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화학 개론.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I. 우주의 기원과 진화 4. 별과 은하의 세계 4. 분자를 만드는 공유결합. 0 수소와 헬륨 ?  빅뱅 0 탄소, 질소, 산소, 네온, 마그네슘, … 철 ?  별 별 0 철보다 더 무거운 원소들 …( 예 > 금, 카드뮴, 우라늄 …)?  초신성 폭발 원소들은.
Advertisements

Ⅰ. 우주의 기원과 진화 3. 원자의 형성 원자의 구성 - 원자핵 (+) 와 전자 (-) - 전기적 중성 - 원소의 종류마다 원자핵의 질량과 전자의 개수가 다름.
주기율표 제 8장제 8장 Copyright © The McGraw-Hill Companies, Inc. Permission required for reproduction or display.
Ⅳ. 소화, 순환, 호흡, 배설 3. 혈액이 빙글빙글 돌아요 !. 학습 목표 온몸 순환과 폐순환의 경로 및 의의를 설명할 수 있다. 혈액 순환 과정에서 물질의 이동 방향을 설명할 수 있다. Page_2.
제 4 장 분자와 화합물 4.1 물질의 성질, 분자의 성질 * 분자의 성질이 물질의 성질이다. * 이 장의 학습목표 1) 분자란 무엇이며 어떤 기능을 가지는가. 2) 분자는 거시적인 물질들을 어떻게 형성하는가.
I. 주변의 물질 3-1. 금속 알칼리 금속 (p96~97) Lesson 20.. ■ 이번 시간의 학습 목표 1. 알칼리 금속에 대해 이해한다.
산과 염기의 성질. 산 또는 염기가 리트머스시험지나 지시약의 색을 어떻게 변화 시키는가를 알아본다. 산의 금속 또는 어떤 산의 염과 어떻게 반응하는가를 조사하 여 보고 산, 염기의 화학적 성질을 알아본다. 실험목적 실험기구 및 시약 시험관, 시험관 받침대, 스포이드,
시약 및 Buffer 의 농도 계산법과 Pipette 의 사용법 기초생명과학 및 실험 2 주차.
Ⅱ 세포의 주기와 생명의 연속성 Ⅱ 세포의 주기와 생명의 연속성 - 1. 세포주기와 세포분열.
1. 유전자에서 기능적인 능력을 갖는 분자로 어떻게 정보가 흘러가는가 ? 2. 생명체에게 에너지를 공급하는 분자구조 규명, 효소기능 규명 3. 의학과의 연관성 핵산 유전병 단백질 낫적혈구 빈혈 생화학 의학 지질 동맥경화증 탄수화물 당뇨병.
12강. 용액과 농도.
목차 Ⅰ Ⅱ Ⅲ Ⅳ Ⅴ 체액의 분포와 기능 신체의 항상성과 조절계 체온의 항상성 조절 체액의 산, 염기 항상성 조절
2. 잎까지 운반된 물은 어떻게 될까? 학습목표: 증산작용을 설명할 수 있다..
2010년 1학기 생활속의 미생물-3주차 미생물을 형성하는 분자.
산화막 (Oxide, SiO2)란?.
세포생물학 Chapter 4: 인지질과 막구조.
4장 수용액 반응 4.1 수용액의 일반적인 성질 4.2 침전 반응 4.3 산-염기와 중화 반응 4.4 산화-환원 반응
앙금 생성 반응식(1) 누가 앙금을 만들었는지 쉽게 알려 줘! 앙금 생성 반응식.
SDS-PAGE analysis.
전자기적인 Impedance, 유전율, 유전 손실
투명 비누 만들기.
5장 용액의 성질 용액(solution)과 용해 용해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용액의 농도 용액의 총괄성.
제 6장 지질대사.
12장 화학반응의 반응열의 종류 화학 년 1학기.
미생물의 대사작용 Microbial Metabolism
08. 선천성 및 유소아 질환 1. 선천성 유전질환 1) 유전학적으로 본 병인의 분류
실험의 목적 산화-환원적정법의 원리 이해 산화-환원 반응식의 완결(산화수) 노르말 농도 및 당량 과망간산 용액의 제조법
Fourier Transform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meter
생화학 11장 전자전달계와 산화적 인산화.
4-6. 광합성 작용(1).
미생물학 길라잡이 8판: 라이프사이언스.
생화학 1장 물과 세포.
과산화수소수의 촉매 분해 진주중학교 3학년 주동욱.
생화학 1장 생화학이란?.
화학 조별과제 박성준 임교순 전우현.
Chapter 3 Cells and their function -2
체 세 포 분 열 배 수 경 중3 과학.
생체전기 방사선과 2학년 김경대.
연소 반응의 활성화 에너지 연료가 연소되기 위해서는 활성화 에너지가 필요합니다.
(생각열기) 혈액의 순환 경로를 크게 두 가지로 나누면?
태양, 지구의 에너지 창고 교과서 87p~.
박진우 Buffer(완충제).
중화반응 구현고등학교 지도교사 :이병진.
6-7. 전해질, 화학식으로 표현하기 학습 주제 < 생각열기 >
고분자 화학 4번째 시간.
식품에 존재하는 물 결합수(bound water): 탄수화물이나 단백질과 같은 식품의 구성성분과 단단히 결합되어 자유로운 이동이 불가능한 형태 자유수(free water): 식품의 조직 안에 물리적으로 갇혀 있는 상태로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한 형태.
6-9. 앙금 생성 반응이 일어나면 학습 주제 < 생각열기 >
Chapter 18 방사능과 핵에너지.
고등학교 생물 학습자료 이 자료는 고등학교 ‘생물’ 의 “생명의 연속성” 단원에서 세포 분열에 관한 수업을 위한 것입니다.
식물의 광합성 식물은 어떻게 영양분을 만들까요? 김 수 기.
끓는점을 이용한 물질의 분리 (1) 열 받으면 누가 먼저 나올까? 증류.
III. 아름다운 분자 세계 3. 탄소 화합물 … 01. 다양한 탄소 화합물 02. 탄화수소의 다양한 구조
제 6장 세포주기 세포분열과 세포예정사 사이의 균형 세포 주기 세포주기의 조절 세포예정사 암 – 세포주기의 이상.
1-5 용해도.
1 영양소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영양소 탄수화물 단백질.
물의 전기분해 진주중학교 3학년 주동욱.
식품의 냄새.
광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 - 생각열기 – 지구 온난화 해결의 열쇠가 식물에 있다고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metry)
P 86.
DNA의 구조와 역할 (1) DNA : 이중 나선 구조로 수많은 뉴클레오타이드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P 양분의 전환과 이용.
지구화학 및 실험 유재영 강원대학교 지질학과.
분별증류 GROUP12 조만기 양나윤 김세인.
III. 아름다운 분자 세계 1. 화학 결합 … 01. 분자 구조의 다양성 02. 화학 결합의 성질 03. 이온 결합
(생각열기) 운동 선수들이 땀을 많이 흘린 후 빠른 수분 보충을 위해 마시는 음료를 무엇이라 하는가? ( )
생물막 (Biofilm).
풍화 작용 (교과서 p.110~113) 작성자: 이선용.
생명의 청사진 분자유전체의학 김 경 원.
저온지구시스템화학 및 실험 Ch.6 용해도도 JYU.
Presentation transcript:

생화학 개론

생명체  생체 분자의 합성 이온과 분자의 세포막 통과 세포의 운동 노폐물의 제거

생화학 반응(biochemical reaction) 1) 친핵성 치환 반응 친핵체: 음(-)이온 또는 비결합성 전자쌍(non-bonding electron pair)

가수분해(hydrolysis) : 물분자의 산소가 친핵체로 쓰이는 반응

2) 제거반응: 한 분자 내 원자들 제거, 이중결합 형성

3) 첨가반응 - 두 분자가 결합하여 하나의 생성물 형성 - 수화반응(hydration) : 대표적 첨가반응, 물분자(H2O) 첨가

4) 이성질화 반응 : 같은 분자 내 원자나 화학군이 이동하여 발생

5) 산화-환원 반응 전자수용체(산화제, oxidazing agent)에 전달 할 때 - 전자를 공여체(환원제, reducing agent)로부터 전자수용체(산화제, oxidazing agent)에 전달 할 때 - 전자를 주면 산화(oxidized), 전자를 받으면 환원(reduced) - 산화와 환원은 동시에 발생 - 한 분자가 산소를 얻거나 수소를 잃으면 산화(에틸알코올 → 아세트산) - 한 분자가 산소를 잃거나 수소를 얻으면 환원(아세트산 → 에틸알코올) 

