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 상명대학교 간호학과 이 희 주
Ⅰ. 순환과 심장 * 혈액순환: 혈액이 한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흐르는 상태 * 심장: 혈액을 신체로 밀어내는 기관 -분당 평균 72회 박동 -살아있는 동안 쉬지 않고 계속 뜀 - 감정의 영향을 받음 - 혈액을 충분히 내보내지 않으면 생명이 위험할 수 있음
심장의 위치 - 주먹보다 조금 큼 - 2개의 폐 중간에서 왼쪽으로 약간 치우친 곳에 위치함 - 흉곽 중심부위인 종격의 대부분을 차지 - 심첨부apex는 심장의 아래쪽 - 기저부base는 위쪽의 넓은 부분. 큰 혈관 연결
Ⅱ. 심장의 구조 심벽은 내층부터 3층으로 구성 ① 심내막endocardium 심장의 내벽을 덮고 있는 부드럽고 얇은 상피세포막 혈액이 심장에서 쉽게 흘러갈 수 있도록 표면이 부드러움 ② 심근myocardium 심장의 근육부분으로 가장 두꺼운 층 혈액을 혈관으로 펌프질하는 역할 ③ 심외막epicardium - 심벽의 가장 바깥층으로 얇은 장막으로 이루어짐.
2) 심낭 - 심낭: 심장 전체를 싸고 있는 낭 - 섬유성 심낭: 심낭의 가장 외층. 결체조직 2) 심낭 - 심낭: 심장 전체를 싸고 있는 낭 - 섬유성 심낭: 심낭의 가장 외층. 결체조직. - 횡격막: 섬유성 심낭 아래 - 흉골: 섬유성 심낭 앞 - 섬유성 심낭 내층은 장막으로 덮여있고, 이 장막은 심장의 기저부에서 뒤로 접혀 심장의 표면을 덮음 - 외측 장막: 벽측 심낭 - 내측 장막: 장측 심낭 - 2개의 막 사이에는 윤활액이 들어있어, 심장이 수축할 때 마찰을 줄여줌.
3) 심근의 특징 - 심근세포는 골격근처럼 액틴과 마이오신이 교대로 배열되어 있는 옅은 가로무늬근 - 심근세포는 핵이 여러 개가 아니라 단핵구조 - 불수의근 - 중간판: 변형된 형질세포막으로, 주변 세포와 단단하게 붙어있어 세포 간 전기자극이 직접 전달되는 역할 - 근섬유가 가지처럼 갈라져 있음 - 전체 근섬유 동시에 하나처럼 수축 - 중간판과 근섬유가지망은 심근세포를 조화롭게 수축
- 심장은 두 번 펌프질 하기 때문에 우심장, 좌심장이라는 말 사용 4) 심장의 구조 - 심장은 두 번 펌프질 하기 때문에 우심장, 좌심장이라는 말 사용 - 우측 심장: 폐순환로를 통해 산소가 적은 혈액을 폐로 내보냄 - 좌측 심장: 전신순환로를 통해 산화된 혈액을 신체로 보냄 <심방과 심실> 부위 위치 기능 우심방 우측 상부 대정맥과 관상정맥동에서 혈액을 받아 우심실로 보냄 우심실 우측 하부 우심방에서 혈액을 받아 폐동맥으로 보내 폐에서 산화시킴 좌심방 좌측 상부 폐정맥에서 산화된 혈액을 받아 좌심실로 보냄 좌심실 좌측 하부 좌심방으로부터 혈액을 받아 대동맥으로 보내 전신순환시킴
