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주차 품질 관리 2.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적화, 적과를 할 때 액화, 액과 따기의 중요성 前 이바라기현 과수협회장 구로다 야스마사.
Advertisements

3-4 주빈, 신예린 목차 탐구 동기와 탐구 일시 및 장소, 참고 자료 갯벌이란 ? 갯벌 탐사에 사용되는 도구 (1,2) 유명한 갯벌 ( 우리나라 ), 여러 갯벌 축제 갯벌이 만들어지는 조건 람사르 협약이란 ? 람사르 협약에 가입된 우리나라 생태지 밀물과 썰물 갯벌에.
응 급 처 치 법응 급 처 치 법 응 급 처 치 법응 급 처 치 법. 응급처치법 1) 현장조사, 의식확인, 연락 현장은 안전한가 조사한다. 119 나 응급의료기관에 연락한다. 발바닥을 간지럽히거나 가볍게 꼬집어 본다. 0 ~ 4 분 4 ~ 6 분 6 ~ 10 분 10.
트렁크 안에서 천정을 보았을 때 무늬와 같은 형태의 홈이 있습니다. 트렁크 실내등 트렁크 스프링 앞으로 볼링핀 모양 이라 부르겠 습니다.
도덕적 성찰 준거의 의미와 필요성을 이해할 수 있다. 학습 목표 올바른 도덕적 성찰의 준거를 설명할 수 있다.
과채류 ( 수 박 ) 발표자 : 농어업조사과 장 천 숙. 목 차 1 월별 작업 흐름 2 재배 방법 3 병충해 방지 4 수박의 효능.
경주 수학여행 6학년 5반 15번 유송연.
Construction Methods and Management
아름다운 문화를 만들어가는 좋은 사람들- 좋은상조그룹
용주사 보고서 6-5 / 16번 / 장경서.
若者文化 김현주 이규혁 박현빈 전인성 임준형.
瑞山 가는 길 지난 10월 31일 07:00 ~ 11월 01 21:00 서해안 여행을 했습니다
상처와 출혈 응급처치 한국산업안전공단.
Ⅴ. 건설 기술과 환경.
품질 분임조 활동 10 단계.
㈜ 큐펙스 코리아 전문위원 박 준 화.
생 각 하 기 1. 내가 생각하는 어린이란? 2. 내가 생각하는 어른이란? 3. 어른이 된다는 것 은?
북한의 음식 북한음식…..
취업/자기계발동아리 참가자 오리엔테이션 전남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각주구검(刻舟求劍) - 刻 새길 각 舟배 주 求구할 구 劍칼 검 판단력이 둔하여 세상일에 어둡고 어리석다는 뜻
총괄생산계획 총괄생산계획 : 기업의 중기 또는 장기에 해당되는 생산계획으로 기업이 생산하는 제품의 포괄적인 범위에 대한 생산일정과 수량을 결정하는 과정. 시장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기업의 가용자원을 활용하고 관리하는 행위 총괄생산계획이 사용하는 자원의 대상 : 노동력,
제 12 장 감성적 품질을 창조하는 품질경영 [전사적 품질경영 : TQM].
건설관리학 강의슬라이드 8장. 품질관리.
통계적 품질관리 Statistical Quality Control
이리신광교회 건축관련보고 문준태 익산시노인종합복지관장.
物流標準化 우리나라 산업의 국제경쟁력을 저해하는 요인 가운데 하나는 국내기업의 높은 물류비이다.
C.I.P 공법 기계유씨(杞溪兪氏) 충목공파 16세손 유주연(兪周延)
