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표일자 : 2008년 5월 29일 (목) 타워 크레인의 설치 및 해체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산업시스템분석 임성수 차수길 장연식 주혜림 7조7조.
Advertisements

 사회  4 학년 1 학기  1. 우리 시ㆍ도 모습 > (1) 지도에 나타난 우리 시. 도의 모습 (2/17) 지도를 알아보자 (1)
가. 3 일 취업완성 ! 성취반 _ 성공 취업 반 1 일차 시간 프로그램 내용비고 17:00 ~ 17:10 출석 및 일정 안내 17:10 ~ 18:10 취업 전략 및 채용 프로세스 이해 18:10 ~ 19:30 입사지원서 작성법 및 주요 기업 에세이 작성법 19:30 ~
구 분현존 무창계사 사육장 (1,000 평기준 ) 신개념 가금류사육장 (1,000 평기준 특허보유유럽에서 약 50 여년전 개발 2008 년 특허개발 ( 송백영농조합 ) 계사구조 별도 독립된 단층계사 500 평ⅹ 2 동 건축 많은 사육장면적 확보시 계사를 추가로 신축 500.
학원장 · 독서실 · 교습소 운영자 연수 화성오산교육지원청. 목 차 1 경기교육정책 2 개인정보보호법 주요내용 3 선행교육 및 선행학습 4 옥외가격 표시제 5 아동 · 청소년의 성 보호 관련 6 아동학대 관련 7 학교폭력 근절을 위한 학원의 노력 8 어린이 놀이시설 9.
녹는점과 끓는점 화학과 이 언정 손 나영 《수업 계획서》
주택용 전기요금제 개선을 위한 국민운동 제안서 주택용 전기요금제 개선 일반용 산업용의 형평성있는 요금 구조 일반용과 산업용은 구분해야 ( 주택용은 공공재 ) ▣ 제안목적 및 배경.
아동이 살기 좋은 횡성군 만들기 추진위원회 2차 모임
효과적인 금연법 산재의료관리원 동해병원 건강관리센타.
우리나라 전통의 무술, 태권도 5학년 8반 김유승.
자연으로 ~ 에티켓통 (여성 생리대 위생 수거함)
오 이.
경남이의 백제역사문화탐방 진주시청소년수련관.
목 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2-1. 건축도면의 이해 2-2. C/WALL SYSTEM DESIGN 능력배양
지구온난화란? 지구 표면의 평균온도가 상승하는 현상이다. 땅이나 물에 있는 생태계가 변화하거나 해수면이 올라가서 해안선이 달라지는 등 기온이 올라감에 따라 발생하는 문제를 포함하기도 한다.
자살 사례 분석 경영학과 백승용 경영학부 하수정 경영학부 이은옥
& 국민연금법 국민건강보험법 사회복지법제 행정학부 김인철 사회복지학과 김건우
시대의 향기를 담은 고수필 고전문학원전강독 신태웅 김수연 이진솔.
주요 유해위험기계등의 방호장치 설치 및 인정기준 (주요 지원품목의 설치시 유의사항)
Ⅴ. 건설 기술과 환경.
돼지가격 대표 기준 ‘탕박’변경 관련 설명자료
학습 주제 p 용해도 차이로 물질 분리하기.
㈜CH건기 수근종합건설㈜ 봄여름가을겨울아파트신축공사 TOWER CRANE 설치계획서
♬♬ 확률송 ♬♬ 무엇이 유리할까? 무엇이 불리할까? 도전을 할까? 확률을 계산해 노력을 하는 준비한 도전이면
담당교수: 월, 수, 금 5교시 과B132 연극의 이해(2003/2) UI 담당교수: 월, 수, 금 5교시 과B132.
· 위 치 : 인천광역시 연수구 동춘동 송도지식정보
순환&면역 6조 박아름 이명동 최제춘.
#. 마스트 상부 연결핀, 볼트 체결이 곤란 할 경우는?
작업장에서 불의의사고로 절단사고가 발생했다면
* 대규모사업장 및 아파트 소방안전교육 신청 안내 *
유독물 및 취급제한∙금지물질 관리자 교육 취급시설별 관리기준 2014 한강유역환경청 화학물질관리과.
사 회 2학년 1학기 1. 아시아의 근대적 성장> 2) 중국의 근대화 운동> 2 / 8 중국의 근대화 운동.
안심투자 7호 대출상품 안내서
에코에너지 기술연구소 찾아오시는 길 안내 ③ ① ④ ② 주소 : (46703) 부산광역시 강서구 체육공원로 6번길 211
학습 주제 p 역학적 에너지는 보존될까?(2).
제39회 전북도민 체육대회 대회상징물 공모계획 제39회 전북도민체육대회에 참신한 상징물을 선정 전북도민과 함께 참여하는
Chapter 8 운동량과 충격량, 충돌.
[ 강남구 청담동 “이동수에프엔지” ].
제 1회 예천자활복지센터 보호자 간담회 예천자활복지센터.
사회 2학년 1학기 1. 아시아의 근대적 성장> 3) 일본의 근대화 운동> 3 / 8 일본의 근대화 운동.
Page Turner 에 맞는 책의 종류선정 은경태
본선대회 일정안내.
우리나라의 수자원 물 보기를 금같이 우리나라의 수자원 현황 우리나라의 수자원 이용 현황.
홈페이지 제작 스토리 보드 제작 방식 : 맞춤형 제작.
타워크레인 설치 · 해체시 작업안전 한국산업안전공단.
문서의 제목 나눔고딕 45pt 작성자 | 소속팀 / 상위부서 | 이 문서는 나눔글꼴로 작성되었습니다. 설치하기.
㈜케이엔씨코리아 P.T.C Type Heating Film 초절전 필름
Ⅳ. 생식과 발생 4. 자손에게 줄 세포 만들기.
Horizontal Axis,Gearless
“병원 폐기물 소각장” 및 “가축 폐수 처리장” 건축 허가 반대 (2011년 “음식물처리장” 미해결 민원 연관)
재활용의 실태와 재활용품 만들기의 계획 실과 6학년 8 . 환경을 살리는 나의 생활> 2) 재활용품 만들기(5~6/8)
지역의 자연 환경과 인문환경 조사 사회 1학년 1학기 Ⅰ.지역과 사회 탐구>1.지역사회의 지리적 환경(3/6
“ 독서의 달 9월 추천도서안내 ” 초등학교 저 학 년 초등학교 고 학 년 중 , 고등학교
아동안전관리 홍성훈 교수님 아동보육학과 박윤희
(생각열기) 횡파와 종파를 구분하는 기준은 무엇인가?? 답 : 진동하는 방법의 차이
< 차 시 정 보 > 정보통신윤리교육 콘텐츠 과제명 학년군 5~6학년 학년 5학년 내용요소
제 10장 가족치료모델 발 표 : 여금란.
제목 입력란 그림 340mm x 170mm 글자 크기 30pt, 자간 52pt
악취저감 / 친환경 축산(농장)을 위한 시험보고서
문서의 제목 문서의 개요 작성자 이름 소속팀 소속팀 작성년월일
1월 교회학교 진급예배 및 성탄절 음악예배 찬 양 기 도 교 회 소 식 특 순 성 경 봉 독 말 씀 찬 양 축 도 인 도 자
2017년 어르신 소일거리사업 경로당 회장 및 관리자 교육
뜨거운 햇살을 받으며 양 손에 도시락 두 개를 들고, 콧 노래를 부르며, 시골 길을 걷고 있는 한 아이가 있었어요
관리감독자 교육 자료Ⅰ 태풍대비 타워크레인 관리요령 울산지사 1.
Ⅲ. 선로전환기 청소 근거규정 및 점검요령.
유체역학 마이크로마노미터의 이론과 공식을 설명하라. 환경공학과 김기복.
근골격계 질환 예방교육.
1. 칭찬 및 고발제도 운영(안) 1. 목적 : 칭찬문화의 전사적 확산,전파를 통한 칭찬문화 조성 및 건전한 회사문화 형성
부스 참가신청서(계약서) 1 참가업체 기본정보 2 신청 부스 정보 3 참가신청 및 부대시설 신청
*신청서 작성 칸의 모든 항목을 빠짐없이 기재해주시기 바랍니다. 1. 참가업체 문의 FAX 042) 회 사 명   간판명 주     소
Presentation transcript:

