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혜정, 김아름, 남서희, 양우리, 최미성, 김은정, 임옥연, 이윤희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글로벌리더십아카데미 글로벌 비즈니스 개인기 - 사회적 인격체 그릇 훈련기관 ‘ 현실 진단과 클리닉 강의 ’ 해외주재원가족교육 과정 – 글로벌 매너 삼성인력개발원 와인대사 안경환 2012 년 10 월.
Advertisements

1. 학교폭력의 정의 2. 학교폭력 판례 3. 학교폭력의 유형 5. 학교폭력 신고 및 사안처리 4. 학교폭력의 특징과 피해후유증 6. 학교폭력 상담기관 목 차목 차.
의정부 센트럴타워 개발개선방안 부동산개발론 과 목 : 부동산개발론 교 수 : 교수님 학 과 : 부동산법학과 제출자 :
1 모젠사업팀 CL 사업부 단말 안내 시나리오 프리미엄 WIDE Navigation 특장점 소개 - 8 인치 와이드 모니터 적용 - 전방 카메라, 후방 주차 가이드 시스템 - 멀티미디어 기능 강화 - 모젠 기본서비스 2 년 무료 - 5G 그랜저 모젠 어플리케이션 지원 시나리오.
 수학 10- 나  1 학년 2 학기  Ⅰ. 도형의 방정식 1. 평면좌표 (1/24) 두 점 사이의 거리 수업 계획 수업 활동.
제주특별자치도 (화) 전문가, 기업, 유관기관, 행정이 함께하는 수출 활성화 시책 토론회.
자동차 보험회사의 마케팅 전략 소비자주거학과 김나영 소비자주거학과 조현희 소비자주거학과 송민정 중어중문학과 강선미 회계학과 안종현.
CORPORATE PROFILE. CONTENTS 1. B.I 소개 2. 회사개요 3. 주요연혁 4. 조직현황 5. 사업현황 6. 매출현황.
한서대학교 건강관리학과를 설명합니다!.
1장 호흡기능장애 아동의간호 호남대학교 간호학과 호남대학교 간호학과.
아동보육 아동복지론 김아라.
아동학대 신고의무자가 꼭 알아야 하는 아동학대 예방 요령
지은이: 송미연·조재흥 작성자: 원다성.
임신, 출산과 부모됨 성과 인간관계.
2015년 창업기업 ICT개발기술 해외현지화 지원사업 사업계획서 작성방법
2016-2학기 취업정보처 프로그램 소개
我自信,我能行! 欢迎来到思品课堂 龙井中学:李红梅.
2018년도 중소기업 지원시책 충 청 남 도.
한국비영리섹터 지형분석 나눔으로 함께 사는 세상 지금 시작합니다 기빙코리아 공석기(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상처 주순오.
제19강 한부모가족.
외상매출채권전자대출 인터넷 약정 메뉴얼 (판매기업용) 1.
요양병원의 특징 요양 병원 입원대상자 입원 절차 와 준비물 재활치료의 시기 재활치료의 중요성 뇌졸증 발병후 회복기간
조선일보 아카이브 Chosun Archive archive.chosun.com
오휘 퍼펙트 선파우더 오휘 세컨스킨파운데이션, 메이크업베이스 오휘 립틴트밤 1/45.
2013년 2월 주요추진업무.
회사소개서
B2B 전자도서관 B2B 전자도서관 웹서비스 사용자 매뉴얼.
장염에 걸렸을 때 식이요법, 장염에 걸렸을 때 좋은 식품
