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능과 피폭선량의 인체에 미치는 영향 제 11 조 200102947 권혜진 200103173 정상미.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I. 우주의 기원과 진화 I-2. 우주의 진화 1. 별의 진화와 원소의 생성. 자연계에 존재하는 여러 가지 원소 별이 진화하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별의 진화 과정에서 무거운 원소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I-2. 우주의 진화.
Advertisements

2. 속력이 일정하게 증가하는 운동 Ⅲ.힘과 운동 2.여러 가지 운동. 도입 Ⅲ.힘과 운동 2. 여러 가지 운동 2. 속력이 일정하게 증가하는 운동.
2009 RI일반면허 단기강좌 - 방사선장해방어 2009 RI 일반면허 단기강좌 한양대학교 방사선안전연구실 장한기 방사선장해방어.
[21]. [22] [23] 원전사고 : 체르노빌 그리고 … 12 [24] 1. 후쿠시마 원전사고 참고자료 : Zeitschriften Spiegel (Germany) [25]
원자의 구성 입자와 원소의 기 원 원자를 구성하는 입자의 종류와 성질을 설명할 수 있다. 원자의 구성 입자를 비교하여 원자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설명할 수 있다. 빅뱅 우주로부터 원소의 생성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학습 목표.
I. 우주의 기원과 진화 4. 별과 은하의 세계 4. 분자를 만드는 공유결합. 0 수소와 헬륨 ?  빅뱅 0 탄소, 질소, 산소, 네온, 마그네슘, … 철 ?  별 별 0 철보다 더 무거운 원소들 …( 예 > 금, 카드뮴, 우라늄 …)?  초신성 폭발 원소들은.
Ⅰ. 우주의 기원과 진화 3. 원자의 형성 원자의 구성 - 원자핵 (+) 와 전자 (-) - 전기적 중성 - 원소의 종류마다 원자핵의 질량과 전자의 개수가 다름.
Ⅱ 세포의 주기와 생명의 연속성 Ⅱ 세포의 주기와 생명의 연속성 - 1. 세포주기와 세포분열.
방사선과 생활 제주대학교 물리학과 김용주. 원자핵과 방사선 물질 - 분자 원자 - 원자핵 핵의 구조 몇 가지 핵의 구조.
윤예린 박주현 최응환. Ⅰ. 서론 1. 환경오염원 : 인간 2. 세슘 등 방사능 오염 Ⅱ. 본론 1. 원자력의 정의 2. 원자력 발전소의 장단점 3. 방사능 폐기물로 인한 오염 4. 원전 사고로 인한 오염 Ⅲ. 결론.
보이지도 않는 핵, 힘은 왜 그렇게 셀까 ? 옥천초등학교 6 학년 문지헌 1. 탐구동기 요즘 북한에서의 핵 문제에 대해 여러가지 논란이 많은데, 그 이야기를 듣고 핵에 대해서 궁금해져서 이번기회에 핵과 핵의 힘에 대하여 공부하고 탐구해 보고 싶었다. 보이지도 않는 핵,
6조6조 박주환 박지은 서유 진 손인호 손호준 신 상철. 목 차 1. 방사능이란 ? 3. 방사능 영향 5. 방사능 피해 사례 6. 방사능 해결 방안 2. 방사능 오염 4. 방사능 유출원인.
원자력의학원 국가방사선비상진료센터 하 위 호 방사선 방호 기초와 검출기 사용법
정보전달 김정은, 고예은, 김혜진, 조은주. 후쿠시마원전사고 2011 년 3 월 11 일 일본 도호쿠 지방 앞바다의 대지진과 지진해일 ( 쓰나미 ) 로 인하여 후쿠시마 제 1 원자력발전소에서 발생한 사고. 발전소가 침수되어 전원 및 냉각 시스템이 파손되면서 핵연료 용융과.
V. 인류의 건강과 과학 기술 Ⅴ-3. 첨단 과학과 질병 치료 3. 생명을 위협하는 암.
1986년 4월 26일 체르노빌 원자력발전소에 불이 나면서 방사능 유출사고가 일어났다..
로컬 푸드에 이어 로컬 에너지 시대로! 중앙집중형 지역자립형 발전소 수명 연장 분산화된 재생가능에너지 발전 의사소통과 통제향상
세상의 모든 물질들은 원자로 구성되어 있다. 그럼 그 원자들은 어떤 구조를 가지고 있을까?
방사선물리학.
방사선 진단기기 박윤수, 심민경.
원자 스펙트럼 1조 서우석 김도현 김종태.
PET-CT 검사 환자의 피폭선량 경감을 위한 연구
3-4. 지열 에너지(geothermal energy)
Copyright Prof. Byeong June MIN