발표일자 : 2008년 5월 29일 (목) 타워 크레인의 설치 및 해체 사직공파(司直公派) 27세손 은진송씨(恩津宋氏) 2400813 송광철(宋光哲) 부정공파(副正公派) 24대손 봉화정씨(奉化鄭氏) 2600959 정유경(鄭有慶)

< 목 차 > 타워크레인의 정의 타워크레인의 종류 타워크레인의 설치 방법 분류 타워크레인의 구조 < 목 차 > 타워크레인의 정의 타워크레인의 종류 타워크레인의 설치 방법 분류 타워크레인의 구조 타워크레인의 안전관련 지침사항 타워크레인의 설치 및 해체(현장사례) 결론 및 후기 * 참고문헌 * 도움주신 분들

1. 타워크레인의 정의 정의 주 작업 내용 현장 내 자재의 수직, 수평 운반 및 이동을 전담하는 기본장비 현장에 적합한 기종의 선택과 배치를 통한 공사목적 달성 주 작업 내용 양중물을 들어 올리거나 내리는 동작 후크에 매달린 양중물을 전, 후로 움직이는 동작 크레인 상부 전체를 회전시켜 이동시키는 동작

2. 타워크레인의 종류 T형 타워크레인 Luffing형 타워크레인 작업반경내 높은 건물이 없는 현장이나 주변의 민원발생 소지가 없을 경우에 설치 - 붐 회전 및 자재 인양 작업속도 확보 - 저렴한 임대료 Luffing형 타워크레인 - 작업 반경 내 고층건물 또는 간섭물이 있거나 민원발생 소지가 있을 경우 설치 - T형 타워크레인에 비해 느린 작업 속도 - 고가의 임대료

2. 타워크레인의 종류 Luffing형 타워크레인 최근 현장의 추세에 맞게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 기종 고공권 침해 및 간섭의 영향이 있는 경우 선택되는 장비 지브를 상하로 기복시켜 화물을 인양 할 수 있는 형식 주종은 12~40톤 급 대형 러핑 크레인은 조선소 ,항만 및 제철소 등 제한적인 장소에서 사용

