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분해수 (Electrolyzed water) Presenter: Ji Eun Ryu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Energy Demand and Supply Outlook 2040 APERC. Business as Usual Scenario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총 에너지 수요는 2040 년까지 50% 증가할 것으로 예상 에너지 수요의 증가는 수송부문의 수요 증가에 기인. 수송용.
Advertisements

20126 박가현 선현정 조세 빈 사과 변색의 이유 갈변의 예 사과의 갈변현상 방지법 식초 물 실험 소금 물 실험 오렌지 주스 실험 5.
농도 퍼센트 농도 용액 (2) 내 안에 너 있다 !. 학습 목표 용액의 묽고 진한 정도를 결정하는 요인을 설 명할 수 있다.
Ⅰ. 우주의 기원과 진화 3. 원자의 형성 원자의 구성 - 원자핵 (+) 와 전자 (-) - 전기적 중성 - 원소의 종류마다 원자핵의 질량과 전자의 개수가 다름.
산과 염기의 성질. 산 또는 염기가 리트머스시험지나 지시약의 색을 어떻게 변화 시키는가를 알아본다. 산의 금속 또는 어떤 산의 염과 어떻게 반응하는가를 조사하 여 보고 산, 염기의 화학적 성질을 알아본다. 실험목적 실험기구 및 시약 시험관, 시험관 받침대, 스포이드,
식품분석Ⅰ - 조단백정량 3.1 원리 - 단백질은 질소 (N) 를 함유한다. 즉, 식품 중의 단백질을 정량할 때에는 식품 중의 질소 양을 측정한 후, 그 값에 질소계수 를 곱하여 단백질 양을 산출한다. 질소계수 : 단백질 중의 질소 함량은 약 16% 질소계수 조단백질 (
시약 및 Buffer 의 농도 계산법과 Pipette 의 사용법 기초생명과학 및 실험 2 주차.
액체의 따른 잉크의 확산 속도 조원 : 김연주 문나래 민예담 정선주 한수경 한혜원.
Copyright ⓒ S.S.Lee All rights reserved. Http : // www. hsene. com Natural sterilization & Disinfection ION NOX Product Information Natural sterilization.
12강. 용액과 농도.
삼투 현상을 이용한 식품의 가공 처리 기술 식품가공학실험실 차 승 현
Natural sterilization & Disinfection
염기 비누화 반응 (Saponification)
2015 학습성과발표회 포스터 ISA법을 이용한 MCFC 성능측정 지도교수 : 이충곤 교수님 이기정 화학공학과
(생각열기) 현재까지 발견된 원소는 약 몇 종인가? ( )
끓는점 (2) 난 조금 더워도 발끈, 넌 뜨거워도 덤덤 ! 압력과 끓는점의 관계.
앙금 생성 반응식(1) 누가 앙금을 만들었는지 쉽게 알려 줘! 앙금 생성 반응식.
센서 2. pH 센서 안동대학교 물리학과 윤석수.
SDS-PAGE analysis.
Samsung Electronics 5 forces
기 술 자 료 집 ㈜ 두 성 테 크 차아염소산나트륨 ( NaOCl ).
전자기적인 Impedance, 유전율, 유전 손실
투명 비누 만들기.
ECO-IOC 200 제품 사용 설명서 친환경 이온성 탈지제 (침적 및 전해탈지용)
몰리브덴 블루법에 의한 인산염 인(PO4-P) 정량
요오드법 적정의 응용 생활하수의 BOD 측정.
실험의 목적 산화-환원적정법의 원리 이해 산화-환원 반응식의 완결(산화수) 노르말 농도 및 당량 과망간산 용액의 제조법
감압증류(vacuum distillation)
TiO2이용 친환경 소변기 3조 조동현 김동수 김낙천
Feb NICS Co..
Hydrogen Storage Alloys
구체 방수 혼화제 - 베스톤 유주현.
V. 인류의 건강과 과학 기술 Ⅴ-1. 식량자원 3. 식품 안전성.
생체전기 방사선과 2학년 김경대.
연소 반응의 활성화 에너지 연료가 연소되기 위해서는 활성화 에너지가 필요합니다.
전지 안정성 평가를 위한 과충전 비교시험 ENERGREEN R&D Center
중화반응 구현고등학교 지도교사 :이병진.
6-7. 전해질, 화학식으로 표현하기 학습 주제 < 생각열기 >
식품에 존재하는 물 결합수(bound water): 탄수화물이나 단백질과 같은 식품의 구성성분과 단단히 결합되어 자유로운 이동이 불가능한 형태 자유수(free water): 식품의 조직 안에 물리적으로 갇혀 있는 상태로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한 형태.
Volhard 법에 의한 염화물 시료의 침전적정 (Determination of Chloride by a precipitation titration based on the Volhard Method)
지구온난화 보고서.
6-9. 앙금 생성 반응이 일어나면 학습 주제 < 생각열기 >
생활 속의 밀도 (1) 뜨고 싶니? 내게 연락해 ! 물질의 뜨고 가라앉음 여러 가지 물질의 밀도.
6-10. 앙금을 만드는 이온을 찾아라! 학습 주제 < 생각열기 >
번호 (예: A-01 or B-15) 연구 제목 (예:Identification of EZH2 levels during mammary gland development) 이름 (본인 & 지도교수) 및 소속 (분반 명시, 01반, 02반) (예: Sookmyung Kim and.
무게법에 의한 강철 속의 니켈 정량 (Gravimetric Determination of Nickel in steel)
Ⅰ. 소중한 지구 1. 행성으로서의 지구 1-3. 지구계의 순환과 상호작용.
식물의 광합성 식물은 어떻게 영양분을 만들까요? 김 수 기.
끓는점을 이용한 물질의 분리 (1) 열 받으면 누가 먼저 나올까? 증류.
광촉매 응용 효과를 극대화하는 방안, 광촉매의 정확한 사용법
숨어 있는 이온을 찾아라 과학 본 차시의 주제입니다.
ThemeGallery 비누화 반응
1-5 용해도.
산성비가 자연에 미치는 영향 화학과 4학년 김민기.
물의 전기분해 진주중학교 3학년 주동욱.
광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 - 생각열기 – 지구 온난화 해결의 열쇠가 식물에 있다고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P (2) 지구계의 구성 요소의 특징과 역할.
국내 중대재해.
Macromolecule analysis Ⅰ
P 양분의 전환과 이용.
지구화학 및 실험 유재영 강원대학교 지질학과.
분별증류 GROUP12 조만기 양나윤 김세인.
감압증류(vacuum distillation)
생물막 (Biofilm).
풍화 작용 (교과서 p.110~113) 작성자: 이선용.
사과의 갈변현상 관찰하기 4-2 배형준.
기타가스처리 1. 염소의 처리 1) 특징 (1) 가장 적합한 처리법 : Ca(OH)2 수용액 흡수법
이산화염소에 대한 주요 연구 보고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감염은 인체 질병 및 치사 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현재 예
Ⅳ. 광합성 4. 식물도 동물처럼 호흡할까?.
6. 에너지 사용 신기술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2) 연료 전지.
Presentation transcript:

전기분해수 (Electrolyzed water) Presenter: Ji Eun Ryu Professor: Keum Il Jang Depart of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Lab of food processing 2016.05.26

INDEX 01 Introduction 02 Paper 03 Conclusion 04 Reference

01 Introduction 전기분해수란 전기분해수(electrolyzed water)는 수도수에 식염 또는 염산 등을 가한 후 전기분해하여 생성된 유용한 기능을 갖는 수용액. 차아염소산나트륨(NaClO) 및 차아염소산(HClO)이 함유됨. 과실류, 채소류 등 식품의 살균 목적으로 사용하며, 최종식품의 완성 전에 제거하여야 함.

전기분해수 종류 01 Introduction 전해음용수 전해살균수 음용 목적이며 가정에서 사용하고 약알칼리전해수를 의미함. 살균목적 강산성전해수 원수에 식염수(NaCl 농도 0.2% 이하)를 가한 후 전기분해하여, 양극 측에서 얻어진 차아염소산을 유효 성분으로 한 산성수용액. 유효성분은 차아염소산(HClO), 염산(HCl), 염소(Cl2)이고 pH는 2.2∼2.7임. 미산성전해수 희석 염산을 전기분해하여 생성된 전해물 전량을 원수에 혼합 용해하여 얻어진 차아염소산을 주 유효성분으로 하는 미산성의 수용액. 유효성분은 차아염소산이고 pH는 5.0∼6.5임. 차아염소산나트륨수 유효성분으로 차아염소산나트륨을 함유한 물을 말하며, 식염수를 전기분해의 방법으로 얻어지는 물도 포함한다. 3%의 식염수를 전기분해하여 양극에서는 Cl₂가, 음극에서는 H₂ 와 NaOH가 생성됨. 생성된 Cl₂는 물에 용해되어 NaOH와 반응하여 약 1% 이하의 차아염소산나트륨수를 생성.