01 회사소개 10년간의 노하우로 엔아이게임즈 탄생 경쟁력이 있기에 힘이 있기에, 열정이 있기에 경쟁력 있는 기업 확립.
쥐 는 수백년 동안 우리 생활에 피해 를 주는 동물로 시골 농어촌 에서 는 골치 아픈 미키 마우스
판매상품 선정하기.
에서 oracle 10g express 다운로드
3. Traceability (1) 개념 소비자 이를 소급할 수 있는 것 추적 소급
우리는 부모를 닮지만, 왜 똑같지는 않을까? 유전적 다양성 독립 연관과 교차 무작위 수정.
제 12장 노인학대.
사회복지과 3조 4번 김권수,10번 김태용,14번 노병수26번 이승주,38번 차범정,40번 허순임
지식재산 이러닝 기업 단체교육 사용자 이용 안내서
학교폭력 책임교사 역량강화 연수.
발표자- 경영학과 막 위 한남대학교 경영정보원론
인천공항 스카이 허브라운지 상세페이지  배송비 부분에서 B2B, B2C 두가지 버전이 필요하며,
수인선 인천논현역 개발사업 설명회 한국철도시설공단.
01 ※붙임자료 교수 프로필.
예비지원자 대상 안내 자료 1) 신입채용 공고.
CHAPTER 15 수술과 화상 수술과 영양 화상과 영양.
청소년 우울증 인식 개선 프로그램 안녕하세요..오늘은 jumping blue 세 번째 시간이자 마지막 시간입니다.
[투팩] 슬리퍼 (TP-ZS01) 수연대리님, 투팩 슬리퍼 상세페이지 요청 드립니다.
최우수 윤현태 이성은 정도진 최은선 황병욱 김동희
B2B 전자도서관 B2B 전자도서관 웹서비스 사용자 매뉴얼.
2일차 다문화사회 이해 직업분류 내용검토 실습, 행정사항.
[투팩] 메신저백 (TP-MB02) 수연대리님, 투팩 메신저백 상세페이지 요청 드립니다.
요양병원의 특징 요양 병원 요양병원의 정의 입원대상자 입원 절차 와 준비물 재활치료의 시기 재활치료의 중요성
창원Wee센터 게임과몰입전문상담사 박정미
판촉왕 공식인증센터_PC
안전관리의 개념화 (5주차) 담당교수님 : 홍성훈 교수님 아동보육학과 이애리 김수진
예절이란 예의(禮儀)는 남의 인격을 존중하고 경애하는 정신을 말과 행동으로 나타내는 공동체의 규정이나 관계이다.
제품 또는 서비스 판매 부제목.
성범죄.
Han Biya 함께하는 野營 100회 Project
|국립해양박물관 무기물보존과학실 환경개선공사(시설물유지관리)|
아동학대 김선미 신윤주 주단비 최보라 강윤정 송미선 이한솔 장민경.
잘 살기 생산물류팀.
담당교수님 : 홍성훈 교수님 학과 : 아동보육학과 강수연 김진아 서단비
“아시아 금융을 선도하는 글로벌 뱅크” 외상매출채권전자대출 인터넷 약정 메뉴얼 - 판매기업- 2010년 12월 기업금융부.
코리아크레딧뷰로(KCB) 2018년 신입사원 공채
기타장애 중등특수교육과 강혜경.
면담대상자: 정다희 부모님 취재자: 정다희 최민희
Ⅳ. 기술과 발명 Ⅰ. 청소년의 이해.
1. 환경설정 1.1 병원 정보 1. 개원일 - 병원 인수해서 보험 청구 시 사용 2. 폐원일 - 병원 폐원하고 다른 의사에
여행을 아는 사람들 하나샵 제휴 제안서 Travel Insurance.
Presentation transcript:

강혜정, 김아름, 남서희, 양우리, 최미성, 김은정, 임옥연, 이윤희 제 6장 건강문제 강혜정, 김아름, 남서희, 양우리, 최미성, 김은정, 임옥연, 이윤희

기저귀 발진 - 기저귀 발진의 원인 : 기저귀 및 대.소변에 의한 피부마찰과 습기 - 영아 움직임에 의해 마찰을 일으켜 기저귀 발진을 유발 - 영아의 피부를 통한 흡수율이 상대적으로 높음 - 피부 면역력은 약해 세균에 감염되기 쉬우므로 한나절만에 영아의 엉덩이가 짓무르는 일이 흔함 - 젖은 기저귀를 오랫동안 갈아주지 않은 경우 기저귀 발진 생김

-기저귀를 빨 때 세제 사용량이 많거나 충분히 헹구지 않을때 기저귀 발진 일어남 -기저귀 발진으로 인해 피부가 약해지면 캔디다균과 같은 곰팡이균에 이차 감염되어 발진 심해짐 -곰팡이 균에 의해 생기는 기저귀 발진은 엉덩이에 생기지 않고 주로 사타구니나 생식기, 배 쪽에 생김 -가렵고 통증이 있어 잠을 못 자거나 식욕상실, 한 달이상 지속 될 수 있기 때문에 예방중요

영아기저귀발진

<기저귀 발진 예방법> ① 기저귀를 수시로 확인하고 자주 갈아준다. ② 영아의 피부를 깨끗이 씻어준다. ③ 엉덩이를 충분히 말린 뒤 기저귀를 채운다. ④ 젖은 피부에는 파우더를 바르지 않는다. ⑤ 기저귀의 종류보다 갈아주기가 중요하다. ⑥ 가급적 덜 채우거나 열어둔다. ⑦ 교사의 손을 깨끗이 씻고 손톱은 짧게 자른다.

2. 영아 산통 - 생후 2∼4주 경에 시작 - 3∼4개월이 지나면 사라짐 - 산통 원인 : 우유에 대한 민감성, 공기를 많이 삼기는 경우, 지나치게 빠른 수유, 과식, 영아의 정서적 긴장 - 산통이 있는 영아는 보통 저녁에 많이 움 - 수 시간 동안 발작적으로 울어 댐 - 영아 달래기 힘듦 온몸에 힘을 주며 다리를 굽히고 주먹을 쥐고 배에 힘을 주기도 함 - 울다가 방귀나 트림을 하기도 함

- 울지 않을때 잘 먹고 잘 놀며 잘 자고 체중 증가도 정상적임 - 산통이 확실한 경우 모유 수유할 경우 산통 유발할 식품 섭취를 일주일 멈춤 - 영아가 담배연기 마시지 않도록 교육 - 수유 시 공기를 많이 먹지 않도록 자세를 세워주고 트림을 반드시 시킨 후 오른쪽으로 눕혀둠 산통은 영아기 일시적인 현상 - 산통이 발생되면 영아의 몸을 좌측으로 기울여 감싸 안아줌

<영아산통 동영상> http://video.naver.com/2007120814334117735

3. 젖의 역류 - 역류는 생후 6개월 이전에는 정상적인 것으로 간주 - 생후 첫 6개월 동안 위의 분문조임근이 느슨 - 젖을 먹인 후 오른쪽으로 비스듬하게 눕혀 토사물 질식 예방 - 구토는 탈수와 전해질 불균형을 초래하므로 원인 파악 - 부모에게 역류는 정상적인 것이라고 안심시킴

- 부모에게 역류는 정상적인 것이라고 안심시킴 - 영아 턱받이 사용 - 역류된 내용물 입, 턱, 뺨에 피부 손상 - 적절한 연고와 보습용 크림을 발라주고 더럽혀진 영아의 피부나 의복 바로 교환

4. 영아 돌연사 증후군 - 주로 생후 4-16주 사이의 아기 중 1,000명당 1-2명 꼴로 발생. - 이전에 건강하게 잘 자랐던 아기가 명백한 이유 없이 수면 중에 사망하는 것 - 이 경우 부검을 해도 특별한 소견이 나타나지 않음 - 남아가 많으며 계절적으로는 겨울에 증가

