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젠노출근로자의 관리.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Company LOGO ( 새집증후군 ) 실내공기오 염 한강성심병원 산업의학센터 보건관리대행팀 최 원 석.
Advertisements

Ⅱ 세포의 주기와 생명의 연속성 Ⅱ 세포의 주기와 생명의 연속성 - 1. 세포주기와 세포분열.
자동혈구분석기 ADVIA 120 과 Gen-S 의 백혈구 감별 계산 및 Flag 기능 평가 혈액학계 : 정유진.
처음 페이지로 이동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VRE) 와 vancomyc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VRSA) 선별을 위한 배지 개선 세브란스병원 진단검사의학과 미생물계 안 철 희.
1. 전염병의 역 사 2. 현대의 새로운 감염병 3. 면역의 기능 4. 면역과 영양.
Hematology 학습목표 1. 혈액의 기초적 개념 2. 조혈. Antony van Leeuwenhoek, 1665 : The first microbiologist and the first to observe microorganisms using a microscope.
V. 인류의 건강과 과학 기술 Ⅴ-3. 첨단 과학과 질병 치료 3. 생명을 위협하는 암.
B형 간염 환자의 임상증례 . 안산자생한방병원 진단검사실 우성혜, 최정아.
종양표지자 CA19-9 검사 - Cobas Core 와 Elecsys 의 비교 -
Hematology 학습목표 혈액의 기초적 개념 조혈.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전반적 이해, 선별, 진단, 중재법
뇌졸중 (stroke)의 영상적 접근 건국대 충주병원 방사선과 최영칠.
lung and massive intra abdominal lymphadenopathy.
뇌신경계 뇌혈류검사[Brain Perfusion SPECT]
퇴행성 신경질환.
I. 백혈구 증가증(Leukocytosis)
M4 ; Acute myelomonocytic
13. 조혈기 I. 골수(Bone marrow) 정의: 혈구의 생성이 이루어지는 장기
Chapter 20. 적혈구계 질환.
안재석 ∙ 김지나 ∙ 원우재 국립암센터 핵의학과
Alkaline phosphate Stain Sudan Black B Stain
S항원(HBsAg) - B형 간염바이러스 표면항원(hepatitis B surface antigen) - 양성: 급성 간염, 만성 간염, 간경변증 등의 간장질환 급성 B형 간염 감염시 가장 먼저 양성반응 표지자 감염 2~3개월 후 검출 가능 6개월 이상 양성 반응을 보이면.
08. 선천성 및 유소아 질환 1. 선천성 유전질환 1) 유전학적으로 본 병인의 분류
종양계 67Ga 검사 123I-MIBG 종양 검사 131I-MIBG 종양 검사 99mTc-MIBI 종양 검사
내분비계 99mTcO4- 갑상선 검사[Thyroid scan] 부갑상선 검사 요오드전신 검사
세브란스 병원에서의 최근 3년간 성분채집술의 경향( )
99mTc-DMSA신장검사에서 ROI 설정 방법에 따른 정량분석 차이에 관한 연구
증 례 56세 남자환자 내원 6개월전에 골수 이형성 증후군 (Myelodysplastic syndrome)진단후 항암화학치료 받았으나 급성 골수구성 백혈병(acute myeloid leukemia)으로 진행하여 입원.
질병분류(KCD) 사용지침 전신을 침해하는 질환군 (2개 항으로 분류) 전신병적 질환군 (2개 항으로 분류)
♠ 비타민 비타민이란 ? * 지용성 비타민 : A,D,E,K * 수용성 비타민 : B군, C
절주프로그램 1조 ⓒ 간호와 건강증진.
V. 인류의 건강과 과학 기술 Ⅴ-1. 식량자원 3. 식품 안전성.
시.지각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시.지각 기능과 일상생활 활동 수행 능력에 미치는 효과
전기진단검사 I.
체 세 포 분 열 배 수 경 중3 과학.
알칼리증(alkalosis)및 저혈당이 유산증(lactic acidosis)을 유발한 증례
수혈 부작용 응급검사실 신선옥.
결핵 진단을 위한 COBAS AmplicorTM 검사의 유용성
저형성급성백혈병 (Hypoplastic Acute Leukemia)의 혈액학적 분석   김영철, 전현배, 박지영, 이영경, 강희정, 허미나, 조현찬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임상병리학교실 서론 저형성 급성백혈병(hypoplastic acute leukemia)은.
비침습성양압환기(Non-invasive positive pressure ventilation)하는 환자에게서 호기 기도 양압 올리는 경우 공기 삼킴증 (Aerophagia) 에 의한 횡격막 기능 부전위험성 있다.
10장. 혈액계 질환.
Acid Phosphatase 검사의 현황
고등학교 생물 학습자료 이 자료는 고등학교 ‘생물’ 의 “생명의 연속성” 단원에서 세포 분열에 관한 수업을 위한 것입니다.
약물조사 항암제 - 관해 유도 치료 - 유지요법 - 항생제 - 항진균제 - 진토제.
3조 : 손우리, 송문주, 신예림 안윤하, 양미진, 양진영 원데레사, 윤소연, 이경화, 이미선
복잡성 염색체 이상을 보인 아세포발증의 만성골수성백혈병 에서 STI571(Gleevec) 치료에 따른 혈액학적 검사소견   김영철, 전현배, 이영경, 박지영, 이경화, 조현찬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임상병리학교실 배경 Table 1. CBC profile of case.
식물의 광합성 식물은 어떻게 영양분을 만들까요? 김 수 기.
TOXOPLASMA 항체 검사 면역혈청학계 박지연.
혈액 생리 Chapter 4 발표 일자 10 / 10 / 05 과목 인체 생리학 교수명 노효련 교수님 학과 작업치료학과
비소세포성폐암에서 MonoTotal™ 유용성 평가
4.4-3 대기 대순환 학습목표 1. 대기 대순환의 원인과 순환세포를 설명할 수 있다.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소화기내과 강석진, 김현진
요독성 뇌병증(uremic encephalopathy)에 의한 발작후 저환기 (postictal hypoventilation)
폐결핵 진단을 위한 분자생물학검사 유용성과 한계
마음이 아프세요? 무엇이 왜 우리 마음을 아프고 병들게 할까요?.
인지활동을 병행한 운동훈련이 치매노인의 균형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제 6장 세포주기 세포분열과 세포예정사 사이의 균형 세포 주기 세포주기의 조절 세포예정사 암 – 세포주기의 이상.
ENDOGENOUS INTERFERENCES IN CLINICAL CHEMISTRY
약인성 간염 진단 DB 구축 정용진.
17. 응고억제 * 정의– 혈장내에서 응고인자의 활성을 억제시키는 인자
제6장 비만과 체중부족.
국내 중대재해.
폐암 이란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김 세 규.
Flowcytometer.
비교분석 보고서 Template 2015.
결핵균 동정방법의 비교 미생물계 류 희 정.
Osteochondral lesion of talus (OLT; 거골의 골연골 병변)
세포는 어떻게 분열할까?(2) 양파 뿌리의 체세포 분열 관찰 순서 [ 해리 ] [ 염색 ] [ 고정 ] 학습 주제
캐비테이션(CAVITATION) 기포의 생성 파괴 기포의 발생
피 그것이 알고 싶다!!.
Presentation transcript:

벤젠노출근로자의 관리

벤젠의 건강영향 급성영향 : 중추신경계 독성/혈액학적 영향/간과 신장독성/피부독성 만성영향 : 호흡기에 대한 영향/혈액학적 영향과 발암성/피부에 대한 영향/면역학적 영향/유전독성

급성영향 25,000ppm : 즉시 사망 20,000ppm : 5-10분내에 사망 7,500 ppm에 30분 : 생명위험 상태(30-1시간 견딤). 1,500 ppm에 60분 : 심각한 증상유발 500 ppm에 60분 : 증상유발 250-500ppm : 현기증, 가면상태, 두통, 구역 50-150ppm에 5시간 : 두통, 나른함, 피곤함 25ppm에 8시간 : 임상적인 영향은 없음 (Gerarde, 1960).

혈액학적 영향 백혈구감소증, 빈혈, 혈소판감소증, 범혈구감소증 재생불량빈혈 백혈병 : ANLL, CLL, CML 다발골수종 골수형성이상 증후군 림프종 : 호지킨림프종, 비호지킨림프종 골수의 줄기세포파괴, 세포의 분화장애, 성숙단계의 혈구형성세포와 순환 중인 혈구세포를 파괴

혈액세포가 만들어 지는 과정

의학적 감시활동 정의(개요) : 조혈기계에서의 병리학적인 변화로 백혈병의 초기 징후들(비록 항상 활용할 수 없을 지라도)로서 혈액지수(blood indices)를 규칙적으로 관찰하는 것이다. 1.선별검사 : 혈구검사 2.추적관리 : 3.직업병 진단 :