① 심방과 심실 - 심방atrium: 좌우 심장 윗부분에 있는 공간. 혈액 받아들이는 곳 - 심실ventricle: 아래쪽 공간. 혈액 분출시키는 강력한 펌프기능 가. 우심방 - 얇은 벽으로 이루어짐 - 전신순환 후 정맥을 통해 심장으로 돌아오는 산소가 낮은 혈액을 받아들임 - 머리, 흉부, 상지의 혈액은 상대정맥 통해 들어옴 - 체간과 하지의 피는 하대정맥을 통해 우심방으로 들어옴 나. 우심실 - 우심방에서 정맥혈을 받아 폐로 보냄 - 우심실에서 나온 혈액은 폐동맥으로 들어가고, 우폐동맥과 좌폐동맥으로 나뉘어 폐로 이어짐 - 폐동맥은 산소가 낮은 혈액을 운반
다. 좌심방 : 폐정맥에서 산소가 높은 동맥혈을 받음 라 다. 좌심방 : 폐정맥에서 산소가 높은 동맥혈을 받음 라. 좌심실 - 벽이 가장 두꺼움 - 산소가 혈액을 신체로 내보냄 - 산화된 동맥혈은 대동맥을 지나 각 조직으로 운반 - 심방과 심실은 중격이라는 벽으로 완전히 나뉘어져 있음. (심방중격, 심실중격) - 중격은 주로 심근을 구성
② 4개의 판막 - 심장의 판막은 혈액을 한 방향으로만 흐르게 하고, 각 심실의 입구와 출구에 위치 - 방실판막: 심방과 심실 사이 - 반달판막: 출구판막 가. 우측 방실판막 세모첨판을 3개 모아둔 것처럼 생겨서 삼첨판이라고도 함 판막이 닫히면 혈액은 우심방으로 돌아갈 수 없고, 폐동맥으로 흘러나가야 함
② 4개의 판막 나. 좌측방실판막 이첨판이지만 승모판이라고도 함 판막이 닫혀서 좌심방으로 혈액이 역행하지 못하고 대동맥으로 분출 건삭이라는 섬유조직으로 됨 심실이 수축할 때 판막이 닫히도록 하여 혈액이 다시 심방으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단단히 막음
다. 폐동맥판막 - 반원판막으로 우심실과 폐동맥 사이에 위치 우심실이 수축한 후 이완하면 심실 안의 압력이 떨어짐 폐동맥압이 상대적으로 높아지면서 판막이 닫혀서 혈액은 우심실로 돌아갈 수 없음 라. 대동맥판막 반월판막으로 좌심실과 대동맥 사이에 위치 심장의 좌우측에서 이루어지는 폐순환과 전신순환은 동시에 이루어짐
5) 심근의 혈액공급 - 심내막은 유일하게 심장을 통해 흐르는 혈류와 접함. - 심근은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 노폐물을 가져가는 자신만의 혈관이 있어야 함. - 모두 관상순환을 이룸 - 관상동맥은 대동맥에서 첫 번째로 뻗어 나온 가지로서 대동맥판 바로 위에서 분지하여 심근 전체에 혈액을 공급 - 대동맥판이 닫혀야 입구가 노출되기 때문에 심장의 이완기에 혈액이 공급됨. - 심근의 모세혈관을 지난 혈액은 심장정맥으로 빠져나와 우심방으로 돌아감 - 상대정맥 근처에서 우심방으로 연결된 관상정맥동으로 전부 모임.