- 영아 돌연사 증후군의 원인 • 확실한 원인은 밝혀져 있지 않았음 • 특정 아기의 뇌 중추의 성숙지연 • 심장과 폐의 기능조절 • 수면-각성조절 • 주야 주기 리듬

<영아 돌연사의 위험요인> ① 자궁 내 저산소증 ② 태아 성장 지연 ③ 임신 중 흡연 (http://qtv.freechal.com/Viewer/QTVViewer.asp?qtvid=147858&srchcp=N&q) ④ 감염 ⑤ 사회 경제적으로 낮은 계층 ⑥ 미숙아 ⑦ 엎드려 재우는 것 ⑧ 영아를 너무 덥게 감싸고 두꺼운 이불을 덮어주는 것 ⑨ 영아의 침요가 너무 부드러운 경우

<기사> 아기방 온도 높으면 영아돌연사 위험 높아 <기사> 아기방 온도 높으면 영아돌연사 위험 높아 아기방 너무 덥게 하는 것이 영아 돌연사 위험 높여 - 英 조사결과 영국의 비영리단체인 영아사망연구재단(FSID)이 위탁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어린아기를 갖고 있는 부모중 63%는 아기방을 약 16~20도 사이로 유지해야 하는 것을 모르고 있었다.

"아기들은 여러 가지 이유로 너무 더워할 수 있는데, 실내 온도도 그 중 한가지"라고 영아사망연구재단(FSID)의 조이스 엡스타인 국장은 말했다. FSID는 일명 요람사료로 알려진 SIDS의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 아기를 똑바로 눕혀서 재우고, 아기방에서 담배를 피지 말고, 아기의 배를 만져봐 체온을 관찰하고, 아기의 머리에 아무것도 덮지 말 것을 권했다.

SIDS에 관한 영국의 또 다른 조사에 따르면 SIDS로 사망한 아기 엄마들은 아기가 추울것을 걱정하는 경우가 더 많았고, 생존한 아기 엄마들은 아기가 너무 더울것을 더 걱정했다고 한다. 뉴욕(로이터) 출처: 한국모유수유협회

5. 급성비인두염(감기) - 감기는 바이러스가 몸에 들어왔다고 해서 반드시 발병하는 것은 아님 - 원인 • 신체의 저항력이 약해진 경우, 호흡기 알레르기가 있는 경우, 영양이 부족한 경우, • 기온이 내려가 추울 때나 몸에 땀이 나서 축축하게 젖은 경우, 일교차가 심할 경우

- 증상: 코막힘, 기침등의 국소증세, 가벼운 전신증세 • 국소증세: 인후통(목이 따갑고 아픔) • 전신증세: 미열이 있고 보채거나 기운이 없으며, 식욕 부진, 구토, 설사 - 유아의 경우 경부 림프절염, 후두염, 기관지염, 모세 기관지염, 폐렴, 화농성 부비동염 등으로 발전할 수 있음

<감기증상에 좋은 음식> 기침 목의 염증 코감기 해열 및 살균

6. 폐렴 - 원인: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에 의해 발생되며 기도에 꽃가루나 가루약 등의 이물질이 들어간 경우에도 발생 - 증세: 초기 증세는 감기와 유사하여 콧물, 발열, 구토, 설사, 식욕부진 등 - 폐렴은 비교적 쉽게 완치되는 경우도 있으나 합병증이나 2차 감염을 유발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조기에 발견하여 격리 치료를 해야 함 - 예방법: 주변 환경과 몸을 깨끗이 하고 감기를 적절하게 치료

<폐렴 X-ray> <어린이 폐렴 동영상>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2D&mid=sec&sid1=103&sid2=241&oid=214&aid=0000057290

7.전염병 - 아동기 전염성 질환의 빈도는 발생율이 현저하게 감소 항생제, 항독소의 사용으로 심각한 합병증도 크게 감소 1) 전염병의 발생과정 ① 병원체 ② 병원소 ③ 병원소로부터 병원체의 탈출 ④ 전파 ⑤ 새로운 숙주 내 침입 ⑥ 숙주의 감수성 및 저항력