창녕 조씨 참정공파 36세손 조한규(曺韓圭) 남양 홍씨 상서공파 37세손 홍장환(洪長煥)
표준화 기구 조사 컴퓨터 전공 장영문.
콘크리트 구성 및 경화.
에너지절약형 친환경주택 건설기준의 이해 ( 친 환 경 주 택 ) (주)선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ISO 9001 인증 교육.
㈜ 정업건설 서울시 은평구 갈현동 ) 테라몰 (현장테라죠 건식갈기) 마감 ㈜ 정업건설 서울시 은평구 갈현동 )
종이헬리콥터 하귀일초등학교 5-1 양현석.
제주북초등학교 6학년 심화반 김학선 지도교사 : 고동림 선생님
발의 12경맥과 경혈.
1. 기계와 기구 1.1 기계는 저항력이 있는 물체를 조합하여 한정된 범위내에서 상대운동을 하며, 공급된 에너지에 의해 외부에 일정한 일을 하는것으로, 즉 “사람을 대신하여 일을 하는 도구”로 정의 될 수 있다 1.2 기계의 구비조건 1) 저항력이 있는 물체를 조합한.
입찰금액절감사유서 적합/부적합 사례 2010년 06월.
혜원 신윤복 [申潤福, 1758~. ] 조선 후기의 풍속화가
분임조 활동 (주) 세 기.
피부의 구조와 기능 피부로 읽는다. 피부의 감각점 피부 감각점의 분포와 자극의 민감도.
자전거 기어의 원리 한림초등학교 6학년수학영재 임지혁.
제 1회 예천자활복지센터 보호자 간담회 예천자활복지센터.
김은영 수줍은 자기소개서☞☜.
조복(朝服) 조선시대 문무백관들이 조하(朝賀)나 의식 때 입던 관복
태양의 크기 지구, 달, 태양 누가 가장 클까? 태양의 크기 측정 지구, 달, 태양의 크기 비교.
ISO9001의 개요.
P 탄성력과 마찰력 생각열기 – 높이뛰기 세계 신기록은 약 240cm 인데, 장대높이뛰기 세계 신기록은 약 620cm 이다. 이렇게 차이가 나는 까닭은? ( 높이뛰기는 다리의 근육의 힘으로 뛰는 반면 장대높이 뛰기는 장대의 탄성력을 이용하기 때문이다.)
물류관리론(6).
제 8강. 영유아 발달과 보육프로그램.
우리는 누구인가?.
3조:김다영,나민지, 서빛나,송영호, 장연정,연희 발표자:서빛나
기본 테이블 스타일링 학교 : 대경대학 푸드과 학번 : 이름 : 김예림 과목 : 양식 테이블 세팅
품질개선활동 본 강의 자료는 2003학년도 교육인적자원부·한국교육학술정보원의 지원에 의하여 개발된 것임.
가을에 만날 수 있는 곤충.
학교 내 환자 관리 연수 학교 내 환자 및 응급환자 관리계획(도연학사생 포함) 명진고-2077 ( )
4분의 기적, 심폐소생술 1.
장신구 4학년 5반 김도형.
상차림과 식사 예절.
제주북초등학교 영재학급 기초반 김지원 지도 교사 : 김대진 선생님
주유취급소 마) 설치위치 고정주유설비 : 도로경계선 - 4m 부지경계선,담,건축물 벽 - 2m(개구부 없는 벽1m)
발표자:서문진 김혜경 발표내용:폐주물사의 재활용 지도교수:장정국 교수님
9 주차 계측 관리.
산점도 (Scatter Diagram) (1) 개요
세포는 어떻게 분열할까? 학습 주제 <들어가기> 양파를 물이 담긴 유리컵에 기르면 뿌리가
공차 및 끼워맞춤.
Ⅱ. 생활 속의 과학 탐구 7. 생활 주변에서 탐구 가능한 질문 찾아 수행하기 과학탐구실험 고등학교 탐구 목표 단원 열기
아프타성 구내염- 환자 교육용.
2강. 경학의 개념과 기혈 대체의학 강사 박지혜
Presentation transcript:

9 주차 품질 관리 2

품질 관리의 통계적 수법 모집단과 시료 - 전수검사방식 : 집단을 구성하는 하나 하나를 전부 검사 품질 관리의 통계적 수법 모집단과 시료 - 전수검사방식 : 집단을 구성하는 하나 하나를 전부 검사 - 채취검사방식 : 일부 채취를 취하며 여기서 얻은 측정치를 가지고 그 집단의 품질을 판단 - 모집단 : 조사, 연구의 대상이 되는 특성을 가진 구성체 또는 시료로부터 얻은 데이터를 통하여 품질 특성을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필요한 조치를 취해지는 구성체를 모집단이라 한다. - 단위체 : 모집단을 구성하는 단위 - 무한모집단 : 단위체의 수를 한정할 수 없을 때 즉 무한일 때를 무한모집단이라 한다. - 시료 : 모집단으로부터 목적하는 조사하는 바를 조사하기 위하여 뽑아낸 표본 전체를 말하며 개개의 표본을 이와 구별하여 단위개체라 부른다.

품질 관리의 통계적 수법 통계량의 계산 - 계량치와 계수치 - 계량치 : 양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데이터 품질 관리의 통계적 수법 통계량의 계산 - 계량치와 계수치 - 계량치 : 양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데이터 예 ) 콘크리트 강도, 성토재료의 입도, 함수량, 중량 - 계수치 : 수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데이터 예 ) 공시체의 수, 코어의 수, 불량품의수 - 측정치에 대한 산포의 중심적 경향을 표시하는 방법 - 평균값 - 중앙값 - 최빈값

품질관리의 방법 품질관리의 7가지 도구 품질관리 7가지 도구 연관도법 파레토도 KJ(친화도)법 특성요인도 계통도법 히스토그램 매트릭스도법 매트릭스, 데이터 해석법 PDPC(과정 결정 계획도)법 애로우 다이어그램법 품질관리 7가지 도구 파레토도 특성요인도 히스토그램 그래프 층별 산포도 체크시트 관리도 파레토도: 결과와 원인을 분석하고 주요문제점을 발견하기 위한 그래프 특성요인도 : 어떤 특성(결과)과 그 원인의 관계를 정리하기 위한 그래프 히스토그램 : 데이터를 일정한 폭으로 구분하고 막대그래프로 표현하여 중심, 편차, 모양의 문제점을 발견하기 위한 그래프 그래프 : 데이터를 형식과 관계에서 문제점을 발견해 내기 위한도구 층별 : 데이터를 그루핑하며 문제를 발견해 내기 위한 도구 산포도 : 한쌍의 데이터가 대응하는 상태에서 문제점을 발견하는 도구 체크시트: 계산치의 자료를 모아 그것에서 문제를 발견해 내기 위한 도구 관리도 : 시계열로 표현된 데이터의 편차에서 관리상황과 문제점을 발견해 내기 위한 도구 연관도범 : 서로 맞는 원인, 결과의 정리 KJ법(친화도법) : 혼돈상태로부터의 문제의 명확화 계통도법 :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의 전개과정 매트릭스도법 : 다원적 시고에 의한 문제 발견법 매트릭스, 데이터 해석법 : 매트릭스도로부터주성분 추출 PDPC(과정결정 계획도)법 : 문제 진전과정에서 바람직한 방향으로 꾀하기 위한 방법 애로우 다이어그램법 : 네트뉙에 의한 계획, 관리

품질 관리 도구 산포도 ( Scatter Diagram ) - 정의 산포도는 계량적인 요인이나 특성에 대한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그림 두 변량을 가로축과 세로축에 취하여 측정치를 점으로 표시한다. - 산포도 판독법 강한 정상관형 약한 정상관형 무 상관형 강한 부상관형 약한 부상관형 봉우리(골자기)형

품질 관리 도구 특성 요인도 - 원인과 결과의 관계를 알기 쉽게 도시 한 것 - 문제로 분석된 특성과 이에 영향이 된다고 분석된 요인(원인)의 관계를 정리하여 도시한 것 - 형태가 생선뼈와 유사하여 Fish Bone Diagram 이라 함 재료의 품질 계 량 운 반 양 생 시멘트 시간 조골재 방법 장치 세골재 혼화재료 기간 물 방법 수량 콘크리트 압축강도 강도 비비는 시간 다짐 내구성 재료투입순서 방법 재료의 단위량 수밀성 믹서의 성능 배합 비비기 치기