2-6. 방사능과 환경 방사능(radioactivity)
종양계 67Ga 검사 123I-MIBG 종양 검사 131I-MIBG 종양 검사 99mTc-MIBI 종양 검사
내분비계 99mTcO4- 갑상선 검사[Thyroid scan] 부갑상선 검사 요오드전신 검사
Fourier Transform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meter
99mTc-DMSA신장검사에서 ROI 설정 방법에 따른 정량분석 차이에 관한 연구
Ch. 2 Force.
Hydrogen Storage Alloys
21장. 핵 화학 울산대학교 화학과 정 한 모.
V. 인류의 건강과 과학 기술 Ⅴ-1. 식량자원 3. 식품 안전성.
암 전이 억제 유전자 발굴 및 작동 기전 연구 (Nature지 4월 14일자 발표)
연속적 띠(continuous band)
방사선의 생물학적 영향 한국수력원자력㈜ 원자력교육원 최진희 원자력이론기초
고체의 전도성 Electronic Materials Research Lab in Physics,
Electromagnetics (전자기학) Electricity (전기학) Magnetics (자기학)
Electromagnetics (전자기학) Electricity (전기학) Magnetics (자기학)
고분자 화학 4번째 시간.
방사능에 의한 식품오염.
Chapter 18 방사능과 핵에너지.
1 전기와 전기 회로(03) 전기 회로의 이해 금성출판사.
Ch.5. 동위원소 지구화학 정의 동위원소 Isotopes: 동중성자원소 Isotones: 동중원소 Isobars:
태풍과 토네이도 물리현상의 원리 제5조.
러더퍼드에 대하여 주우휘 서태상.
끓는점을 이용한 물질의 분리 (1) 열 받으면 누가 먼저 나올까? 증류.
2장. 일차원에서의 운동 2.1 평균 속도 2.2 순간 속도 2.3 분석 모형: 등속 운동하는 입자 2.4 가속도
골격계 전신 뼈 검사 뼈 삼상골 검사 뼈 단층 영상검사 [Whole body Bone scan]
홍수추적 담당교수명 : 서 영 민 연 락 처 :
1-5 용해도.
Copyright ⓒ All Rights Reserved by
(생각열기) 요리를 할 때 뚝배기로 하면 식탁에 올라온 후에도 오랫동 안 음식이 뜨거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 이유는?
비열.
7장 전위이론 7.2 금속의 결정구조 7.4 인상전위와 나선전위 7.5 전위의 성질.
전자기파(Electromagnetic Wave)의 스펙트럼(Spectrum)
덴마크의 Herrzsprung과 Russell에 의해 고안된 태양 부근 별들의 표면온도와 절대등급 사이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별들이 몇개의 무리로 분류된다는 사실을 알았다. 후에 이것이 그들의 이름자를 딴 H-R도가 되었으며, 별의 분류와 그 특징을 알아보는 중요한.
행성을 움직이는 힘은 무엇일까?(2) 만유인력과 구심력 만유인력과 케플러 제3법칙.
프로젝트 6. 핵 붕괴 윤석수.
폐암 이란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김 세 규.
DNA의 구조와 역할 (1) DNA : 이중 나선 구조로 수많은 뉴클레오타이드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6-3. 지질시대의 구분.
기체상태와 기체분자 운동론!!!.
(생각열기) 운동 선수들이 땀을 많이 흘린 후 빠른 수분 보충을 위해 마시는 음료를 무엇이라 하는가? ( )
Energy Band (고체속의 전자구조)에 대해서 쉬운 얘기를 한 후에 Bloch state 로 다시 돌아 가겠습니다.
p 감수 분열로 자손 남기기 학습 주제 [개구리 동영상] [매미 동영상]
홍채 부위별 기능과 영역 동공 직경 10-12mm 폭 4-5mm 두께 mm
13-1 전기적 위치에너지 / 전위 Prof. Seewhy Lee.
비열 학습 목표 비열이 무엇인지 설명할 수 있다. 2. 비열의 차이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을 계산할 수 있다.
3. 보일러 효율 관리 보일러 및 열사용 설비 성능 분석
Presentation transcript:

