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적인 노년를 위하여” 권석준 신세계병원 정신과 과장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학 습 목 표 1. 기체의 압력이 기체 분자의 운동 때문임을 알 수 있다. 2. 기체의 부피와 압력과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3. 기체의 부피와 압력관계를 그리고 보일의 법칙을 이끌어 낼 수 있다.
Advertisements

“ 죽음을 방관하시겠습니까 ? ” 신체활동부족이 어떤 결과로 다가올까 ? 북구보건소 운동처방사 사영훈.
價値 시장을 잘 파악하기 위해서는 소비자의 상호작용에 대하여 관심을 가져야 한다. 이 제품의 사용자는 누구이며, 무엇을 하고, 어떤 환경에 있는지, 그리고 왜 그런 행동을 하는지에 대한 관찰을 통해 소비자의 생활 패턴을 파악해야.
신체활동을 늘려야 건강. 중국의 세 살 소년 이 아이는 건강할까요 ? 이 사람은 건강할까요 ?
틱장애 (TIC DISORDER) 권영신 전선옥. 목차 정의 원인 증상 경과 진단 검사 치료방법.
선행선행 죄 죄 구원구원 선행 ※ 경기 규칙 1. 윷놀이의 아래를 제외한 대부분의 규칙은 동일하다. 2. 이 윷놀이의 궁극적인 목적은 험한 세상을 지나 천국으로 들어가는 것이다. 3. 윷놀이를 하다가 앞서 가고 싶은 욕심 때문에 ‘ 죄 ’ 칸에 멈춰서면 반드시 목욕탕으로.
주제 – 식물에 자외 선차단제를 바르면 어떻게 될까 ? 주제선정이유 우리는 자외선 차단제를 바르면 타지 않는데 식물은 어떤 반응을 나타낼까 궁금해서.
[인격형성 ] [고양이 인생의 최대위기] [인류의 기원] (목)
Internet Addiction Disorder
나만의 광고 만들기 - 아동 성범죄 근절 - (공익 광고) 동화미디어콘텐츠학과 최현민.
TV 광고의 문제점 7모둠 장기혁 홍원표 김수린 신준화.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입문 (발제자 : 정 태 비).
관절염 용인 세브란스병원 정형외과 과장 김형식.
가치관 경매 게임 (PPT 다운로드).
뇌졸중 (stroke)의 영상적 접근 건국대 충주병원 방사선과 최영칠.
Samsung Electronics 5 forces
뇌신경계 뇌혈류검사[Brain Perfusion SPECT]
퇴행성 신경질환.
심근경색 Myocardial Infarction
경영사례 및 영업협상 방법론.
7. 자극과 반응 7-2. 신경계 2. 신경계의 구성.
1. 현대 생활과 응용 윤리의 필요성 2. 윤리 문제의 탐구와 실천 3. 윤리 문제에 대한 다양한 접근
종양계 67Ga 검사 123I-MIBG 종양 검사 131I-MIBG 종양 검사 99mTc-MIBI 종양 검사
사례를 통해 문제 제시하기 진아는 왜 갑자기 사라졌나요? 진아에게 무슨 말을 해줄 수 있을까요?
피임이란?.
암 전이 억제 유전자 발굴 및 작동 기전 연구 (Nature지 4월 14일자 발표)
휴식처(웃음 십계명) 1.크게 웃어라 크게 웃는 웃음은 최고의 운동법이며 매일 1분동안 웃으면 8일 더 오래 산다.
시.지각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시.지각 기능과 일상생활 활동 수행 능력에 미치는 효과
전기진단검사 I.
Loading 생명의 시작.
예수께서 이르시되 오히려 하나님의 말씀을 듣고 지키는 자가 복이 있느니라 하시니라 누가복음 11장 28절 말씀 -아멘-
성이란 무엇인가? 대연중학교보건실.
FileMaker를 이용한 데이터 관리 옥현진(KICE).
