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vodopa 제제의 분쇄시 안정성 이은경 0, 이호관, 윤경원, 홍혜정, 송보완, 김남재 경희의료원 약제본부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농도 퍼센트 농도 용액 (2) 내 안에 너 있다 !. 학습 목표 용액의 묽고 진한 정도를 결정하는 요인을 설 명할 수 있다.
Advertisements

식품분석Ⅰ - 조단백정량 3.1 원리 - 단백질은 질소 (N) 를 함유한다. 즉, 식품 중의 단백질을 정량할 때에는 식품 중의 질소 양을 측정한 후, 그 값에 질소계수 를 곱하여 단백질 양을 산출한다. 질소계수 : 단백질 중의 질소 함량은 약 16% 질소계수 조단백질 (
전자회로 설계 Home Work # 서태규. HW#2 CS & Cascode Homework Homework [1] CL=0 일 때, Common-Source 증폭기 [2] CL=40pF 일 때, Common-Source 증폭기 [3] CL=0 일 때,
처음 페이지로 이동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VRE) 와 vancomyc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VRSA) 선별을 위한 배지 개선 세브란스병원 진단검사의학과 미생물계 안 철 희.
줄넘기의 대하여 5122 양민서.
에세폰처리가 백선품종의 개화에 미치는 영향 ○ 4월 6일 정식구의 절화장은 90cm였으나 6월 1일 정식구에서는 절화장이 50.9cm로 감소 되었음. 생육적산온도에 따른 소등시 발육지수(Developmantal Index) 는 4월 6일 정식구의 소등시 DI(DI=∑DR,
재료수치해석 HW # 박재혁.
예비보고서1 : 8개의 푸시버튼 스위치가 있다. 이 스위치에 각각 0~7개까지의 번호를 부여하였다고 하자
2015 학습성과발표회 포스터 ISA법을 이용한 MCFC 성능측정 지도교수 : 이충곤 교수님 이기정 화학공학과
경희의료원 ADHD 환자 현황 및 처방분석 김인경0, 이은경, 홍혜정, 김남재, 경희의료원 약제본부 배 경 목 적 방 법
구간추정 (Interval Estimation)
바이오매스의 수분 및 회분함량 측정 목적(Object)
소금물과 설탕물 의 농도를 측정하는 간이 비중계 만들기 제북교 영재학급 5학년 김수용
“주파수가 인덕턴스에 미치는 영향”실험에 관련하여 실험결과가 다르게 나온 이유?
원자 스펙트럼 1조 서우석 김도현 김종태.
제9장 샘플링과 오차 표본: 시료, Sample 모집단 : 공정, Lot Sampling
기 술 자 료 집 ㈜ 두 성 테 크 차아염소산나트륨 ( NaOCl ).
PET-CT 검사 환자의 피폭선량 경감을 위한 연구
퇴행성 신경질환.
크로마토그래피 장준우.
TPN 투여환자의 특성별 분석 허강주 0, 최수미, 두진경, 황지선, 홍혜정, 송보완 경희의료원 약제총괄팀 결과 배경 목적
7. 교차영향분석 기법.
Fluorescence Correlation Spectroscopy
질의 사항 Yield Criteria (1) 소재가 평면응력상태에 놓였을 때(σ3=0), 최대전단응력조건과 전단변형에너지 조건은σ1 – σ2 평면에서 각각 어떤 식으로 표시되는가? (2) σ1 =σ2인 등이축인장에서 σ = Kεn로 주어지는 재료의 네킹시 변형율을 구하라.
7. 자극과 반응 7-2. 신경계 2. 신경계의 구성.
비선형 방정식 김영광.
실험의 목적 산화-환원적정법의 원리 이해 산화-환원 반응식의 완결(산화수) 노르말 농도 및 당량 과망간산 용액의 제조법
감압증류(vacuum distillation)
99mTc-DMSA신장검사에서 ROI 설정 방법에 따른 정량분석 차이에 관한 연구
제9장 네트워크 성능 및 품질 평가 과 목 : 네트워크 설계 및 실험 조 명 : 1 조
18F-FDG 생산 효율 증가 및 안정화 30 th May 2009 화순전남대학교병원 핵의학과 *이지웅,장화연,신상민,김명준
제4장 제어 시스템의 성능.
피임이란?.
시.지각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시.지각 기능과 일상생활 활동 수행 능력에 미치는 효과
경희의료원 외래 환자의 항고혈압제 처방현황 및 처방분석
(생각열기) 타이완의 소수 민족 요리중에는 달궈진 돌을 물에 넣어 끓 이는 해물탕이 있다. 돌을 넣는 이유는?
