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의·인성 교육을 위한 평가 남 명 호.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자유학기제와 예술교과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광 주 동 신 중 교사 국광윤. 예술교과 교육과정의 편성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 2009 개정 교육과정 (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성취기준 · 성취수준 지역 및 학교의 교육과정.
Advertisements

합 덕 여 자 중 학 교합 덕 여 자 중 학 교. 합 덕 여 자 중 학 교합 덕 여 자 중 학 교 제 언 필 요 성 연구 목적 연구 문제 연구 범위 실천 과제 연구 결과
페스탈로치에대해 … 엘리트 ㅋㅋㅋ. 페스탈로치의 성장배경  1746 년 스위스 취리히에서 출생  가난한 사람을 무료로 치료해 주는 아버 지로부터 인격적인 영향을 많이 받음.  어려운 살림에도 고아원을 도와 주는 어 머니의 사랑 정신에 영향을 받음. 처음으로.
시기별 학급경영의 평가 시기별 학급경영의 평가 1. 시기별 학급경영의 평가 분류 2. 시기별 학급경영 평가 내용 음악교육과 이해인.
제 7 차 실과 ( 기술ㆍ가정 ) 교육과정 학교 현장 운영상의 문제점 개선 주 40 시간 근무제 도입, 기술ㆍ산업의 발달, 가족 형태의 다양화 등으로 인한 생활의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저출산ㆍ고령 사회, 진로 교육 강화 등 국가ㆍ사회 요구 사항 반영.
학생 포트폴리오 에너지자원공학과 학생 포트폴리오란 ? 포트폴리오의 기능  학생의 경험 및 전공 관련 학습결과를 정리한 결과물  학교생활에 따른 학습자의 학습과정, 목표, 노력, 태도, 교육활동, 성과물  재능 및 취미 등을 의도적으로 조직하여 모아둔 것  자신의.
사례 중심의 광고기획론 강미선 지음. 1. 애니콜 ( 제일기획, 2007, 28 회 금상 ) 애니콜 ( 제일기획, 2007, 28 회 금상 ) 2. 삼성 갤럭시탭 ( 제일기획, 2012, 33 회 동상 ) 삼성 갤럭시탭 ( 제일기획, 2012, 33 회 동상 ) 2.
Ⅰ Ⅰ 선진국 직업교육훈련의 특징과 우리의 일 · 학습병행제 1. 선진국 직업교육훈련의 특징 2. 선진국과 우리나라의 청년고용률 3. 일 · 학습병행제 추진현황 4. 우리의 일 · 학습병행제 특징 Ⅱ Ⅱ 산업계 주도 직업교육훈련체제 구축 및 산업별단체.
강의 SKILL-UP 과정 신 현 호. 2 교육 개요 Ⅰ Verbal, Document, Visual Presentation 성공적인 강의스킬 실현 - 학습심리 -HRD 개요 - 교수 설계 & 교안 작성법 지식 - 교수의 제기법 - 교수매체 활용 - 강의.
6학년 교육과정 간담회 인천도림초등학교 / 6학년. 1. 학교 교육과정 및 교육활동 안내 차례 2. 학년 교육과정 및 교육활동 안내 3. 학부모회 역할과 활동 계획 안내 4. 체육대회 및 기타 협의.
회복적 생활교육 Restorative Discipline
Ⅰ 개정 배경 Ⅱ 개정 방향과 중점 Ⅲ 주요 개정 내용 Ⅳ 성취평가제.
1.
Chapter 6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 5월 18일 구미대학교 이 명 숙.
2013 학년도 삼리초등학교 부설 영재학급 학생 오리엔테이션 경기도 광주시 삼리초등학교
블룸의 교육목표분류학 (Bloom’s Taxonomy)
Volunteer work.
2009개정 초등 체육,예술 교육과정.