Ⅲ. 심장의 기능 - 심장은 양측으로 나누어져 있지만 함께 기능함 - 심방근이 먼저 수축한 후 심실근이 수축하여 혈액을 짜냄(수축기, 이완기) - 심장의 수축과 이완을 묶어서 심장주기 - 심장주기 1회는 평균 0.8초 - 심장주기: 심방의 수축으로 시작 - 심방수축: 심실수축이 시작되면서 동시에 끝남 - 심방은 심실이 수축하면서 동시에 휴식기 - 심실이 수축하면 심방과 심실은 모두 혈액이 채워지면서 짧은 시간이나마 이완기를 가짐 - 심장기능을 언급할 때는 심실의 수축이 중심
<기능적 특성> - 율동성, 전도성, 흥분성, 수축성 등이며 실무율을 따름 1) 율동성 - 자동능(autorhythmicity) : 스스로 박동하는 능력 자동능을 가지는 세포 : 동방결절(SA node), 방실결절(AV node), 퍼킨제섬유 pacemaker(동방결절) : 동방결절의 흥분발생능력이 가장 커서 심근의 흥분성을 주도 심장의 자동능이나 전도성은 심장근 자체의 활동이나 미주신경과 교감신경의 길항적 작 용으로 조절되며 미주신경은 억제적으로, 교감신경은 촉진적으로 작용 정상 심박동수는 60~80회, 동방결절을 그대로 두면 100회 이상 뛰지만 부교감신경이 지배하므로 억제가 된다 - 심실근에는 미주신경의 직접적 지배는 없음
<기능적 특성> 2) 전도성 - 흥분을 세포에서 세포로 전달 - 퍼킨제섬유 : 심근조직에서 전도능이 특히 발달된 것 중간원반 : 심근세포 사이에 존재하여 저항을 감소시켜 흥분을 쉽고 빠르게 전도 3) 흥분성 - 활동전압을 형성할 수 있는 능력 - 심근에서 발생하는 활동전압의 기간은 200msec~500msec로 신경이나 골격근 섬유와 같은 다른 흥분조직에 비해 매우 길다. 불응기 : 활동전압을 형성하는 기간중 어떠한 자극에 대해서도 반응하지 않는 기간 · 절대적 불응기 : 활동전압의 기간중 아무리 큰 자극을 가해도 활동전압을 형성하지 못하 는 기간 · 상대적 불응기 : 절대적 불응기 후 정상보다 큰 자극에 의해 활동전압을 일으킬 수 있는 기간
<기능적 특성> 4) 수축성 Starling의 심장법칙 : 심근의 수축력은 심근섬유의 길이에 비례함 5) 실무율 - 역치 이하의 자극에서는 반응하지 않으며 역치 이상의 자극에 대해서는 최대 동일의 반응을 나타냄
심박출량 - 심근은 심장 내의 혈량에 따라 수축력을 조절 - 심장에 혈액이 유입되어 심벽이 늘어나면 일정한 범위 내에서 수축력은 강해짐 - 심장에 혈액이 많이 유입될수록 심장수축력은 더욱 강해져서 더 많은 혈액을 혈관으로 보냄 - 심박출량(Cardiac Output;CO) 1분간 심실이 내보내는 혈량 1회박출량(Stroke Volume;SV)과 1분간의 심박수(heart rate;HR)를 곱한 값 CO = HR X SV
심박출량 가. 뇌 -뇌로 가는 혈류는 단지 수초간만 차단되어도 의식상실 초래 -심박출량의 약 15% 분포 나. 심장 -심박출량의 5% 분포 -심장의 동맥을 통해 혈액공급차단 시 심근허혈 다. 폐 -심박출량의 약 5% 공급 -호흡에 따라 0.6-1.2L까지 변화가능 -혈액저장소로도 작용
심박출량 라. 신장 -심박출량의 20-25% 분포 -순환부전 시 콩팥의 많은 혈액이 다른 기관으로 이동 -혈류량이 상당 기간 감소되어도 쉽게 손상되지 않음 마. 근육 및 소화기관 -대사활동에 따라 달라짐 -운동 중에는 근육계통에 심박출량의 2/3이상이 짧은 기간동안 공급될 수 있음 -식후 운동 시 근육에 혈액공급 부족으로 근육은 무산소증에 의한 경련이 일어날 수 있음 바. 간과 대장 -심박출량의 약 30% 분포 사. 기타 나머지 : 30% 정도 분포 아. 피부 : 체온조절의 요구도에 따라 변화