신경계의 구성(2) 몸속 네트워크 신경계의 구성 중추 신경계의 구성 말초 신경계의 구성.
P 등속 직선 운동 생각열기 – 자동차를 타고 고속도로를 달릴 때, 속력계 바늘이 일정한 눈금을 가리키며 움직이지 않을 때가 있다. 이 때 자동차의 속력은 어떠할까? ( 속력이 일정하다 .)
9강. 클래스 실전 학사 관리 프로그램 만들기 프로그래밍이란 결국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공구
십자가의 도가 멸망하는 자들에게는 미련한 것이요 구원을 받는 우리에게는 구원을 받는 우리에게는 하나님의 능력이라
당뇨병에서의 C-peptide와 Insulin, Glucagon의 ratio 상관성
청소년 흡연 원광중학교 이 정 란.
마음이 아프세요? 무엇이 왜 우리 마음을 아프고 병들게 할까요?.
정신질환의 이해 박 민 철 (신세계효병원) 가족교육 일시: (수) 11:00 장소: 신세계병원 회의실
인지활동을 병행한 운동훈련이 치매노인의 균형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약식 진리표를 이용한 타당성 증명 진리표 그리기 방법의 한계
골격계 전신 뼈 검사 뼈 삼상골 검사 뼈 단층 영상검사 [Whole body Bone scan]
고등학생을 위한 성교육 7단원: 음란물, 나의 미래를 좀먹는다
바넘효과 [Barnum effect]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가지고 있는 성격이나 심리적 특징을 자신만의 특성으로 여기는 심리적 경향. 19세기 말 곡예단에서 사람들의 성격과 특징 등을 알아 내는 일을 하던 바넘(P.T. Barnum)에서 유래하였다. 1940년대 말 심리학자인.
중 증 환 자 보 고 서 2007년 1월 11일.
햄버거가 만들어내는 사회·생태적 문제는?.
Essential Wellness Buenas noches y bienvenidos a nuestra presentación esta noche. Mi nombre es Eric Larsen y es un gusto estar con ustedes. Para quienes.
[알파코스] 네 번째 왜 그리고 어떻게 기도해야 하는가?.
피터팬 증후군 (Peter Pan Syndrome)
제6장 비만과 체중부족.
우울증 대한 이해와 오해 신세계병원 정신과 정일관.
이은오.
다음을 보고 이야기 해 봅시다. [제작의도] 학습 동기유발을 위한 화면이다. [활용방법]
의학전문대학원 신경생물학교실 원무호.
Osteochondral lesion of talus (OLT; 거골의 골연골 병변)
몸도 마음도 청 춘 윤 금 노 인 요 양 원.
남편과 꼭! 같이 들어아야 하는 맞춤 태내기부모교육!
노년기의 정신과적 특징 신세계병원 정신과 조 광 현.
레크리에이션과 여가 배장섭.
근로자의 스트레스와 정신건강 ┗ 마음의 근육을 키워라!
중국 중산층 장기 해외여행자 증가 이유 언어정보학과 김예원.
캐비테이션(CAVITATION) 기포의 생성 파괴 기포의 발생
나의 꿈 발표 6학년3반 이서은.
알렌 인지 수준 판별검사와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판별검사의 상관관계
친구야 너무 염려 말게나 친구여 너무 염려 말게나 폭풍도 잠시면 지나가고 밝은 빛이 보일거라네 저기 희미하게 등대불이 보이지 않는가.
이학적 검사 학번 : 이름 : 이 윤 진 담당 : 김형민 교수님.
안전의 이해.
건강한 여름 보내기 파워포인트 꼬망세 물놀이 안전.
Presentation transcript:

“성공적인 노년를 위하여” 권석준 신세계병원 정신과 과장 노년기 정신건강 “성공적인 노년를 위하여” 권석준 신세계병원 정신과 과장

노인정신의학이란 노인의 정신장애를 치료하는 학문이란 뜻이다 노인정신의학이란 노인의 정신장애를 치료하는 학문이란 뜻이다. 이와 같이 따로 구분하는 것은 노인의 정신건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특수한 지식이 요구되기 때문이다.

노년기 : 정신건강 상실의 취약기 신체적 기능의 저하됨 성인병 (고혈압, 당뇨, 관절염 등) 직업과 사회적 지위를 상실함 가족과 친구들이 세상을 떠남 경제적인 어려움에 직면함 사회적 고립, 노인차별이나 학대 등을 경험함 뇌의 퇴행성 변화가 일어남

노년기의 성격변화 우울해진다 내향성과 수동성이 커진다 남녀 역할이 변한다 경직성이 증가한다 조심성이 많아진다 의존심이 커진다 먹는 것에서 즐거움을 찾는다 인색해지면서 돈을 중시한다 살다간 흔적을 세상에 남기려 애쓴다.

약이 병이 될 수도 있다. 약에 대한 관심 증가 약을 한번에 많이 먹으면 금방 낫는 줄 안다. 약물치료와 전혀 무관한 새로운 현상이 나타나면 섬망을 의심해야 한다. 용하다는 곳에서 한약을 지었는데, 양약과 같이 먹어도 될까요?

노인들에서 흔한 정신장애 우울증 치매 : 알쯔하이머 병, 혈관성 치매 정신병 및 망상장애 불안장애 신체화장애 및 건강염려증 섬망 정신병 및 망상장애 불안장애 신체화장애 및 건강염려증 수면 장애 (불면증)

우울증 (Depression)

무엇이 연상됩니까? 이 그림을 보고 무엇이 연상되는가? 자살을 하려는 사람, 혹은 새벽을 맞는 희망찬 아침?

우울증은 흔하다 < 우울증은 매우 흔한 병이다 여자가 남자보다 2배 많이 걸린다 우울증은 매우 흔한 병이다. 우울증은 매우 흔한 병이다. 6명중 한명은 우울증에 걸린다. WHO 자료에 따르면 그 중 25%만이 효과적인 치료를 받는다. 여자가 남자보다 2배 많이 걸린다. 40-50대에서 발병률이 높다. 최근 청소년이나 노인층에서 우울증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 여자가 남자보다 2배 많이 걸린다

우울증 WHO 주요 사망 및 장애 원인 2020 2001 5 4 3 2 1 2001 WHO자료에 의하면, 1990년도에는 주요 우울증(Major depression)이 주요 장애 및 사망 원인(disease burden) 질환 중 네 번째를 차지하였다. 2020년도가 되면 두 번째를 차지할 것으로 예측한다. 15-44세 사이에서는 이미 2위의 장애에 해당된다. WHO

언제 우울증을 의심 해야 할까? 우울한 기분 흥미의 상실 식욕 저하 무기력감 불면증 자살 그렇다면 언제 내가 우울증이 아닐까 의심해봐야 할까? - 우울한 기분 : 평소와 달리 의욕이 없고, 슬픈 감정에 휩싸이는 기간이 늘어나고 그 정도가 심해진다. TV를 보거나 전화로 얘기하다 괜히 눈물이 난다. - 흥미의 상실 : 재미있는 쇼 프로그램을 봐도 사람들이 왜 웃는지 이해가 안 간다. 신문을 봐도 연속극을 봐도 눈에 들어오지 않는다. - 식욕저하 : 맛있는 게 없고, 먹고 싶은 것도 없다. 혹은 폭식을 하게 된다 - 무기력감 : 많이 잤는데도 아침에 개운하지 않고 하루종일 쳐지는 느낌이다 - 수면장해 : 잠이 안 오고, 새벽에 일어나 서성인다. . - 자살 : 삶이 가치가 있는지에 대해 의심스럽고 모든 게 허망하다 등등 무기력감 불면증 자살

노년기 우울증 증상 걱정 초조, 불안 기억력 장애 (가성 치매) 두통, 소화기 장애 등 신체 증상 불면증 자살사고 의욕 상실 걱정이 많아진다. 사소한 일에 신경을 쓴다. 잠시도 가만히 있지 못하고 초조해한다.

혈관성 우울증 (노인우울증과 혈관성 질환의 관계) 혈관성 우울증 (노인우울증과 혈관성 질환의 관계) 혈관질환 환자들에서 우울증의 발병률이 높다 뇌졸중, 고혈압, 당뇨병과 같이 혈관을 침범하는 질환에 대뇌백질 병변이 많다 대뇌의 피질하 부위를 침범하는 질병에서 우울증의 발생률이 높다 노인에서 초발하는 우울증은 청장년층 우울증환자들보다 혈관질환이 더 빈번, 혈관성 위험요인이 더 많고, 대뇌백질변 병변도 더 흔하다.