3. 타워크레인의 설치 방법 분류 (1) 고정형 타워크레인 (2) 상승형 타워크레인 (3) 이동형 타워크레인 콘크리트 기초에 고정된 앵커와 타워의 부분들을 직접 조립하는 형식 (2) 상승형 타워크레인 일정 높이 만큼 층이 올라가면 건물의 구조체에 지지하여 타워크레인의 몸체가 건물과 같이 따라 올라가는 형식 주로 고층건물에서 사용, 해체작업 불리 (3) 이동형 타워크레인 레일을 설치하여 타워크레인 자체가 레일을 타고 이동하며 작업하는 형식, 층고가 낮고 길이가 긴 건물 등에 설치

4. 타워크레인의 구조 기초앵커 기초앵커

4. 타워크레인의 구조 기초마스트 타워크레인의 기초앵커 위에 조립되는 마스트 일반 마스트보다 보통 2~3배 이상 김 기초마스트

4. 타워크레인의 구조 마스트 타워크레인을 지지해 주는 기둥 역할 구조물 핀 또는 고장력 볼트로 연결시켜 나가며 설치 높이조절

4. 타워크레인의 구조 텔레스코핑 케이지 유압실린더와 유압모터를 이용한 상승 작업으로 마스트의 키를 높일 때 사용 스트로크(Stroke)에 의해 확보되는 공간에 새로운 마스트를 끼워 넣어 높이 조절  텔레스코핑케이지

4. 타워크레인의 구조 운전실 선회장치의 상부, 메인 지브의 하부에 설치 (작업위치 및 선회반경 표지판이 잘 보이는 곳)

4. 타워크레인의 구조 캣헤드 메인 지브와 카운터 지브와의 연결바 상호 지지를 위한 목적으로 설치 트러스 또는 A프레임 구조 운전실 상단에 설치

4. 타워크레인의 구조 메인지브, 메인지브 연결바 선회축을 중심으로 한 외팔보 형태의 구조물 지브의 길이에 따른 권상용량 결정 메인지브, 메인지브 연결바 메인지브 선회축을 중심으로 한 외팔보 형태의 구조물 지브의 길이에 따른 권상용량 결정 메인 지브를 지지하며 캣헤드에 연결해주는 바 메인지브 연결바

4. 타워크레인의 구조 트롤리 후크

4. 타워크레인의 구조 카운터지브 권상모터 및 드럼

4. 타워크레인의 구조 변압기

5. 타워크레인의 안전관련 지침사항 (1) 일반 준수사항 작업순서 준수 작업구역 출입제한 악천후 시 즉시 작업 중지 작업 장소의 충분한 공간 확보 작업 시 기자재 균형유지 규격품인 조립용 볼트 사용 지휘계통의 명확화

5. 타워크레인의 안전관련 지침사항 (2) 추락 재해 예방 관련 준수사항 추락재해 방지를 위한 작업대, 안전난간, 안전망 등 설치 안전대 등 개인 보호구 착용 작업당일 작업자의 건강상태 확인

5. 타워크레인의 안전관련 지침사항 (3) 설치, 해체, 상승작업 시 준수사항 작업이 가능한 최대풍속 준수 (10m/s이내) 부재 중량에 적합한 줄거리용구 사용 긴 부재 권상 시 보조로프 사용 정격하중 준수 작업단계별 필수 확인사항 점검 모든 작업은 지정된 신호자의 신호에 따라 실시

현장 사례 (타워크레인의 설치 및 해체) 1차 현장 방문 : 5월 17일 7:00~9:00 2차 현장 방문 : 5월 22일 7:00~20:00 3차 현장 방문 : 5월 31일 8:00~12:00

1. 현장개요 (1) 공사개요 공사명 : 인천공예미술박물관 '애보' 신축공사 대지위치 : 인천시 남동구 운연동 2번지 대지면적 : 3,930 m2 건축면적 : 764.18 m2 연면적 : 1,438.88 m2 규모 : 지상 3층 최고높이 : 18.8 m 시행자 : 황형택 설계/감리 : ㈜경성건축, ㈜삼정건축 시공사 : ㈜현해건설

1. 현장개요 (2) 현장소개 5월 17일 촬영 영상

2. 사전 준비사항 타워크레인 기종의 선정 타워크레인 임대 설치 방법의 선정 이동식 크레인의 선정 동원 인원 선정 최대 양중 중량 3톤, 최대 선회반경 45m의 SM-3045 타워크레인 임대 임대 업체를 통해 3천 만원의 임대료 지불 설치 방법의 선정 본 현장은 고정형 설치 방법 선정 이동식 크레인의 선정 3가지 우선 고려사항 반영하여 선정 동원 인원 선정 총 5명의 작업인원 선정 타워크레인의 위치 선정 해체와 작업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위치 선정 가동 위한 전력 확보 본 현장은 40KW의 가동 전력 확보 필요 지내력 확인 토목업체에서 별도 시행, 15톤/m2의 지내력 필요 안전 대책 풍속, 반경 내 고압선 절연 피복 작업, 현장 자체 지침

