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예비교사를 위한 특수교육학개론 제1장 특수아동 교육의 이해.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장애의 개념 및 범주. ADHD(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  아래 10 가지 항목 중 6 가지 이상의 증상이 6 개월 이상 지속되는 경우  1. 차분하지 못하고 너무 활동적이다.  2. 쉽사리 흥분하고 충동적이다.  3. 다른 사람들에게 방해가 된다.  4.
Advertisements

경계선 지적 기능 아동청소년지원사업 ‘괜찮아 시작이야’ 사업 설명회 [통권번호 ]
제10주제. 해방정국과 신탁통치문제 8.15는 일제의 식민지에서 해방된 기쁨의 상징으로 일컬어짐.
ETHICAL ISSUES in the GLOBAL ARENA
행정소송 실무교육 공익법무관 문 유 식 인사 공익법무관 소개 서울고검 소개.
조선왕조의 유교정치.
이한일 전도사 아이폰 언어설정 변경.
Review of traumatic splenic injuries
Trauma, PTSD, & 재난심리지원 및 치료
행복한 부자교실 16기 8조 성동구 성수동 답사 결과 12월 22일 발표.
*노동문제 * -비정규직 유효림 박지희 전향숙 황연두.
CHOSUN UNIV. PR mind 신문방송학과 김동환 신문방송학과 이선근 신문방송학과 김근현
출처 : 김진호교수님.
장애인복지론 2. 장애인복지에 대한 기초적 이해.
글로리아장애체험대회 장애유형- 특성이해 – 섬김
PART 01 총 론 제9장 한국 사회복지법제의 형성과 발전.
<학습목표> 통합교육의 배경을 이해한다. 통합교육의 개념을 이해한다.
상품의 이해 상품이라! 상품이란 "판매를 목적으로 생산된 재화”
이제혁 제7장 뇌와 척수의 질환 Free Powerpoint Templates.
정신병리와 미술치료 김혜영.
海岩뇌과학硏究所 정동철신경정신과의원 Copyright©2004 해암뇌과학연구소. All rights reserved.
PART 01 케어복지의 이론과 기초 CHAPTER 02 케어복지의 개념과 구조.
D4-1 1호. 정다면체와 플라톤의 입체 페이지 정답 및 설명 커지는 생각P8 쑥쑥 1 P9~12 P9
제1장 장애개념 및 범주.
발달장애의 행동문제 신세계 효병원 윤길상.
법인세 및 부가가치세 소개.
청각장애의 개요 청각장애아 교육_2주차 노진아.
외국의 장애인 복지제도.
발달장애의 이해 및 진단평가 3 Beautiful 꿈 행복 사랑 윤 치 연.
정신건강의 이해.
pl x pr pl pr pl pr pr pl 피벗 이하 피벗 이상
기 초 통 계 인하대학교 통계학과.
전환교육 (Transition Educa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perceptual and perceptual motor deficits
기계어변천사.
2013년 장애인복지정책 추진방향 보 건 복 지 부 장애인정책국.
제4장 장애유형별 개념 및 특성.
동아리 활동으로 내 꿈에 날개 달기.
계약서 관련 실무 계약 위반과 판례 김래균.
제12강 사회복지와 인권문제.
생활 철학 인간이란 무엇인가?.
이학적 검사론 과 목 : 이학적 검사론 담당 교수 : 김형민 교수님 학 과 : 작업치료 과 학 번 :
미래의 체육 이문성.
정품 라이센스.
e-러닝 활성화를 통한 국가인적자원개발 추진전략
2015 한국연구재단 글로벌박사 양성사업 변경사항 안내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광물자원의 탐사와 평가 (K-IFRS 제1106호)
목차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 개괄 역사적,지역적 배경 레지오 에밀리아의 교육목표 최근 유아교육 동향과의 연계성
공중보건학 제1강.
임금체계 개선방안 임금체계 개선 TFT.
정신보건 사회복지 사회복지학과 은종숙.
인간행동, 발달, 사회환경과 사회복지 실천.
선의관악종합사회복지관 김정현.
Collaborative Product Design & Engineering (English Course)
Part 정비사업의 절차 1 ※ : 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 도시·주거환경 정비계획(안) 작성 도시·주거환경정비 기본계획 수립
자녀에게 무엇이 최선인지 선택할수 있는 학부모의 권리 보호
재외선거와 현지언론의 역할
8장 의사소통장애 Ⅰ. 의사소통장애의 정의 1. 용어정의
제11장 장애아동.
Can Automatic Calculating Machines Be Said To Think?’
전환교육 (3/19) 중등특수교육과 강혜경.
정신지체 정의 및 분류 지난주에 배운 내용을 간략하게 복습하도록 하겠습니다..
의사소통장애개론 2018년 2학기 (가톨릭관동대학교).
Chapter 11 장애인 문제 사회문제론 5/24.
Focus A_ 비교급을 이용한 최상급 표현 Language Focus A ‣ 교과서 168쪽 2학년 Lesson 09
장애인거주시설에서의 사회복지실천 국립재활원 동천의집 원장 장애란.
제 9장 기업과 종업원 2012년2학기 경영학과 박준성 교수.
남자의피부의 고민을 한번에 싹~ 해결해주는 옴므라인
형태론 개관 한국어와 정보화.
Presentation transcript:

- 예비교사를 위한 특수교육학개론 제1장 특수아동 교육의 이해

1 2 3 4 5 학습목표 특수아동의 상대적 개념과 질적 개념을 설명한다. 장애 양상과 중재 형태에 따른 장애에 대한 용어를 구별한다. 2 특수교육은 어떤 면에서 일반교육과 다른지 설명한다. 3 특수교육 관련 용어들을 이해한다. 4 통합교육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밝힌다. 5