품질 관리 도구 - 특성 요인도의 작성 방법 문제가 되는 특성을 선정한다. → 문제가 되는 특성을 오른쪽 끝에 적어 두고 왼쪽부터 특성의 중앙으로 화살표를 그려 넣는다.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열거한다. → 요인을 크게 분류하고 큰 가지의 요인을 갖는다. 특성 요인도를 정리한다. →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지 않는요인은 제외하고 부족한 내용에 대해서는 요인을 추가하여 정리한다. 요인의 중요도를 표시한다. → 열거된 요인 중에서 어느 요인부터 조사해 나갈 것인가를 명확히 하기 위해서 영향이 크다고 생각되는 용;s에는 적절한 표시를한다. 필요한 사항을 기입한다. → 작성일자, 작성부서, 특기사항 등을 기록한다.

품질 관리 도구 계통도법 - 설정한 목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목적, 수단의 계열에 계통적으로 전개함으로써 최적의 수단을 탐색하는 방법 - 계통도의 작성과정 및 작성 결과에 의거하여 문제해결에 대한 구체적인 방책을 얻을 수 있다. - 문제 해결을 위한 수단을 논리적, 계통적으로 전개하기 쉬워서 누락의 방지나 새로운 수단의 발상을 얻고 싶은 경우에 유용하다. 목 적 수 단 목 적 수 단 목 적 수 단

품질 관리 도구 체크 시트 (Check Sheet) - 일상의 관리, 개선을 위한 Data를 수집하거나 점검하거나 하는 경우에 목적에 맞춰 미리 설계된 것을 말함. - 불량수, 결점수 등, 셀 수 있는 데이터 (계수값)가 분류항목별의어디에 집중하고 있는가를 알아보기 쉽게 나타낸 그림 또는 표 - 기록용 Check Sheet 불량 항목별 Check Sheet 불량 용인 조사를 위한 Check Sheet - 점검용 Check Sheet 점검용 체크시트는 점검해야 할 항목을 미리 정해 두고 이에 따라 점검 확인을 진행

품질 관리 도구 체크 시트 (Check Sheet) 예 관리 번호 검사 빈도 공 종 3) 철근 콘크리트공사 개정일자 세부 공종 공 종 3) 철근 콘크리트공사 개정일자 세부 공종 철근가공 조립 작업 개정번호 검사 위치 101 동 5층 페이지 검사 항목 검사일자 검사 결과 조치 사항 YES NO 1. 철근은 받침목위에 Size별, 종류별, 길이별로 구분하여 보관되고 있으며, 덮개로 보양하고 있는가? 2. 정착길이 및 이음 길이는 확인 되었는가? ( 인장 40d, 압축 25d) 3. 배근 간격은 정확하며 수직, 수평 상태는 양호한가? 4. 철근 절단은 절단기를 사용하였는가? 5. 배근된 철근에 녹, 흙,기름등 이물질은 없느가? 6. 개구부, 및 코너부분 보강근은 규정대로 배근하였는가? 7. 배근시 주근, 부근의 개수,지름등은 확인하였는가?

품질 관리 도구 매트릭스도법 - 행에 속하는 요소와 열에 속하는 요소로 구성되는 이원표의 교점에서 착안된 기법으로 - 문제의 소재나 문제의 형태를 탐색할 경우 - 문제의 해결 수단으로 - L형, T형, Y형. X형, C형, P형 등의 6 종류 - 많은 목적이 있고 이것에 많은 해결수단이 대응할 경우 문제의 관계 정리에 유용하고 전체의 구성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 현상, 원인, 대책과 같은 세 종류 이상 항목의 요소를 정리하여 문제의 소재를 명확히 하고 싶은 경우에 도움