3. 동원장비 및 재료 SM-3045 조립도 및 제원 부재 명칭 및 치수

3. 동원장비 및 재료 SM-3045 부재 간 연결 부품

3. 동원장비 및 재료 SM-3045의 거리 별 인양 하중 단위 : M, 톤 12 18 20 25 30 35 40 3045 3.5 3.3 3.1 2.9 2.7 2.5 2.3 거리 기종 SM-3045의 구동부 별 용량 단위 : KW HOISTING SLEWING TROLLEY CLIMBING 3045 20 2 * 3.75 2.2 구분 기종 SM-3045의 구성부재 중량 단위 : kg CAT HEAD TURN TABLE TELESCOPIC CAGE MAST SECTION BASIC MAST ANCHOR MAST COUNTER JIB 3045 2,354 4,300 3,400 1,076 655 3,800 구분 기종 MAIN JIB TROLLEY HOOK COUNTER WEIGHT TIE BAR ADAPTOR 3,215 230 120 900 1,200 950

3. 동원장비 및 재료 하이드로 크레인 (축 하중 18.8톤, 전폭 3m) 카고 트럭 (11톤) 작업 능력은?

3. 동원장비 및 재료 고장력 볼트 및 구성물 레칫 렌치와 임팩 렌치

3. 동원장비 및 재료 해머 및 타이핀 지브 연결 보강물

3. 동원장비 및 재료 알루미늄 핀 보조 로프 (마닐라 로프)

3. 동원장비 및 재료 케이블 타이 결속선

3. 동원장비 및 재료 새 와이어 로프 설치 및 해체 매뉴얼

3. 동원장비 및 재료 레버블록 (지렛 겹 도르래) 사용방법은?

4. 기초 설치 터파기 1차 콘크리트 타설 -기초 앵커가 설치될 부위에 터파기를 실시 사진출처 : 백종엽 건축시공기술사 마법학교(네이버 카페) http://cafe.naver.com/gisulsacafe.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30636 터파기 -기초 앵커가 설치될 부위에 터파기를 실시 -연약지반일 경우 잡석 다짐과 말뚝 기초 시공 -지내력이 15톤/m2 이하면 연약지반으로 판단 1차 콘크리트 타설 -잡석 다짐 혹은 지반 위에 강도 210kg/cm2, 두께 300mm의 1차 콘크리드 타설 -기초 앵커 4개 기둥점의 수평 및 타워크레인 높이 기준점 철저 준수 -충분한 양생 도모 (동절기 6일, 하절기 3일)

4. 기초 설치 먹메김 기초 앵커 설치 -설치 예정인 기초 앵커의 중앙부를 표시하고 4개 기둥점을 향한 각도 표시 사진출처 : 백종엽 건축시공기술사 마법학교(네이버 카페) http://cafe.naver.com/gisulsacafe.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30636 먹메김 -설치 예정인 기초 앵커의 중앙부를 표시하고 4개 기둥점을 향한 각도 표시 기초 앵커 설치 -기초 앵커 설치 후 철근 배근 실시

4. 기초 설치 철근 배근 2차 콘크리트 타설 -도면을 참고하여 정확하게 조립 -두께 1200mm로 타설 사진출처 : 백종엽 건축시공기술사 마법학교(네이버 카페) http://cafe.naver.com/gisulsacafe.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30636 철근 배근 2차 콘크리트 타설 -도면을 참고하여 정확하게 조립 -두께 1200mm로 타설 -동하절기 각각 10일, 7일 양생 -210kg/cm2 의 강도 확보

4. 기초 설치 본 현장 기초 철근 배근도

5. 타워크레인 설치 11톤 카고 5대에 실려온 타워크레인 구성부재 구성부재 하역 오전 7:33

5. 타워크레인 설치 기초 부위 정리 및 베이직 마스트 인양 실시 베이직 마스트 설치 오전 7:36

5. 타워크레인 설치 베이직 마스트 결합 전 핀 결속 베이직 마스트 설치 오전 7:41

5. 타워크레인 설치 타워의 볼트 연결 부위 1. 슬루잉 플렛폼-볼 슬루잉 링 2. 볼 슬루잉 링-슬루잉 링 서포트 그림출처 : 김정민, 1995, ‘타워크레인 설치 및 해체’, 「건설안전기술」, p36. 타워의 볼트 연결 부위 1. 슬루잉 플렛폼-볼 슬루잉 링 2. 볼 슬루잉 링-슬루잉 링 서포트 3. 슬루잉 링 서포트-타워섹션 4. 타워섹션-타워섹션 5. 타워섹션-베이스 타워섹션 6. 베이스 타워섹션-기초 앙카

5. 타워크레인 설치 베이직 마스트 설치 오전 7:45 타워 기초에 베이직 마스트 결합 (동영상) 마스트 하역 (동영상) 임팩 렌치를 이용한 핀의 완전 체결 (동영상) 텔레스코핑 케이지 하역 (동영상) 베이직 마스트 설치 오전 7:45

5. 타워크레인 설치 앵커 기초와 베이직 마스트 결합 FOUNDATION

5. 타워크레인 설치 베이직 마스트와 마스트의 결합

5. 타워크레인 설치 볼트 체결 방법 보호캡 볼트 와셔 디스턴스 링 와셔 너트 역할은? 볼트 관입 방향이 다른 이유는? 그림출처 : 김정민, 1995, ‘타워크레인 설치 및 해체’, 「건설안전기술」, p37. 볼트 체결 방법 보호캡 볼트 와셔 디스턴스 링 역할은? 와셔 너트 볼트 관입 방향이 다른 이유는?