2) 심장주기(cardiac cycle) -심장주기: 성인 남자 안정 시 심박동 75회/분 심장주기는 0. 8초 가 2) 심장주기(cardiac cycle) -심장주기: 성인 남자 안정 시 심박동 75회/분 심장주기는 0.8초 가. 심방수축기 -혈액이 심실로 흘러 들어가는 시기 -굴심방결절이 탈분극되면 심방수축이 일어남 -심전도상의 P파 -심방에서 심실로 혈액이 흘러 들어감 심실압이 톺아져 방실판막이 닫힘 심실이완기 종료 -이완기말의 심실내용적은 130mL까지 증가 -이완기말의 심실용적이 증가하면 다음번 심실수축력은 커짐
2) 심장주기(cardiac cycle) 나. 심실수축기 ㄱ. 등용적수축기 -심장근육의 길이가 단축됨이 없이 수축력만 커지는 시기 -심실압이 동맥압보다 커지게 되어 반달첨판이 열리게 될 때 따지 -혈액이 대동맥과 폐동맥으로 유출되기 직전 ㄴ. 심실박출기 -좌심실 내압의 상승으로 대동맥판막이 열린 뒤, 다시 닫힐 때까지의 시기 급속심실박출기(수축기 초) -좌심실의 경우 좌심실압이 대동맥압보다 커지면 대동맥판막이 열리고, 혈액이 대동맥을 통해 유출되어 심실용적과 대동맥 혈류가 급격히 변화
2) 심장주기(cardiac cycle) b. 감속심실박출기(수축기말) -대동맥 혈류가 감소하기 시작할 때 시작된다 2) 심장주기(cardiac cycle) b. 감속심실박출기(수축기말) -대동맥 혈류가 감소하기 시작할 때 시작된다. -대동맥속에서 혈류가 역류하기 때문에 수축기 말에 대동맥판막이 닫힌다. -중복맥박패임(dicrotic notch):대동맥 판막이 닫힐 때 혈액의 진동이 대동맥압 변화곤선상의 함물부를 나타내는 것 -심실박출기 동안 대동맥이 늘어날 때 그 벽에 위치에너지가 저장되고 심실이완기가 되면 압력이 감소하게 되므로 대동맥은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게 되고, 이 때 벽에 저장되었던 위치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바꾸면서 혈액은 흐르게 된다.
2) 심장주기(cardiac cycle) 다. 심실확장기 등용적이완기 -반달첨판이 단힌 위부터 방실판막이 열릴 때까지 모든 판막이 닫힌 상태에서 부피는 변화 없이 심실 이와에 의해 심실압이 감소하기 시작하는 시기 -심실압이 심방압보다 감소하게 되면 방실판막이 열리고 심방으로부터 심실로 혈액이 유입되기 시작한다. b. 급속심실충만기 -심실내압이 감소하면서 순간적으로 방실판막이 열리며 심방으로부터 심실로 혈액이 흘러들어 심실용적이 커지는 때 c. 수축전기의 휴지기(분리기) -대정맥으로부터 서서히 혈액이 심방을 통해 심실로 유입되는 시기 -정상적인 심박동수에서는 습속심실 충만기와 수축전기의 휴지기 동안 심실충만이 80%정도 이루어지고, 심방수축기 동안 나머지 20%가 이루어진다.
3) 심음(heart sound) -심장수축과 이완에 따라서 판막의 열림과 닫힘, 혈액의 유통같은 기계적 현상의 소리 -심장은 정상적으로 쿵쿵 두 번씩 뛰는 것으로 묘사 -심실의 수축기:”뚜—ㄱ” -심실의 이완기 초 : “딱” -제 1심음:처음의 길고 낮은 소리 -제2심음:다음의 짧고 높은 소리 -앞의 쿵은 뒷소리보다 낮고 길며, 심실이 수축하는 소리. 방실판막이 닫히면서 나는 소리. - 두 번째 쿵은 짧고 높음. 심실이 이완되면서 나타나고, 대동맥판막과 폐동맥판막이 갑자기 닫히면서 나타남.
3) 심음(heart sound) 가. 제1심음 -지속시간:0. 06-0
3) 심음 나. 제 2심음 -지속시간:0. 04-0. 11초 -제1심음보다 높게 들린다 3) 심음 나. 제 2심음 -지속시간:0.04-0.11초 -제1심음보다 높게 들린다. -심실수축이 끝나고 감소박출기 끝에 대동맥판막 및 허파동맥판막이 닫히는 순간, 즉 동맥판막이 닫히게 되면 혈액유통이 갑자기 차단되면서 혈액기둥의 반동이 닫힌 판막에 부딛친다. 이것이 심실벽과 판막의 진동을 일으키며 내는 소리 -대동맥판막과 허파동맥판만의 손상인 경우 제 2심음이 계속하여 나타나서 다음 제1심음까지 이어진다.