품질 관리 도구 매트릭스도법

품질 관리 도구 애로우 다이어그램법 애로우 다이어그램은 PERT 에서 이용하는 일정계획을 위한 네트워크이다. 다음과 같은 경우 유용하다. - 상세하고 치밀한 계획을 세워야 할 경우 - 계획단계에서 납기를 고려한 최적일정계획을 세우야 할 경우 - 진척관리상의 중점인 수단 계열을 알고 싶은 경우 결합점 일정 최종 결합점일정 작업명 최지 결합점일정 결합점 A C 1 4 5 15 7 더미 B 2 3 12

품질 관리 도구 (ISO 9000) ISO 9000 인증제도 개요 - ISO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의 약자로 공업 표준화의 국제적인 협력을 용이하게 할 목적으로 1947년에 창립된 국제 표준화기구를 말함 ISO 9000 품질시스템이 기존 QC와 다른 점 - QC는 완성된 제품에 대한 품질검사를 중시 - ISO 9000은 제품을 생산하는 과정에 대한 검사로 과정을 중시 - 구매자 위주의 System으로 고객 지향의 기업문화와 구성원의 행동의식도 요구한다.

품질 관리 도구 (ISO 9000 ) ISO 9000 인증 취득의 필요성 및 효과 필요성 - 품질 보증에 대한 고객의 의식 증대 - 세계적으로 많은 국가가 인증제도 실시 - 건설시장 개방에 따른 필요성 - 국제 경쟁력 강화를 위한 자체 내부 시스템의 쇄신 - 생산자 스스로 품질을 신뢰할 수 있다는 것을 객관적으로 입증 효과 - 고객 신뢰성 증대 - 경영의 안정화 - 수익성 증대 - 기업의 기술 축적 - 생산 책임에 대한 예방책

품질 관리 도구 (ISO 9000 ) 건설업에 있어서 ISO 9000의 문제점 및 대응 방안 문제점 - 표준화가 쉽지 않다.(현장 위주, 발주자의 요구가 다르다) - ISO 9000 Series 가 제조업 위주의 규격 - 건설업의 속성상 전사적 분위기가 숙성되지 않음 대응 방안 - ISO 품질 System이 효율화 되도록 사후관리 철저 - 주기적으로 System을 평가하여 건설업에 적합한 품질 System 개발 - 업체간 품질정보 교류 - 품질문제에 대한 기록화를 제도화 - 전 직원 및 작업자의품질 제일주의 분위기 조성 - 선진 해외건설업의 콘소시엄을 구성하고 품질경영 (QM) 체계 도입

주요 건설 자재의 품질 시험

품질 시험 (시멘트) 시멘트 품질 시험 시멘트 시료 채취방법 벌크 상태 : 100톤마다 일정량의 시료를 채취하여 평균 혼합시료 포대 상태 : 4톤(100포대)마다 1포식 대각선으로 시료 채취 평균 혼합 시멘트 품질 시험 종류 - 시멘트 비중시험 : 3.05 ~ 3.15 - 시멘트 분말도 시험 - 표준체 에 의한 시험, - 시멘트 응결 시험, - 시멘트 압축강도 시험 (보통 290kgf/cm2) - 수경성 시멘트 모르터의 인장강도 시험

품질 시험 ( 골재 ) 골재 품질 시험 골재의 의의 - 입경 : 굵은 골재, 잔골재 - 가공 : 천연골재, 인공골재 - 입경 : 굵은 골재, 잔골재 - 가공 : 천연골재, 인공골재 - 중량 : 보통, 경량, 중량 - 산지 : 강모래, 강자갈, 산모래, 산자갈 골재의 선정 조건 - 깨끗하고, 유해물이 없을 것 - 물리적, 화학적으로 안전성 - 내구성 및 내마모성 - 입도 분포가 양호 할 것 - 골재의 체가름 시험 (KSF 2502 ) - 굵은 골재의 비중 및 흠수량 시험 ( KSF 2503 ) - 잔 골재 비중 및 흡수율 시험 (KSF 2504 ) - 골재의 단위 용적 중량 및 공극율 시험 방법 ( KSF 2505 )