전기분해수 생성 원리 식용염산수를 전기분해하면 전해수는 크게 전해음용수와 전해살균수로 나눌 수 있다. 전해음용수는 음용 01 Introduction 전기분해수 생성 원리 식용염산수를 전기분해하면 양극에서 염소이온(Cl-)이 산화되어 염소가스(Cl₂)가 발생하고, 생성된 염소는 물에 용해되어 차아염소산수가 생성됨. 음극에서 수소이온이 환원되어 수소(H₂)가 생성됨. 전해수는 크게 전해음용수와 전해살균수로 나눌 수 있다. 전해음용수는 음용 목적위주의 가정용 약알카리 전해수이고, 전해살균수는 살균을 목적 으로 하며 강산성전해수, 미산성전해수와 전해차아염소산나트륨수가 있다. 가정용 약알카리 전해수는 활성탄 등으로 염소를 제거한 물에 글리 세린산 칼슘을 첨가하여 약한 전류로 전기분해하여 생성되며 음용, 피부세정을 위한 물이다. 전해살균수는 물에 식염 또는 염산의 전해 질을 첨가하여 전기분해 했을 때 전극의 양극(+)쪽에서 생성된다.

INTRODUCTION 전해살균수는 pH에 따라 물속에 존재하는 염소의 형태가 달라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차아염소산나트륨수의 pH는 8.6 정도이지만, pH8.6 부근에서는 차아염소산의 구성비가 약 10%로 나머지 90%는 차아염소산이온으로 구성되어 있음. pH가 낮아짐에 따라 차아염소산의 비율이 높아지며, pH5 부근에서 100%가 되고, 더 낮아지면 차아염소산의 비율이 감소됨. 차아염소산과 차아염소산이온 모두 살균력을 갖고 있지만, 차아염소산 이온은 차아염소산에 비해 살균력이 1/80 인 것으로 알려져 있음.

전기분해수의 장점 1 2 3 4 4번은 살균장 INTRODUCTION 살균력이 강함. 처리대상의 제약이 적음. 생성물들이 휘발되기 때문에 잔류물이 없음. 3 물 자체의 오염에 따른 2차 오염이 없음. 4

식품산업에서 전기분해수 적용 예 과실류 살균 채소류 살균 조리 종사자의 위생관리 식품제조 장치 및 기구의 살균 INTRODUCTION 식품산업에서 전기분해수 적용 예 과실류 살균 채소류 살균 조리 종사자의 위생관리 식품제조 장치 및 기구의 살균

INTRODUCTION 미생물 살균 원리

02 Paper

(무세척, 수돗물, 차아염소산나트륨수,미산성차아염소산수) (4℃에서 20일, 25℃에서 5일간 저장하면서 실험 진행) 02 Paper Material & Method 콩나물 세척 (무세척, 수돗물, 차아염소산나트륨수,미산성차아염소산수) 저장 (4℃에서 20일, 25℃에서 5일간 저장하면서 실험 진행) 일반세균수, pH , 중량감소율, 색도

02 Paper 콩나물의 저장 중 일반세균수 변화 무세척 및 수돗물 세척한 콩나물의 초기 균수는 각각 7.1, 6.5 log CFU/g 을 나타낸 반면, 차아염소산나트륨수와 차아염소산수로 세척한 초기균수는 각각 4.5 와 4.6 log CFU/g 을 나타냄. 4℃ 와 25℃ 에서 저장한 콩나물은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유사한 증식속도로 일반세균수가 증가. 그러나, 차아염소산나트륨수와 차아염소산수 로 세척한 콩나물의 일반세균수는 무세척 콩나물에 비해 2.0 log CFU/g 정도 낮은 수준을 유지하면서 증가. 4℃ 와 25℃에서 각각 20일과 5일동안 저장 후에도 차아염소산나트륨수 및 차아염소산수로 세척한 콩나물의 일반세균수는 무세척 콩나물의 초기 균수보다도 낮게 유지 됨을 확인할 수 있음.