우울증 신체 질환 및 사망률 심근경색의 발병위험 노인의 연간 사망률 우울증 정상인 5배 34.2% 14% 우울증은 신체질환이나 사망률이 증가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Patients with depression have five-fold increased risk of myocardial infarct (Frasure-Smith, et al 1992) 53. 6% of depressed elderly had experienced severe health events or had major chronic health problems compared with 38.1% in the community group (Murphy & Lindesay 1983) Overall mortality of depressed elderly was much higher than that of the community group: 34.2% vs 14% (Murphy & Lindesay 1983)

원인을 제거하면 치료될 수 있으므로 정확히 진단되어야 한다. 신체질환이나 약물에 의한 우울증 만성폐질환, 수면무호흡증 등 암, 내분비계질환, 대사성질환 등 만성췌장염, 간경화 등 심근경색, 혈액질환 등 뇌외상, 중풍, 치매, 파킨슨병 등 치료약물, 남용약물 한편 중년이후 부터 다양한 신체질환을 함께 앓는 경우가 많고 또 이로 인해 여러 가지 약물을 복용하게 된다. - 우울증은 위와 같은 신체질환이나 치료를 위한 약물에 의해서도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우울증상이 있을 때 이런 신체질환의 유무와 함께 복용하고 있는 약물이 어떤 것인지 정신과 의사에게 알려주는 것이 올바르고 빠른 치료를 위해 꼭 필요한 일이다. 약물에 의한 우울증 : - 치료약물: 고혈압약 등 심혈관계 약물, 스테로이드 호르몬, 피임약, 식욕감퇴제, 항생제, 항암제, 진통소염제, 항파킨슨약물 ,항경련제 등 - 남용약물: 술과 진정제, 아편 등 원인을 제거하면 치료될 수 있으므로 정확히 진단되어야 한다.

우울증 치료할 수 있다 빠른 회복 ! 개인정신치료 집단정신치료 인지행동치료 규칙적 운동 균형잡힌 식사 충분한 휴식 약물치료 광선치료 전기경련치료 자기자극술 우울증의 치료 방법은 크게 세가지로 나눌 수 있다. 생물학적 치료 정신치료 기본적인 건강 유지법 빠른 회복 ! 22

노인우울증 치료가 특히 어려운 이유 신체증상 호소가 많다. 멜랑콜리아에 잘 걸린다 인지장애가 흔해서 치매와 혼돈 멜랑콜리아에 잘 걸린다    인지장애가 흔해서 치매와 혼돈 우울한 기분이 저명하지 않다(가면성 우울) 초조, 건강염려증적사고가 많다. 신체적 질병 또는 그 치료제와 상호관련이 있다. 재발이 많다. 약물부작용에 취약, 약물상호작용에 민감  

우울증의 치료 과정과 경과 우울증 재발 재발 4-6개월 급성기 지속기 유지기 기 분 치료경과 얼마나 오랫동안 치료를 받아야 하나? - 치료를 받지 않으면 6개월에서 13개월간 우울증상이 지속된다. 그렇다면 얼마나 치료를 받는 것이 좋을까? 대부분 석 달 안에 호전되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최소한 6개월이상의 유지치료가 필요하다. 석 달 안에 치료를 중단하는 경우 대부분 재발을 한다. 유지치료 중에도 치료가 중단되면 재발하는 경우가 있다. 급성기 지속기 유지기

치 매(dementia)