품질 시험 ( 골재 ) 골재 품질 시험 골재의 의의 - 입경 : 굵은 골재, 잔골재 - 가공 : 천연골재, 인공골재 - 입경 : 굵은 골재, 잔골재 - 가공 : 천연골재, 인공골재 - 중량 : 보통, 경량, 중량 - 산지 : 강모래, 강자갈, 산모래, 산자갈 골재의 선정 조건 - 깨끗하고, 유해물이 없을 것 - 물리적, 화학적으로 안전성 - 내구성 및 내마모성 - 입도분포가 양호 할 것 - 골재의 체가름 시험 (KSF 2502 ) - 굵은 골재의 비중 및 흠수량 시험 ( KSF 2503 ) - 잔 골재 비중 및 흡수율 시험 (KSF 2504 ) - 골재의 단위 용적중량 및 공극율 시험 방법 ( KSF 2505 )

품질 시험 ( 콘크리트 )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물성 시험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시료 채취방법 ( KSF 2401 ) 콘크리트 구조물의 비파괴 시험 - 타격법 (표면경도법, 반발경도법) - 진동법 (공진법, 음속법) - 전-자기법 (전기법, 자기법) - 방사선 및 중성자법 기타 (국부 파괴법-매입법, 인발법)

품질 시험 ( 콘크리트 ) 장비

품질 시험 ( 콘크리트 ) 포틀랜드 시멘트 콘크리트의 슬럼프 시험방법( KSF 2402 ) 목적 : 아직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반줄 질기를 측정하고 Workability 판단 방법 - 각 층을 다짐대로 25회씩 골고루 다진다. (최하층 1/3 지점은 바닥에서 7cm정도, 2/3 지점은 바닥에서 16cm까지 채운다) - 슬럼프 콘을 벗기는 작업은 5초 이내 수직 방향으로 뽑아 올린다 - 몰드를 채우기 시작해서 벗길 때까지 전 작업을 중단 없이 2분 30초 내로 끝마쳐야 한다. - 공시체가 충분히 주저 앉은 다음 슬럼프를 측정한다. (정밀도 0.5CM) - 슬럼프 시험이 끝난 즉시 다짐대로 콘크리트 측면을 가볍게 두들겨서 그 모양을 관찰하여 Workability를 판단하면 좋은 참고가 된다.

품질 시험 ( 콘크리트 ) 아직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성질 Workability - 콘시스텐시에 의한 부어넣기의 난이도 정도 및 재료분리에 저항하는 정도 Consistency - 수(水)량에 의해 변화하는 유동성의 정도 Plasticity - 거푸집 형상에 순응하여 채우기 쉽고 분리가 일어나지 않는 성질 Finishability -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 잔골재율, 잔골재 입도, 콘시스텐시 등에 의한 마감성의 난이도를 표시하는 성질 Pumpability - 콘시스텐시가 불량하면 압송 중 막힘 현상

품질 시험 ( 콘크리트 )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방법 ( KSF 2405 ) 시험 목적 - 어떤 배합의 콘크리트 강도를 알고 적당한 소요 강도의 콘크리트를 만드는데 적합한 배합 설계 적용 - 설계 시 가정한 압축강도, 기타 성질이 실제 시공구조물 적정성 여부 판단 및 거푸집 제거 시기 결정 - 콘크리트의 품질 확인을 위한 공사 전, 공사 중 압축강도 시험 실기 시험 기기 - 공시체 몰드 ( Φ15 *30cm ) - 다짐 막대 ( 지름 16mm, 길이 60cm 의 원형강) - Capping용 두께 13mm이상의 금속압판 또는 두께 6mm이상의 판유리 - 흙손, 작은 삽, 압축강도 시험기, 슬러프 및 공기량 측정기