특수아동의 이해 특수아동이란? 정신적 특성, 감각 능력, 의사소통 능력, 행동 및 정서적 발달 또는 신체적 특성에 있어 평균적이거나 전형적인 아동과는 다른 아동 *영재아 포함

특수아동의 이해 정상분포곡선 현저한 차이 : 평균으로부터 2SD를 벗어난 범위 <그림1-1> 정산분포곡선 그래프 이미지가 좀더 선명해야함. 지금은 오른쪽으로 약간 기울어짐 현저한 차이 : 평균으로부터 2SD를 벗어난 범위 정상분포곡선에 의한 비교를 통해 개인간 차이 (inter-differences) – 특수대상 아동 확인 가능 특정 아동 발달이나 교육을 위해서는 아동 개개인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는 개인 내 차이 (intra-differences)를 고려해야 함.

장애 용어 1975년 전(全) 장애아교육법 (Education for All Handicapped Child Act) 1990년 장애인교육법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Act : IDEA, PL101-476) 장애 용어 띄어쓰기 붙일 것 장애용어 국제장애분류(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Impairment, Disability and Handicap: ICIDH)

장애용어의 개념 <예시> 시각의 변화(visual impairment) 쓰기활동에 제한(visual disability) 활동의 제한으로 자립 생활이 곤란(visual handicap)

(IDEA Regulations: Part 300/A) 특수아동의 분류 특수교육대상자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15조) 장애인복지법 시행령 [별표1] 장애인의 종류 및 기준(제2조 관련) 미국장애인교육법 (IDEA Regulations: Part 300/A) 시각장애 청각장애 정신지체 지체장애 정서∙행동장애 자폐성장애(이와 관련 된 장애를 포함한다) 의사소통장애 학습장애 건강장애 발달지체 그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장애 지체장애인 뇌병변장애인 시각장애인 청각장애인 언어장애인 지적장애인 자폐성장애인 정신장애인 신장장애인 심장장애인 호흡기장애인 간장애인 안면장애인 장루∙요루장애인 간질장애인 Autism(자폐) Deaf-blindness(농-맹) Deafness(농) Emotional Disturbance(정서장애) Hearing impairment(청각장애) Mental retardation(정신지체) Multiple disabilities(중복장애) Orthopedic impairments(지체장애) Other health impairment (기타 건강장애) Specific learning disabilities (특정 학습장애) Speech or language impairment (언어장애) Traumatic brain injury(외상성뇌손상) Visual impairment(시각장애) 너무 많은 내용이 들어있습니다. 3개를 별도 슬라이드로 나누는게 어떨지요?

특수교육의 정의 Hallahan & Kauffman(2000)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2008) 특수교육이란 특수아동의 독특한 요구에 대응하기 위하여 특별히 설계된 교수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2008) 특수교육이란 특수교육대상자의 교육적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특성에 적합한 교육과정 및 제2호에 따른 특수교육 관련서비스 제공 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교육을 말한다(제2조 1항). 특수교육 관련서비스: 특수교육대상자의 교육을 효율적으로 실시하 기 위하여 필요한 인적, 물적 자원을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상담지원, 가족지원, 치료지원, 보조인력지원, 보조공학기기지원, 학습보조기기 지원, 통학지원 및 정보접근지원 등을 말한다(제2조 2항). 내용이 너무 많습니다. 위와 아래를 따로 나누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특수교육 관련법 1990년 장애인교육법(IDEA)의 6가지 핵심원리 완전취학(zero reject) 비차별적 평가(nondiscriminatory evaluation) 무상의 적절한 공교육 (free appropriate public education) 최소제한환경(least restrictive environment, LRE) 정당절차(due process) 부모 참여(parental participation)

우리나라 특수교육 대상학생 배치현황 - 2010년 특수교육 연차보고서서(교육과학기술부) 학생수 유치원 초등 학교 중학교 고등 총 2010 (B) 3,225 35,294 19,375 19,111 79,711 2009 (A) 3,303 34,035 17,946 17,553 75,187 B-A (증가) -78 1,259 1,429 1,558 4,524 그래프를 클릭하면, 크게 보일 수 있도록..

통합교육의 이해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제2조 6호) Kauffman 등(1975) 특수교육대상자가 일반학교에서 장애 유형과 장애 정도에 따라 차별 받지 아니하고 또래와 함께 개개인의 교육적 요구에 적합한 교육을 받는 것 Kauffman 등(1975) 물리적(시간적)통합 + 학문적(교수활동적)통합 + 사회적 통합 사회적 통합 붙일 것

역사적 흐름에 따른 통합교육 관련 용어 정상화 원리(normalization) 가. 장애, 장애인에 대한 수용 나. 일반시민과 동일한 조건의 제공 탈시설 수용화(deinstitutionalization) 최소제한환경 (least restrictive environment) 완전통합(full inclusion) (c.f. 일반주도교육 regular education initiative: REI) 통합교육

통합교육과 특수교육 서비스 체제 Most restrictive Least restrictive 자택/시설 교육 자택 순회교육 특수학교(기숙제/통학제) 전일제 특수학급 시간제 특수학급(학습도움실) 일반학급

성공적 통합교육의 원리 및 여건 1. 모든 학생과 동등한 접근 2. 개인의 강점과 약점 및 다양성을 수용 1. 모든 학생과 동등한 접근 2. 개인의 강점과 약점 및 다양성을 수용 3. 반응적인 실제와 차별화 교수 4. 협력에 기반을 둔 공동체 형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