3) 심음 다. 제3심음 -청진기로 젊은이에게서만 들을 수 있다 -성인은 확실하지 않으나 혈류속도가 클 때에 나타난다 3) 심음 다. 제3심음 -청진기로 젊은이에게서만 들을 수 있다 -성인은 확실하지 않으나 혈류속도가 클 때에 나타난다. -운동 뒤에 혈액유통이 빨라지며 제 3심음이 잘 나타난다. 라. 제 4심음 -심방음이라고도 불림 -심방수축에 앞서 혈액이 열린 방실판막 구멍을 통해 자유로이 심실로 흘러 들어가면서 약하고 낮은 소리를 냄
3) 심음 <심잡음(murmur)> -비정상 혈류에 의해 발생되는 심음 -대부분 손상된 판막에 의함 -판막기능부전:판막이 완전하게 닫히지 않을 때 혈액이 역류되어 잡음이 들림 -꼭지근의 손상힘줄끈의 장력이 불충분수축기에 심실내압이 높아져 판막이 뒤집혀지고 혈액의 역류가 일어남 - 판막이 좁아져도 심잡음이 남 - 심실로 혈액이 빠르게 유입될 때 나는 정상음도 잡음
4) 심장의 활동전위 -심방과 심실의 수축은 심장근육 자체에서 발생하여 전도된 활동전위에 의해 자발적으로 일어난다 4) 심장의 활동전위 -심방과 심실의 수축은 심장근육 자체에서 발생하여 전도된 활동전위에 의해 자발적으로 일어난다. -심장박동조율기(길잡이, pacemaker):우심방의 작은 부위인 굴심방결절에서 시작 -심박조율기전위(pacemaker potential)양이온에 대한 막투과성의 자발적인 변화로 일어남 <그림 참조>
4) 심장의 활동전위 ◆ pacemaker 전압의 기전 : 서서히 감소된 칼륨이온의 막투과성에 의한 것 → 나트륨의 세포 내 유입 → 칼륨소실과 나트륨유입의 불균형(세포막 안쪽의 양성화) → 역치에 도달 → 칼슘 통로가 폭발적으로 세포내로 이동 → 활동전압 상승기 초래(막전압 역전) → 증가된 칼륨이온 투과성(활동전압의 감소와 재분극) → 세포의 칼륨이온 유출 → 칼륨이온 투과성 감소
5) 심장전도계 - 심근은 전기자극을 받아 수축 - 심장전도계는 크게 결절이라고 하는 조직덩어리와 심근을 따라 분지되어 자극을 전달하는 섬유조직으로 구성 가. 동방결절(sinoatrial node, S-A node) 우심방의 상부에 작게 패인 동에 위치 심장박동 개시 심박수를 정하기 때문에 심박동기라고도 함. 교감 및 부교감신경의 자극을 받아 1분간 70-80회 심방근육으로 전도하는 역할 굴심방결절로부터의 활동전위는 0.8-1.0m/초의 속도로 심방의 심장근육세포를 따라 빠르게 전파
5) 심장전도계 나. 방실결절(atrioventricular node, A-V node) -우심방 심장정맥굴 앞에 있는 특수 심장근육조직의 집단 -활동전위에 의한 심방수축 뒤 전달되는 흥분을 상실다발로 전달하는 결절 -활동전위속도:0.003-0.05m/초 다. 방실다발(atrioventicular bundle, His bundle) - 심실중격 상부에 위치 심실중격의 양쪽에서 좌우측 속지로 나뉨 양쪽 심실의 수축을 일으키는데 관여하는 근육섬유속 활동전위속도:5m/초 심방수축이 일어난 다음 0.1-0.2초 동안에 모든 심실근육이 동시에 수축하게 된다.
