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화 (NORMALIZATION)와 사회적 역할 가치화 (SRV)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돈과 빈곤. 가난은 장애다 “ 이발소 건물 주인 아저씨는 휠체어를 타고 다녔어. 장애인이었지. 하지만 아버지 앞에서 는 늘 당당했어. 아버지하고 얘기를 나눌 때 면 아버지는 늘 무릎을 꿇으셨지. 눈을 맞춰 야 하니까. 위에서 내려다볼 수는 없잖아, 건 물 주인을. 그.
Advertisements

사회보험과 산업복지 1. 국민연금 2. 국민건강보험 3. 산재보험 4. 고용보험. 1. 도입배경 목적 : 국민의 노령, 폐질 또는 사망 등과 같은 사회적 위험에 대비하여 가입자의 기여금 과 사용주 또는 국가의 부담금을 주된 재원 으로 장기적 소득을 보장함으로써 국민생.
인권 ( 人權 ) 을 통한 사회복지실천 정 수 홍 Through the Human Rights.
취업, 막막하세요 ? 걱정되십니까 ? 성공취업으로 가는 길 『경기청년뉴딜』이 함께 동행해 드립니다 ~ 일시 : ~ 대상 : 2013 년 2 월 졸업예정자 ( 기 졸업자 포함 ) 로서 경기도 거주자 문의 ∙ 접수 : 취업지원센터
학번 이름 김정현 1차 프로젝트 발표 2D 게임프로그래밍. 목차 1. 게임 컨셉 2. 게임 설명 2/10 3. 개발 범위 4. 개발 일정 5. 자체 평가.
1 에너지관리공단 재 테 크 서춘수 조흥은행 팀장 2 자산 3 분법 유가증권부동산 예금 주식 : 채권비율 = 50 : 50 전통적인 자산포트폴리오.
드라마 스타일링.
2007년 대구산업기술개발사업 (공통기술개발) 신 규 지 원 안 내 대구전략산업기획단.
1_4. 프로그램 개요 1. 「 2008 순천향대학교 사회과학대 취업캠프」 행사명
2. 성장을 위한 돌봄전문조직 운영모델 (안) 제안
사회의 사람들을 이어주는 망과같은역할을 하는 서비스를 SNS라고 한다.
조장 : 임재환( ) 조원 : 노우철( ) 전민우( ) 이경수( )
지역사회복지 06.
블로그 활용 현황 학과 : 영어영문학과 학번 : 이름 : 정경업
대학생활과 설계.
일과 삶의 균형을 위한 워라밸 전략 Work & Life Balance KHRD: 제18-104호
취업, 교육 어떻게 받나 100세 시대 대비 서울 중장년 일자리 희망센터 임수정 소장 /
장애인복지론 2. 장애인복지에 대한 기초적 이해.
누가 혜택 받을 것인가 자원할당의 네 가지 원칙 사회복지정책 급여의 성격
<학습목표> 통합교육의 배경을 이해한다. 통합교육의 개념을 이해한다.
우수기업사례 금호아시아나의 핵심역량 모델링을 통한 교육체계와 인재육성 사례
보건정책학 4강 보건학의 이해 박 혜 경.
데이터 베이스 정규화 정규화의 필요성.
PART 01 케어복지의 이론과 기초 CHAPTER 02 케어복지의 개념과 구조.
제5장 현금흐름분석.
성공하는 사람들의 7가지 습관 스티븐 코비 Stephen R. Covey 국제통상학과 이인성
영업인의 관리와 경영활동 경영혁신 팀..
행복한 삶을 위한 고품격 자산관리 솔루션 MAPS(=Master Algorithm for Product Solution)
출애굽기22~24장 성경퀴즈 잘 풀어보세요~^^.
[ 실전 은퇴설계 ] CFP. MDRT 황 선 찬.
법제도와 정부역할의 조정 이 상 호 (GS건설 대외정책전략지원위원)
                                                                                                                                                                                                        