다세포생물(인간)의 계층

대사(metabolism) - 동화 과정(anabolic pathway) :작은 전구물질 → 크고 복잡한 분자 합성, 에너지 소모 - 이화 과정(catabolic pathway) : 크고 복잡한 분자 → 작은 물질로 분해, 에너지 방출

생물체가 자신의 생명유지를 위해 필요 모든 세포에서 이용되는 에너지 형태는 ATP이다. 세포는 대사과정에서 형성되는 모든 물질을 저장할 수 있다. 에너지 : glycogen 이나 triacylglycerol로 저장될 때 ATP가 사용 대사는 세포 내 여러 소 기관에서 일어난다. 대사 과정에 관여하는 중간물질은 자유로이 세포를 떠날 수 있다. 세포 내 대사는 다양한 기전에 의해 조절샘

생체분자(biomolecule) 주로 C, H, O, N, P, S 등으로 구성 미량의 금속과 비금속원소 포함 결합 형태 : 주로 공유 결합  탄화수소(hydrocarbon)로부터 유래 소수성(hydrophobicity) 작용기에 의해 유도체 분자들의 화학적 성질 결정 생물체의 구조, 기능 및 정보전달에 사용 생체분자(biomolecule)

생명현상을 이루는 화학의 기초 탄소의 결합 성질 탄소(C) : 원자 번호 6, 원자량 12, 여러 종류의 원자들과 안정적인 공유결합을 형성 생물학적으로 중요한 탄소 결합 : 수소(H), 질소(N), 산소(O), 황(S), 인산(P) 결합형태 : 단일, 이중, 삼중 결합을 형성 탄소원자는 4개의 원자 결합이 형성 가능 : 탄소원자의 결합의 다양성을 제공 탄소 결합의 배열 : 직선상, 가지상, 고리모양 탄소분자의 결합은 생체분자의 골격 구조를 형성하는 데 주요 탄소와 N, H, O, S 원자의 결합 : 작용기의 함입을 허용 -> 생체 혼합물의 보다 광범위한 화학적 변화를 유발

생체 분자의 종류

생체분자의 구조와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힘 공유결합 : 매우 안정되고 생리적 조건에서는 파괴되지 않는 결합, 강한 결합 비공유결합 : 생물학 기능과 생체 분자의 조절에 중요, 약한 결합 - 반데르발스힘, 수소결합, 이온결합, 소수성결합

생체 분자의 중요한 작용기

세포(Cell) 원핵세포 : 단일세포 세포 내 소기관이 없음, 단일 염색체, 단순한 이중가닥 DNA, 다공성의 세포벽(세포의 형태유지, 보호), 운동성(편모, 섬모), 세포막(선택적 투과)

진핵세포: 막에 둘러싸인 핵, 세포내 소기관이 존재, 많은 염색체, DNA와 단백질이 함께 구성

1) 세포막 점액다당(세포 보호 분비물), 당지질(탄수화물 및 지질 분자), 당단백질 (탄수화물과 지질 결합물질)로 구성 단백질, 지질 및 이중층 배열이 동일한 비율로 구성 분자이온과 물의 선택적 유입 및 유출에 대한 역할 Na+, K+등 많은 능동수송 체계들을 가짐

2) 핵 세포 내 염색체를 포함하는 세포 소기관 진핵세포의 필수 성분 핵과 세포질 사이의 물질교환이 허용 되는 구멍, 얇은 핵막에 의해 둘러싸여 있음 핵질에는 DNA와 단백질의 복잡한 구조로 된 섬유상 구조인 염색체가 존재 단백질 합성을 위한 유전정보의 전사과정은 핵에서 진행 핵소체 : 특정 염색체의 특별한 부분과 관련, RNA가 특징적으로 풍부 (라이보소체, RNA를 합성하는 장소이기 때문)

3) 사립체(미토콘드리아) 세포의 에너지생산 공장 이중 세포막 기관(내막 – 바탕질, 효소가 풍부, 외막) 산화 - 호기성 호흡(이산화탄소와 물 분자 생산), ATP 변환 다양한 고분자 성분의 합성에 필요한 DNA를 가짐