5) 심장전도계 라. 퍼킨제 섬유(Purkinje fiber) - 심실근 전체로 섬유망을 형성하며 뻗어나감 - 심근조직의 중간판은 심근 전체로 자극이 빠르게 전달되도록 함 -방실결절에서의 활동전위의 전파지연으로 심방과 심실은 동시에 수축하지 않고 교대로 시간차이를 두고 수축, 이완되므로 혈액순환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전도로> - 심장의 전기자극 가. 동방결절이 심박동을 일으키는 전기자극을 만듦 나 <전도로> - 심장의 전기자극 가. 동방결절이 심박동을 일으키는 전기자극을 만듦 나. 좌우심방으로 전달되어 심방이 수축. -심방 벽에 있는 결절간경로를 통해 방실결절로 직접 전달. 다. 방실결절이 자극을 받음. -심실이 수축하기 전에 심방이 심실로 혈액을 보낼 시간이 주어짐. 라. 자극은 신속히 히스속으로 전달되어 히스속지와 퍼킨제섬유에 의해 심실벽 전체를 자극. 심실근은 거의 동시에 모두 수축 - 심수축은 동방결절에서 시작되기 때문에 동방성 리듬이라고 함.
6) 부정맥(arrhythmia) -활동전위를 유발하는 길잡이 영역이나 전도경로의 이상으로 초래되는 리듬과 흥분전도순서의 장애 -원인:허혈성짐상질환(ischemia heart disease) 가.느린맥과 빠른맥 -느린맥(bradycardia):맥박이 분당 60회 이하 -빠른맥(tachycardia):맥박이 분당 100회 이상 -비정상 심방 빠른맥은 정상의 굴심방결절의 빠른맥과는 구별됨 -심실빠른맥(ventricular tachycardia): 비정상으로 빠른 심실내 이소성심장복동조율기에 의해 심방의 수축과는 별도로 심실이 빠르게 박동할 때 발생심실잔떨림(심실세동, ventricular fibrillation)
6) 부정맥(arrhythmia) 나. 된떨림 -조동(flutter):수축이 분당 200-300회 정도로 매우 빠르지만 규칙적일 때 -심방된떨림은 통상 심실잔떨린으로 빠르게 변질되며, 그 결과 심방의 펌프작용이 멈추게 된다. -그러나 심방 수축이 있지 전에 심실에는 이완말기 용적의 80% 정도의 혈액이 차기 때문에 심장은 충분한 양의 혈액을 혈관으로 방출할 수 있다.
6) 부정맥(arrhythmia) 다. 잔떨림(세동, fibrillation) -서로 다른 심장근육섬유들이 다른 시기에 수축하여 불규칙적으로 300-500회 박동을 일으켜 심방과 심실의 조화된 기능이 깨져 심방수축이 거의 일어나지 않게 되는 상태 -심장근육내 전기파의 지속적인 재순환(윤회성 율동)에 의해 발생 -부조화된 수축과 무력한 펌프작용을 유발한다. -심전도 상의 T파(심실재분극)의 중간기에 전기충격이 전달될 때도 발생된다. -전기잔떨림제거(electrical defibrillation)강한 전기충격을 가슴에 흘려줌으로써 정지시킬 수 있다. -전기충격을 동시에 심장근육세포를 탈분극시켜 모든 세포를 불응기에 이르게한다윤회성 율동을 멈추게 함
6) 부정맥(arrhythmia) - 동성부정맥: 호흡수와 깊이가 변하면서 나타나는 일반적인 부정맥으로 정상임
7) 심장기능의 조절 심장박출량(cardiac output) -심박출량:심장이 1분 동안에 동맥 내로 밀어내는 혈액량 -일회박출량(박동량, stroke volume):심실이 한 번 수축하여 박출하는 혈액량 -심박동수(heart rate):1분 동안 심장이 뛰는 수 심장박출량=일회박출량 * 심박동수 -여자는 남성보다 약 10% 낮게 박출된다.