선별검사 검사주기 : 벤젠노출작업에 배치할 때 즉시 초기검사하고(2개월 이내), 이후에는 6개월 주기로 검사를 실시한다. 검사항목 : 혈색소량, 혈구용적치, 적혈구 수, 백혈구 수, 혈소판 수, (백혈구의 감별계수, 적혈구 지수)

혈액학적 지수 혈구검사 : 백혈구 수, 적혈구 수, 혈소판 수, 혈색소량, 혈구용적치 적혈구 지수 : MCV, MCH, MCHC 백혈구 분배계수 망상적혈구

혈구검사 검사명 단위 남자 여자 WBC 10(3)cells/uL 4.0-10.0 4.0–10.0 검사명 단위 남자 여자 WBC 10(3)cells/uL 4.0-10.0 4.0–10.0 RBC 10(6)cells/ul 4.2 - 6.3 4.0 - 5.4 Hb g/dL 13 - 17 12 - 16 Hct % 39 - 52 36 – 48 Platelet 10(3)cells/uL 134 – 387 140 - 376

백혈구 분배계수 봉상 호중구 % 2 - 6 분엽 호중구 % 50 - 75 림프구 % 20 - 44 단구 % 2 - 9 검사명 단위 정상범위 봉상 호중구 % 2 - 6 분엽 호중구 % 50 - 75 림프구 % 20 - 44 단구 % 2 - 9 호산구 % 1 - 5 호염구 % 0 - 2

백혈구수가 비정상인 경우? 벤젠에 노출되면 임상적으로 적혈구, 백혈구 또는 혈소판이 처음에는 증가하지만 나중에 감소하고 마침내 재생불량성 빈혈증, 백혈구감소증, 범혈구 감소증, 혈소판 감소증으로 진행한다. 동반된 혈구 세포수 감소를 확인한다. 반복검사를 실시한다.

적혈구 지수 검사명 단위 남자 여자 MCV fL 81 - 96 79 - 95 MCH pg 27 - 33 26 - 32 검사명 단위 남자 여자 MCV fL 81 - 96 79 - 95 MCH pg 27 - 33 26 - 32 MCHC g/dL 32 - 36 32 - 36

빈혈인 경우? Macrocytic, normochromic한 적혈구상 : 악성빈혈, 위절제 후, 간장질환 Normocytic, Normochromic한 적혈구 상 : 재생불량빈혈, 백혈병, 호지킨 병, 다발골 수종, 전이성암, 용혈성빈혈, 발작성야간 혈색소 뇨증, 겸상적혈구성 빈혈 Microcytic, hypochromicg한 적혈구상 : 철 결핍성 빈혈, 지중해성 빈혈, 철아구성 빈혈

혈소판수가 감소하는 경우? 생산저하 : 재생불량빈혈, 급성백혈병, 암의 골수 전이 파괴항진 : ITP, SCL, DIC 분포이상 : 비장기능 항진증 비종, 간기능 장애 여부를 검토한다. 반복검사를 실시한다 EDTA 응집에 주의한다.

망상적혈구 검사명 단위 남자 여자 Reticulocyte % 0.5 - 1.8 0.5 - 1.8 검사명 단위 남자 여자 Reticulocyte % 0.5 - 1.8 0.5 - 1.8 Immature reti. % 0.0 - 17.0 0.0 - 17.0

망상 적혈구 이상인 경우? 로 망상 적혈구 이상인 경우로 0.4%이하로 망상적혈구가 감소하는 것 혈구검사에서 이상이 있고, 추가검사 로 망상 적혈구 이상인 경우로 0.4%이하로 망상적혈구가 감소하는 것 은 신속한 조사가 필요한 벤젠중독 가능 성 있다(다른 특이적인 원인이 발견되지 않는 다면). 2.5% 이상의 망상적혈구 수준의 증가도 벤젠중독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선별검사에 따른 추적관리(1) 혈액학 전문의에게 의뢰해야 할 경우 1. 혈소판 감소증 2. 기저치 또는 이전 검사에 비해서 혈구 세포수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 경우 3. 백혈구 감소에 동반된 혈구세포 수 감소 4. 망상적 혈구수 감소 또는 증가 5. 빈혈, 백혈구 감소증, 대구증, 백혈구 분 배계수의 반복적인 비정상

