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농산물 생산을 위한 농약안전사용
국내 농작물 재배 병해충 및 잡초의 종류 구 분 계 병 해 해 충 잡 초 기 록 종 수 4,618 1,539 2,618 461 농작물에 발생 1,537 574 625 338 방 제 대 상 100 36 42 22 외 래 유 입 273 22 33 218
병해충 관리와 농작물의 생산성 곡 류 채 소 과 수 (벼,밀,보리) (배추,고추,오이) (사과, 배, 복숭아) 완전방제 곡 류 (벼,밀,보리) 채 소 (배추,고추,오이) 과 수 (사과, 배, 복숭아) 완전방제 무 방제 (농약사용 않음) 100 59 44 11
농산물의 품질 향상 [ 완전 방제 ] [ 무 방 제 ] 반점미
농작업 편리 (노동력 절감) 논 300평 당 잡초 제거 소요시간 변화 손 제초 입제 산포 물꼬 처리 50.6 17.4 8.4 4.3 2.4 1.7 0.5 50.6 17.4 10 20 30 40 50 60 1945 1955 1965 1975 1985 1995 2005 2015 논 잡 초 제 거 시 간 논 300평 당 잡초 제거 소요시간 변화
국내 등록농약의 품목수 변화 ☞ 농약의 종류가 많은데 다 필요한 겁니까? 1,200 389 373 33 356 49 876 278 336 18 208 36 467 157 185 15 90 21 233 71 104 8 35 148 37 78 4 20 9 계 살 균 제 살 충 제 살균살충제 제 초 제 기 타 2006 1999 1990 1980 1970 구 분 ☞ 농약의 종류가 많은데 다 필요한 겁니까?
년도별 농약 생산 출하량 변화 (주성분/톤) 농약출하량 년 도 별
전체 경지면적대비 농약 출하량 변화 (kg/ha) 단위면적당 년 도 별
논 면적대비 농약 출하량 변화 (kg/ha) 단위면적당 년 도 별
밭 면적대비 농약 출하량 변화 (kg/ha) 단위면적당 년 도 별
고활성 저투입 농약의 사용 - 단위면적당 살충제 사용량의 변화 (1940~1990) ① ⑤ ④ ② ③ ⑦ ⑥ ⑩ ⑧ ⑨ ⑬ ⑪ Dose (A. I. g / ha) 2,000 ① 1.DDT (1942) 2.Dieldrin (1946) 3.Parathion (1948) 4. Malathion (1950) 5. Diazinon (1952) 6. Dimethoate (1956) 7. Endosulfan (1956) 8. Carbaryl (1958) 9. Propoxur (1963) 10. Monocrotophos (1965) 11. Carbofuran (1966) 12. Deltamethrin (1974) 13. Cypermethrin (1974) 14. Avermectin (1984 ⑤ ④ ② ③ ⑦ ⑥ 1,000 ⑩ ⑧ ⑨ ⑬ ⑪ ⑫ ⑭ 1940 1950 1960 1970 1980 1990
- 지난 50년간 살균제 단위면적당 투하량의 변화 년도 도입된 살균제 주성분 사용량 (g/10a) 1946 Oxine - copper 140 - 200 52 Captan 400 58 Metrim 150 - 400 61 Mancozeb 130 - 160 66 Oxycarboxin 80 - 150 68 Benomyl 14 - 55 74 Carbendazim 12 - 60 77 Prochloraz 40 - 60 81 Pencycuron 18 - 50 86 Pyrifenox 4 - 15 89 Difenoconazole 3 - 13 92 Azoxystrobin 10 - 37 97 Carpropamid 10 - 15
☞ 과거의 농약과 무엇이 다릅니까 ?? - 단위면적당 제초제 사용량의 변화 (1955 - 1985) ● ● - 단위면적당 제초제 사용량의 변화 (1955 - 1985) Dose (A.I., g / 1,000㎡) 1,000 ● Pentachlorophenol ● Chlornitrofen ● Chlormethoxynil ● Benthiocarb ● Dichlobenil 100 ● 2,4-D ● Chlorpropham ● Pyrazolate ● Simetryne ● Simazine ● Butachlor 10 ● Propachlor ● Imazaquin Bensulfuron-methyl ● Pyrazosulfuron-ethyl ● 1955 1965 1975 1985 ☞ 과거의 농약과 무엇이 다릅니까 ??