방사능과 피폭선량의 인체에 미치는 영향 제 11 조 200102947 권혜진 200103173 정상미

목 차 Ⅰ원자핵의 붕괴 Ⅲ방사선 피폭 Ⅱ방사선량 -동위원소 -방사선 피폭 -원자핵의 붕괴 -피폭의 영향 -방사선의 형태 목 차 Ⅰ원자핵의 붕괴 -동위원소 -원자핵의 붕괴 -방사선의 형태 Ⅲ방사선 피폭 -방사선 피폭 -피폭의 영향 -방사선 누출 사례 Ⅱ방사선량 -흡수선량 -선량당량 -실효선량 -위탁선량 -집단선량

원자구조 -원자핵, 전자 -전기적으로 중성 -원자핵의 질량은 전자의 질량에 비해 아주 큼 그림 1. 원자의 구조

동위원소 (isotope) -같은 수의 양성자를 가지며, 중성자의 수가 다른 원자핵으로 이루어지는 원소 -수소의 동위원소

원자핵의 붕괴 -원자핵 안에 구속되어 있던 양성자들이 방출 되는 것 -방출되는 양성자는 알파 입자 -질량 감소

방사선의 형태 ■ 알파(α)입자 -무거운 동위원소의 핵으로부터 헬륨핵이 방출 되는 것 ■ 베타(β)입자 -핵으로부터 전자가 방출되는 것 → + → +

■ 감마(γ)선 -고에너지 형태의 광의 방출 γ → + * m (metastable) : 준안정 상태 동위원소가 고에너지 상태에 존재함을 의미

<표 1> 방사선의 형태 방사선 질량수 하전 본질 알파(α) 4 +2 헬륨핵 베타(β) -1 전자 감마(γ) 광

방사성 동위원소의 특성 ■ 반감기(half-life) -주어진 시료의 절반이 붕괴되는 데 소요되는 시간 그림 2. 방사선의 수명

<표 2> 반감기 동위원소 4.5 × 109년 24.1일 1620년 5760년 8.0일 1.3초

방사선의 효과 ■ 이온화 작용 ■ 형광 작용 ■ 사진작용 ■ 투과 작용 그림 3. 방사선 효과

A. 알파(α) 방사선 -이온화력이 세고 가장 파괴적 -투과력 약함 (종이 한 장에 의해서도 정지) -알파 방출체(우라늄, 플루토늄) 위험 ·몸에 들어가면 뼈 속에 축적 ·골수의 혈액제조 세포와 가까이 접촉시 세포에 손상을 줌 (백혈병)

B. 베타(β) 방사선 -이온화력은 중간이나 투과력은 약함 -금속판으로 대부분의 베타 방사선 막음 -조직의 표면이나 눈에 영향을 줌 C. 감마(γ) 방사선 -이온화력이 약하나 투과력은 매우 강함 -감마 방사선은 멀리서도 손상을 줌 -감마 방사선을 막기 위해 수ft의 콘크리트나 벽돌 두께의 납이 필요

방사능의 단위 ■ Ci (Curie) -방사능의 강도 및 방사성물질의 양을 나타내는 단위 내는 방사성 물질의 양 ■ Bq (Bequerel) -1Bq은 초당 1개의 원자핵이 붕괴하는 속도 -1Ci = 3.7 × 1010Bq

방사선량 ■ 흡수선량, D (absorbed dose) -어떤 특정 지점에서의 피조사물질의 단위질량당 입사한 방사선이 그 물질에 주는 에너지의 양 -단위 rad, Gy 1rad = 100erg/g = 0.01J/Kg 1Gy = 1J/Kg = 100rad * rad(radiation absorbed dose), Gy(Gray)

■ 선량당량, H (dose equivalent) -방사선의 생물학적 효과를 나타내는 양 -단위 rem, Sv 1rem = 100erg/g = 10-2 J/Kg 1Sv = 1J/Kg =100rem -선량당량= 흡수선량 × 선질계수 × 보정계수 -선질계수는 흡수선량이 같더라도 생체에 미치는 영향은 방사선의 종류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이것을 보정해 주는 계수 · X선, γ선, β선 = 1 · α입자 = 20 · 중성자, 양성자 = 5~20 * rem(roentgen equivalent man), Sv(Sievert)

<표 3>방사선과 관계있는 단위 구 분 새로운 단위 종래 단위 환산 방사능 단위 베크렐(㏃) 큐리(Ci) 구    분 새로운 단위 종래 단위 환산 방사능 단위 베크렐(㏃) 큐리(Ci) 1Ci=3.7×1010㏃ 1㏃=2.7×10-11Ci  방사선량에 관한단위 조사단위 쿨롱/킬로그램 (C/㎏) 렌트겐(R)  1R=2.58×10-4㏆ 1㏆=3.88×103R 흡수선량 그레이(㏉) 라드(rad) 1㎭=0.01㏉ 1㏉=100㎭ 선량당량 시버트(㏜) 렘(rem)  1rem=0.01㏜ 1㏜=100rem