02 Paper 콩나물의 저장 중 pH변화 콩나물의 초기 pH는 6.11~6.13이며, 저장 중 각 처리구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모든 처리구에서 계속적으로 pH가 감소. 4 ℃ 에서 저장 중 무세척 및 수돗물 세척의 경우 저장 20일에 각각 pH 5.32 및 5.46으로 나타나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차아염소산나트륨수와 차아염소산수 세척의 경우 저장 20일에 각각 pH 5.73 과 5.79로 완만하게 감소. 25℃에서 저장 중 무세척 및 수돗물 세척에선 저장 3일 후 pH가 급격히 감소하였으나, 차아염소산수와 차아염소산나트륨수와 세척에서는 저장 5일까지 각각 pH 5.86 및 5.867로 유지되어 완만하게 감소. 차아염소산나트륨수 및 차아염소산수는 균이 초기에 감소되었기 때문에 무세척 및 수돗물 세척 콩나물에 비해 pH가 완만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생각됨.

02 Paper 콩나물의 저장 중 중량감소율 변화 4℃와 25℃에서 저장 중 콩나물의 중량감소율은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모든 처리구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4℃에서 저장한 콩나물 보다 25℃에서 저장한 콩나물의 경우 중량감소율은 전반적으로 더 높고 빠르게 증가. 상온이 저온에 비하여 호흡 등 대사작용이 활발히 일어나며, 이로인해 콩나물의 에너지원을 소모 시키는데 기인 하는 것으로 알려짐. 저장 온도에 관계 없이 무세척 및 수돗물 세척 콩나물이 차아염소산나트륨수 및 차아염소산수 세척 콩나물에 비해 저장 중 높은 중량감소율을 나타냄.

02 Paper 콩나물의 저장 중 색도 변화 4℃에서 20일간 저장하면서 무세척 및 수돗물 세척 콩나물 자엽부의 L값이 31, 32 에서 18, 19로 감소, b값은 18,17에서 34,32로 증가. 배축부의 L값도 33,32에서 20으로 감소, b값도 0에서 6,5로 증가. 차아염소산나트륨수 및 차아염소산수 세척 콩나물 자엽부 L값은 각각 31.32에서 22,23으로 감소, b값은 각각17,18에서 26으로 증가. 배축부의 L값은 31,33에서 25로 감소, b값은 0에서 3으로 증가. 25℃에서 저장한 콩나물에서도 4 ℃에서 저장한 콩나물의 색도 변화와 유사한 경향 보임 차아염소산나트륨수 및 차아염소산수로 세척한 콩나물이 무세척 및 수돗물 세척 콩나물에 비하여 저장 중 색도가 천천히 변화됨을 알 수 있었다.

Conclusion 03 Conclusion 전기분해수 세척 방법은 다른 처리구에 비해 콩나물의 초기 일반세균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저장 중 미생물 생육 및 품질 변화를 억제시킬 수 있어 콩나물의 신선도 및 저장 품질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됨. 차아염소산수는 차아염소산나트륨수에 비해 기계들의 부식이 적고, Cl₂가스가 발생하지 않으며, 안정성이 높아 오랜 기간 살균력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식품산업에서 세척수로는 차아염소산나트륨수 보다 차아염소산수가 더 효율적일 것으로 생각됨.

04 Reference Sung JM·Park KJ·Lim JH·Jeong JW. 2012. Removal effects of microorganism and residues on Chinese cabbages by electrolyzed water waash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628-633. Park SS·Sung JM·Jeong JW·Park KJ·Lim JH. 2012. Efficacy of electrolyzed water and aqueous chlorine dioxide for reducing pathogenic microorganism on Chinese cabb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240-246. Lee WJ·Lee CH·Yoo JY·Kim KY·Jang KI. 2011. Sterilization efficacy of washing method using based on microbubbles and electrolyzed water on various vegetabl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912~917. Yoo JY·Jang KI. 2011. Changes in quality of soybean sprouts washed with electrolyzed water during stor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586~592. Jeong JW·Park SS·Lim JH·Park KJ·Kim BK·Sung JM.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inese cabbage with different salting conditions using wlectrolyzed wat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1743~1749 Park YJ·Yoo JY·Jang KI. 2010. Storage attribute of Angelica keiskei juice treated with various electrolyzed wat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846~1853 Kim HJ·Kwon YS. 2015. Effect of microbial disinfection using electrolyzed water spray system. J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Administration. 21: 9∼14 Seo JH·Lee DJ·Lee MK·Oh DH. 2015. Studies on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wet-tissue saturated with electrolytic water of NaCl solution. Journal of Korea TAPPI. 47: 147~153

THANK YO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