5. 타워크레인 설치 타워헤드 하역 구성부재 하역 오전 8:14

5. 타워크레인 설치 카운터 지브 하역 구성부재 하역 오전 8:20

5. 타워크레인 설치 발라스트 하역 구성부재 하역 오전 8:26

5. 타워크레인 설치 카운터 지브 패널 부, 타이바 하역 구성부재 하역 오전 9:04

5. 타워크레인 설치 텔레스코핑 케이지 발판 설치 텔레스코핑 케이지 설치 오전 10:34

5. 타워크레인 설치 텔레스코핑 케이지 발판 설치 텔레스코핑 케이지 설치 오전 10:34

5. 타워크레인 설치 텔레스코핑 케이지 발판 설치 텔레스코핑 케이지 설치 오전 10:39

5. 타워크레인 설치 텔레스코핑 케이지 발판 설치 텔레스코핑 케이지 설치 오전 10:39

5. 타워크레인 설치 텔레스코핑 케이지 발판 설치 텔레스코핑 케이지 설치 오전 10:54

5. 타워크레인 설치 텔레스코핑 케이지 발판 설치 텔레스코핑 케이지 설치 오전 10:54

5. 타워크레인 설치 텔레스코핑 케이지 발판 설치 텔레스코핑 케이지 설치 오전 10:54

5. 타워크레인 설치 텔레스코핑 케이지 발판 설치 텔레스코핑 케이지 설치 오전 11:08

5. 타워크레인 설치 텔레스코핑 케이지 상세 도면 (유압펌프) (가이드 레일)

케이지 밀착 불량으로 인한 접촉면 그라인더 작업 (동영상) 5. 타워크레인 설치 인양 전 케이지 세우기 (동영상) 케이지 인양 및 결속 (동영상) 케이지 밀착 불량으로 인한 접촉면 그라인더 작업 (동영상) 텔레스코핑 케이지 설치 오전 11:41

5. 타워크레인 설치 타워헤드 설치 타워헤드 설치 오전 12:29

5. 타워크레인 설치 카운터 지브의 패널부와의 결합 (동영상) 결합 보강 작업 (동영상) 카운터 지브 설치 오후 2:07

5. 타워크레인 설치 트롤리 하역 구성부재 하역 오후 2:18

5. 타워크레인 설치 유압모터 이동 카운터 지브 설치 오후 2:20

5. 타워크레인 설치 유압모터 용 전선 이동 카운터 지브 설치 오후 2:20

5. 타워크레인 설치 카운터 지브 설치 오후 2:39 보조로프를 동원한 카운터 지브 인양 (동영상) 카운터 지브 타워에 결속 (동영상) 타워헤드와 카운터 지브의 타이바 결합 (동영상) 카운터 지브 수평 내리기 (동영상) 발라스트 안착 (동영상) 카운터 지브 설치 오후 2:39

5. 타워크레인 설치 메인 지브의 지상 조립을 위해 부재의 지상 안착 메인 지브 설치 오후 3:10

5. 타워크레인 설치 메인 지브 설치 오후 2:39 1, 2번 메인 지브의 지상 조립 (동영상) 트롤리 내 잔여 와이어 제거 (동영상) 2번 메인 지브에 트롤리 결합 (동영상) 트롤리 결합 완료 (동영상) 메인 지브 설치 오후 2:39

5. 타워크레인 설치 1, 2번 메인 지브에 3번 지브 결합 메인 지브 설치 오후 3:50

5. 타워크레인 설치 4번 메인 지브 결합 메인 지브 설치 오후 3:59

5. 타워크레인 설치 메인 지브 설치 오후 4:21 타이바 조립 (동영상) 지브에 타이바 결합 (동영상) 타이바 겹침 부분 결속선으로 고정 (동영상) 메인 지브 설치 오후 4:21

기존 와이어 제거 및 새 와이어 준비, 임시 배전 작업 5. 타워크레인 설치 기존 와이어 제거 및 새 와이어 준비, 임시 배전 작업 와이어 교체 작업 오후 5:04

5. 타워크레인 설치 와이어 교체 작업 오후 5:30 전진부, 후진부 와이어 동시에 감기 (동영상) 트롤리에 와이어 결속 (동영상) 와이어 교체 작업 오후 5:30

5. 타워크레인 설치 거리 측정 센서 부착 오후 5:08 후진 측 거리 측정 센서 용접 작업 (동영상) 전진 측 거리 측정 센서 배선 완료 (동영상) 거리 측정 센서 (동영상) 거리 측정 센서 부착 오후 5:08

5. 타워크레인 설치 메인 지브 설치 오후 6:09 메인 지브 인양 1 (동영상) 2 메인 지브 결속 (동영상) 겹침 타이바 결속선 제거 (동영상) 메인 지브 설치 오후 6:09