선별검사에 따른 추적관리(2) 말초혈액 도말검사의 시행 1.백혈구의 분할계수 2.적혈구에 나타나는 비정상 상태 3.혈소판의 비정상 상태 4.밴드형성 비성숙 백혈구 5.골수세포나 골수 아세포 6.후골수세포 7.핵이 있거나 다핵의 적혈구 세포 8.거대 혈소판이나 조각난 거핵세포 9.중성구 과립세포의 밴드형성비 10.호염기구 세포수 증가 11.호산구 세포의 증가(6%) 12. 단핵구세포의 증가(10%, 800/mm3)

벤젠중독을 의심하는 도말소견 중성구 과립세포의 밴드 형성비의 증가(정상 3-5%) : 다른 원인이 없는 경우(대부분 감염)에 벤젠중독의 초기 경고일 수 있다. 늦골수세포의 출현 : 다른 원인이 없는 한 벤젠중독의 가능성을 고려 호염기구 세포의 증가(2%를 초과) 호산구세포의 증가(전체 백혈구의 6%를 초과) 정상 백혈구 수에서 단핵구 수가 10내지 12%이상 증가가 지속되는 소견이나 절대적인 단핵구가 800/mm3을 초과하는 경우

Pelger-Huet anomaly 소견 이것은 정상인 타원형으로 길쭉한 분절보다는 대부분 두 개의 원형 핵분절(때로는 3개)을 가진 중성구성 과립세포이다. 이것이 유전적으로 생긴 것이 아닌 경우에는 백혈병의 전구징후이다. 그러나 급성골수성 백혈병 환자의 약 2%만이 후천성 Pelger-Huet anomaly이었다.

Sucrose water test와 Ham test 일시적인 발작성 야간혈색소뇨증(PNH)의 확인. 이것은 재생불량성빈혈이 진행되는 기간에 잠복해서 생길 수 있다. 1년 내지 수년 내에 급격하게 치명적인 골수성 백혈병이 뒤따를 수 있다. 급성골수성 백혈병으로 발전한 경우에 1내지 2%에서 일어날 수 있는 매우 드문 소견이다.

추적관리(3) 범혈구 감소증은 백혈병 발병 6개월 내지 6년 정도 앞서서 나타난다. 단일 혈구세포의 억제나 혈소판의 억제는 무형성증이나 백혈병의 전조로 나타난다. 벤젠에 노출된 사람에서 둘 이상의 세포 감소증이나 범혈구 감소증은 아직까지는 가역적인 중독상태라는 것이다.

추적관리(4) 비성숙세포(myelocytes, myeloblasts, erythroblasts, 등)의 출현이나 비정상 세포 (pseudo Pelger-Huet anomaly, atypical nuclear heterochromatin, 등) 또는 설명이 안되는 백혈구의 증가와 동반된 범혈구 감소증은 다른 것이 입증되기 전까지는 벤젠유도 백혈병으로 간주해야 한다.

추적관리(5) 백혈병이 의심되는 상황 적혈구에서 호염기성 stippling의 소견(골수 손상이후 적혈구의 1내지 5%에서 발견됨 ) 골수에서 ringed sideroblasts의 골수의 검출 순환혈액과 골수 중성과립구의 과산화효소 염색으로 과산화효소 구성비의 감소나 소실 백혈구 알칼라인포스파타제의 지속적인 감소 백혈구의 Auer 소체 혈청 철의 지속적인 측정

직업병의 진단 진단기준(안) 1ppm 정도의 농도에 10년 이상 노출된 근로자에게 다음의 질병이 진단된 경우 1.백혈병 2.골수형성 이상 증후군 3.다발골수종 4.재생불량빈혈

특수염색검사 Iron stain PAS stain Peroxidase stain Nonspecific esterase stain Acid phosphotase stain Specific esterase stain

유전독성 염색체 결손 미소핵 염색사 소실 염색사 결핍 염색체의 구조와 숫자 변화

염색체 검사                                          

벤젠에 노출되는 근로자 석유화학 근로자 벤젠을 사용하는 화학공업과 실험실 종사자 합성 접착제 제조업자 염료 생산자 인쇄공(윤전, 그라비아 인쇄공) 신발 가죽 또는 고무제품 및 가구공장에서 합성접착제를 사용하는 근로자 페인트 도장공 가솔린 저장소, 주유소에 근무하는 경우

우리나라의 벤젠 노출실태 년간 사용량 : 240만톤(1998년) 벤젠 제조 또는 취급하는 사업장 : 300개(약 4,000여명) 1993년 실태조사(안전공단) 제조업체 : 14개( 439명) 취급업체 : 91개(1,176명) 발생업체 : 8개( 250명) 1999년 실태조사(안전공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