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Introduction.. 동아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윤 훈 용.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LEGAL RISK for DOCTORS 기업분쟁연구소 소장 조우성 변호사 MANAGEMENT 법무법인 한중 파트너 변호사.
Advertisements

폭력. 폭력이란 무엇인가 우상의 눈물 물리적인 폭력 ( 최기표 ) VS 지능적인 폭력 ( 임형우, 담임선생님 )
제 56 차 미국 생물안전 프리컨퍼런스 참석 결과 교육기간 : ~10.20.
1 박 2 일 !!! 인천마장초등학교 유수아. 1 박 2 일 멤버 인기순 위 1 위 이승기 2 위 엄태웅 3 위 은지원 4 위 김종민, 이수근 ※인터넷에서 본것이기 때문에 사람에따라 서 다를 수 있다. ※
디지털시대 대학도서관의 바람직한 인사정책 방 준 필
2008년도 하반기 대졸 신입 공채 ▣ 모집대상 년도 2월 졸업자 ~ 2009년도 2월 졸업예정자 (4년제 정규대학 및 대학원) ▣ 모집분야 직군 직무 직무 세부 내용 기술 웹개발 Web Development 웹 페이지 및 웹 스크립트 개발 어플리케이션 개발.
1. IT 환경 변화 Ⅳ. 프로젝트 추진방안 기업이 당면한 다양한 문제 해결을 위해서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IT 시스템이 개발되었으며, 이는 기업 내 데이터 발생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음. IT 환경 변화는 단순 데이터가 아닌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급격하게.
1부 2부 3부 사진으로 보는 동일본 지진 현장 - 발전 변화된 사항 훈련 개요 세부 훈련 계획 결어 / 건의 교육감님 말씀
석관중앙교회 5남전도회 석 관 중 앙 교 회 회원 소식 통권 05-04호 발행일 : 2005년 04월 회 장 : 장진호 집사
- Vol. 6 - AUG 안전보건 월간 전문기술 뉴스레터
지역사회복지론 1조. 요양보호시설에 대해서 황성국 임재형 이동영
(Introduction to Creative Design)
시민참여에 의한 물순환 관리로 대댐 하나 줄이기
위험성평가 (Risk Assessment)
제품원가계산 및 분석실무 KPC Education & Training 2014 ● ● 교육기간 교육문의 교육장소
조선업편 안전이 경쟁력이다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Trauma, PTSD, & 재난심리지원 및 치료
신입사원 안전교육 Ⅰ. 안전(安全)이란 Ⅱ. 작업장에서 지켜야 할 안전수칙 Ⅲ. 크레인 안전작업 Ⅳ. 지게차 안전작업
3학년 3반 29번 하상현.
제14장 노인복지의 쟁점과 전망.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산업보건위생연구실 이 나 루
정부와 기업활동 제13주 강의안 제15장 산업안전 및 보건 규제
I 문학의 개념과 역할 1. 문학의 개념 (1) 언어 예술로서의 문학 (2) 소통 활동으로서의 문학
전자식금연보조제 심사방향 - 전기기계적 안전성 심사 식약청 의료기기안전국 진단기기과.
4. 목적론적 윤리와 의무론적 윤리 01. 경험주의와 이성주의 01. 경험주의와 이성주의 02. 결과론적 윤리와 공리주의
건설관리학 강의슬라이드 9장. 안전관리.
ISO 9001:2000 품질 경영 시스템 인증 획득을 위한 안내 한국 큐엠에스 인증원
안전보건 교육 선진안전경영체제 구축.
KOSHA 인증제도 안내.
ISO 실무교육 교재.
ChapterⅥ Evaluation management
仁川李氏 恭度公派 36世孫(인천 이씨 공도공파 36세손) 이현석
표준화와 품질보증시스템.
재활공학의 이해와 발전방향 정동훈(나사렛대학교 재활공학과).
바스프 안전 프로그램 소개 Safety First ! You First ! 한국바스프㈜ 울산화성공장 품질환경안전팀 팀장 전성국
신입사원 안전교육 Ⅰ. 안전(安全)이란 Ⅱ. 작업장에서 지켜야 할 안전수칙 Ⅲ. 크레인 안전작업 Ⅳ. 지게차 안전작업
Paradigm shift for total safety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광주지역본부 교육센터
Systems Engineering 충북대학교 토목공학부 토목시스템공학전공 정보기술기반 건설경영연구실
산업독성학 <Occupational Toxicology>
개항기 조선과 동아시아 박 범 한국역사입문Ⅱ.
연구실 안전의 필요성 연구활동종사자의 역할, 책임 그리고 권리 주요 연구분야별 안전 유의사항 및 현장검사 시 주요 위반사례 참고자료 및 사이트.
건설관리학 Chapter 10 생산성 관리.
리스크 관리 Risk Management 은진송씨(恩津宋氏) 사직공파(司直公派) 27세손 송광철(宋光哲)
1 보건의료조직 2 병원조직의 구성요소 3 병원조직구조의 형성 4 병원조직의 특성 5 현대병원환경의 변화와 병원조직구조의 과제
Global Nursing 환자안전과 의료분쟁 학생들에게 보여주는 슬라이드 지도교수 : 박 신 애.
– 소방공무원 공사상자 발생방지를 위한 – 소방활동 안전사고 방지대책
9장 안전관리 이론.
PL 자가진단 CHECK-LIST(Process)
대구의 부도심 대구의 주요축 동대구 부도심 4조 강민석 / 박성균 / 최은지/ 황재현/김예지.
PROCUREMENT MANAGEMENT
사회복지정책론 총정리(2).
제1부 사회복지일반에 관한 법률 사회보장기본법 사회복지사업법 ㆍ사회복지사업종사자 훈련규정 ㆍ사회복지법인 재무ㆍ회계규칙
금형원가계산 및 분석실무 KPC Education & Training 2013 교육기간 교육문의 교육장소
제2장 인사관리의 역사적 발전 건양대학교 병원관리학과 교수 안 상 윤 병원관리학과.
제조물 책임 (PL) PL 개요 및 대책 정리 : KTI 소장/ 공학박사.기술사 권오운 T P M
사도행전 13장 22절 말씀 –아멘 다 윗 을 왕 으 로 세 우 시 고 증 언 하 여 이 르 시 되 내 가 이 새 의 아 들
송원대학교 철도안전관리일반 교수 : 한 기 율.
제19장 호텔의 안전관리 제 3부 호텔 업무지원부문의 경영관리 1절 호텔 안전관리의 의의 2절 안전사고의 관리과정
신규채용자 안전교육 자료 (유)국민종합주택관리.
낙관주의자는 극심한 불운 속에서도 기회를 보고, 비관주의자는 엄청난 기회 속에서도 불운을 본다.
PL 자가진단 CHECK-LIST(Process)
현장 작업자를 위한 업종별 교안 2013-교육미디어-1451.
제3장 사회복지법 등장과 전개.
천국 가는 길 천국 가는 길 ♧ 천국 가는 길 ♧ 1. 죄와 사망(지옥) 1) 사람의 3가지 공통점 - 죄인, 죽음, 심판
경찰행정과 세미나 결과를 공개해야한다. VS 비공개로 해야한다. 경찰의 근무성적평정 제도.
보험경영론 경일대학교 경영학과.
지역사회자원개발과 후원자 개발 모금과 마케팅 후원자 개발.
근골격계 질환 어떻게 싸울 것인가 한국노동안전보건연구소(준) 동아대학교병원 산업의학과 김 윤 규.
글로벌 수준에 맞는 기업체 작업환경관리 방향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원장 김광종.
Presentation transcript:

서론 Introduction.. 동아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윤 훈 용

안전공학 안전공학 (Safety Engineering ; Industrial Safety Engineering ) ? 사업장에서의 위험요소들을 제거/조절하여 산업재해 (사고)를 줄이는 것을 목표로 안전을 과학적, 체계적인 방법으로 연구하는 학문 생산성의 향상과 안전사고의 사전예방에 의하여 손실을 최소화하고 작업장의 환경과 작업자의 심리적 안정을 도모하여 명랑한 산업활동을 유지 하기 위한 관리과학 이다 안전공학의 연구 필요성 (목적) 인간 생명의 존중 (도덕적 측면) 제재 및 법적 규제 경제적 손실 최소화

안전공학 의 범위 Operation Environmental Engineering Medical Security SAFETY Industrial Hygiene Training Transportation Legal Test & Evaluation Information System Facilities

안전관련 용어 안전 (Safety) 산업안전 (Industrial Safety) 안전관련 용어 안전 (Safety) 위험 (risk or danger) 요소들로부터 자유로운 상태 (사고나 재해가 없는 상태) 잠재적인 손상(harm)으로부터 벗어나는 것 사망, 부상, 직업병, 설비나 재산의 손상이나 손실을 가져올 수 있는 조건들로 부터 자유로운 상태 상해, 로스, 감손, 고통, 위해, 위험에 노출되는 것으로 부터의 자유, 그 자유의 보관 및 보호, 보호장치, 시건장치, 질병 (직업병)의 방지에 필요한 기술 및 지식 (웹스터 영영사전) 산업안전 (Industrial Safety) 산업 현장의 각종 위험요소들로부터 산업체 근로자들의 재해 방비와 안전을 도모하는 것