우리나라의 농약등록 절차 농약안전성위원회 심의 제조기업 또는 농촌진흥청 수입업자 신청 시험성적 검토 (농업과학기술원) 등록 결정 농촌진흥청 장 농촌진흥청 시험성적 검토 (농업과학기술원) 농약안전성 소위원회 심의 (품목관리, 안전성) 농약안전성위원회 심의 농촌진흥청 차장 등 20 명 교수,전문가,환경부,보건복지부,소비자 (등록관련 시험성적) 등록증 교부 기 간 신규 약제 6 개월 적용 추가 3 개월 (등록 용 농약시료)
농약안전사용의 목적 1. 식품 중 농약의 잔류량을 최소화하여 소비자 보호 2. 농작업자를 농약 중독으로부터 보호 3. 농업생태계 보전 4. 농약 사용량 절감 ※ 농약 안전사용의 실천 1. 농약에 대한 정확한 이해 2. 올바른 사용 수단의 선택
살포된 농약의 환경 중에서의 행동 농 약 살 포 대기중으로 증발되어 분해 농작물에서 햇빛, 강우, 효소에 의해 분해 살포된 농약의 환경 중에서의 행동 대기중으로 증발되어 분해 < 1 % < 1 % < 5 % 농작물, 토양 농 약 살 포 〉80 % 농작물에서 햇빛, 강우, 효소에 의해 분해 하천, 강, 바다로 흘러 이동 분해 〉15 % 토양 중 미생물에 의해 분해 ☞ 살포농약의 대부분(95 % 이상) 은 농작물에 붙거나 토양으로 떨어짐
살포농약의 농작물에서 행동 특성 ○ 대부분 작물체 표면에 부착 ○ 부착된 농약은 햇빛에 의하여 분해되거나 비에 씻겨 나감 ○ 농작물 표면 왁스층에 남아있는 농약은 물 세척으로 제거 곤란 ○ 일부 식물표면의 왁스층에 침투하여, 식물체 내부로 침투한 농약은 주로 저장기관에 존재하므로 침투이행성이 강한 농약일수록 식물체 내부 잔류비율이 높음
잔류농약에 영향을 주는 요인 ○ 농약자체의 안정성 : 쉽게 분해되지 않는 성질, 침투이행성 등 ○ 농약의 제형 및 살포방법 : 희석살포제, 분·입제 등의 제형, 살포기의 분무압력 등에 따라 농약의 작물체 부착량이 달라짐 ○ 작물체 표면의 형태 : 굴곡, 털, 등 표면의 형태에 따라 부착량 및 잔류량이 다름 ○ 작물체의 중량에 대한 표면적 비율 : 클수록 잔류량이 많고, 표면적에 비하여 무게가 무거운 작물일수록 잔류량은 적어짐 ○ 작물의 생장속도, 재배형태 (시설 vs 노지), 보조제 첨가 등
농약의 잔류성 잔류량 단위 : mg(농약)/kg(매체) = ppm , wt/wt 잔류농약의 분해소실에 관여하는 요인 잔류부위 : 농산물의 표면 및 표피 Wax층 잔류량 순위 깻잎 > 상추 > 딸기 > 방울토마토 > 사과 > 수박 잔류농약의 분해소실에 관여하는 요인 농산물 : 강우, 햇빛(자외선), 기온/바람, 기타 토 양 : 미생물, 기온/수분/바람, 물, 햇빛, 기타 잔류허용기준 설정 요인 1일 섭취허용량(ADI) 국민의 체위(성인의 체중) 식품별 섭취량 GAP(표준방제력) 잔류량 + 국민정서
농약의 제형별 작물체내 잔류양상 ○ 입제 농약 작물의 뿌리로부터 흡수되어 줄기, 잎, 과일로 이동 ○ 수화제 농약 작물체내 침투효과가 적고 대부분 표면에 부착됨으로 쉽게 씻겨 내려감 * 온실조건에서는 실질적으로 잔류량이 많고 약흔이 남는 단점이 있음 ○ 유제 · 액제 농약 작물체내로 쉽게 침투하므로 강우에 의하여 유실되는 양이 적음 ○ 훈연제 농약 농약성분이 미세한 입자로 살포되므로 병해충 방제효과가 우수하며 농작물 표면에서 쉽게 분해되므로 안전 농산물 생산에 유리
작물체 표면적 및 중량 6,111 158 202 100 비교(%) 55 1.42 1.82 0.9 표면적/중량 77 229.7 29.3 표면적(㎠) - 174 8.2 196 부 피(㎤) 1.4 161 16.1 181 중 량(g) 들깻잎 오 이 방울토마토 토마토 구 분 ▶ 작물체의 중량에 대한 표면적 표면적이 클수록 잔류량이 많고, 무거울수록 잔류량은 적어짐 (예: 과일은 중량이 무겁고 엽채류는 표면적이 넓음)
생장 속도 ☞ 작물의 성장속도가 잔류량에 크게 영향을 준다. 구 분 초장 (㎝) 중량 (g) 잔류량 (ppm) 1일 6.3 구 분 초장 (㎝) 중량 (g) 잔류량 (ppm) 1일 6.3 26.8 13.1 7일 19.0 85.0 1.6 증감 3.0배 3.2배 1/8배 시험작물 : 오이 시험시기 : 2001년 12. 20 ∼ 12.27 시험농약 : 만코지75%WP 600배 액 1회 살포(20ℓ/50주) ☞ 작물의 성장속도가 잔류량에 크게 영향을 준다.