품질 시험 ( 콘크리트 )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방법 ( KSF 2405 ) 시험체의 제작 - 3층으로 나누어 콘크리트를 채움 - 맨 윗층을 다진 후 흙손으로 표면을 고르고 유리판으로 다진다. - 콘크리트를 채운 후 2~4시간 지나서 반죽된 시멘트 풀 (물 시멘트 비 : 27~30%)로 공시체 윗면을 캐핑 한다. - 시험체 성형 후 24~48시간 경과 후 몰드를 빼낸다. - 20 ±3 ℃ 의 온도에서 수중 양생 압축 강도 시험 - 공시체는 3개 이상이어야 한다. - 공시체는 양생실에서 꺼낸 즉시 시험해야 한다 ( 습윤 상태 유지 )

품질 시험 ( 콘크리트 )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시험방법 ( KSF 2405 ) 시험 결과 기재 사항 - 공시체 번호, 지름 (cm), 단면적 (cm2), 최대 하중 ( ton) - 압축 강도 ( kg/cm2), 파괴된 형태, 공시체 및 캡의 결함, - 공시체의 재령, 양생 방법 및 양생 온도, 기타 압축 강도에 미치는 시험 방법의 영향 - 물-시멘트 비 (W/C) - 공시체의 치수 - 공시체의 표면 상태 - 압축기의 가입 속도가 빠를수록 강도가 높다. - 공시체의 온도가 높을 수록 강도 저하 ( 21도 전후 적정 ) - 무근 및 콘크리트는 재령 28일, 댐은 91일 압축 강도를 관리

품질 시험 ( 콘크리트 ) 염화물 시험 염화물의 정의 - 염화물은 레미콘에 염소이온(Cl-)이 함유량 검사 염분 규제 기준 - 콘크리트 시방서 기준 : 0.04% - KS기준 : 0.03% 이하 - 건설기술관리법상 (생콘크리트) : 0.3 kg/m3 시험 방법 - Mohr법, 이온전극법, 흡광광도법, 방사선법, Volhard법, 비중계법 염분이 콘크리트에 미치는 영향 - 생 콘크리트 : 수화반응시간이 빠름, 온도 상승, 급결 반응 - 굳은 콘크리트 : 강도 영향 없음, 철근 부착 강도 저하(녹발생), 내구성 저하, 백화 현상 촉진

품질 시험 ( 콘크리트 ) 굳지 않은 콘크리트의 압력법에 의한 공기 함유량 시험방법 ( KSF 2421 ) 시험 목적 - AE 콘크리트에 있어서 공기량은 Workability에 큰 영향을 가져오며 내구성, 강도에도 큰 영향을 주므로 공기량 관리가 중요 시험용 기구 - 공기량 측정기, 다짐대, 나무 망치, 저울, 메스 실린더, 소형 삽 등 콘크리트의 겉보기 공기량 측정 - 콘크리트는 3층으로 나누어 25회 다짐 - 용기의 측면을 나무 망치로 두들긴다. - 용기를 닦고 밀착시킨다. - 공기실의 주밸브를 닫고 배기구 밸브와 주수구 밸브를 연다.

품질 시험 ( 콘크리트 ) - 배기구에서 물이 나올 때까지 주수구에 물을 넣고 배기구에서 기포가 나오지 않을 때까지 압력계를 가볍게 두드린 후 배기구와 주수구의 밸브를 잠근다. - 공기실 압력을 초압력에 일치시키고 약 5초 후 주밸브를 열어 열어 측정

품질 시험 ( 콘크리트 ) AE 콘크리트 ( AE-Entrained Concrete ) 균일하게 분포한다. - 이러한 콘크리트는 Plastic하고 Workability한 찰기가 있는 것으로 바뀌어 Bleeding 현상이 적은 AE 콘크리트가 된다. AE 콘크리트의 장점 - 내구성 개선 : W/C비가 작아서 Workability 개선 - 단위 수량 감소 및 수밀성 개선 단점 - 부배합의 경우 강도가 낮아진다. - 철근과의 부착 강도가 약간 떨어진다. - 거푸집에 보다 큰 하중으로 작용한다. - 공기량 1% 증가시 W/C 2~4% 감소 (단위 시멘트량과 슬럼프가 일정) - 공기량 1% 증가 시 강도 4~6% 감소 (W/C가 같을 때 )

