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안전평가실 PSA그룹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GNEP 관련 국제동향 양 맹 호 * 본 자료의 의견은 개인 의견임을 미리 밝혀둠.
Advertisements

MySeek 시스템 소개 ㈜마이씨크. 2 Contents MySeek System 개요 MySeek System 기능도 MySeek System 기능 MySeek System 특징 MySeek 검색기능 MySeek 활용시 장점 Reference Site.
Product Lifecycle Management © 2003 IBM Corporation PLM Definition Product Lifecycle Management.
안전한 햄버거 먹기 햄버거의 안전상 ( 위생상 ) 문제점 ? 1. 일반적으로 E. coli O157:H7 식중독 2. 호르몬, 항생제 3. 쇳조각 4.?
MK Mobile Media kit 2012 Maekyung Media Group has always envisioned of a world in which people can access news and information at anytime and in any place,
ALL RIGHT RESERVED ⓒ EZ WORLD KAKAO TALK THEME 2 조 심말숙, 양정모, 이상현, 최금시.
일본주식시장의 신 고레가와긴조 투자전략 6 조 안승권. 신문수 발표자 : 신 문 수. 출 생 : 1897 효고현에서 출생 학 력 : 초등학교졸업, 사업가 1992 년 95 세 사망 유일한 자서전 1981 년 스미토모 금속광산 주식매매 200 억엔 벌다⇒ 일본 소득세 납세.
소아아토피 피부염과 식생활 오세영 경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목차 아토피 피부염이란 ? 아토피 피부염의 발생현황 아토피 피부염의 원인 음식 알레르기와 아토피 피부염 바른 식생활이란 ?
2009개정 중등 국어과 교육과정 울산광역시교육청 교육과정 컨설팅단 : 정일진.
마이크로소프트 프리미어 지원 라이선스 (소개자료).
목차 국가 R&D 기획ㆍ조정ㆍ평가 체계 국가 R&D 사업의 조사ㆍ분석 국가 R&D 예산 조정ㆍ배분 국가 R&D사업의 평가
울산환경운동연합 기후변화와 재생 에너지 -햇빛과 바람으로 탈출하라! 김형근 울산환경운동연합 기획실장.
발표 순서 1 개 요 2 설계 단계에서 피로 건전성 평가 운영 단계에서 피로 건전성 평가 및 관리 3 4
달라지는 노동법 개정 내용 노무법인 正道 잠시나마… 주요 노동관계법 개정내용 3. 마무리 Contents
Contents 1. 수행실적 및 Business Network 2 Innovation School Mission & Role
통합인증기준 작성편람 및 심사편람 공청회 한국경영교육인증원 인증 현황 소개 손태원 수석부원장.
Safari IPAD DIARY Application Review 1.
위험성평가 (Risk Assessment)
IT집중교육1 (Mobile Multimedia Service & System Design)
Effectiveness of Recommendations to Prevent Reactivation of Latent Tuberculosis Infection in Patients Treated With Tumor Necrosis Factor Antagonists Loreto.
방사성폐기물 처분의 안전성평가 - 수학적 모델의 사용 -
환경보건시민센터 ACCEH.
연구책임자 양 승 룡 교수 연구원 이 광 원 교수 연구원 이 민 석 교수 연구원 김 경 헌 교수
한반도 정세와 동북아 안보.
체계적·종합적인 가동원전의 성능평가 방법 고찰
Best People – Right People
NEW SWEDISH TAX ON ELECTRICAL AND ELECTRONIC PRODUCTS >>>
건축물의 Life Cycle Cost 목원대학교 건축도시공학부 박 태 근.