고대 구로병원 IRB 전문간사 종양내과 오상철
비타민 정제의 분쇄에 대한 안정성 이은경, 양한나, 정은미, 이은혜, 홍혜정, 송보완 경희의료원 약제총괄팀
경희의료원에서의 최근 5년간 항고혈압제의 계열별 사용변화 이호관O, 김인경, 윤경원, 송보완 경희의료원 약제총괄팀
In-situ Reaction Raman 의 소개 및 응용
국가 간 불평등 현상과 해결방안 본 연구물은 학교 수업을 위해 개발된 것으로 교육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3주차 오늘은 2주차에 만든 모형의 문제점이 뭘까 생각하면서 더 멀리 날아갈수 있게
무게법에 의한 강철 속의 니켈 정량 (Gravimetric Determination of Nickel in steel)
당뇨병에서의 C-peptide와 Insulin, Glucagon의 ratio 상관성
끓는점을 이용한 물질의 분리 (1) 열 받으면 누가 먼저 나올까? 증류.
폐결핵 진단을 위한 분자생물학검사 유용성과 한계
인지활동을 병행한 운동훈련이 치매노인의 균형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에어 PHP 입문.
바넘효과 [Barnum effect]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가지고 있는 성격이나 심리적 특징을 자신만의 특성으로 여기는 심리적 경향. 19세기 말 곡예단에서 사람들의 성격과 특징 등을 알아 내는 일을 하던 바넘(P.T. Barnum)에서 유래하였다. 1940년대 말 심리학자인.
의약품 안전성 서한 배포에 따른 사용량 변화 배문정O, 이호관, 윤경원, 홍혜정, 송보완, 김남재 경희의료원 약제본부
1-5 용해도.
Ch. 3. 시료 채취 및 처리 2-1. 시료의 종류 및 고려사항 시료의 종류: 고려사항:
행성을 움직이는 힘은 무엇일까?(2) 만유인력과 구심력 만유인력과 케플러 제3법칙.
광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 - 생각열기 – 지구 온난화 해결의 열쇠가 식물에 있다고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다음을 보고 이야기 해 봅시다. [제작의도] 학습 동기유발을 위한 화면이다. [활용방법]
분별증류 GROUP12 조만기 양나윤 김세인.
비교분석 보고서 Template 2015.
결핵균 동정방법의 비교 미생물계 류 희 정.
감압증류(vacuum distillation)
시료채취장치, 조립 및 취급.
실험의 목적 저울 사용법의 익힘 무게법 분석의 기초 일정무게로 건조하기. BaCl2 • 2H2O 의 수분함량 측정Determination of water in Barium Chloride Dihydrate.
수치해석 ch3 환경공학과 김지숙.
아스피린(Aspirin)의 정량.
수학10-나 1학년 2학기 Ⅱ.부등식의 영역 3. 부등식의 영역에서 최대, 최소(5/5) 부등식 영역 수업계획 수업활동.
풍화 작용 (교과서 p.110~113) 작성자: 이선용.
전류의 세기와 거리에 따른 도선 주변 자기장 세기 변화에 대한 실험적 고찰
얼마나 많은가? Lezhin.
문제의 답안 잘 생각해 보시기 바랍니다..
1 제조 기술의 세계 3 제품의 개발과 표준화 제품의 개발 표준화 금성출판사.