2009년 제2회 교내 학생 포트폴리오 경진대회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Multi Intelligence Theory
2012년도 교직이수자 2차선발자 대상 인•적성 검사 실시 안내
잠재력의 발견
미국의 특별활동 교육 박지혜 황아름.
1. 현대 생활과 응용 윤리의 필요성 2. 윤리 문제의 탐구와 실천 3. 윤리 문제에 대한 다양한 접근
라포(Rapport)형성과 대화방법 삼육대학 이 혜 림.
과연 남아 있는 자리에 어떤 사람들을 태워야 하는 것일까 ?
피임이란?.
제 10 장 의사결정이란 의사결정은 선택이다.
남다른 아이로 미래를 디자인하라!.
사용자 경험 디자인(User Experience Design, UX design) 인터랙션 디자인(interaction design, IxD)은 인간이 제품이나 서비스를 사용하면서 상호간 작용하는 것 UI 디자인은 사용자와 컴퓨터·프로그램 간 의사소통의.
Multi Intelligence Theory
제 15 장 직무설계 15.1 노동인력관리 목적 최대의 성과 만족스러운 성과 의사결정 직무설계 충원수준 선발 훈련과 경력개발
초,중,고등학생 역량강화를 위한 GFAT& 맞춤형 진로탐색/자기주도학습
성이란 무엇인가? 대연중학교보건실.
창의력·인성 교육을 위한 평가방법 개선 연수.
학습목표 PBL 문제를 만들고, WBL방식의 학습을 실시한다.
경영학부 교육특성화 계획 정경대학 경영학부 정경대학 경영학부 1.
전북대학교 물 재이용 증진을 위한 범국민적 사고전환 공과대학 환경공학과 College of Engineering
Problem-Based Learning
음악과 교육과정 2011 교육과정(2007 비교).
제 5장 교수설계의 실제 - ASSURE 모델 적용
미국 음악교육자협의회 (MENC, Music Educators National Conference)
김정숙 (고려대학교 2014년) 국어국문학과 한국어학 석사 1기 이 드미뜨리
「 All children have strengths 」
Chapter 3. 성격 및 사회성 발달.
고등학생을 위한 성교육 7단원: 음란물, 나의 미래를 좀먹는다
협동학습 박세정.
음악 수업 & 수업 지도안.
Freedom For What? 자유학기제의 준비와 운영 매뉴얼 활용 광 주 동 신 중 교사 국광윤.
창의적 공학 설계 < 사용자 중심의 공학설계 > : Creative Engineering Design
사회과 서술형 평가 문항 자료집 -중학교 일반사회 영역 -.
다문화교육론 호 원 대 학 교.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교과서 심사기준의 평가지표 개발 연구 -창의적 사고 역량을 중심으로-
(Adjustment to New Pressures) (New Self-Expectations)
Anyang Volunteer Center
KOREA NAZARENE UNIVERSITY
한 국 상 담 문 화 원 전임교수:신지원 영남대학교 김재춘 교수
교육학개론 : “교육평가”.
초등 진로교육 방안 안남초등학교 장 신.
고등학교 독서와 문법 2. 독서의 원리 대단원 정리.
강의자료 교사의 역할과 자질.
성의 발달과 젠더 탐색 성과 인간관계.
교수적 사정 지난주에 배운 내용을 간략하게 복습하도록 하겠습니다..
만나교회 장학생 프레젠테이션 지침 및 평가 방안
Recommended course of action for HRDers
교육 교육목적: Why ? 교육내용: What ? 교육방법: How ?.
교직이수 2학년 학기 초(3월) 선발 선발 기준 교직적성, 인성 및 학업성적 선발 인원 당해 입학정원의 10% 이내
6장 가족문제 예방을 위한 실천 가족복지론 최진령.
이 은 Tyler 교육과정 개발 모형 이 은
Presentation transcript:

창의·인성 교육을 위한 평가 남 명 호

왜 창의·인성 교육인가? 교육의 근본 목적은 미래를 살아갈 수 있는 힘을 키우는 것임 미래 교육은 학생들의 잠재력과 바람직한 가치관을 함양하는 교육이어야 함. 미래 교육의 핵심에 ‘창의성’과 ‘인성’이 존재함 국가의 경쟁력은 ‘모방적 인적 자본’이 아닌 ‘창조적 인적 자본’에 있음 창의성과 인성 함양은 미래 사회에서 개인과 국가의 생존과 직결되는 문제임

창의·인성교육 기반 조성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창의·인성 교육 토대 마련 - 창의적 체험활동을 강화하여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창의 인재 양성 교육을 학교에서 실시하도록 함 대학입학사정관제 확대 - 입학사정관제가 확대되면서 점수 중심의 평가방식에서 탈피, 학생의 창의성, 인성, 잠재력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려는 움직임이 확산됨

2009 개정 교육과정 고시 초·중등교육법 제23조 제2항에 의거하여 2009 개정 교육과정 고시 -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09-41호(2009. 12. 23) -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인간상 전인적 성장의 기반 위에 개성의 발달과 진로를 개척하는 사람 기초 능력의 바탕 위에 새로운 발상과 도전으로 창의성을 발휘하는 사람 문화적 소양과 다원적 가치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품격있는 삶을 영위하는 사람 세계와 소통하는 시민으로서 배려와 나눔의 정신으로 공동체 발전에 참여하는 사람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창의적인 인재를 기를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구성한다. 인간상을 구현하기 위한 교육과정 구성의 방침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창의적인 인재를 기를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구성한다. 공통 교육과정과 선택 교육과정 학년군 설정 공통 교육과정의 교과는 교과군으로 재분류 선택 교육과정은 4개 교과 영역으로 구분하고 필수이수단위 제시 집중 이수 확대 재량활동과 특별활동을 통합, 창의적 체험활동 신설 교육과정 질 관리 체제 강화

입학사정관전형의 평가요소 및 평가기준 모형(예시) 평가 요소 평가 기준 종합 평가 <교과 관련 요소> •교과 성적 •학업 관련 탐구 활동 •방과후 학교 활동 <창의적 체험 활동> •독서 활동 •자격증 및 인증 •동아리 활동 •봉사 활동 <학교생활 충실도> •공동체 의식 •리더십 •출결 상황 <학습 환경> •가정환경 •지역의 교육여건 •학습수행의 장애극복 학업의지 및 전공 적합성 종합평가에 의한 최종 등급 평가 ⇒ 합격∙ 불합격 결정 창의성 인성 학업성취도 성장잠재력 및 발전가능성

창의·인성 교육 창의·인성교육은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동시에 더불어 살 줄 아는 인재를 양성하는 미래 교육의 본질이자 궁극적인 목표 - 교육과학기술부(2010. 6. 3) ‘창의·인성 교육 강화방안’-

창의·인성 교육의 개념 (포괄성) 모든 학생을 대상으로 일상적으로 이루어지는 포괄적인 교육 (종합성) 교과활동, 창의적 체험활동, 가정교육 등 모두를 통해 유아 단계에서부터 종합적으로 함양해야 하는 자질 교육 (미래지향성) ‘즐거움’, ‘스스로’, ‘중요한’ 등 긍정적 이미지의 미래형 교육 (동시성) 창의성과 인성을 동시에 함양하는 교육

창의성(creativity) 창의성이란 “새로움에 이르게 하는 개인의 사고 관련 특성” -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10). 창의성 제고를 위한 교육과정 개편 방안 연구 -

창의적 사고 창의적 사고 성향(disposition) - 인간의 내적 인지적 특성으로서의 창의적 사고 기능이 최종적인 인간의 성취를 위해 작용하는 과정에서 개인에게 요구되는 정의적 또는 태도적 특성 (예) 호기심, 탐구심, 자신감, 자발성, 정직성, 개방성, 독자성, 집중성 창의적 사고 기능(skill) - 창의적 사고를 할 수 있게 해주는 능력적 측면의 기초 (예) 민감성,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정교성, 상상력

창의성 교육 창의성은 타고난 것으로 받아들이기보다는 경험하고 훈련함으로써 신장시킬 수 있는 능력으로 받아들여야 함 창의적인 사고 능력은 창의적인 활동의 과정에서 강화될 수 있음 교육 현장에서 문제해결 과정 등을 통해 창의적 사고를 경험하고 신장시킬 수 있도록 함