17회 안전기술정보회의 ( ) 안전문화 규제감독 방향 및 이행과제 안전정책실 최영성.
12. 데이터베이스 설계.
(Evaluating the evidence : Web site) AORN저널, 월. Vol 87, No1
On the computation of multidimensional Aggregates
10.1 샘플링검사의 기본개념 KS A ISO 2859 계수형 샘플링 검사에 대한 한국산업규격 샘플링검사의 분류
품질관리인증제도 도입을 위한 연구 용역 최종보고서
미래형원자로 인허가 대비 기반연구 서남덕, 신안동, 허창욱 년 제17회 원자력안전기술정보회의
심 사 위 원 전 운 천.
제 3장 임상시험 관련 규정 및 윤리적 이슈 학습목표 1. 의학윤리와 관련된 공식적인 기구 또는 협약 설명
보호지역 관리효과성 평가 개요 Management Effectiveness Evaluation on Protected Areas Jirisan & Sumjin river 국립공원관리공단 MEE Team.
ISO SR 국제표준 어떤 것인가? (동향과 기업의 대응) 유한킴벌리 김종열.
제17회 원자력안전기술정보회의 방사능방재분야 규제 현안 (국내원전 심검사 경험 및 후쿠시마 원전사고 교훈 반영)
리스크감시시스템 개발현황 및 OLM 활용 방안
듣기 퀴즈.
Endless Creation - 안 승례 -
ProQuest Nursing & Allied Health Source
컨설팅 프로젝트관리.
중대사고관리 법제화에 따른 원자력 안전성 향상
중대사고(Severe Accident)에 대한 이해와 전망
월성 원전 1호기 폐쇄이유와 국회역할 원전은 안전할 때 꺼야 한다
– 소방공무원 공사상자 발생방지를 위한 – 소방활동 안전사고 방지대책
2005년 3분기 경영실적(잠정) October, 2005.
The Party-State (1) 영 어 학 부 강물결 영 어 학 부 박우인
의료관리 연구방법론 강의 소개 - 지역보건 기획과 평가
오배관 및 오결선 사례 증가에 따른 확인 사항 안내
Chapter 2 윤리와 가치에 대한 이해.
시나리오 플래닝 2009년 6월.
The Boeing Leadership Curriculum
Review of human factors
CONTENTS Ⅰ. 대회목적 Ⅱ. 대회개요 Ⅲ. 대회요강 Ⅳ. 대회규정 Ⅴ. 운영계획 Ⅵ. 홍보계획 Ⅶ. 예산계획.
제3장 현대적 조합주의 <학습과제>   1. 노동조합의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은?
창의인성 두뇌계발 교사교육 3월 생각튼튼리더 1주. 세상에서 제일 똑똑똑한 뇌 2주. 황금요술공,검정요술공 3주. 브레이니 웨이키 웨이키 4주. 생각튼튼 리더가 되었어요.
Public Judgement on Shin-Gori 5&6; Lessons Learned
소프트웨어 종합설계 (Software Capstone Design)
1.예수 거룩한 주 예수 생명의 11.예수 권능의 주 예수 19.그 누구도 그 누구도 21.It's all about you.
1.주 은혜를 받으려 모인 성도들 2.주 우리를 곁에서 인도하시니 3.주 우리의 방패와 창검 되시니
[2018 원자력안전해석 심포지엄] 가동원전 인위적 재해 평가 및 완화전략 한수원 중앙연구원.
▶서류관리 프로그램 1. 로그인….2 2. 서류등록 … 서류도착 서류스티커발행
6장 정보분류 신수정.
지역사회복지론 지역사회복지의 실천원칙과 과정 사회복지행정학과 조원석 사회복지행정학과 정미숙.
원자력 발전소 안전관리 체계 품질보증실 운영품질팀장 김원동 -전화 : 02) 메일 :
2009개정 중등 국어과 교육과정.
Presentation transcript: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안전평가실 PSA그룹 제18회 원자력안전기술정보회의 2015.4.14~4.15, 대전 컨벤션센터 PSA 법제화 관련 규제검토 방향 정 대 욱 (dwchung@kins.re.kr)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안전평가실 PSA그룹