치매가 의심 스러울때 병(치매) 인지 아니면 노화에 의한 기억력 감퇴인지 감별 회복 가능성에 대한 평가 원인 규명과 앞으로 경과의 예측

노화로 인한 기억력 감퇴와 치매 기억을 저장하지 못함 기억력 이외의 다른 인지 영역은 보존 치매로 인한 기억력 감퇴 기억을 저장하지 못함 기억력과 더불어 다른 인지영역도 손상됨 기억된 일을 회상(retrieval) 못함 기억력 이외의 다른 인지 영역은 보존 치매는 정상적인 노화와 구별되는 하나의 질병입니다. 흔히 아주 건강한 노인들이 병원에 찾아와서 “내가 요사이 기억력이 좋지 않으니 치매가 아닌가?”걱정을 하곤 합니다. 반대로 치매 환자의 가족들 은 종종 환자에게 일어나는 중요한 변화를“나이가 많으니 당연히 일어나는 일”정도로 간주하기도 합니다. 사람이 기억을 한다는 것은 새로운 정보를 받아들여서 저장해 두었다가 필요할 때 그것을 끄집어내 어 회상하는 것이다. 나이가 들면서 정상적으로 저하되는 기억력은 정보를 끄집어내는 '회상 (retrieval)' 능력입니다. 회상력이 떨어지게 되어 입력된 정보를 기억해 낼 수는 없지만, 정보를 등 록하고 저장하는 데는 문제가 없어서 주위에서 그에 대하여 다시 일깨워 주면 다시 생각해낼 수 있는 '재인 (recognition)'이 가능합니다. 이와 같은 정상적인 노화에 의한 기억력 감퇴라면 기억기능 이외 의 언어력이나 판단력 등 다른 인지기능은 저하되지 않습니다. 이에 비해서 치매에서 나타나는 기억 손상은 처음부터 정보를 저장하지를 못하게 되는 것입니다. 정보가 저장이 되지 않았으니 그에 대하여 일깨워 주더라도 기억할 수가 없습니다 (재인 불가능). 뿐만 아니라 치매라면 기억기능 이외에도 판단 력, 수행능력, 언어기능 등 다른 인지기능도 같이 저하됩니다. 사실 일상생활을 통해서는 이러한 기억 력의 구분이 어려워, 결국 병원에서 몇 가지 기억력 검사를 통해 치매인지 정상 노화인지를 구별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부 의학자들은 치매와 양성 건망증 사이에 '경도인지장애 (mild cognitive impairment)'라는 질병군을 두어 치매로의 발전 가능성을 사전에 예방하는데 도움을 주는데 활용하고 있습니다.

치매의 이해 의식의 장애가 없이 기억력 뿐만 아니라 언어력, 시공간력, 판단력 등 여러 가지 영역의 인지기능이 떨어진다. 이로 인하여 일상생활의 수행능력이 떨어진다.

치유가 가능한 치매의 흔한 원인들 약물이나 독성 물질 우울증 등 정신질환 대사성 및 내분비 질환 영양소 결핍 감염질환 정상압 뇌수종, 두개강내 종양, 경막하 혈종, 임파종 시력저하, 청력 저하, 오래된 변비, 장기간의 입원 등

치매를 일으키는 대표적인 뇌의 병 알쯔하이머형 치매 혈관성 치매 알코올성 치매 파킨슨병에 의한 치매

치매의 예후 약 10-15%는 가역성으로 적절한 치료 받으면 회복될 수 있음 알쯔하이머형 치매는 순차적으로 악화되고 혈관성 치매는 계단식으로 악화하는 것이 특징 알쯔하이머형 치매환자의 평균 생존 기간은 약 8-10년 정도

알쯔하이머형 치매

치매의 임상양상- 인지기능의 영역별 임상 양상 치매의 임상양상- 인지기능의 영역별 임상 양상 (1)기억력의 장애 (memory impairment) (2) 지남력의 상실(disorientation) (3) 언어의 장애 (disturbance of language) (4) 실행증 (apraxia, 운동을 수행하는 능력장애) (5) 실인증 (agnosia, 사물을 인식하는 능력장애) (6)집행기능의 장애 (disturbance in executive function) (7) 시공간 능력의 장애 (disturbance in visuospatial ability) (8) 정신 증상 (psychiatric symptoms) (9) 인격의 변화 (personality changes) (10) 섬망 (delirium)

알쯔하이머형 치매의 경과 초기단계: 1-3년 원래 해 오던 일은 수월하게 잘하는데, 새로운 것을 배우기가 힘들다. 이사를 가거나, 여행 등의 새로운 변화에 적응하기 어렵다. 어떤 일을 해 놓고도 잊어버려서 반복하거나, 며칠 전에 들었던 이야기를 잊어 버린다. 남들에게 같은 질문을 성가실 정도로 반복한다.