2) 전염성 질환의 일반적 관리방법 (1)전파과정의 차단 - 감염원을 확인하여  병원소를 제거 - 병원소로부터 병원체가 전파되지 않도록 함 - 감염받기 쉬운 사람에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 확인하는 것이 가장 중요 (2)면역 증강 - 감수성이 있는 아동에게 예방접종을 실시 ->저항력을 증가 (3)조기진단과 치료 - 조기진단과 치료로 환아의 고통을 최소화, 합병증 및 후유장애, 사망을 적게 함

3) 법정정염병 ① 제1군 전염병(6종) ② 제2군 전염병(9종) ③ 제3군 전염병(18종) ④ 제4군 전염병 ⑤ 지정 전염병

4) 영유아기에 흔한 전염병 관리 - 영유아기는 전염병에 취약한 시기, 영유아를 위한 건강관리에서 전염병 관리는 중요한 비중을 차지 - P.174 <표 6-2> 영유아기에 흔히 발생되는 전염병 관리 참고.

8.결막염 - 급성결막염은 아동기에 흔함.연령에 따라 원인 다름 -흔한 원인은 바이러스, 세균, 알레르기, 이물질 등 -치료는 원인균에 따라 다름, 바이러스성 결막염은 자연 치유되므로 치료는 분비물을 제거 - 낮동안에는 안약 점안, 연고는 오랫동안 시야를 가리므로 밤에 사용

- 결막염 증상: 결막은 빨갛게 발적되어 있어 눈물을 많이 흘리거나 눈꼽이 나오는 경우 

- 경과 • 각막염이나 홍채염 등으로 확산 • 이차적으로 녹내장이 유발 • 녹내장은 조기 시력상실의 원인 - 치료 감염상태에 따라 적절한 항생물질과 소염제로 치료

9. 구내염 - 구내염 : 뺨, 입술, 혀, 잇몸, 구개 점막의 염증. 감염이나 비밀감염으로 발생하며 국소적 또는 전신적인 감염이 원인. 아프타성 구내염 : 양성이나 통증 심함 - 증상 : 통증이 있는 작고 주위가 붉은 약간 흰 궤양. 궤양은 4~12일간 지속되다가 회복

- 헤르페스성 구내염 : 단순포진형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 입술에 물집처럼 발생 - 구내염 치료 목적 : 통증을 완화시키는 것. 빨대로 부드러운 음료를 먹으면 통증이 있는 병소 부위를 피할 수 있음.

<구내염 예방법> ① 소화가 용이한 음식과 비타민 B(B2), A, E 의 성분을 함유한 식품이나 관련 보조기능식품을 섭취. ② 음식이나 너무 뜨겁거나 찬음식, 맵거나 신음식 등은 피함. ③식사하기가 곤란할 경우에는 무를 먼저 먹으면 통증이 가라앉음.

10. 요충증 - 요충은 어린이에게 가장 흔하게 감염을 일으키는 것 - 충란이 입을 통해 장으로 들어가면 그대로 감염 - 교실이나 어린이집 같은 밀집된 환경에서 전파가 잘됨 - 요충증 의 원인 • 요충감염에 의해 항문 부위에 심한 가려움증을 경험. 항문점막이 부어오르고 찰과상이 생김 • 감염된 아동의 손을 통해 커버, 문고리, 속옷 음식물, 장난감 등 으로 전파

-예방법 ① 감염이 확인되면 전가족이 치료 ② 재 감염을 방지하기 위해 2주후 구충제 다시 복용 ③ 재 감염을 막기 위해 의복이나 침구를 뜨거운 물로 빨고 진공청소기로 청소 함 ④ 배변 후나 식사 전에 손을 씻고 매일 샤워 ⑤ 아동의 손톱을 짧게 깎아주고 항문부를 항상 깨끗이 하고 원피스 잠옷을 입힘