발표 순서 배경 PSA 규제요건화 및 규제검토 현황 PSA 수행 및 규제검토 품질 제고 방안 PSA 관련 주요 현안 - Retrospectives & Perspectives 배경 PSA 규제요건화 및 규제검토 현황 PSA 수행 및 규제검토 품질 제고 방안 PSA 관련 주요 현안

A Couple of Touching Words……. A nation that forgets its past has no future. - Winston Churchill , 신채호 - 과거의 실패로부터 배우지 못하는 집단에게 미래는 없다. The foolish learns lessons from experiences, but 亡羊補牢 (소 잃고 외양간 고치기) - 한 마리라도 소를 잃으면 고칠 외양간이 남아 있을까? the wise learns lessons from experiences of others. 反面敎師 (옆집(일본)에서 소 잃은 것을 봤으니, 우리 외양간을 제대로 고치자!)

Lessons from 3 Years of Losing Public Trust …. 2011, March 11, 후쿠시마 원전사고 극한재해로 인한 정전사건의 결과로 중대사고 발생 (극한재해 외부사건, 전력계통 안전성 보강 및 신뢰도 재평가) 방사성물질이 환경으로 대량 유출되어 방사선재해 발생 (Level 3 PSA) 사이트 내의 다수 호기에서 중대사고 발생 (Site level 3 PSA) 사용후연료저장조 핵연료 손상 발생 (SFP and/or Dry Cask Storage PSA) 정지중인 원전에서도 중대사고 발생 (LPSD PSA) 진앙에 더 가까웠던 오나가와 원전의 피해는 경미 (??? 有備無患 !!!) “ 원전은 엄청 위험한거구나! 우리나라는 괜찮은거야?”

Lessons from 3 Years of Losing Public Trust …. 2012/02/09, 고리1호기 정전사건 정비과정에서의 관리부재 및 EDG 기동실패로 인해 정전사건 발생 (정비리스크 및 인적오류, 전력계통 안전성 보강) 11분 34초간 정전사건 지속 (RCS HL 58.3℃까지 상승, 더 지속되었다면?) 사용후연료저장조 핵연료 냉각기능 상실 (SFP PSA) 정지중인 원전에서 정전사건 발생 (LPSD PSA) 발전소측은 정전사건 발생사실을 보고하지 않고 조직적으로 은폐 (원전 안전에 대한 국민적 불신 초래) “ 저 사람들 도무지 믿을 수가 없네. 이러다가 우리나라에서도 큰 사고가 일어나는 것 아냐?”

Lessons from 3 Years of Losing Public Trust …. 2013, 원전 안전등급 기기 품질서류 위조사건 원전 품질검증서, 시험성적서 및 기기검증서 등 안전등급 기기들에 대한 품질서류들이 전방위로 위조됨 (원전에 대한 국민적 불신 최고조) “ 안전하다는 너희들 말 못 믿겠다. 다 때려치워!”

Defense-in-Depth ? Desirable 후쿠시마 원전사고 고리1호기 정전사건 품질서류 위조사건

Wrong Practices Jeopardizing Defense-in-Depth …. 설마 그런 일이 일어나겠어? 좀 찝찝하지만, 대충 이 정도면 되겠지. 시간없으니까 빨리빨리 합시다. 우리말고는 아무도 모르는 일인데 뭐. 결과적으로 그동안 큰 문제는 없었잖아 ? 아직은 방법이 없는데 어쩌라구? 아직 법적 요건도 없는데 꼭 지금 해야 되나? 시간이 없는데…… 인력이 부족해서… 돈이 많이 드는데… 써먹을 일도 거의 없을 것 같은데, 꼭 제대로 해야 되나? 이대로 살게 내버려 둬!

Recovering from 3 Years of Losing Public Trust …. 2014~2015년 현재 (?)

PSA is …. PSA 결정론적 안전성평가(DSA)를 보완하는 보조수단 ? DSA의 핵심인 심층방어(Defense-in-Depth)의 적합성과 건전성을 확률론적으로 평가하여 확인하고, 필요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수단 PSA는 중대사고 관련 심층방어 요소의 적합성과 건전성을 평가하여, 중대사고 대책의 효과성을 평가하는 “중요한” 수단임. 중대사고 발생 예방 중대사고 대처설비 및 관리방안 방사성물질에 의한 재해로부터 주민을 보호하는 방안 그러므로, 이제부터는 PSA 수행시 “무엇을” “어떻게” 평가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전향적인 논의를 통한 Consensus를 도출하고, 이행 방안 수립이 필요.