안전관련 용어 산업안전공학 (Industrial Safety Engineering) 안전관련 용어 산업안전공학 (Industrial Safety Engineering)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재해의 원인 및 발생과정을 규명하여, 장차 발생할 수 있는 재해를 방지하는데 필요한 과학적, 공학적, 기술적 지식을 체계적으로 연구하는 학문 산업안전을 달성하기 위한 공학상의 안전설계나 유지 관리등의 기술뿐만 아니라 인간을 포함한 설비의 안전조작방법 및 안전에 관한 경영관리 등을 종합적으로 다루는 학문

안전관련 용어 사고 (Accident) 재해구분 고의성이 없는 어떤 불안전한 행동이나 조건이 선행되어 작업능률을 저하시키며 직/간접적으로 인명/재산의 손실을 가져올 수 있는 사건 재해 (Loss) :어떤 목적을 가지고 행동하는 과정에서 인간의 의도와는 관계없이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그 행동을 정지시키는 우발적 사건 자연적 재해 : 지진, 태풍, 홍수, 가뭄 등의 기상재해 (방재공학) 인공적 재해 : 사고, 화재, 산업재해, 전쟁과 테러 등의 인재(人災) 재해구분 상해 (injury): 인명피해만을 초래 손실(loss): 인명피해 없이 물적 피해만 가져올 때 무사고상해(near accident): 일체의 인적 및 물적 피해가 없음. 사고가 일어날 뻔 했음.

안전관련 용어 안전관리(safety management) 생산성의 향상과 손실의 최소화를 위하여 행하는 것으로 비능률적 요소인 사고가 발생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활동, 즉 재해로부터 인간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계획적이고 체계적인 제반 활동. 직업병(Occupational disease) 직업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질병으로서, 작업의 종류, 환경 및 작업방법의 불량으로 인하여 근로자의 건강을 해치는 것 위험(Hazard) 시스템이나 구성요소의 저하와 저하 가능성

안전관련 용어 위생관리 (Hygiene) :건강 보호를 위해 예방 차원에서 유해원을 관리하는 것 안전관련 용어 위생관리 (Hygiene) :건강 보호를 위해 예방 차원에서 유해원을 관리하는 것 보건관리 : 건강보호를 위해서는 유해원에 대한 관리 뿐만 아니라 건강진단, 의료등에 관한 사항이 필요하며, 이러한 사항들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건강보호 통상 ‘안전관리’라는 용어는 좁은의미의 ‘안전관리’와 ‘보건관리’를 모두 포함하는 넓은 의미의 안전관리를 의미 일반적으로 ‘안전보건관리’라는 포괄적인 용어가 더 많이 사용되고 있음.

안전공학의 중요성 사회적인 책임 (Social Responsibility) 인도주의적 책임 기업의 이미지 실추 능히 예방할 수 있는 재해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지 못한 결과로 귀중한 인명과 재산상의 손실을 입는다면 이는 곧 사회적 책임을 다하지 못한 것. 인도주의적 책임 인간의 존엄성은 누구에게나 같다. 그런데 피할 수 있는 사고를 야기시켜 인명의 사상과 질병을 초래한다는 것은 도덕적 죄악. 기업의 이미지 실추 산업 재해로 인한 이미지 추락은 회사 경영에 악영향 제조물 책임 예방 및 방어 : PLP vs. PLD

안전공학의 중요성 생산성 향상 측면 작업자 사기 저하 지나친 생산능률 강조는 산업재해를 부름 인간의 안전욕구는 본능에 속하며 안전이 보장된다면, 근로자의 사기진작, 생산능률의 향상, 대내외 여론의 신뢰성 유지 확보, 비용의 절감(사고 방지를 위한 비용이 사고 처리비용보다 적게 든다) 등으로 생산성을 향상되고 기업의 궁극적 목표인 이윤은 보장될 것이다. 작업자 사기 저하 산업현장에서의 안전 사고는 작업자의 창의력 저하, 작업활동 위축에 따른 생산률 저하, 이직률 증대 등의 작업자의 사기를 크게 저하 지나친 생산능률 강조는 산업재해를 부름

안전공학의 중요성 안전 투자는 낭비가 아니라 비용절약 하인리히에 의하면 직접손비와 간접손비의 비율은 보통 1:4정도 이며 간접손비가 훨씬 크다는것을 강조 직접손비 : 치료비, 보상비 : 보험회사에 전보 가능 간접손비 : 보험회사 전보가 불가능 재해자 휴직기간에 지급되는 봉급 조업 상실기간 및 동력비 경영자, 감독자 시간손비 신규채용 훈련비용 운휴중 기계로 인한 손싱

과학적 안전 개념 하인리히 (H.W. Heinrich) : 과학적 안전개념 도입 베르크호프 (H.O.Berckhoff) 안전은 사고 방지이며, 사고 방지는 물리적 환경과 인간 및 기계의 일을 통제하는 과학인 동시에 기술이다. 베르크호프 (H.O.Berckhoff) 사고는 인간이 개체로서 또는 집단으로서 시간의 흐름 속에서 행동하는 과정에서 인간의 의지에 반하여 사건이 발생 하는 것. “사고의 시간성” 이란 개념