5. 타워크레인 설치 메인 지브 설치 오후 6:42 타워헤드에 메인 지브 타이바 결속 (동영상) 결속완료 메인 지브 인양 와이어 제거 (동영상) 보조로프 제거 (동영상) 메인 지브 설치 오후 6:42

5. 타워크레인 설치 조립 완료 오후 7:00 시험 회전 시험 작동 (동영상) 트롤리 시험 작동 (동영상) 발라스트 안착 (동영상) 텔레스코핑 작업 준비 후 현장 정리 (동영상) 조립 완료 오후 7:00

5. 타워크레인 설치 조립 완료 (약 10시간 소요) 오후 7:37

6. 텔레스코핑 준비사항 가이드 섹션의 유압장치가 있는 방향으로 카운터 지브의 방향을 선회 클라이밍 작업 전 올려질 마스트들을 지브 방향으로 미리 이동시킴 전원공급 케이블을 텔레스코핑 장치에 연결 유압펌프의 오일량을 점검 모터의 회전 방향을 점검 유압장치의 압력을 점검 유압실린더의 작동상태 확인 배전 패널 내부 설정을 통한 후크 자동 정지 해제

컨트롤러 조작 모습 및 마스트 이동 완료 (동영상) 6. 텔레스코핑 지브 선회 및 마스트 이동 준비 (동영상) 컨트롤러 조작 모습 및 마스트 이동 완료 (동영상) 상승 하강 비상정지 롤러 결속 (동영상) 마스트 양중 전 준비 오전 8:22

6. 텔레스코핑 잔흙 제거 컨트롤러 상승 마스트 양중 전 준비 오전 8:44

6. 텔레스코핑 마스트 양중 후 작업 오전 9:03 마스트 상승 (동영상) 마스트 내 재료 내리기 (동영상) 타이핀 교체 실패 (동영상) 마스트 양중 후 작업 오전 9:03

6. 텔레스코핑 마스트 양중 후 작업 오전 9:14 마스트 방향 선회 후 레일 안착 (동영상) 마스트 양중 와이어 해체 줄걸이용구 직접 체결 (동영상) 마스트 양중 후 작업 오전 9:14

6. 텔레스코핑 마스트 양중 후 작업 오전 9:21 임팩 렌치 이용, 턴 테이블 볼트 해체 (동영상) 전선 풀기 (동영상) 실린더 저속 상승 (동영상) 실린더 교대 상승 (동영상) 풍속 현황 (동영상) 2번째 마스트 레일 위 안착 (동영상) 마스트 양중 후 작업 오전 9:21

서포트 슈, 실린더 슈 클라이밍 웨브에 걸기 (동영상) 6. 텔레스코핑 케이지 상승 전 균형 맞추기 (동영상) 25m 1ton 서포트 슈, 실린더 슈 클라이밍 웨브에 걸기 (동영상) 실린더 상승 (동영상) 텔레스코핑 근접 관찰 오전 10:40

6. 텔레스코핑 텔레스코핑 근접 관찰 오전 10:52 케이지 상승 모습 (동영상) 마스트 접합면 그라인더 작업 (동영상) 레버블록 이용한 마스트 추가 상승 (동영상) 래칫 렌치 이용한 마스트 밀기 (동영상) 텔레스코핑 근접 관찰 오전 10:52

6. 텔레스코핑 마스트 간 볼트 체결 롤러 제거 임팩 렌치 이용 상세 모습 (동영상) 텔레스코핑 근접 관찰 오전 11:07

6. 텔레스코핑 후크 이동 제한 관련 배전 패널 내부 설정 해제 텔레스코핑 근접 관찰 오전 11:46

트롤리에 탑승 후 표지판 고정 작업 위해 이동 (동영상) 6. 텔레스코핑 트롤리에 탑승 후 표지판 고정 작업 위해 이동 (동영상) 표지판 고정, 텔레스코핑 완료 (약 4시간 소요) 오전 11:48

6. 텔레스코핑 텔레스코핑 과정 사진출처 : 건축시행/인테리어/건축자재(네이버 카페) http://cafe.naver.com/linecontra.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30702 텔레스코핑 과정

6. 텔레스코핑 텔레스코핑 과정 사진출처 : 건축시행/인테리어/건축자재(네이버 카페) http://cafe.naver.com/linecontra.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30702 텔레스코핑 과정

6. 텔레스코핑 텔레스코핑 과정 사진출처 : 건축시행/인테리어/건축자재(네이버 카페) http://cafe.naver.com/linecontra.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30702 텔레스코핑 과정

7. 타워크레인 해체 해체 전 준비사항 유압 실린더와 컨트롤러의 정상 가동 여부 확인 풍속이 10m/s 이하인지 확인 주변 현장의 여건을 확인하여 위험 요소나 장애물들은 확실히 제거

7. 타워크레인 해체 해체순서(하강) 메인 지브의 방향을 가이드 레일 방향과 일치시킴 최상부 마스트와 턴 테이블 간 결속된 조립볼트 해체 최상부 마스트에서 마스트 체결볼트 해체 마스트에 롤러 결합 롤러가 가이드 레일에 안착될 때까지 유압 실린더를 조절 마스트를 가이드 레일 밖으로 밀어냄 실린더를 하강시키고 조립 볼트 재 결속 마스트를 지상으로 이동

