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Traceability (1) 개념 소비자 이를 소급할 수 있는 것 추적 소급 생산, 처리, 가공, 유통, 판매의 각 단계에서 그 정보를 추적하거나 이를 소급할 수 있는 것 추적 소비자 농산물 식품 식품 식품 식품 소급
이력정보제공 생산자 소비자 추적(Recall)
(2) Traceability 시스템의 유의사항 · 단순한 정보시스템은 아니다. · 전자정보시스템 이용이 본질은 아니다(종이기록이라도 된다) · 농산물 · 식품(상품)의 관리 시스템이다. 분별관리 · 식별을 정보를 이용하여 실시한다 (단적으로는、식별번호에 의한 관리) ○ Traceability 의 전제조건인 정보의 기록·제공는 Traceability 그 자체는 아니다. ○ 인터넷에 의한 생산이력정보의 제공이나 판매점에서 정보검색은 Traceability의 본질은 아닌 마케팅전략에 속하는 것
(3) Traceability 기본 요건 식별관리 검사 규정 Traceability
로트의 통합,분할을 실시하는 경우 Traceability의 상태 【상품과 정보의 흐름】 수송 (A업자) 처리·가공 (B업자) 농가 소매(C~E) 1 2 3 4 통합 로트A1 로트B1 * B1001 (C) ~B1099 통합 분할 * B1100 (D) ~B1199 (1~4→A1) 5 6 7 8 * B1200 (E) ~B1299 로트A2 ロットA2 팩키지 수송탱크 처리·가공탱크 (5~8→A2) ( A1,A2→ B1→ B1001~B1299 ) 농가(1) 수송업자(A) 처리가공업자(B) 소매점(C) 로트1 로트1 로트A1 로트A1 로트B1 팩키지 B1001~ 출하처ID 농가1 에서 중량 A로부터 입하 처리시간 B1001~ B1009 출하중량 중량 집유일시 중량 유질 B1009 B로부터 입하 출하일시 집유일시 B에 판매 입하일시 중량 처리시간 입하일시 필요지표 로트2 총중량 로트3 로트A2 C에 판매 로트4 판매일 B1100
(4) Traceability 검사·관리 시스템 검사는 Traceability의 신뢰성 확보 및 기능 향상을 위해 중요 작업이 정해진 순서에 따라 실시되고 있는지 확인 추적과 소급이 실제로 가능한지 학인 작업전 수량(중량)과 작업후 수량(중량) 기록 대조 내부검사·외부검사 실시
(5) Traceability 규정 준수 관계법규 준수 여부 계약 등 약속 이행 여부
Gap 시범생산 농산물 표시양식
日本 생산이력서 샘플 : 圃場 데이터
국제 농산물 생산 경향 농업기술 농산물 특화 증대 농산물 식품산업의 다양화 다양한 생산기술 유전·육종기술 소비자의 요구 증대 무역자유화, 비용절감 안전성, 기능성, 친환경, 기타 사회적 요인 현 재 일반농산물 II I 일반농산물 II I 미 래 GAP, 유기농산물 기능성 농산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