재배 환경 재배환경 : 비닐하우스, 노지 시험농약 : Chlorfenapyr (렘페이지, 솔나이트, 섹큐어) 잔류허용기준 MRL 재배환경 : 비닐하우스, 노지 시험농약 : Chlorfenapyr (렘페이지, 솔나이트, 섹큐어)
재배 환경 ○ 들깨잎 재배시기와 농약 잔류량 변화 약 제 살 포 후 경 과 일 수 Chlorfenapyr 겨 울 여 름 0.5 1.0 1.5 2.0 2.5 3 6 9 12 15 18 21 농약 잔류량 (㎎ ㎏-1) 겨 울 여 름 Procymidone 50 100 150 200 250 약 제 살 포 후 경 과 일 수 잔류허용량 ○ 들깨잎 재배시기와 농약 잔류량 변화
농약안전사용기준이란 ? 수확물 중 농약잔류량이 농약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하지 않도록 농약의 살포회수, 수확전 최종살포일, 적용 병해충, 적용작물, 희석배수 등을 규정한 것이다. ☞ 관련법 : 농약관리법 23조 및 동법시행령 19조
농약의 안전사용기준 범 위 의 미 적용작물 대상 병해충 사용횟수(재배기간중 살포횟수) 사용시기(수확전 최종살포일) 농약의 안전사용기준 범 위 적용작물 대상 병해충 사용횟수(재배기간중 살포횟수) 사용시기(수확전 최종살포일) 의 미 농약의 오 · 남용을 방지함 약해 등의 작물피해를 방지함 수확물중 농약이 잔류허용기준을 넘지 않도록 하여 식품의 안전을 보장함
농산물중 잔류농약의 안전성 평가 흐름도 동물실험(개, 원숭이 등)이 일생 동안 먹어도 농산물중 잔류농약의 안전성 평가 흐름도 농약을 사용한 농작물의 국민 1인당 섭취량을 감안하여 농산물 별로 잔류허용기준을 각 나라에서 설정 ※ 식품의약품안전청 (397 농약, 4,500 여건 설정) 사람이 일생 동안 먹어도 해가 없는 양은 최대무작용량의 1/100∼1/1000을 취하여, 1일 섭취허용량으로 결정 (FAO/WHO) 동물실험(개, 원숭이 등)이 일생 동안 먹어도 아무런 해가 없는 최대무작용량 (NOEL)을 시험 산출 수확한 농산물에 남아있는 농약의 양이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하지 않도록 살포횟수와 살포종료일 (안전사용기준) 을 설정, 고시 - 농촌진흥청 - 준수하지 않을 경우 범칙금 부과 (300만원)
등록 농약의 농산물별 잔류허용기준 (단위:mg/kg) 농 약 감자 양파 상추 배추 오이 사과 카 벤 다 짐 - 2.0 5.0 농 약 감자 양파 상추 배추 오이 사과 카 벤 다 짐 - 2.0 5.0 0.5 클로로탈로닐 0.1 1.0 이 피 엔 0.2 다 이 아 지 논 이미다클로프리드 0.3 3.5 메 타 락 실 0.05 * 농약 397종 × 대부분의 농산물 기준설정(2007.9.6.)