4) 거친면, 매끈면 세포질세망(조면, 활면 소포체) 진핵세포의 세포질 전체로 퍼져 잇는 가는 관 구조의 평평하며 서로 연결된 단일막 소포의 체계(시스터나, 세관으로 구성) - 세포에서 생성된 화합물이나 호르몬, 단백질 등을 수송(단백질의 통로로 기능) 골지체로 합성된 단백질을 운반하는 기능을 담당 거친면 세포질세망(조면소포체) 세포질세망의 일부분의 외부 표면에 라이보소체가 부착(표면이 거칠어 보임), 부착된 라이보소체가 단백질의 합성 매끈면 세포질세망 세포질세망에 라이보소체가 없는 매끄러운 부분 스테로이드 생합성 및 해독 기전을 담당

5) 골지체 층층이 쌓인 평평 단일막 소포(시스테나)로 구성 세포질세망에서 만들어진 단백질들의 변형이 일어남(단백질이 올바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 단백질을 분비하는 세포(이자세포)의 골지체 - 합성된 물질을 분리, 농축하는 역할, 분비가 된 후 새롭게 합성된 단백질을 저장

6) 용해소체(라이소좀) 작은 단일막 소포 DNA, RNA를 분해할 수 있는 핵산분해효소와 같은 효소를 포함 용해소체의 막은 스트레스에 매우 민감(막의 파열은 세포를 분해 하는 효소의 방출로 세포의 죽음을 유발-> 소화) 정상세포에서는 교체가 필요한 세포 구성성분을 분해하는 기능 외부 물질은 식세포 작용과 음세포 작용에 위해 세포 안으로 끌어들여 용해 가수분해 효소를 가짐

7) 과산화소체(퍼옥시솜) 용해소체와 크기가 비슷한 세포 소기관 효소 결정으로 구성된 단단한 중심부가 관찰 효소(요산 산화효소, 과산화수소분해효소)는 과산화수소를 포함하는 여러 화합물의 반응을 촉매 과산화소체의 다양한 생리기능은 아직 명확하지 않음 -> 에너지와 산화 대사 및 특정 대사경로에서 일정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됨 과산화수소분해 효소 활동 – 효소와 다른 대사과정에 의해 생성된 세포 내 과산화수소의 처리에 중요

물(H2O): 생명체의 매질

물(H2O) 세포의 가장 많은 구성요소, 전체 체중의 60~70% 차지 생화학 반응, 막을 통한 물질 수송, 체온 유지, 소화액 생산, 배설물의 용해과정에 필요 체내 수분 균형의 유지(대사과정에 중요)

물의 화학 높은 녹는점, 끓는점, 기화열, 큰 표면장력을 가짐 물의 전기적 특성: 쌍극성 분자(극성) → 물분자의 산소원자와 다른 화학물질의 수소원자 사이에서 발생하는 수소결합 형성에 기여 → 구조화 된 용매의 특성, 액체 상태에서 강력한 내부 응집력을 가짐

용매로서의 물 물 분자는 이온성 화합물에 대해 우수한 용매 양친매성 분자들은 물에 분산되는 극성(친수성)과 비극성(소수성)작용기를 모두 소유한 물질 -> 양친매성 분자 -> 수용액에 녹일 때 미셀 형성

물의 해리 상수(Kw) ▶물의 자동 이온화 ▶물의 해리상수 (물의 이온곱 상수) 순수한 물에서 극히 일부분의 물 분자들끼리 서로 수소이온을 주고 받아 H3O+과 OH-로 이온화 되는 현상 H2O(l) + H2O(l) H3O+(aq) + OH-(aq ) ▶물의 해리상수 (물의 이온곱 상수) 물이 자동 이온화 하여 평형상태를 이룰 때의 평형 상수 H2O(l) + H2O(l) H3O+ + OH- K = [H3O+][OHㅡ] / [H2O]2 (물의 몰농도는 일정하므로 [H2O]는 상수로 취급) K[H2O]2 = Kw라 하면 Kw = [H3O]+ [OH]- = [H+][OH-] ▶일반적으로 상온(25℃)에서, Kw = [H+] [OH-] = 1.00x10-14 로 사용 ▶25℃의 순수한 물의 [H+] = [OH-] = 1.00x10-7 M로 일정