7) 심장기능의 조절 (1) 심장박출량(cardiac output) 가. 일회박출량 <조절요인> ㄱ 7) 심장기능의 조절 (1) 심장박출량(cardiac output) 가. 일회박출량 <조절요인> ㄱ.이완기말 용적(end diastolic volume) :이완기말의 심실 속 혈액의 양(비례) ㄴ. 평균 대동맥압:심실수축에 의한 심실내압력이 평균 동맥압보다 높아야 한다. -일회박출량은 동맥압에 반비례하여 평균 동맥압이 높아지면 일회박출량은 반대로 감소 ㄷ. 심실수축의 강도 또는 수축성
7) 심장기능의 조절 (1) 심장박출량(cardiac output) -심실의 이완기말용적 중에서 동맥압을 거슬러서 박출되는 혈액량은 심실근육의 수축력에 비례한다. -정상적인 심실의 수축 시:130ml -SV:70ml -박출계수(ejection fraction) : 50-60% 이러한 비율은 이완말기굥적이 증가하더라고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된다.
7) 심장기능의 조절 (2) 심장법칙 -프랭크-스탈링법칙 -심장박출량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박동이 시작하려는 순간의 심장근육의 길이 -심장근육을 늘어나게 하는 것은 심장수축이 시작되는 순간의 이완기말용적의 혈액량 -하지만 정도를 넘어서는 많은 혈액량은 심장 질환의 원인이 됨 <참고> -심혈관계를 튼튼히 하려면? -220-자기나이/값의 70-85%의 심박동수가 되게 운동하는 것이 이상적 -좌식생활만 하면 그렇지 않은 사람의 심장마비 위험이 2-6배 증가
7) 심장기능의 조절 (3) 심장기능의 조절인자 - 심박동은 심장 내에서 시작되지만, 심박수는 신경계와 호르몬 및 인체 내 여러 환경의 영향 받음 - 자율신경계가 담당 - 교감신경계가 자극받으면 심박수 증가 - 교감신경계는 휴지기의 약 2~3배 정도로 심박출량 증가 - 부교감신경계는 심박수를 정상으로 낮춤. 부교감신경은 뇌신경 10번으로 미주신경이라고도 함. - 심박수는 호르몬, 이온, 약물 등 혈액 내 물질의 영향도 받음.
7) 심장기능의 조절 (3) 심장기능의 조절인자 가. 신경성 조절 교감신경 흥분노어에피네프린분비 소동맥과 정맥 수축, HR 과 SV을 증가시키며 지속적으로 활동수축력 강화로 심장혈관의 혈류 증가 부교감신경(미주신경) 흥분아세틸콜린분비굴심방결절의 심장 박동이 느려져 수가 감소수축력 약화심장흥분전도속도가 느려짐심장혈관의 혈류 감소 - 주된 혈압조절 : 연수의 혈관운동중추(vasomotor center)의 신경다발에 의해 조절 - 연수에 이른 임펄스는 미주신경을 통해 심박동수에 영향을 준다
7) 심장기능의 조절 (3) 심장기능의 조절인자 나 7) 심장기능의 조절 (3) 심장기능의 조절인자 나. 액성조절(화학성 조절) -혈액 내 화학물질 또는 호르몬의 변동에 의해 심장의 기능이 조절됨 -대동맥활과 목동맥토리 부위에 혈액속의 이산화탄소와 산소에 예민한 화학적수용기(chemoreceptor)에서 감지 -이산화탄소분압이 높고 산소분압이 낮아지면 흥분반사를 심장중추에 보냄심박동수를 증가시켜 심장을 촉진 -에피네프린:심박동수와 수축력을 증가시킴
7) 심장기능의 조절 (3) 심장기능의 조절인자 다 7) 심장기능의 조절 (3) 심장기능의 조절인자 다. 온도 -모든 생리반응은 화학반응과 마찬가지로 온도가 높아지면 촉진됨 -체온 상승 시 심박동수 증가 라. 기타 조절인자 -몸집이 작을수록 심박동수 증가 -나이가 들수록 심박동수 감소 -운동시 증가