Bloom의 교육목표분류학(1956) 평가(Evaluation) 종합(Synthesis) 분석(Analysis) 적용(Application) 이해(Comprehension) 지식(Knowledge)

Bloom의 개정 교육목표분류학 (Anderson & Krathwohl, 2001) 인지 과정 차원 지식 차원 사실적 지식 개념적 지식 절차적 지식 초인지 지식 기억하기(remember) 이해하기(understand) 적용하기(apply) 분석하기(analyze) 평가하기(evaluate) 창작하기(create)

인성 인간의 품성, 인간의 됨됨이, 인격 등과 같이 바람직한 의미를 포함하는 도덕적 가치가 포함되며 후천적으로 교육에 의해 길러질 수 있는 인간으로서 갖추어야 할 인격적 특성

인성 교육 인성 교육이란 “학생들에게 덕목을 내면화시켜 바람직한 도덕적 인격을 형성시키기 위한 교육 활동” - 조난심·차우규(2000) - 21세기에 적합한 인성 교육의 방향 - 관계성을 강조, 생명 존중 교육, 인간 내면의 회복과 관련한 교육, 민주시민성과 공동체 교육

인성 교육 관계성을 강조하는 인성 교육 - 나 자신과의 관계 관련 교육 : 약속, 정직 등 - 인간관계 관련 교육 : 배려, 책임, 협동, 공감 등 - 나 이외의 여러 대상과의 관계 관련 교육 : 민주시민 의식, 공동체 의식 등

인성 교육 바람직한 도덕적 판단 능력을 갖게 하는 인성 교육 - 도덕적 예민성 : 사태를 도덕적 관점에서 인식 - 도덕적 판단력 : 바람직한 도덕적 가치와 관점에서 판단 및 의사 결정 - 도덕적 실천력 : 바람직한 행동을 선택하고 직접 실천할 수 있는 능력

창의·인성 교육을 위한 학생 평가의 방향 첫째, 교육현장의 창의성, 인성 함양에 대한 인식 공유 교육관계자는(특히 교사와 학생) 창의성, 인성 함양의 중요성을 인식해야 함 창의성, 인성은 타고난 것이 아니고 후천적으로 훈련과 계발의 교육적인 과정에 의해 길러질 수 있음을 이해 교육관계자는(특히 교사와 학생) 창의성, 인성의 개념에 대해 충분히 숙지 교수학습 내용이나 방법이 창성, 인성 함양을 위해 적절한 역할을 수행할 때 창의성, 인성 함양을 위한 교육평가도 가능함을 인식

창의·인성 교육을 위한 학생 평가의 방향 둘째, ‘학생평가’에 대한 개념의 전환 평가의 목적은 학생의 성적 산출이 아니라 학생이 교육목표를 도달하도록 도와주는 것으로 규정 평가는 교수·학습 과정의 일부분으로 인식함 학생의 지적인 능력뿐만 아니라 정의적인 태도도 중시하는 풍토 조성 학생 개인의 능력차를 긍정적으로 인정하며 개인의 성장과 자아실현을 독려하는 평가 문화 조성

창의·인성 교육을 위한 학생 평가의 방향 셋째, 평가 내용의 전환 평가의 내용을 하나의 답을 찾게하는 정답형에서 여러 가지 답을 찾도록 하는 해답형으로 전환 고등사고 능력을 필요로 하는 평가 내용 평가방법의 다양화

창의·인성 교육을 위한 학생 평가의 방향 넷째, 성적처리 방식의 개선 학생의 다른 학생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규준참조평가에서 학생의 교육목표 달성도에 중점을 두는 준거참조평가로 전환 교과학습발달상황 기록의 개선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 항목에 평가에 대한 다양한 내용을 질적으로 기록함 ‘행동특성 및 종합의견’ 항목을 좀더 세분화하여 구체적으로 평가함

창의·인성 교육을 위한 학생 평가의 방향 [결론] 창의·인성 교육을 강화하기 위한 평가의 방향 ‘서술형 평가의 확대’ ‘수행평가의 내실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