산과 염기 Bronsted (브뢴스테드)의 개념 산: 양성자를 유리하는 물질 염기: 양성자 받는 물질

Arrhenius(아레니우스)의 개념 산(acid): 수용액에서 H+(H3O+)를 내는 물질 HCl(aq) + H2O(l)  H3O+(aq) + Cl-(aq) 염기: 수용액에서 수산화 이온 OH-를 내는 물질 NH3(aq) + H2O(l)  NH4+(aq) + OH-(aq)

수소 이온 지수(pH) pH = log(1/[H+]) = -log[H+] ⇒[H+] = 10-pH pH : 수용액 속의 [H+]의 역수에 대한 상용로그 값 pH = log(1/[H+]) = -log[H+] ⇒[H+] = 10-pH 중성 용액의 [H+] = 1.0 x 10-7 M ⇒ pH = 7.0 pOH : 수용액 속의 [OH-]의 역수에 대한 상용로그 값 pOH = log(1/[OH-]) = -log[OH-] ⇒ [OH-] = 10-pOH 중성 용액의 [OHㅡ] = 1.0 x 10-7 M ⇒ pOH = 7.0 pH와 pOH의 관계 : 25℃에서 pH와 pOH의 합은 항상 14 산성 용액 : pH〈 7 〈 pOH 중성 용액 : pH = 7 = pOH 염기성 용액 : pH 〉7 〉pOH

수용액에서의 수소 이온 농도 수용액의 Kw값은 일정하므로 - 산을 가하여 용액 중의 H+농도가 증가하면 OH-의 농도는 감소 산성 용액 : [H+] ≻ 1.0 x 10-7M ≻ [OH-] - 염기를 가하여 용액 중의 OH- 농도가 증가하면 H+ 의 농도는 감소하여 [H+] ≺[OH-]되므로 수용액은 염기성 산성 용액 : [H+] ≺ 1.0 x 10-7M ≺ [OH-]

pH 척도 수소이온의 농도 pH값으로 표현 pH는 [H+]의 로그함수로 표현, 수소이온 농도의 음의 로그 값으로 정의 0~14의 pH 값은 수소이온 농도 1M~1x10-14M의 농도까지를 의미 순수한 물의 수소이온 농도 1x10-7M, pH7, 중성 [H+]의 증가-> 산성 조건을 생성, [H+]의 감소-> 염기성 조건을 생성 pH의 한 단위 변화는 [H+]의 농도가 10배 차이

강산과 약산 강산 : 양성자에 대한 친화력이 매우 낮아서 물에서 완전하게 해리 (이온화)할 수 있는 물질 약산: 양성자에 대한 친화력이 높은 물질, 물에 쉽게 해리되지 않는 분자 약산의 완충능력은 약산의 짝산 짝염기의 농도에 의존 -> 양성자 수용체 및 양성자 공여체의 농도 비율에 따라서 결정

완충 용액의 pH 약한 산 HA는 수용액에서 다음과 같이 평형 HA H+ + Aㅡ Ka = [H+][Aㅡ] / [HA] ⇒ [H+] = Ka x [HA] / [Aㅡ] 양변에 –log를 취하면, –log[H+] = -logKa x –log[HA,산] / [Aㅡ, 염] pH = pKa + log[Aㅡ, 염] / [HA, 산] (단, pKa = -logKa)(Henderson-Hasselbach, 헨더슨-하셀바흐공식)

완충용액과 완충작용 완충용액(Buffer Solution) 생리적 완충액(Buffer) 산이나 염기를 가하여도 공통 이온효과에 의해 pH가 거의 일정한 용액 (약산과 그의 짝염기 및 약염기와 그의 짝산으로 구성된 용액) 생리적 완충액(Buffer) 인간 체액의 pH는 다름(혈장 pH7.4) 혈액의 pH유지 -> 적혈구의 헤모글로빈, 다수의 혈장 단백질 (양성자 수용체 및 공여체로서 효과적으로 역할) 세포외 완충계 : 조직 대사에 의해 생성된 이산화탄소의 제거를 위해 필요한 수단을 제공하는 탄산(H2CO3) (탄산(H2CO3)이 해리되면 -> H+와 중탄산이온 (HCO3-)

전해질 (Electrolytes) 수용액에서 ion화 또는 해리하는 화합물 즉, 물에 녹아 전류가 흐르게 하는 물질 전기가 통하면 전기분해 산, 염기 균형 조절 전해질로는 염화나트륨, 황산, 염산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