7) 심장기능의 조절 (4) 심장의 반사기전 -반사중추(숨뇌)에 의해 촉진과 억제가 이루어지는 것을 말함 -심장반사: 자극심장조절중추로 보냄흥분을 다시 말초신경을 통해 심장으로 보내 심장활동을 조절 -경동맥동, 대동맥궁(압력수용기-pressure receptor) : 심장반사 시작 - 베인브리지반사(Bainbridge reflex):심장 또는 대정맥의 내압이 높아지면 심장이 촉진적으로 영향을 미쳐 반사적으로 심박동수가 증가하여 혈액이 심장으로부터 동맥 속으로 밀려 내려간다. -감정을 주관하는 대뇌겉질이 흥분하면 역시 심장에 영향을 미침
Ⅳ. 노인의 심장 - 심장의 노화는 유전, 환경, 질병 및 습관 등에 따라 개인별로 다르게 진행. - 크기가 작아지고, 심장수축력 감소, 판막은 유연성이 떨어지고, 심잡음이 들리기도 함. - 심장전도계 문제 - 심장예비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신체나 정신의 스트레스 적응능력 떨어짐
Ⅴ. 건강한 심장 유지 - 심혈관계 위험인자 파악하고 변할 수 있는 위험인자 최소화 함 - 조정될 수 없는 위험인자: 연령, 성별, 유전, 체형, 흡연, 운동부족, 표준체중보다 과체중일 경우, 포화지방 섭취, 고혈압, 당뇨와 통풍.
Ⅵ. 심장검사 1)심전도(Electrocardiograph;ECG) 심근이 수축하면서 나타나는 전기적 변화를 기록 심근손상 파악 전극을 피부에 부착하여 전자파의 활동을 잡아냄 <심전도파의 특성> 가. P파 -심방의 탈분극을 나타냄 -굴심방결절이 흥분된 직후에 시작 -심방의 재분극은 심실의 탈분극과 시간이 일치하여 QRS에 가려져서 나타나지 않음
1)심전도(Electrocardiograph;ECG) 나. QRS 복합 -심실의 탈분극 -약 0 1)심전도(Electrocardiograph;ECG) 나. QRS 복합 -심실의 탈분극 -약 0.08초 지속 -심실근육에 차례로 흥분이 전달되는 과정이 기록된 것 다. T파 -심실의 재분극 -탈분극보다 느리게 나타남 -0.27초 라. P-Q 간격 -P하의 시작으로부터 QRS복합의 시작까지로 굴심방결절에서 방실결절로 흥분이 이동하는데 소요된 시간
1)심전도(Electrocardiograph;ECG) 마. QRS 기간 -심실이 탈분극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 바 1)심전도(Electrocardiograph;ECG) 마. QRS 기간 -심실이 탈분극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 바. Q-T 간격 -QRS 복합의 시작으로부터 T파의 끝까지 -심실은 탈분극되었다 다시 재분극됨 -소요시간은 심박동수에 따라 변화된다. 사. S-T분절 -QRS복합의 끝에서 T파 시작까지 -심실전체가 탈분극된 상태로서 보텅 바닥선상에 위치한다.
<심도자 검사> - 심장질환자는 대부분 심도자검사를 받음. - 우심도자에서는 긴 도관을 우측 팔이나 서혜부로 삽입하여 심장의 좌측으로 넣음. 검사 동안 혈액검체물 채취하고 압력도 측정. 좌심도자에서는 좌측 팔이나 서혜부에서 심장으로 삽입. 조영제를 관상동맥으로 주사하여 혈관 촬영. 혈량과 혈압을 측정 <초음파> - 초음파는 사람에게는 들리지 않는 음파로 만들어짐. 안전하고 통증이 없고 X-선을 사용하지 않음. 심장의 크기, 모양, 심장기능 및 심장결손까지 보여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