알쯔하이머형 치매의 경과 초기단계: 1-3년 말을 하다가 단어나 이름이 금방 떠오르지 않는다. 알쯔하이머형 치매의 경과 초기단계: 1-3년 말을 하다가 단어나 이름이 금방 떠오르지 않는다. 남들 말이 때때로 이해가 되지 않는다. 길을 잃거나 헤맨다. 의기 소침해 지고, 의욕이 떨어진다. 즐기던 취미생활이 흥미가 없어진다. 하루 종일 주로 혼자서 시간을 보낸다.

알쯔하이머형 치매의 경과 중기단계: 2-10년 금방 일어났던 일이나 사람의 이름을 기억하지 못한다. 알쯔하이머형 치매의 경과 중기단계: 2-10년 금방 일어났던 일이나 사람의 이름을 기억하지 못한다. 남들 말을 거의 이해하지 못하게 되고, 말하는 것이 더욱 힘들어 진다. 전화 받기가 어렵다. 집안에서 화장실을 찾지 못한다. 요리, 시장보기가 어려워진다. 옷을 갈아 입는데 도움이 필요하다.

알쯔하이머형 치매의 경과 중기단계: 2-10년 세면이나 화장실을 사용하는데 도움이 필요하다. 의존적인 경향이 많아진다. 알쯔하이머형 치매의 경과 중기단계: 2-10년 세면이나 화장실을 사용하는데 도움이 필요하다. 의존적인 경향이 많아진다. 배회하고 돌아다닌다. 이유 없이 남들 (가족, 친구 포함) 험담을 많이 한다. 환각 (환시, 환청)을 때때로 경험하고, 주위 사람들을 의심하는 등의 피행 망상을 나타낸다.

알쯔하이머형 치매의 경과 말기단계: 8-12년 식구들을 못 알아본다. 대소변의 실금이 있어서 가리지 못한다. 알쯔하이머형 치매의 경과 말기단계: 8-12년 식구들을 못 알아본다. 대소변의 실금이 있어서 가리지 못한다. 사람들 앞에서 이상한 행동을 한다. 음식을 제대로 삼키지 못한다. 거의 침대에 누운 채 생활한다.

약을 사용하면 얼마나 좋아지나요? 알츠하이머병의 약물반응 예측 그래프 정 상 초기 단계 경도-중등도 심해진 단계 정 상 30 주 MMSE 점수 년 약을 사용하였을 때 이상적인 치료목표 약을 사용하지 않았을 때 이 그래프는 알쯔하이머병 환자가 인지기능개선제를 사용하지 않았을 경우 자연적인 치매의 진행에 따른 인지기능저하를 파란색 선으로 표시하였고 약 30주간 약을 사용하였을 때 보일 수 있는 다양한 치료반응 범주를 주황색 범위로 나타내었습니다. 이상적인 치료목표는 30주간 약을 복용하면 정상 인지기능을 회복하고 이후에도 계속 인지기능이 정상으로 유지되는 것이지만 현 수준에서는 약을 사용하여 일부환자에서 일시적인 인지기능의 호전을 볼 수 있고 이후에는 다양한 반응을 볼 수 있습니다. 즉, 인지기능이 유지되거나 , 정상노화에 따른 인지기능 저하의 속도 또는 급격한 속도로 인지기능이 저하를 보이는 군이 있습니다. 43

알쯔하이머병을 어떻게 진단하는가? 병력청취 신경학적 검사를 포함하는 이학적 검사 정신의학적 검사 신경심리검사 임상병리검사, 심전도, 흉부방사선검사 뇌영상 검사; 뇌 전산화단층촬영 Brain CT 및 자기공명영상(MRI)

정상과 알쯔하이머병의 비교 정상인의 뇌 치매환자 뇌 뇌의 MRI 사진이다. 알쯔하이머병 환자의 뇌는 정상인의 뇌에 비해 대뇌 피질의 위축이 심하다. 특히 오른쪽 아래의 사진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해마의 위축이 심하다. 해마 부위는 기억력과 밀접한 연관이 있어 해마의 위축 정도는 기억력의 손상과 비례 관계가 있다. 45

알쯔하이머형 치매 위험인자 노화 가족력 두부외상력 고지혈증 지나친 음주나 담배

치매의 치료 원칙 회복이 가능한 부분에 대한 치료. 문제가 되는 행동심리 증상에 대한 치료. 인지기능 저하를 막는 약제를 투여하고, 인지재활을 도모한다. 환자의 가족과 간병인을 위한 도움제공.