안전의 3원칙 점검정비 철저화 : 작업 목적에 가장 적합한 기계, 기구, 공구를 작업 순서에 따라 작업할 수 있도록 점검하고, 이상이 발생하였을 때 즉시 정비 정리정돈의 생활화 : 불필요한 것은 제거시키고 취급하기 쉽게 일정한 장소에 정리 생산작업의 표준화 : 생산작업의 요소단위를 충분히 검토하여 유효 적절하게 작업진행을 하여 안전조건을 습관화

안전관리의 의무 사업주의 의무 : 사업주는 사업상 소유의 위험원 (시설,작업)으로부터 소속 근로자 및 공중의 생명과 건강, 공중 및 국가의 재산에 해가 될 수 있는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준법 및 자체적인 노력을 다 해야 하다는 의무를 가짐. 근로자 의무 : 근로자는 법에서 정하는 재해예방을 위한 안전보건 기준을 준수해야 하며, 사업주 및 관련단체에서 실시하는 사업장 재해예방 조치에 따라야 할 의미를 가짐 국민 의무 : 국민은 국가가 법으로 정하는 재해예방을 위한 안전보건 기준을 준수해야 하며, 정부기관 및 관련단체에서 실시하는 재해예방 조치에 따라야 할 의미를 가짐.

전통적 안전대책 Harvey : 사고 방지및 안전 도모를 위해 3E가 균형을 이루어야 함 안전의 3원칙 안전의 기둥 4M 안전교육 (Safety Education) 안전공학 (Safety Engineering) 안전 규재 (Safety Enforcement) 안전의 3원칙 점검정비의 철저화 정리정돈의 생활화 생산 작업의 표준화 안전의 기둥 4M Man : 작업자 특성 Machine : 기계설비 물적 특성 Media : 작업정보 , 작업방법, 작업환경 특성 Management : 관리적 측면

한국 산업재해 현황 2015년 산업재해 발생 관련 연혁 1964년부터 산업재해 통계 집계를 시작 2016년 6월말 산업재해 발생 현황 (노동부) 재해자수 : 43,250명 (전년대비 1.7% 증가) 사고재해자수 : 39,604명 (2.5% 증가) 질병 재해자수 : 3,466 (6.4% 감소) 사고사망자수 : 501명 (14.9% 증가) 2015년 산업재해 발생 재해자수 : 90,129명 . 사망자수: 1,810명 관련 연혁 산업안전보건법 제정 (1981) 한국산업안전공단 설치 (1987) 노동부 산업안전국 설치 (1989)

한국 산업재해 현황 (노동부 산업재해 현황분석, 2013) 연도 ‘08 ‘09 ‘10 ‘11 ’12 재해율 (%) 0.71 0.70 0.69 0.65 0.59

사고로 인한 경제적 손실 상해보상 비용 소송관련 법적 대응 비용 인명/장비 구조 비용 사고 기간 중 영업손실 사고 책임에 따른 벌금 납부 사고 재발 방지를 위한 조치 기존 전문 인력 손실에 따른 효율성 저하 대체 인력에 대한 훈련 비용 보험료 증가 대외 신임도 저하에 따른 간접적 영업소득 저하 도덕적 측면

안전관련기관 우리나라 고용노동부 (moel.go.kr) : 고용 정책과 근로에 관한 업무를 관장하는 중앙행정기관 안전보건공단 (kosha.go.kr): 1987년 설립된 고용노동부 산하 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 산업재해예방기술연구 및 보급 산업안전보건에관한 교육 사업장의 산업재해예방을 위한 안전보건 진단, 관리 및 기술지원 유해및 위험 기구에 대한 안전인증 및 검사 산업재해예방을 위한 시설자금 지원 산업안전보건에 관한 정보 및 자료 수집발간 제공 산업안전보건에 관한 고용노동부의 위탁사업 시행

안전관련기관 미국 NIOSH에 의해 연구된 내용들이 OSHA에 의해 법으로 제정되어 전 세계적으로 표준이 된다고 볼 수 있다. OSHA (직업안전보건청): 1970년 OSHA(직업안전보건법)에 의해 설립된 연방기관 법을 집행할 수 있는 기관 미국 노동부 산하기관 NIOSH(국립직업안전보건연구소): OSHA에 따라 설립 직업관련 부상과 질병예방을 위한 연구 수행 미국 질병관리예방센터 산하기관 직업안전보건분야의 연구,정보,교육및 훈련을 제공 안전지도 및 계몽 활동 NIOSH에 의해 연구된 내용들이 OSHA에 의해 법으로 제정되어 전 세계적으로 표준이 된다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