외부선량 평가 ■ 공기중 1R 조사시 에너지 흡수 R (Roentgen) -표준상태의 공기(1cm3) 0.001293g에 X선, γ선 조사에 의해 발생한 이온쌍의 + 또는 – 어느 한쪽의 총전하량이 1esu가 되는 조사선량 -단위 1R = 1esu/cm3

*esu(electrostatic unit, 정전단위) *1e = 4.803 × 10-10 esu 전자 1개가 가진 전기량이나 양자 1개가 가진 전기량은 전기로서 존재할 수 있는 가장 적은 양 *e = 34eV 전자가 공기중에서 1개의 이온쌍을 만드는데 소비되는 평균에너지 * 1ev = 1.602 × 10-12 erg eV(electron volt) =1.60217646 × 10-19 J 1J = 10-7 erg

■조사선량과 선량당량과의 관계 -1R 조사시 조직이 피폭받는 흡수선량(D) * : 방사선과 물질과의 상호작용을 일으킬 수 있는 확률을 나타내는 계수로 방사선 차폐계산에 이용됨

-선량당량(rem) = 흡수선량(D) × 선질계수(QF) 것이 효과적 → γ선에 의한 조사선량 ≒ 선량당량 ∴ 1R = 1esu/cm3 = 87.7erg/g = 0.87rad= 1rem

-같은 종류, 같은 양의 방사선량일지라도 그것을 흡수하는 신체내의 장기, 조직에 따라 신체에 ■ 실효선량 -방사선의 영향을 나타내게 되는 방사선의 양 -같은 종류, 같은 양의 방사선량일지라도 그것을 흡수하는 신체내의 장기, 조직에 따라 신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여가 다름을 고려 -실효선량 = 흡수선량 × 조직가중계수 · 골수, 대장, 폐, 위 = 0.12 · 생식선 =0.2 · 담낭, 유방, 임파선, 간, 식도 = 0.05 · 피부, 뼈 = 0.01 · 기타 = 0.05

■ 위탁선량 -방사성 원자핵이 음식물이나 호흡으로 체내로 취입 되어 각 부위에 침착하면 그것이 체외로 배출되지 않는 한 반감기가 긴 원자핵은 오랫동안 계속해서 방사선 방출. 이때 그 부위는 피폭되며 받는 방사선량 ■ 집단선량 -한 집단의 개개인이 받는 평균선량 × 인구수 -단위 명-Sv

방사선 피폭 -인체내의 기관이나 조직의 방사선에 대한 감도가 각각 다르기 때문에 방사선장의 위치와 방향이 흡수선량과 크게 관계가 있음

가장 예민한 조직 임파선, 조혈기관, 생식기관, 작은창자 두 번째 예민한 조직 피부, 눈동자, 위 세 번째 예민한 조직 <표 4> 신체 각 부위의 예민한 정도 가장 예민한 조직 임파선, 조혈기관, 생식기관, 작은창자 두 번째 예민한 조직 피부, 눈동자, 위 세 번째 예민한 조직 실핏줄, 성장 중인 뼈, 연골 가장 둔감한 조직 신경조직, 뼈, 근육, 혈관, 지방조직

■ 전신피폭 -신체 전체가 균일한 장 안에서 일정한 평균선량에 조사되는 경우 -같은 정도의 선량이 단일기관에 조사되었을 때 보다 그 위험도는 더 심각

■ 만성적 피폭 -장기간에 걸친 계속적인 피폭으로 어떤 총선량에 도달하는 경우 -낮은 수준의 방사선에 장기간 노출되어도 누적되어 조직을 약화 시키고 수년 후 악성 종양 유발 ■ 급성적 피폭 -방사선 사고나 핵폭발로 인한 대량의 방사선에 피폭되는 경우 -대량 노출 시 짧은 시간에 사망 가능

24시간동안 전신피폭량 증상 0~25 rem 증세 없음 25~50 rem 미세한 일시적인 혈액변화 100 rem 구토, 피로 <표 5> 피폭선량과 급성영향과의 관계 24시간동안 전신피폭량 증상 0~25 rem 증세 없음 25~50 rem 미세한 일시적인 혈액변화 100 rem 구토, 피로 200~250 rem 최초의 사망 500 rem 50% 사망