작물별 농약의 안전사용기준 설정 [희석살포농약] 농산물중 잔류량 (mg/kg) 최종살포 완료일 농약잔류허용기준 3 7 15 30 농작물 수확 전 농약 살포일 ※ 농약안전사용기준 설정 현황 ▷ 등록농약 1,199품목 중 잔디용 농약과 잡초용 농약을 제외한 718품목 전 농약에 대하여 안전사용기준 설정 완료 ⇒ 신규 농약 등록 시 안전사용기준 설정 의무화
입제 농약의 잔류형태 및 안전사용기준 설정 ▷ 살충제 에토프로포스 입제 ⇒ 고추 등 9작물 12 방제대상 3 7 15 30 농산물중 잔류량 (mg/kg) 수확 가능일 농약잔류허용기준 3 7 15 30 농작물 수확 전 농약 살포일 ※ 입제농약 안전사용기준 설정 (예시) ▷ 살충제 에토프로포스 입제 ⇒ 고추 등 9작물 12 방제대상 고추에 대한 잔류량 초과 검출로 안전사용기준 변경 고추 생육 중 살포 ⇒ 고추 정식전 1회 살포 (1회/년)
농약의 안전사용기준 (예시) 품 목 명 작물명 대상 병해충 안 전 사 용 기 준 사용시기 사용횟수 프로사이미돈수화제 품 목 명 작물명 대상 병해충 안 전 사 용 기 준 사용시기 사용횟수 프로사이미돈수화제 페 나 리 몰 유제 이미다클로프리드 수화제 메 토 밀 액제 토마토 딸 기 고 추 잿빛곰팡이병 흰 가 루 병 진 딧 물 수확7일 전 수확5일 전 수확3일 전 1회 이내 3회 이내 2회 이내
농산물 분석시 잔류허용기준 적용 1. 잔류허용기준 미설정 농약 검출의 경우 ○ Codex 기준이 있는 약제 : 기준 적용 ○ 작물군별 최저기준 적용 2. 최근 농약별 “기타농산물 (0.05ppm)” 기준 도입 ○ 프로사이미돈, 스피로메시펜, 디니코나졸, 알라니카브, 페림존 등 30종
일본 포지티브리스트 제도란? 기준이 설정되지 않은 농약 등이 일정량 이상 잔류하는 식품의 판매 등을 원칙적으로 금지하는 제도 「 일본 식품위생법 등의 일부를 개정한 법률 」 (2003년 법률 제 55호, 2003.5.30. 공포) □ 포지티브 리스트 원칙적으로 규제(금지)된 상태에서, 사용을 허용하는 것에 대해 리스트화 한 것
포지티브리스트 제도 도입 배경` 1. 자국의 농업보호 ○ 미국 : 기준이 설정되지 않은 화학물질은 불검출 원칙이나 (Zero Tolerance), 실제로는 0.01~0.1ppm으로 운용 ○ 유럽연합(EU), 독일 : 일률기준치 0.01ppm 적용 ○ 캐나다, 뉴질랜드 : 기준이 없는 경우 0.1ppm 적용 2. 안전농산물 확보를 통한 소비자(자국민) 보호 3. 일종의 기술장벽으로 활용 -검역강화를 통한 수입제한
농산물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 관심 사항 식량부족 (농촌진흥청,2004 ) 영 양 가 가 격 품질 맛 외관 안 전 성 10 가 격 품질 맛 외관 안 전 성 10 20 30 40 50
안전한 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과 과학적 사실간의 괴리 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우려 순서 잔류농약, 항생물질, 방사선조사식품, 식품첨가물, 착색료 순 식품에 의한 위해 발생순서 (미국 FDA) 병인성미생물, 영양학적 불균형, 환경오염물질, 식품중 자연독, 잔류농약, 식품첨가물 순
암 발생 원인에 대한 설문 조사결과 응답자 %, Doll & Peto 농 약 주 부 암 전문의 식품 첨가물 담배 대기오염 · 공해 누룽지 바이러스 일반음식물 성생활 · 출산 직업 알콜 방사선 · 자외선 의약품 공업생산물 44 24 12 9 4 1 30 2 10 35 7 3 주 부 암 전문의 응답자 %, Doll & Peto
농약의 표시 살충제 주의사항 상표명 적용작물 사용적기 사용량 농약성분 농약안전사용기준
병뚜껑 바탕색깔에 의한 농약의 구분 □ 포장(라벨), 병뚜껑 바탕색깔에 의한 농약의 구분 살 균 제 살 충 제 제 초 제 생장 조정제 분홍색 선택성 비선택성 녹 색 기타약제 황색 적색 청색 백색 ▷ 농약을 선택할 때 쉽게 식별 □ 포장(라벨), 병뚜껑 바탕색깔에 의한 농약의 구분
올바른 농약사용으로 안전농산물 생산 농약절약형 친환경 재배기술 실천 병해충 발생을 줄일 수 있는 재배방법 실천 알맞은 농약의 선택 → 적용작물, 적용병해충, 등록농약 방제적기에 농약 살포 – 방제효과 증진 및 방제횟수 절감 농약의 표준희석배수와 살포약량 준수 계열이 다른 농약의 교호 살포 – 저항성병해충 발생억제 안전사용기준 준수 → 적용작물, 살포시기, 살포횟수
이것만은 꼭 기억합시다!!! 농약은 과학이다. 의약품과 동등 또는 그 이상으로 엄격히 관리되고 있음 √ 정부, 농업인, 소비자의 상호 이해와 협력이 필요 √ 철저한 등록 및 사후관리와 상호 신뢰가 요구됨 안전농산물 생산 : 농장에서 식탁까지(Farm to Table) √ 국민이 안심하고 먹을 수 있는 먹거리 생산 : 투명 경영 ⇒ 원산지 표시제 및 생산이력제도 정착 농약안전사용기준 준수
경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