와 환원성 물질의 반응이 늦은 경우 - 산성 반응액에서 I2 표준액과 분석성분의 직접적인 반응 - I2 표준액을 알칼리성 (pH 9 이상)으로 하면 생성되는 IO-으로 분석성분 반응

요오드적정 요오드적정 ■ 종류 ③ 반응액에 과량의 KI를 가해 생성된 I2를 Na2S2O3 표준액으로 적정 (iodometry) - 산화성 물질에 산성용액에 KI 가함  분석성분에 의해 I2 생성  I2 를 Na2S2O3 표준액으로 적정 ④ 분석성분과 정량적으로 반응하는 산화성 표준액을 일정 과량 가한 후, 잔여의 산화성 표준액에 KI 가함  생성된 I2 를 Na2S2O3로 적정

요오드적정 2. 요오드 적정 반응 ■ I2: - 물에 녹기 어려움 - KI 수용액에서 I3-을 생성해 용해 - I2+I- ⇌ I3- (적갈색) - I3- 생성반응: 가열 or 물과 섞이지 않는 유기용매(CHCl3) or 환원성 시약 가함  수층의 I2 소실  평형 좌측으로 이동 - I3- 용액은 실제 I2 용액으로 작용  I3-용액을 I2 용액으로 부름  반응식의 연결에 지장이 없는 한 I3-을 I2로 표시 - 산성 용액에서 I-은 공기 or 용액 중의 산소에 의해 산화  I2 생성 4I-+O2+4H+→ 2I2+2H2O - pH 9 이상의 알칼리성 용액에서 I2는 IO-을 생성 후, IO3-으로 산화 I2+2OH-→IO-+I-+H2O 3IO-→IO3-+2I- - I2 용액으로 적정하는 iodimetry: pH 5~9의 용액이 적합

요오드적정 2. 요오드 적정 반응 Na2S2O3: 2S2O32--2e → S4O62- 2S2O32-+I2→S4O62-+2I - - 산성 용액: S2O32-→SO32-+S SO32-+I2+H2O→SO42-+2I-+2H+ - 알카리성 용액: I2에서 생성된 IO-는 S2O32- SO42-로 산화 S2O32-+4I2+10OH-⇌2SO42-+8I-+5H2O - S2O32-에 의해 I2를 I-로의 정량적 반응을 위해 0.05 M-I2 용액: pH 0.5~7.5 범위; 0.005 M-I2 용액: pH 0.5~6.5; 0.0005 M-I2 용액: pH 0.5~5.0 - 알칼리성에서 I2 용액 적정은 Na3AsO3 표준액 사용

요오드적정 3. 적정 종말점 ■ I2 수용액은 진하면 적갈색, 옅으면 (5×10-5 M I2 ) 황색을 나타냄  or 소실 CCl4, CHCl3 등의 유기용매: - I2 용액에 CCl4, CHCl3 등의 유기용매를 넣고 흔들면, I2가 유기용매로 전용  I2가 많을 때 자색, 적을 때 옅은 황색 정색 - 예: 4×10-5 M-I2 용액 50 mL에 CHCl3 10mL를 넣고 흔듬  CHCl3층이 밝은 황색으로 착색

요오드적정 3. 적정 종말점 ■ 전분시액 : I2 표준액 사용하는 적정에 주로 사용 - I2-전분 반응: I2와 I-으로 형성된 I5-가 amylose의 나선(helix) 중심에 긴 사슬을 형성  I2-전분의 특징적인 청색 정색 …[I­I­I­I­I]-…[I­I­I­I­I]-… - 2×10-5 M-I2 용액의 정색에 4×10-5 M-I-1 이상이 필요함 (정색 감도) - 전분에 물을 가하여 약 50℃ 정도로 가온  가용성 amylose와 불용성 amylopectin으로 분해 - H2SO4 또는 HCl 공존  감도 증가  15℃에서 1×10-5 M I2 용액 정색 - 약산성에서 I2­전분반응 예민  0.005 M이상 용액으로 적정시 지시약 오차 거의 무시 - pH 2 이하: amylose가 분해되어 생성된 dextrin과 요오드 반응  적색 정색 : 종말점에서도 소멸되지 않음 - pH 9 이상: I2 가 IO-로 변화  정색되지 않음 - 온도 25℃ 이상  전분반응의 정색 감도 저하 - 요오드화물과 결합되는 Hg2+, 다량의 전해질, 알코올 존재  정색 감도 - iodimetry (I2 표준액으로 환원성 물질 적정): 전분시액 적정 초에 가함 - iodometry: 대부분의 I2가 소멸되고 반응액이 옅은 황색 띨 때 전분시액 가함

요오드적정 4. 요오드적정의 오차 ① I2의 휘발에 의한 손실 - I2 용액에 KI 4% 이상 존재  I3-로 되어 휘발성 현저히 감소 - I2의 생성 반응시 요오드병 or 유리마개 삼각 플라스크 사용 - I2 용액을 Na2S2O3 표준액으로 적정시 입구 좁은 삼각 플라스크 사용 ② 공기 또는 물에 녹아 있는 O2에 의해 I-의 I2로 산화 - 4I-+O2+4H+⇌2I2+2H2O - 직사광선이나 강산성 용액에서 현저히 촉진  I2 적정시 직사광선을 피함. I2 용액은 착색병에 보관 - 산화성 시료의 iodometry 적용시 반응액에 CO2 도입 or NaHCO3나 dry ice 소량 가해 발생된 CO2로 용기 내 공기 구축 후 KI 가함 - 반응액의 Cu+는 공기 중 산소에 의해 Cu2+로 산화  Cu2+는 I-을 I2로 산화, Cu+로 환원  I2 생성 4Cu++O2+4H+⇌4Cu2++2H2O 2Cu2++2I-⇌2Cu++I2