What our PSA is Expected to be….. Do the “Right Things” “Right” Contents & Quality (Full Scopes, Levels, IEs, All (Standard, Data, Independent Operating Modes and Site risk) Review and Completeness)

Wrong Practices, Not Unlikely 설마 그런 일이 일어나겠어? 좀 찝찝하지만, 대충 이 정도면 되겠지. 시간없으니까 빨리빨리 합시다. 우리말고는 아무도 모르는 일인데 뭐. 결과적으로 그동안 큰 문제는 없었잖아 ? 아직은 방법이 없는데 어쩌라구? 아직 법적 요건도 없는데 꼭 지금 해야 되나? 시간이 없는데…… 인력이 부족해서… 돈이 많이 드는데… 써먹을 일도 거의 없을 것 같은데, 꼭 제대로 해야 되나? 이대로 살게 내버려 둬!

배경 중대사고 대처방안 및 PSA 중요성 대두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극한재해에 따른 중대사고 발생이 현실화 됨에 따라, 중대사고 및 PSA에 대한 관심이 국내외적으로 급증 기존의 중대사고 대처방안 및 PSA의 중요성이 재인식되는 한편 PSA 수행범위 및 품질 관련 개선 필요성 제기 개선 필요사항 (국제 동향의 관점에서) 극한재해 고려, 인적오류 재평가, 데이터 적합성, 전력계통 신뢰도 재평가, 정지저출력 PSA, SFP PSA, 3단계 PSA, Site Level 리스크 평가 등 “아주 가까운” 미래에 우리나라에서도 주요 현안이 될 것으로 예상됨

배경 국내 환경 변화 국내 원자력안전 최고 의사결정과정(안전위원회 및 안전전문위원 회 등)에서 중대사고 대처방안 및 PSA에 대한 논의 급증 PSA 결과는 물론 초기사건, 수행범위, 품질, 방법론 등에 대한 다양한 질문 및 필요성 논의 월성1호기 계속운전 및 신고리3호기 운영허가 심의 과정 등 다수호기 부지 리스크 평가, 선원항 재평가 등 필요성 제시 지역 주민 및 환경단체에서도 PSA 관련 다양한 요구 제기 다수호기 부지 PSA 및 3단계 PSA 결과 요구 (영광 지역) 중대사고 대처방안 및 PSA 관련 법제화 마무리 중 신규원전 인허가 및 PSR 신청시 제출서류에 포함하도록 함 원자력안전법 개정안 미방위 의결 (15/02/24)

PSA 규제요건화 및 규제검토 현황 15

PSA 규제요건화 현황 신규원전 인허가 관련 규제요건화 현황 PSR 관련 규제요건화 현황 원자력안전법 개정안(민병주의원 대표발의) 미방위 의결 (’15.02.24) 운영허가 신청서류에 중대사고 관리계획 및 PSA 추가 하위 법령 및 지침 등 정비 추진 중 안전성분석보고서(SAR)에 중대사고/PSA 반영 (19장) 방사선환경영향평가서(RER)에 중대사고 반영 필요성 검토 중 QHO 및 성능목표, Living PSA, Data rule, Risk 감시 등 현안 검토 규제기준, 지침 및 안전심사지침 개정 중 PSR 관련 규제요건화 현황 관련 법령 개정완료 (시행일 : ’14.11.22) 기존 11개 인자 → 14개 인자 (추가 인자 : PSA, 발전소 설계, Hazard) PSR 심사지침 개정완료 연구용원자로 PSR 신설 (발전용 원자로 규정 준용)

PSA 규제검토 현황 신규원전 단계별 PSA 수행범위 건설허가 신청단계 운영허가 신청단계 전출력 내부사건 및 외부사건 Level 1,2,3 (기존 설계 및 운영 내용) 단, 기신청한 신고리 5,6호기에 대해서는 전출력 내부 Level 1,2 운영허가 신청단계 전출력 내부사건 및 외부사건 Level 1,2,3 (최종 설계 및 운영 내용) 정지·저출력 내부사건 및 외부사건 Level 1, 2 제3자 독립검토 수행