요충증 기사 http://media.daum.net/culture/life/view.html?cateid=1014&newsid=20061012182107805&cp=hankooki 요충기사 동영상 http://imnews.imbc.com/20dbnews/history/2000/1862528_3840.html

11. 납중독 -뇌 증상, 신경증상, 지적인 손상을 초래함. 1)납의 출처 - 페인트에 가장 많이 함유(장난감의 색소, 크레파스), 납이 구강을 통해 섭취 2) 납중독의 증상 ① 혈액계 - 빈혈을 일으킴 ② 중추 신경계 - 가장 심하고 비가역적인 손상은 중추신경계의 손상

③ 신장계 - 납은 신장의 세뇨관을 파괴하여 당, 단백, 아미노산, 인산의 배설을 증가시키며 비타민 D의 합성을 억제함 ④ 기타 증상 - 경한 증상으로 급성복통, 구토 , 변비, 식욕부진, 두통 , 발열

3) 진 단 - 혈중 납농도를 측정 ① 노후된 집에 사는 아동 ② 형제중에 납중독이 있는 경우 ③ 집안 식구 중 납과 관계되는 직업이나 취미를 가진 경우 (용접, 배관공)                4) 치료 - 치료는 납 중독원을 제거하고 영양을 개선 - 혈중 납 농도가 낮을 때 미리 발견해 내도록 노력하고 남의 공급원을 제거하는 것이 주된 목적.

납중독 기사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6&oid=213&aid=0000000782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38&aid=0000137617

12. 아동학대 1) 정의 ① 한국아동학대예방협의회 - 아동학대: 자기의 보호 또는 감독을 받는 18세 미만의 자에 대한 학대 행위 - 학대행위: 아동에게 가해진 행위.아동의 건강, 복지, 정상적인 발달 저해로 모든 신체적, 정신적 상해, 성적 행위 및 방임 포함. ② 아동복지법 제2조 - 아동학대: 가혹행위 및 아동의 보호자에 의해 이루어지는 유기와 방임

2) 분류 (1) 신체적 학대 - 보호자가 사고가 아닌 다른 이유로 아동에게 신체적 손상을 입히거나 혹은 입도록 허용 한 것. - Straus : 아동 학대에 적합한 척도를 개발 - 하위 척도 : 비폭력적 훈육, 심리적 공격행동, 신체적 공격, 방임 - 신체적 공격 <표6-6> Straus 등의 부모-아동갈등 해결 척도 참고.

(2) 정서적 학대 및 방임 ① 정서적 학대(emotinal abuse) - 신체적 구속, 억제 혹은 감금 - 언어적 혹은 정서적 위협 - 기타 가학적 행위 ② 방임 - 보호자가 아동에 대한 양육 및 보호 책임을 완수하지 못함에 아동의 건강, 복지 해침,정상적인 발달 저해 할 수 있는 모든 행위 ③ 성 학대 - 성인의 성적 충족을 위해 아동과 성인 사이에 일어난 신체적 접촉이나 상호작용

3) 피해유형별 임상양상 (1) 신체학대 아동 ① 신체검사 상 소견들 : 피부에 멍든 상처부터 화상, 피부 결손 및 자상, 골절 및 치아골절, 장기파열, 두뇌 손상 ② 정신 병리 : ․ 자아 기능의 손상 ․ 급성 불안반응으로 나타나는 손상 반응 ․ 대상 관계 이상 ․ 원시적 방어 기제 - 부정, 투사, 함입, 분리 ․ 충동조절의 이상 ․ 자아 개념의 손상 ․ 자아적, 자기 파괴 행동 ․ 학교 부적응 ․ 중추신경계 손상