그림 4. 방사선을 일시에 많이 받았을 때의 영향

방사선 피폭의 영향 ■ 신체적 영향 -피폭자 개인에게 직접 나타나는 영향 -암, 불임, 백내장, 방사선 화상 등 ■ 유전적 영향 -피폭자의 후손에게서 나타날 수 있음 -생식선 또는 생식세포의 방사선 피폭 시 문제 됨 -방사선 피폭 없이 자연적으로 발생 -유전적 질환의 발생 빈도 증가

방사선 누출 사례 ■ 일본 -1999년 9월 30일 오전 10시 35분경 이바라키현 도카이무라 이시가미도주쿠 지역에 위치 한 일본 핵연료 컨버전사에서 발생 -핵연쇄분열(임계) 사고 -방사능 노출 피해자 40명 -설사, 발열, 의식장해 등 신체적 영향 나타남

■ 구소련 -1986년 4월 26일 구소련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에서 원자로 폭발, 10일간 방사능물질 유출 -초기 사망자 31명, 2000명 부상, 20여만 명 평생 방사능장애 질병 검진 필요 -복구작업 참여 후 사망자 8000여명, 방사능 피폭자 1만2천여 명, 방사능장애 치료자 330만 명 -갑상선질환, 암, 백혈병 발생률 50% 이상 증가, 유산, 사산, 유전적 기형아 발생률 크게 증가

그림 5. 체르노빌원자력 발전소 그림 6. 방사선 피폭의 피해 -유전적 기형아

국제 원자력 사고, 고장 등급 ■ 국제 원자력 사고, 고장 등급 (INES) -원자력 관계시설에서 발생한 사고 및 고장의 규모를 일반 국민이나 언론이 일관성 있고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IAEA 및 OECD/NEA에서 도입한 국제적인 공용의 등급 * INES (International Nuclear Event Scale) * NEA (Nuclear Energy Agency) * IAEA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 * OECD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그림 7. 국제 원자력 사고.고장 등급(INES)

<표 6> 등급사례표 계속 등급 기준1. 소외의 영향 기준2. 소내의 영향 심층방어의 약화 사례 사고 7 대형사고 방사성물질의 대량 외부방출 (수만 TBq 이상) 구소련 체르노빌 원전사고(1986) 6 심각한 사고 방사성물질의 상당량 외부방출(수천 TBq 이상) 5 소외 위험사고 방사성물질의 한정적인 외부방출(수백 TBq 이상) 원자로 노심의 중대손상 영국 윈드스케일 원자로 사고(1957) 미국 드리마일 아일랜드 원전노심 용융사고(1979) 4 소내 위험사고 방사성물질의 소량 외부방출 (1mSv 이상 피폭) 원자로 노심의 상당수준손상 종사자 치사량 피폭(약 5Gy) 프랑스 생로랑 원전사고(1980) 계속

등급 기준1. 소외의 영향 기준2. 소내의 영향 심층방어의 약화 사례 고장 3 심각한 고장 방사성물질의 극소량 외부방출(0.1mSv 피폭) 방사성물질에 의한 소내 중대 오염 급성 방사선 장해 발생이 종사자 피폭(약 1Gy) 심층방어 손상 스페인 반델로스 원전 화재사고 (1989) 일본 JCO 핵임계 사고(1999) 2 소내 상당량 오염 종사자의 법정 년간 선량 한도초과 피폭(50mSv) 심층방어의 상당수준 열화 1 단순고장 운전제한 범위를 벗어남 이하 경미한 고장 안전상 중요하지 않은 고장 외 Out of scale 안전과 무관한 고장

연습문제 원자력 관계시설에서 발생한 사고 및 고장의 규모를 일반 국민이나 언론이 일관성 있고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IAEA 및 OECD/NEA에서 국제적인 공용의 등급을 도입하였다. 이것은 무엇인가? INES 어떤 특정 지점에서의 피조사물질의 단위질량당 입사한 방사선이 그 물질에 주는 에너지의 양을 의미하는 방사선량은? 흡수선량 선량당량은 방사선의 생물학적 효과를 나타내는 양으로 선량당량을 나타내는 단위로 초기에는 (rem)을 사용하였으나 현재에는 SI unit인 (Sv)를 사용하고 있다.

4. 이온화력이 가장 세고 파괴적이지만 투과력이 약하여 종이 한 장에 의해서도 정지되는 방사선은? α선 5. 변하지 않는 원자의 특성으로 원자핵이 붕괴해서 양성자가 방출되어 질량이 감소 할 때, 질량이 처음 질량의 반이 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은? 반감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