PSA 규제검토 현황 신규원전 시범적용 현황 신고리5,6호기 CP : PSAR 19장에 PSA/중대사고 최초 반영 신한울1,2호기 OL : FSAR 19장 PSA/중대사고 반영 (논의 중) 관련 현안 19장 수록 범위 및 내용, PSA 보고서 제출 시점, PSA Quality, 신뢰도 Data 적절성 등 PSA 수행인력 확보 및 Qualification 필요

PSA 규제검토 현황 PSR 제출서류 규제검토 법령 시행일(’14.11.22) 이후 평가기준일이 도래하는 원전부터 적용 5.4 확률론적 안전성평가 PSA 범위 및 분석수준의 적절성 평가 사고관리프로그램과의 일관성 평가 안전성향상방안 및 PSA Update 현황에 대한 평가 적용 한빛 5,6 (시범적용) : PSA 적시개정 및 현장 유지관리 필요 등 보완요구 고리2 (예정) : 개정된 심사지침 공식 적용 예정

PSA 수행 및 규제검토 품질 제고방안 20

PSA 수행 및 규제검토 품질 제고 방안 PSA 수행 방법론 표준화 이행방안(안) PSA 수행자가 공인된 기관(예 ; 원자력학회 등)과 공동으로 표준화 방법론 및 지침을 개발하고, 필요시 규제기관의 규제지침화 규제요건화 이후 수행하는 PSA에 대해 적용 참조 ASME/ANS RA-Sa-2009, “Standard for Level 1/Large Early Release Frequency Probabilistic Risk Assessment for Nuclear Power Plant Applications” RG 1.200, “An Approach for Determining the Technical Adequacy of Probabilistic Risk Assessment Results for Risk-Informed Activities”

PSA 수행 및 규제검토 품질 제고 방안 제 3자 독립검토 방안 운영허가 단계의 PSA 수행 결과에 대해 국내외 전문가 그룹을 구성 하여 제3자 독립검토(Third-party Independent Review, TIR)를 수행 하고, 검토결과를 반영하여 PSA 업데이트 필요 국내 여건상 Peer Review의 대안으로 채택 독립검토(TIR) 범위, 각 범위에 대한 TIR 절차, TIR 전문가그룹 구성 및 자격 등 논의 필요 (PSA 표준화 지침에 반영) 규제검토 과정에서는 TIR의 적절성 및 TIR 결과 및 활용의 적절성 등 을 확인 신한울 1,2호기 운영허가 신청시부터 적용 미국의 경우 최초 핵연료장전 이전에 ASME Standard에 따른 PSA 최종 화 및 Peer Review를 수행하도록 하고 있음. 10 CFR 50.71(h)(1) 및 72 FR 49362 및 49405

PSA 수행 및 규제검토 품질 제고 방안 개선사항 이행 확인 (운영허가 연계) 운영허가 단계에서, PSA 수행, TIR 및 규제검토 과정에서 도출된 개선사항들에 대해 비용/편익 분석을 통한 반영 필요 1) PSA 분석방법론 등과 관련된 개선사항 2) 발전소 안전성 관련 설비 and/or 절차 관련 개선사항 또한 상기 개선사항들을 반영한 PSA 재분석을 수행하여, 개선효과 를 평가하고 PSA 최종화하여 제출 제출기한 : Prior to Initial Fuel Loading?(안)

PSA 수행 및 규제검토 품질 제고 방안 PSA 데이터 적합성 확보 방안 초기사건빈도, 기기신뢰도, 인적오류 확률, 공통원인고장 Parameter 등 “사고/고장 데이터 수집, 처리 및 활용에 대한 지침”(가칭) 개발 추진 학계/산업계 공동으로 이행지침 개발 (i.e., PSA 표준화 방안 절차 ) 규제요건화 수준 (규제지침 or 고시) 논의 필요