(2) 성 학대 아동 - 급성기: 수면 장애, 신경질, 가해자에 대한 공포심 등의 불안증세 두드러짐. - 성학대와 연관된 증상으로 나이에 맞지 않는 행동, 관심끄는 행동, 지나치게 매달리는 행동. 가족 역동과 연관된 증상들로 부모나 형제와의 다툼이 증가 4) 아동학대의 원인 - 아동, 부모, 사회문화라는 3가지 체계 간의 상호작용이 역기능적이어서 유발되는 것

5) 생태학적 및 발달적 모형들 (1) Belsky의 생태학적 모형 ① 미시체제 : 학대가 일어나는 즉각적인 상황 ② 외부체제 : 공식적 비공식적 사회 체계 ③ 거대체제 : 학대를 일으키는 문화 가치관이나 믿음 체계 (2) 발달적 모형 - 자신감 결여, 적대적 행위, 지나친 경계, 충동성, 고집 세고 반응 없고 거절적이며, 겁이 많고 대인 관계에 둔감함 - 아동과 부모의 상호작용에 아동의 요소가 보다 크게 작용함.

6) 아동학대의 진단적 사정 (1) 노출 - 의도적인 폭로 - 제3자의 관찰에 의한 폭로 : 이웃, 친척, 다른 가족구성원 질병의 진단과정이나 신체검사 등에 의한 폭로 : 교사, 의료인 (2) 진단적 사정 과정 - 행동 특징들→ 신체적 특징→ 진단적 면담→ 의학적 검사→ 진실의 확인 → 치료

(SOS방송) - 시도때도 없는 엄마의 욕설 - 8살난 아이가 학교도 다니지 않고 감금 - 남편도 모르는 아내의 아동학대 http://netv.sbs.co.kr/skin/skin_naver.jsp?uccid=10000356488 - 8살난 아이가 학교도 다니지 않고 감금 http://netv.sbs.co.kr/newbox/newbox.jsp?uccid=10000340546 - 남편도 모르는 아내의 아동학대 http://netv.sbs.co.kr/movie/movie.jsp?ucc_id=10000055947

- 아동학대사례 - 어린이집 알몸 체벌 동영상 - 아동학대 공익광고 동영상 - 터키아이들 학대한 보모 동영상 http://blog.naver.com/7soon5/60001341390 - 어린이집 알몸 체벌 동영상 http://migame.tv/section/ucc/view.asp?msg=111914&bd=25 - 아동학대 공익광고 동영상 http://www.mgoon.com/view.htm?id=390956 - 터키아이들 학대한 보모 동영상 http://www.diodeo.com/id=volumeone&movie=000411473 도 넘은 아동 학대 동영상 http://netv.sbs.co.kr/movie/movie.jsp?ucc_id=10000093257

13. 학교공포증 - 아동이 학교에 대해 갖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두려움 - 심각한 아동은 학교에 다닐 수 없어 비정상적인 교우관계, 비정기적인 학습, 가족 스트레스 초래 - 학교공포증은 일년에 2% 정도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됨 - 학교공포증이 나타나는 연령 ․ 만 5~7세로 처음 학교를 다니기 시작하는 시기 ․ 만 11~12세로 아동이 중학교에 입학하는 시기 ․ 만 12세를 전후해서 나타남

- 원인   ․ 아동이 가정이라는 환경을 떠나는 것에 대한 극심한 불안감을 느낌 ․ 학교에 잘 다니던 아동이 등교거부 할 경우 자신의 능력에 대해 비현실적인 생각을 갖고 있는 것 - 복통, 두통, 전체적인 피로감 같은 보편적인 증상과 더불어 구역질, 구토, 식용부진, 근육통 및 미열 등도 수반 - 가능한 한 빨리 아동을 학교에 등교시킴 - 집에 있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등교가 더욱 어려워짐