요오드적정 4. 요오드적정의 오차 ② 공기 또는 물에 녹아 있는 O2에 의해 I-의 I2로 산화 - NO2-는 I- I2로 산화  생성된 NO는 공기 중 O2에 의해 고급 산화물로 되어, 다시 I-을 I2로 산화시키고 NO로 됨. 2NO2-+2I-+4H+ ⇌ 2NO+I2+2H2O - 질소 산화물 존재시 iodometry 불가능함. 단 산성 반응액을 가열 or 요소 or 설파민산 가해 HNO2 완전 제거 후 KI 가해야 함 2HNO2+(NH2)2CO⇌2N2+CO2+3H2O HNO2+HOSO2NH2⇌N2+H2SO4

요오드적정 5. 0.05 M-I2액의 조제 및 표정 ① 조제: - 요오드(I2: 253.81, 99.8% 이상) 13g을 KI 시액(2→5) 100mL에 용해 - 10% HCl 1mL (KI의 분순물인 요오드산염을 I2로 환원) 및 물 가해 1000 mL로 만듬 - 착색병에 암소 보관 ② 표정: - 삼산화비소(As2O3:197.84, 99.98% 이상)를 105℃에서 4시간 건조 후 데시케이터에서 방랭 - 0.15 g에 NaOH 시액(1→25) 20mL, 물 40mL와 M.O. 지시약(0.1%) 2방울 가하고, 엷은 적색이 될 때까지 10% HCl 가함 - NaHCO3 2 g, 물 50mL 및 전분시액 3 mL 가한 후, 조제한 I2액으로 적정 (종말점: 지속적인 청색)

요오드적정 6. 0.1 M-Na2S2O3액의 조제 및 표정 Na2S2O3액 조제시 Na2CO3, 붕사 or Na2HPO4 가하는 이유: 공기 중의 황박테리아가 Na2S2O3액에 혼입시 티오황산염 분해됨  용액의 pH 9~10으로 조절해 분해 억제 일광에 의해 분해 촉진  착색용기에 암소 보관 오래된 표준액은 사용 전 재표정 ① 조제 - 티오황산나트륨 오수화물(Na2S2O3:248.19, 99.5% 이상) 25g과 무수탄산나트륨 0.2g을 새로 끓여 식힌 물에 녹여 1000mL로 함 - 24시간 방치 후 표정 ② 표정 - 요오드산칼륨 (KIO3:214.00, 99.95% 이상) - 0.1 g (120~140℃, 1.5~2시간 건조)을 요오드병에 넣고 물 25mL로 용해 - KI 2g, 10% H2SO4 10 mL 가한 후 10분 방치 - 물 100mL를 가한 후 유리된 I2를 조제한 Na2S2O3액으로 적정 (종말점: 전분시액 3mL, 청색 소실)

요오드적정 7. 적정실례 (1)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 L-아스코르빈산 (C6H8O6) 99.0 ~ 101.0 % 함유 아스코르빈산은 메타인산(HPO3)에서 가장 안정 조작: - 건조 후 0.2 g 취해 메타인산용액(1 → 50) 50 mL에 용해 - 0.05 M 요오드액으로 적정 (지시약 : 전분시액 1 mL) 0.05 mol/L 요오드액 1 mL = 8.806 mg C6H8O6

요오드적정 7. 적정실례 (2) 포비돈 요오드액(povidone iodine topical solution) 포비돈과 요오드의 복합체 액제 요오드량의 85.0~120.0%에 해당하는 요오드(I) 함유 조작: - 요오드 (I) 50 mg에 해당하는 양을 마개달린 삼각플라스크에 취함 - 물을 가함 (전량 30 mL 이상) - 0.02 mol/L 티오황산나트륨액으로 적정 (지시약 : 전분시액 3 mL) - 공시험 0.02 mol/L 티오황산나트륨액 1 mL = 2.5380 mg I

요오드적정 7. 적정실례 (3) 표백분 (chlorinated lime) 유효염소(Cl:35.45) 30.0% 이상 함유 조작 - 5 g을 정밀하게 달아 유발에서 물 50 mL로 잘 갈아 섞음 - 500 mL 메스플라스크에 옮기고 물을 가함 - 50 mL를 요오드병에 넣고, KI시액 10 mL와 묽은 염산 10 mL 가함 - 유리한 요오드를 0.1 M 티오황산나트륨액으로 적정 (지시약 : 전분시액 3 mL) - 공시험 CaOCl2+2HCl=CaCl2+Cl2+H2O Cl2+2KI=I2+2KCl I2+2Na2S2O3 ⇌ 2NaI + Na2S4O6 0.1 M-Na2S2O3 1 mL ≡ 3.5453 mg Cl

학습 목표 과망간산적정법 요오드적정법 브롬산 적정 요오드산 적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