7. 타워크레인 해체 해체순서(분리) 후크 및 와이어 드럼 등 분리 무게 균형을 고려하여 발라스트 분리 메인 지브를 높여 타이바와 메인 지브 연결부 해체 메인 지브 분리 및 잔여 발라스트 분리 카운터 지브 분리 타워헤드 분리 텔레스코핑 케이지 분리 베이직 마스트 분리

결론 및 후기

1. 현장에서 발견된 문제점 안전 측면 안전교육, 안전장치, 안전구의 허술함 현장에 동시에 도착하였으나 안전교육 모습 보이지 않았음 추락 및 낙하 방지용 안전장치를 갖추고 있지 않았음 안전구를 철저히 착용하지 않았음

케이지 정위치 작업 시 와이어 결속 불량에 따른 위험 1. 현장에서 발견된 문제점 안전 측면 케이지 정위치 작업 시 와이어 결속 불량에 따른 위험

1. 현장에서 발견된 문제점 안전 측면 타이바 결합 시 일부 핀 고정 허술

1. 현장에서 발견된 문제점 안전 측면 겹침 타이바 결속선 제거 작업

1. 현장에서 발견된 문제점 안전 측면 지브 인양 와이어 및 보조로프 제거

1. 현장에서 발견된 문제점 안전 측면 볼트 등 부재의 낙하 위험 방치

1. 현장에서 발견된 문제점 안전 측면 산업안전공단의 감시 체계 미흡 올 2월부터 타워크레인 건설기계로 분류 완성검사, 정기검사, 자체검사 실시 검사를 제외하면 별다른 현장 안전 감시체계 없음 현장 작업자들의 안전불감증을 키우는 요인

1. 현장에서 발견된 문제점 현장 여건 측면 현장의 열악함 중형 건설업체의 중형 건설 현장 FAX, 복사기기, 급수시설 등을 갖추지 못함 풍속 측정 장비의 부재 볼트 체결 시 보호캡 부재

1. 현장에서 발견된 문제점 작업자의 전문성 용어 사용의 혼란 현장에서는 주로 줄임 용어를 사용하고 있었음 현장용어와 전문용어의 불일치에서 오는 혼란 전문자료의 전문용어 및 내용은 작업자들도 모를 것이라 했음 전문용어의 정착화 필요

1. 현장에서 발견된 문제점 작업자의 전문성 작업의 준비부족 타이핀 부족 및 핀 크기 선택 실수 텔레스코핑 작업 중 전선 정리 작업 불필요한 작업 시간 추가, 효율성 저하 초래

1. 현장에서 발견된 문제점 작업자의 전문성 작업자의 자질 양중장비 관련 사고는 대형사고로 직결 작업자들의 안전의식과 전문성이 작업의 질 좌우 작업자 스스로의 전문적 지식 함양 노력 필요

2. 결론 초고층 건축물의 존재는 타워크레인의 등장과 발전에 따른 성과물 현대의 건축 시공에 있어 필수적인 장비로 자리매김 결핍된 안전의식과 전문성의 결여는 대형사고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 새로운 안전관련 법적 제도 정비 및 재해상황 대처방안 절실 조종사의 1일 규정 노동시간 준수로 노동 착취 중단 필요 작업자 스스로의 안전의식 고취만이 무재해의 지름길

3. 개인적 후기 송광철 정유경 어렵게 견학이 성사된 본 현장은 현장 관계자들의 관심과 도움으로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음에 감사하나, 안전과 관련된 그들의 태도에는 큰 실망을 하지 않을 수 없었다. 타워크레인의 설치 및 해체 중에 발생할 사고는 그들의 생명을 단숨에 앗아갈 수도 있건만 그들의 낮은 안전의식은 쉽게 개선될 것 같지 않아 보였다. 직접 타워크레인에 올라가 본 결과 그 위험성은 눈과 몸으로 확인되었고, 목숨을 걸고 일하는 작업자들에게서 가치 없는 대담함만을 느꼈다. 정유경 현장 견학을 통해 이론적으로만 익혔던 내용을 직접 눈으로 봄으로써 이론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가 가능했다. 하지만 작업을 지켜보면서 작업자 분들의 작업 환경과 안전상의 문제에 대해서 심각하게 생각하게 되었다. 분명 다른 현장에서 도 마찬가지로 일어날 수 있는 일이라 생각된다.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한 상황에서 작업이 이루어질 경우 안전사고에 대한 철저한 대비가 필요할 것 같다.

참고문헌 강신준, 2006, 『핵심 타워크레인』, 골드기술사 * 참고문헌 강신준, 2006, 『핵심 타워크레인』, 골드기술사. 김용태, 2001, ‘건설현장의 타워크레인 설치ㆍ해체 작업 시 중대 재해방지에 관한 고찰’, 밀양대학교. 김정민, 1995, ‘타워크레인 설치 및 해체’, 「건설안전기술」, 제17호, pp.35-44. 이찬식, 2005, 『건축시공학』, 한솔아카데미.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0, ‘타워 크레인 설치 및 해체 시공계획서’. 한국산업안전공단, 2002, ‘타워크레인 설치ㆍ해체 작업 시 안전’, 「안전보건」, 제14권 5호, pp.18-37. * 도움 주신 분들 ㈜ 에스엠 타워 대표이사 이 명덕 ㈜ 에스엠 타워 A/S 부장 백 성복 ㈜ 에스엠 타워 팀장 정 회식 * 현장방문정보 * 1차 현장방문 : 5월 17일 7:00~09:00 * 2차 현장방문 : 5월 22일 7:00~20:00 * 3차 현장방문 : 5월 31일 8:00~12:00 * 발표자료 구성현황 < 총 127 Page 본 PT 내용 중 > * 자체자료 87p / 127p (68%) * 참고자료 40p / 127p (32%)