Presentation transcript:

Levodopa 제제의 분쇄시 안정성 이은경 0, 이호관, 윤경원, 홍혜정, 송보완, 김남재 경희의료원 약제본부 서 론 Parkinson’s disease는 뇌의 흑질 부위의 신경전달 물질인 도파민의 분비 이상으로 발생하는 퇴행성 질환으로 동작이 느려지고 손발이 떨리는 진전증과 관절 경직 등 여러 가지 운동장애를 수반한다. 따라서 이 질환에 사용되는 약제들은 운동장애를 가진 환자도 용이하게 복용할 수 있도록 제조, 조제되어야 한다. Levodopa는 Parkinson’s disease에 주로 처방되는 성분으로 수용액 상에서 산화되기 쉬운 화학적 특성으로 인해 대기 중 수분을 흡수하여 산화될 것을 우려하여 일반적으로 조제시 분쇄하는 것을 권장하지 않는다. 하지만 대상 질환의 특성상 정제를 삼키기 어려운 환자이거나 tube feeding을 요하는 환자에게는 분쇄하여 조제해야 할 경우가 발생하며 장기 투약을 해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에 저자 등은 levodopa 복합제의 대표적인 제제인 levodopa/carbidopa 정제를 대상으로 분쇄 시 안정성을 측정해 보았다. 본 론 1. 분석 약제 Levodopa는 혈중농도 상승을 위해 carbidopa나 benserazide 등 탈탄산효소 억제제와 복합제의 형태로 제조되어 공급된다. 현재 본 의료원에서는 여러 가지 levodopa 제제를 사용하고 있으나 본 연구에는 carbidopa와의 복합제인 A정(1정 중 levodoap 250mg, carbidopa 25mg)을 사용하기로 하였다. 2008년 3월 부터 8월까지 원내 외래 처방 중 A정이 처방된 건수와 그 중 ‘분쇄’하여 처방된 건수를 취합한 결과 총 541건의 처방 중 21건의 처방이 분쇄되어 조제되었다. 이는 3.8% 정도의 낮은 비율이지만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의 조제비율이라 하겠다. 2. 시료 채취 및 보관 실험에 사용할 시료는 최근 생산된 A정 중에서, 이를 분쇄하지 않은 ‘정제군’과 분쇄한 ‘분말군’으로 나눈 후 시간별 함량변화를 측정해 보았다. 보관조건은 장기보존시험 조건인 온도 25℃, 습도 60%의 암소였으며, 매 정량 시 5개의 정제를 사용할 것을 대비해 정제 30개와 분말 후 정제 1개씩의 분말을 분리하여 보관한 정제 30개 분을 준비하였다. 3. 정량방법 정량법은 USP의 기준시험법에 의거하여 시행하였다. Levodopa와 carbidopa 각각의 표준품을 HPLC로 정량하고, 시료를 채취해 정량하여 이를 비교하는 방법으로 함량을 산출했다. 수분의 경우 건조감량시험법을 이용하였다. 실험은 개시일, 1주, 2주, 4주, 6주 경과한 날에 시행되었으며 정제군, 분쇄군 모두 각각 5개의 정제 분량을 시험하여 그 값의 평균을 산출하였다. 표 1과 표 2는 각각 정제군과 분쇄군의 수분, levodopa, carbidopa의 함량을 실험일별로 표시한 것이며 그림 1과 2에 이를 그래프화 하였다. 결 론 시험 개시일 부터 종료된 6주차 까지의 각 성분별 함량을 비교하였을 때, 수분은 정제군이 3.1%에서 2.6,%, 3.2%, 3.0%, 3.1%로 거의 변화가 없었으며, 분쇄군의 경우도 2.9%에서 2.7%, 3.3%, 3.0%, 2.9%로 역시 변화가 없었다. Levodopa의 경우도 정제군이 106.3%로 시작해 106.0%, 106.4%, 106.1%, 107.1% 로 거의 변화가 없었으며, 분쇄군 역시 104.8%, 105.1%, 105.4%, 105.6%, 105.9% 로 변화가 거의 없었다. Carbidopa의 경우도 이와 다르지 않게 정제군과 분쇄군 모두에서 별다른 함량의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다. 이는 모두 표시된 함량의 90~110%에 해당 하는 함량으로 대한약전의 제제 총칙 상 적합성이 인정된다. 이와 같은 실험 결과로 볼 때 우선 levodopa의 흡습성이 제제 안에서 주변 습기를 빨아 들일 만큼 크지 않다고 볼 수 있으며, 낮은 흡습으로 인하여 화학적 변화 역시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levodopa의 함량 변화 추세를 볼 때 화학적 변화에 의한 함량변화라기 보다는 제조시 발생할 수 있는 오차에 의한 것으로 봐도 무관할 정도의 차이 혹은 함량 증가로 유추해 볼 수 있다. 수분 Levodopa Carbidopa 초기 2.9 104.8 102.2 1주 2.7 105.1 103.7 2주 3.3 105.4 103.2 4주 3.0 105.6 103.4 6주 105.9 103.0 수분 Levodopa Carbidopa 초기 3.1 106.3 102.6 1주 2.6 106.0 104.0 2주 3.2 106.4 102.2 4주 3.0 106.1 102.0 6주 107.1 103.5 표 1. 정제군의 함량변화(%) 표 2. 분쇄군의 함량변화(%) 고 찰 이상의 실험과 분석을 통해 levodopa제제의 분쇄 시 화학적 안정성이 어느 정도 확보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따라서 정제의 분쇄 조제에도 별다른 문제는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보존방법상 일반적인 온도와 습도 하에서의 보관이었으므로 실생활에서 환자들이 약을 보관하는 조건과는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 보다 가혹한 조건, 고온과 다습한 직사광선 하의 조건에서의 실험을 통해 보다 확실한 제제의 안정성을 확인해 볼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