품질 시험 ( 콘크리트 ) 기타 콘크리트 품질 시험 진동식 반죽 질기 측정기에 의한 콘크리트 유동성 시험 (KSF2428) 비비(Vebe) 시험기에 의한 콘크리트 반줄 질기 시험 (KSF 2427) 재료 분리 시험 응결시험 - 관입저항침에 의한 콘크리트 응결시간 시험 (KSF 2436) 염화물 시험 - 염화물은 레미콘에 염소이온(Cl-)이 함유량 검사 - 콘크리트 시방서 기준 : 0.04% KS기준 : 0.03% 이하 건설기술관리법상 (생콘크리트) : 0.3 kg/m3 - 염분의 영향 콘크리트의 중성화 촉진, 구조물 균열 발생, 내구성 저하 (열화) 백화 현상

품질 시험 ( 기타 자재 ) 목재 - 수축률 시험방법 (KSF2203) - 흡수량 시험방법 (KSF2204) 강재 시험 - 인장 시험 (인장 강도, 항복점, 항복강도, 연신율) - 경도 시험 - 충격 시험 - 굽힘 시험 시멘트 벽돌 - 압축강도 시험 ( 80kgf/cm2), 흡수율 (%) : 20이하 - 치수 및 허용차 (단위 : mm) A 형 : 210 * 100 *60 , B 형 : 190 * 90 * 57 ( +3, -2)

품질 관리 계획서 작성 품질관리 계획 이행 절차 계획 수립 건설업자 또는 주택건설등록업자 (건기법 제24조 제2항) 공사 감독자(감리원)의 확인 후 공사 착수전 발주자에게 제출 (인 허가 행정기관의 장에게 제출) 제 출 (시행령 제43조 제1항) 검 토 (시행령 제43조 제3항) 발주자(행정기관의장)은 검토 후 보완 필요시 보완 요구 발주자(행정기관장)은 품질관리를 적정하게 실시 하는지 확인 ( 연 1회 이상, 준공 2개월전까지) 확 인 (건기법 제24조 제3항) 확인 결과 시정이 필요한 경우 건설업자 또는 주택건설등록업자는 지체 없이 시정 후 발주자에게 통보 완 료 (시행령 제40조 제4항)

품질 관리 계획서 작성 대상공사의 범위 (시행령 41조 제1항) - 전면 책임감리 대상인 건설공사로서 총공사비 500억원이상인 건설공사 - 다중이용건축물의 건설공사로서 연면적 30,000m2 이상인 건축물의 건설공사 - 당해 건설공사의 계약에 품질관리계획의 수립이 명시되어 있는 건설공사 - 건설공사의 성질상 품질관리계획을 수립할 필요가 없다고 인정되는 건설공사는 제외한다.(조경공사, 가설물설치공사, 철거공사, 원자력시설공사)

품질 관리 계획서 작성 품질관리 계획서에 포함될 사항 (검토 사항) - 건설공사 정보 - 현장 품질방침 및 품질 목표 - 책임과 권한 - 문서 관리 - 기록관리 - 자원관리 - 설계관리 - 건설공사 수행 준비 - 교육 훈련 - 의사 소통 - 기자재 구매 관리 - 지급자재의 관리 - 하도급 관리 - 공사 관리 - 중점 품질관리 - 계약 변경 - 식별 및 추적 - 기자재 및 공사 목적물의 보관관리 - 검사장비, 측정장비 및 시험장비의 관리 - 검사 및 시험 ,모니터링 - 불일치 공사의 관리 - 데이터의 분석 - 시정조치 및 예방 조치 - 자체 품질 점검 - 건설공사 운영성과의 검토 - 공사 준공 및 인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