감 사 합 니 다 질의응답 시간

추가 발표 (러핑크레인, 타워크레인의 설치 위치 계획)

< 목 차 > 러핑형 크레인의 구조 및 설치 타워크레인의 설치 위치 계획 EBS 다큐프라임 ‘크레인’ 시청 < 목 차 > 러핑형 크레인의 구조 및 설치 타워크레인의 설치 위치 계획 EBS 다큐프라임 ‘크레인’ 시청 * 참고문헌 * 도움주신 분들

1. 러핑형 크레인의 구조 및 설치 luffing로프 A 프레임 카운터 발라스트 후크 운전실 메인지브 호이스트 로프 카운터지브 턴테이블 마스트 기초마스트 기초앵커

1. 러핑형 크레인의 구조 및 설치 설치순서 기초앵커설치 기초마스트 설치 마스트 설치 텔레스코핑케이지 설치 운전실, 턴테이블 설치 카운터 지브 설치 크레인 인상 작업 A프레임 설치 발라스트 설치 메인지브 설치 러핑로프 설치

1. 러핑형 크레인의 구조 및 설치 카운터지브 설치

1. 러핑형 크레인의 구조 및 설치 A프레임 설치

1. 러핑형 크레인의 구조 및 설치 카운터 발라스트 설치

1. 러핑형 크레인의 구조 및 설치 메인지브 설치

1. 러핑형 크레인의 구조 및 설치 러핑로프 설치

2. 타워크레인의 설치 위치 계획 현장에서의 일반적인 양중 계획 방법 구 분 내 용 계획의 범위 구 분 내 용 계획의 범위 T/C 기종 선정, 대수 및 설치 위치 T/C의 설치, 마스트 상승, 유지관리, 해체 방법 계획작성자 공사총괄, 현장소장 등 1~2인 작성보조자 전문건설업체, 장비업체 작성방법 경험과 직관에 근거한 작성 참고자료 도면, 시방서 및 공정계획 전문업체의 제안서 및 자료 유사현장 가설계획 자료 계획결과물 양중장비 배치계획도 (작업반경 포함) 양중장비 설치, 해체, 운영 계획 장비제원표 양중부하 계산결과 양중계획 공정표 (장비투입 대수 및 일정) 양중계획 소요 예산품의서

2. 타워크레인의 설치 위치 계획 장비 특성 차원의 고려사항 설치형식 보강유형 마스트 상승 방식 해체 일반적으로 고정형 적용 초고층 건물의 경우 상승형 적용 설치형식 자립높이 50m 이상일 시 월타이(wall-tie)나 인장 와이어로 보강 보강유형 텔레스코핑(외부, 추가 마스트, 보강필요) 상승형(내부, 추가 마스트, 마스트 크기 변동) 추가 비용 발생 여부와 밀접한 연관 마스트 상승 방식 해체 T/C의 위치에 따라 해체방식 결정

2. 타워크레인의 설치 위치 계획 위치 선정 시 고려사항 설치가능성 해체가능성 작업반경 만족 기타 고려사항 관련검토사항 - 지반의 안정성 - wall bracing 보강 시 건물과의 이격거리(10m) 설치가능성 - 해체 시 인접건물 또는 본 건물과의 간섭여부 - 해체 시 부재의 적재 공간 존재여부 - 해체방법(자립, 하이드로 크레인 등) 해체가능성 - 인접건물과의 간섭 - 지브의 길이에 따른 최대 양중량 - 야적장과의 접근성 작업반경 만족 - 작업의 용이성 - 공사 비용 - 공사 기간 기타

2. 타워크레인의 설치 위치 계획 시공계획서(예시)

2. 타워크레인의 설치 위치 계획 양중장비 배치계획도(예시)

2. 타워크레인의 설치 위치 계획 양중계획 공정표(예시)

3. EBS 다큐프라임 ‘크레인’ [7:10~8:40] 텔레스코핑 작업 [8:40~9:40] 해체작업 [9:40] 부재 제작 공장 [11:00~13:50] 양중 원리 [13:50~16:00] 상승형 타워 원리 [16:00] 상승형 타워의 해체 [17:00] 부산항 [31:00] 인천대교(해상크레인) [41:00] 크레인의 미래

참고문헌 이현수 외 2명, 2002, “고층건축공사의 타워크레인 계획 프로세스 개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18 권6호, pp119-126. 박정현 외 3명, 2003, “고층건물 타워크레인 위치선정 모델”,「한국건설관리학회」. 주진호, 1994, “고층건축공사에 있어서 타워 크레인의 최적위치선정 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 제14호1권, pp.491-494. * 도움 주신 분 ㈜ 현해건설 도남열 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