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 초기 역사서술
특징 인간이 다시 역사의 주인공으로 등장 신학적 세계관에서 탈피 새로운 가치의식과 기준에 입각하여 연구주제, 연 구방법, 서술형식 시도 연구 주체: 시인, 문학가, 정치가 등 속인(정치적, 혹은 인간의 공리적 문제에 관심) < 중세는 수도사, 성직자>
주제: 특정 지방, 지역, 민족, 국가 취급 개별적 구체적 역사 단위들이 보편적 개념의 하 위 단위가 아니라, 그 자체로서 독자적 지위를 얻 음(중세는 주로 교황, 성직자, 교회) 방법: 박학적, 비판적(고문서의 위조, 전승 과정에서 왜 곡된 부분과 오류 발견) 서술: 정치사(역사 과정의 패턴, 국가의 철학적 이해)
역사가들 Nicolo Machiavelli, 1469-1527 당시 이탈리아는 도시국가의 병립, 프랑스와 스페인의 간섭으로 정치적 혼란 상태 마키아벨리는 피렌체의 서기국 직원이자 외교관으로 여러 나라의 군주와 교황을 만나는 등 풍부한 세속적 정치적 경험 저작에 르네상스의 세계관과 정치적 현실을 반영 [군주론, 1513] 무정부 상태의 이탈리아에 새롭고 유능한 군주 가 출현하여 통일을 이루어야 한다는 생각에서 그 방책을 제시 국가의 성격과 종류, 영토 획득과 유지의 수단, 영토 상실의 이유를 설명 정치이론은 르네상스적 정신의 적나라한 표현 군주의 정치적 수단과 그 정당성을 주장
한 지역의 역사를 그 구성원의 의지작용과 욕구 라는 측면에서 관찰 구성원 내부의 도덕적 타락을 지적 [피렌체사, 1525] 민족이동에서 동시대까지 피렌체의 역사(13세기 이후)를 구귀족계급/고등 시민계급/중간계급/노동계급 간의 국가권력의 장악, 혹은 참여를 위한 계기적 투쟁의 과정으로 설명 한 지역의 역사를 그 구성원의 의지작용과 욕구 라는 측면에서 관찰 구성원 내부의 도덕적 타락을 지적 국가의 도덕적 원칙의 중요성 강조(‘국가이성’) 국가이성의 현실적 표현 수단으로 ‘권모술수’ 정당화 공화국을 동일한 언어, 도덕, 제도 등으로 결합된 지 리적 단위로 봄
마키아벨리의 역사서술의 특징 사건들의 내적 연관관계를 분석, 역사적 원인을 정치적 면 에서 파악, 정치적 발전을 역사적 배경 속에서 분석 역사를 현실주의적, 인간주의적으로 관찰(인간성 동일, 시 간과 공간을 넘어 유사한 사건들의 상태를 비교, 실용적, 효용적) 정치사 중심(국가를 사회집단간의 투쟁의 항상적 존재로 서 유기체로 봄) 그의 역사서술은 “정치법칙을 발견하기 위한 도구”, 새로 운 연구방법이나 비판적 태도를 도입하거나 견지하지 않 음
Francesco Guicciardini, 1483-1540 법률학자이며 교황청의 외교관 정치적으로 보수적(귀족지배계급의 편) 은퇴 후 역사 저술 [피렌체사, 1509] 1378-1509년간의 지방사 서술의 형식보다 사실의 명확한 설명 인물들의 성격과 야심을 깊이 분석 [이탈리아사] 1494년 프랑스의 침공에서 1534년 까지 프랑스의 침략 이후 독일, 영국, 스페인의 간섭에 따른 혼란과 이들 침략국가의 의도를 분석 혼란이 지배자들의 권력 욕구에서 야기된 것으로 봄 국가간의 상호관계, 군사작전과 정치의 상호관계 인식
귀치아르디니의 역사서술의 특징 사료의 사용과 비판에 탁월: 정치가와 전쟁지휘관의 편지, 사신 의 보고서와 협약문서 등을 수집, 분석, 비판, 공식문서의 배면 의 의미를 추적 자신이 판단의 중심에 서서 오직 사실을 구체적이고 정확하게 서술 신학과 기적을 조소(중세의 자의적 역사해석 비판) 역사서술은 과거의 찬미가 아니라 교훈과 사실의 이해에 있다 고 생각 [이탈리아사]는 “고전양식 최후의 역사저술일 뿐만 아니라 근 대역사서술의 최초”
의미와 한계 역사를 현실의 인간 활동의 결과로 봄(인간의 독자성 확보)->근대 역사연구의 토대를 마련 역사를 현실의 인간 활동의 결과로 봄(인간의 독자성 확보)->근대 역사연구의 토대를 마련 우주와 세계를 과학적으로 이해하지 못했지만 합리 적으로 나아감 역사발전의 견해를 세우지 못함(역사의 순환, 역사를 자연법칙의 과정으로 이해) 역사를 단절적인 것으로 봄(중세의 가치를 이해 못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