진행 억제가 가능한 치매 혈관성 치매 -뇌경색 -뇌출혈 -기타 뇌혈관 질환 치매 중 약 30%를 차지하는 혈관성 치매는 적절한 치료를 할 경우 더 이상 나빠지는 것을 막아줄 수 있는 대표적인 치매 입니다. 혈관성 치매는 흔히 ‘중풍을 앓고 나시더니 정신이 흐려졌다’고 말하는 경우에 해당됩니다. (MRI 사진:) 왼쪽 사진은 뇌의 여러 곳에 생긴 뇌경색에 의한 혈관성 치매(다발성 경색 치매: Multi-infarct Dementia) 환자의 MRI 사진이고, 오른쪽은 미세한 뇌혈관들이 서서히 막히면서 생긴 혈관성 치매(피질하성 혈관성 치매: Subcortical Vascular Dementia ) 환자의 MRI 사진입니다. 이러한 혈관성 치매의 경우에 초기에 빨리 적절한 치료(혈소판 응집 억제제, 항응고제, 고혈압 등 혈관성 위험요인 치료)를 하면 상당한 정도로 진행을 막아줄 수 있고 많은 경우 서서히 회복되는 경과를 보이기도 합니다. 그렇지만, 병원에 오는 시점이 이미 심각하게 진행한 상태에서라면 치료의 의미는 크게 반감될 것입니다. 49

혈관성 치매의 원인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심장병 흡연 비만

혈관성 치매의 치료와 예방 아스피린이나 티클로피딘 같은 항혈소판제를 투여 인지기능 개선제 혈압을 조절 혈당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 고지혈증의 치료 금연, 운동, 식이요법 경동맥 내막절제술, 혈관확장술

섬망 Delirium 정신이 오락가락하는 병 갑자기 발병 시간 경과에 따른 증세의 다양한 변화 환자의 40-50%는 발병 후 1년 내 사망 몸 상태가 안 좋다는 것을 의미 치료는 원인을 찾아서 제거하는 것

후기 정신병 late-onset psychoses 60 세 이후, 여성에서 더 많이 발생 사고 형태의 장애와 감정둔마가 상대적으로 드뭄 환시, 환청, 피해망상(예; 침투망상), 관계망상,조종망상, 과대망상 등 병전조건: 청각장애와 사회적 고립 항정신병약물에 반응률 2/3, 높은 재발율

불안장애 젊은 사람보다 덜 심함 공포장애가 가장 흔함 신체증상이 인지증상보다 흔함. 건강에 대한 걱정

신체화장애 심리적 갈등을 ‘몸이 아픈 것으로’으로 표현함 다양한 신체증상을 호소 대개 여자 가족력(+) 여러 의사를 방문 증상 치료를 원함 대부분 만성 의사-환자관계가 중요

건강염려증 아무런 이상이 없다는데도 여러 병원을 돌아다니며 갖은 검사를 되풀이하고, 의사가 괜찮다고 말해도 큰 병에 걸린 것으로 걱정하는 사람 질병의 원인을 알기 원함 마음에서 발생한다는 설명은 피해야 함