PSA 수행 및 규제검토 품질 제고 방안 PSA 규제검토 전문화 방안

PSA 관련 주요 현안 26

PSA 관련 주요 현안 다수호기 부지 (Multi-Unit Site) 리스크 평가 배경 및 필요성 동일 부지 내 다수 호기에서 중대사고가 발생한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 후, Multi-Unit Site Risk 평가 필요성에 대한 국제적 관심 대두 특히 전 부지가 다수호기 부지이고 (Multiple Multi-Unit Site) 인구밀집 지역인 우리나라의 경우, 이에 대한 방안 수립 및 그에 따른 비상계획 수립 등이 중대하고 시급한 현안이라고 판단됨 신고리3호기 운영허가 이후 고리 부지는 세계최고의 발전량 원자력안전위원회 신고리3호기 운영허가 심의과정에서 김혜정/김익중 위원 등이 다수호기 PSA에 대한 질의가 있었음. 다음 신규원전 인허가시에는 쟁점이 될 가능성이 큼 2014년 8월, 영광 시민단체에서 3단계 PSA 및 다수호기 부지 리스크 평가 결과 제출을 요구한 바 있음

PSA 관련 주요 현안 다수호기 부지 (Multi-Unit Site) 리스크 평가 국제 동향 2014년부터 OECD/NEA, IAEA 등 국제적으로 Multi-Unit Site Risk 평가 에 대한 논의 시작 2014년 11월, 캐나다 오타와에서 최초로 국제 워크숍 개최 호기간 공용설비가 존재하는 캐나다는 다수호기 리스크 평가가 이미 규제 요건화 되어 있음 S-294 revised to REGDOC-2.4.2, “Probabilistic Safety Assessment for Nuclear Power Plants (2014)” to incl ude multi-unit impact USNRC 경우, 2011년 9월 Commission은 SRM을 통해 “Full-scope Site Level 3 PRA”를 수행하도록 지시하였고, 이에 따라 NRC staff에서는 이를 위한 종합적인 과제를 수행중임. (2016년 완료 목표)

PSA 관련 주요 현안 다수호기 부지 (Multi-Unit Site) 리스크 평가 대응 방안 세계적으로 180곳의 부지 중 6기 이상의 다수호기 부지는 10곳인데 (6%), 우리나라 4곳의 부지가 모두 이에 해당 (그 외는 일본, 캐나다 등) 고리/신고리는 물론 월성 부지까지 모두 하나의 부지라는 주장도 있음 다수호기 부지와 동시에 인구밀집지역임. 최소한 미국, 캐나다와 보조를 맞추는 수준의 연구,기술개발 및 이행방안 필요 국내의 경우 최근 연구과제 차원의 기초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나, 규제 기관 및 산업계의 이행방안 수립이 시급히 필요함. (이은철위원장 언급) 평가방법론 개발 및 활용에 대한 국제적인 정보교류/활동참여 필요 3단계 PSA 수행방안과의 연계 필요

사용후핵연료저장조(SFP) 리스크 평가방안 PSA 관련 주요 현안 사용후핵연료저장조(SFP) 리스크 평가방안 배경 및 필요성 후쿠시마 원전사고 시 SFP 내 핵연료 손상 이후, SFP PSA 필요성에 대 한 국내외 관심 증가 국내외 현황 프랑스, 미국, 독일, 일본 등에서 SFP PSA 방법론 적용 또는 개발 중 국내의 경우, KAERI에서 이에 대한 연구를 수행한 적이 있으며, 한수원 에서도 월성1호기에 대해서 SFP PSA 수행 대응방안 SFP PSA 수행에 대한 규제기관 및 산업계의 이행방안 수립 필요 평가방법론 개발 및 활용에 대한 국제적인 정보교류 필요

PSA 관련 주요 현안 기타 현안 PSA 수행 관련 현안 극한재해에 의한 중대사고 발생 및 대처능력 적절성 평가 Level 2/3 PSA 관련 현안 Source-Term 재평가, 불확실성 평가 등 정지저출력 PSA 방법론 정립 극한재해 발생에 대비한 전력계통 신뢰도 재평가 극한재해에 의한 중대사고 발생 및 대처능력 적절성 평가 극한재해에 의한 초기사건 선정 및 사고 시나리오 개발 극한재해 사고 시나리오에 대한 중대사고 대처설비들의 효과성 평가 PSA 현장화 방안 원전 현장에서 PSA 유지관리 및 개정 직접 수행 방안 PSR 이행방안과 연계 필요

Safety Together Better Tomorr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