14. 행동장애 - 행동장애는 주의력 결핍장애의 한 유형 - 행동장애 : 적어도 6개월 이상 지속되는 행동상의 문제 - 행동장애는 주의력 결핍장애의 한 유형 - 행동장애 : 적어도 6개월 이상 지속되는 행동상의 문제 - 행동장애는 다음에 열거하는 행동 가운데 적어도 세 가지 이상일 경우 ① 피해자와의 대결이 없는 상황에서 한 번 이상 훔친 경험(위조 포함) ② 두 번 이상 가출(가출하여 집으로 돌아오지 않음)

③ 잦은 거짓말(신체적 또는 성적 학대를 피하기 위한 경우 제외) ④ 고의적으로 방화한 경험 ⑤ 잦은 무단결석(또는 결근) ⑥ 다른 사람의 집, 건물 또는 자동차에 무단출입 ⑦ 다른 사람의 소유물을 고의적으로 파괴 ⑧ 동물 학대 ⑨ 성행위 강요 ⑩ 싸움에서 무기 사용 ⑪ 잦은 몸싸움 주도 ⑫ 목 조름, 강탈, 착취, 무장 강도 행위와 같이 피해자와 대결하는 상황에서 훔친 경험 ⑬ 신체적으로 잔인한 행동

1) 거짓말 - 거짓말 : 다른 사람들을 의도적으로 속이는 것 - 거짓말과 관련된 행동장애를 평가 : 아동의 성장발달 단계, 연령, 거짓말 행위의 기간과 빈도 및 고의성을 고려 - 가족원들이 자신들의 의사소통과정을 의식적으로 관찰 - 아동이 거짓말을 하는 동기를 파악 - 어떤 중재가 가능한지 파악하도록 도와주는 것이 가장 적합

2)훔치기 - 아동기에 훔치는 행위는 어느 정도는 정상으로 봄 - 어린 아동은 주변에 있는 모든 것에 호기심을 갖음 - 옳고 그름과 내 것과 남의 것에 대해 알기는 하지만 개념들이 내면화되어 있지 않음 - 훔치는 버릇이 있는 아동을 돕기 위해 교사가 원인 파악 - 부모는 아동이 탐내는 물건들이 눈에 안 보이도록 하여 훔치는 행위 근절 시킴 - 남의 물건을 훔치는 버릇이 있는 아동에게 내적 갈등을 느끼지 않도록 환경을 조성

3) 공격성 - 공격성 : 다른 사람에게 해를 입히려는 의도적인 행동 유형 - 아동의 공격적 행위 : 유전적인 생존반응, 호르몬의 수준 및 환경의 자극에 대한 반응 등 다양한 원인 발생 - 공격적 행동은 여아보다 남아가 훨씬 많음 - 공격성의 표현은 아동의 발달연령에 따라 차이가 큼 - 교사의 아동 공격성 관리방법 : 일관성 있는 행동, 애정표시, 잘못한 행동에 대한 좌절감과 분노를 언어로 표현하는 방법 등 부모에게 제시

15. 야뇨증 - 배뇨를 스스로 조절할 수 있게 되는 3세 이후에도 밤에 오줌을 싸는 것을 말함 - 일차성 혹은 지속형 : 한번도 소변을 가리지 못한 경우 - 이차성 혹은 퇴행성형 : 적어도 1년 간 소변을 가리다가 다시 싸는 경우 - 부모가 강제적으로 대소변 훈련을 시키거나 대소변 훈련과 관계없이 만성 스트레스 받으면 방광의 조절기능을 습득하지 못함

- 퇴행성 야뇨증에서는 이사, 부모의 불화, 동생의 탄생, 가족의 사망 같은 환경에서 오는 스트레스 때문에 시작 - 야뇨증의 치료 ․ 약물, 방광훈련, 저녁식사 후 수분섭취의 제한, 잠자는 도중 배뇨시키는 방법, 방뇨를 시작할 때 아동을 깨워 조절반사 감응을 할 수 있도록 고안된 몇 가지 전자장치의 사용 ․ 야뇨증은 아동들이 성장함에 따라 자연히 없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