>> 원인을 밝혀 치료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수면장애 • 필요한 수면시간은 나이가 들어도 줄지 않는다. • 밤잠이 충분하지 못하면 낮에 자주 졸게 된다. • 노년기 불면증은 신체적, 정신적 질환에 의한 것이 많다. 나이가 들면 잠이 줄어든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실제로 노인의 경우 밤잠은 줄어들고 또한 나이가 들수록 깊은 잠이 줄고, 자주 깨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고 이러한 영향으로 인해 낮잠이 늘어납니다. 그래서 결국 밤잠과 낮잠을 다 합치면 젊은 사람들과 별로 차이가 나지 않습니다. 즉 나이가 들어도 필요한 수면시간은 별로 줄지 않습니다. 나이가 들면 저녁에 일찍부터 졸리고, 새벽에 일찍 일어나게 됩니다. 대개 65세가 넘으면 평균 90분 정도 잠자는 시간이 앞당겨집니다. 노년기의 정상적인 생리 변화로 수면 유지와 숙면이 어려워지고, 수면리듬이 앞당겨지는 경향이 있습니다만 일상 생활에 지장을 주거나 맞지 않는 것은 치료를 통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노년기 불면증의 가장 큰 특징은 젊은 성인에 비해 이차성 불면증 즉 신체질환이나 정신질환에 의해 생기는 불면증이 많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노년기일수록 “나이가 많으면 원래 잠을 못 자는 거야”라고 그냥 넘어가서는 안되며 병원을 방문하여서 정확한 원인을 찾아보고 이에 따라 원인에 대한 치료를 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을 경우에 적절한 치료도 안되며 병을 키우는 수가 있습니다. >> 원인을 밝혀 치료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노인의 알코올 의존 범죄 성향 및 충동성이 적음 대개 간질환등의 신체질환이나 영양장애, 사고에의한 신체 상해 알코올 금단에 의한 갑작스런 섬망이 흔함 베르니케 뇌증, korsakoff syndrome

한국에서 남용되는 약물 판피린 펜잘 사리돈 가스 활명수, 각종 소화제 우황청심환 보약

자살의 위험 자살 위험도성이 높음. 흔한 유발인자는 신체적인 질병과 은퇴, 재정문제, 가족문제 등. 우울증과 자살사고에 대한 평가가 중요

신경학적 이상 운동장애; 떨림, 운동이상증, 정좌불능증 보행장애: 조화운동불능보행, 반마비보행, 파키슨양 보행 근육 긴장의 증가나 감소 감각의 감소나 비대칭 유무 신경학적 검사, 뇌 영상, 근전도 검사

'나이는 숫자에 불과하다.' -I 85세 프랑스에 사는 장 칼몽 할머니 펜싱을 배우기 시작하다. 100세 장 칼몽 할머니 자전거 타기를 즐기다. 120세 장 칼몽 할머니 건강을 위해 담배를 끊다. 121세 장 칼몽 할머니 Time's Mistress라는 노래를 CD로 발표하다.

성공적인 노화를 위한 10가지 덕목 1. 중년기(40-65세)부터 건강증진 행위를 통하여 종합검진을 받는다. 2. 생활습관의 개선: 편식하지 않고, 좋은 음식을 소식하며, 금연과 함께 규칙적인 운동을 한다. 3. 효와 정당한 도덕성, 신념과 용기 그리고 도전정신을 겸비하고 관후정대(寬厚正大) 한 어른이 되고자 노력한다. 노인정신의학회

성공적인 노화를 위한 10가지 덕목 4. 적당한 경제력을 예비하고 독립성을 잃지 않으며 당당하고 멋있게 늙어간다. 5. 매사에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항상 감사하는 마음으로 웃으며 생활한다. 6. 전문성을 살리거나 분수에 맞는 보람되고 즐거운 일을 찾아 쉬지 않고 일한다.

성공적인 노화를 위한 10가지 덕목 7. 이타심을 갖고 봉사활동을 한다. 8. 가정과 사회에 유익한 어른이 되도록 노력한다. 9. 친구들과 팀워크 정신으로 공동체 생활을 즐긴다. 10. 인터넷 사용으로 클릭문화에 적응한다.

한국의 명의 30인이 선정한 건강하게 오래 사는 법 5가지 한국의 명의 30인이 선정한 건강하게 오래 사는 법 5가지 살을 빼라 술을 자제하라. 금연하라. 꾸준히 운동하라. 올바른 식습관을 가져라. 기타: 충분한 수면, 스트레스 관리, 질병의 적절한 치료

“평화를 원하거든 전쟁을 준비하라” -Sigmund Freud-

'나이는 숫자에 불과하다.‘-II 31세 아직 29살이라고 우길수 있다 38세 병으로 죽으면 엄청 약 오른다 46세 간통죄에 많이 걸린다 48세 통계학적으로 돈을 제일 많이 번다 49세 '9수'라는 말이 절실히 느껴진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