노인차별주의와 도덕교육 추병완(춘천교육대학교 교수).
4장. 데이터 종속성과 정규화.
2011년 이순신 리더십 한국경영인력연구원/ (02) /
제13장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10장 사회복지제도.
제1장 사회복지와 지역사회복지의 개념.
예수회 정신과 사회 사도직 현장의 연결 박문수 2013년11월2일 사회 사도직 확대 모임.
사회복지정책론 총정리(2).
미래의 커뮤니케이션 기술과 이 기술이 인간에 미치는 영향
제2장 인사관리의 역사적 발전 건양대학교 병원관리학과 교수 안 상 윤 병원관리학과.
1 사회보험 2 공공부조 목차 3 사회서비스 4 가족수당 5 요약. 1 사회보험 2 공공부조 목차 3 사회서비스 4 가족수당 5 요약.
12.4 갈등 이론 1. 기본 배경 2. 갈등의 원인 3. 갈등의 유형 4. 갈등관리의 전략과 방안.
Physical Distribution
To lead your life in a truly
강의 자료 교육행정이론의 발달과정.
폴리에틸렌 다목적바지제안서 ( 주 ) 씨 앰 디.
사회환경의 수준 : 미시, 중간, 거시체계.
구매, 구매후 행동 작성자 : 안광호.
제4장 노인복지이론.
사회복지개론 인간의 삶과 사회복지.
사회복지사와 리더십 박병순(2010졸업).
기록관리혁신 종합실천계획
블로그 활용 보고서 과목 : 컴활 (금_야456) 학번 : 성명 : 정은성.
지역사회복지론 - 1장 지역사회와 지역사회이론에 대한 이해.
구조 유압장비 광명119구조대 임영채.
전환교육 (3/19) 중등특수교육과 강혜경.
사례관리의 이해.
Chapter 11 장애인 문제 사회문제론 5/24.
1. 행복한 삶과 직업 행복한 삶의 조건을 이해한다. 개인의 삶에서 직업이 차지하는 사회적, 경제적,
경쟁력 강화를 위한 선(善)순환 리더십 (Good +α cycle leadership)
11장. 가족과 사회복지 윤철수 노 혁 도종수 김정진 김미숙 석말숙 김혜경 박창남 성준모 공저.
건강의 개념.
창의적 공학 설계 < 발명과 특허 > : Creative Engineering Design
제7장 실버산업 공급자로서의 기업.
건강증진 행위 개론 -건강증진의 개념
인사관리의 의의와 목적.
Presentation transcript:

정상화 (NORMALIZATION)와 사회적 역할 가치화 (SRV) Benjt Nirje와 북구식 정상화 원리 Wolf Wolfensberger와 북미식 Social Role Valorization 이론 * 비판적 이론/ 논의들

북구식 정상화 원리의 시작 정상화 원리의 기원 * 스칸디나비아의 정신지체장애인 서비스 * 1943. 고용정책 조사를 위한 정부위원회 --업적의 원리인 사회정치적 개념 개발 ---Normalization 원리. 1950년대 장애인 서비스의 출발점 보편적, 포괄적, 전반적 복지의 일환 --장애인, 노인, 아동 등 주변인 집단 대상.

Benjt Nirje 1943 ~ . 법철학, 윤리학, 경제학 등을 공부. 1952. Yale 대학원에서 문학비평 연구. 1961. 스웨덴 발달장애인협회. --지적장애인과 가족들을 처음 접함. 경험적 논리와 장애인 관점의 귀납적 이론 --정상화 개념의 확립. 1969. 미국의 정신지체장애인을 위한 대통령위원회에서 Nirje의 논문을 영어로 발간, 배포.

Nirje의 정상화 개념 최초의 정의 : 정신지체장애인들의 일상생활 조건과 패턴을 주류사회의 기준(norms)과 패턴에 근접하게 만드는 것. 수정된 정의 (1985): 정신지체장애 및 여타 장애를 갖고 있는 모든 사람들의 생활패턴과 일상 조건을 사회의 일반적 환경과 생활방식에 흡사하게 혹은 동일하게 만드는 것. 정상적인 하루, 한 주, 한 해의 리듬, 정상적인 life cycle의 경험, 자결권, 정상적 성과 경제 패턴 및 권리, 정상적 환경패턴과 기준.(8)

북미식 Normalization/ SRV 개념의 기초 1963. E. Goffman. Stigma: 사회적 심상, 사회적 가치박탈, 친화박탈, 훼손된 정체성… (Wolfensberger의 비행 이미지 병렬화, 이미지 치환, 이미지 침식…) 1964. IASSMD. Bank-Mikklesen: 인간/시민인 정신지체인, 동등한 권리, 정상적 환경… 1966. D. Vail. Dehumanization and the Institutional Career : 시설주의, 비인간화, 존엄성, 재인간화…(당시로선 획기적 개념)

SRV: Social Role Valorization SRV의 전제: 가치 편향적인 인간의 인식과정  사회적 가치 박탈  가치있는 사회적 역할로의 접근 차단  타자 (OTHER), 이방인  사회의 희생양 가치가 부여된 역할 만들기 = 긍정적 이미지 (관찰자), 능력(본인), 역할의 가치향상(해석) 좋은 삶의 요소들에 접근.

Wolfensberger의 정상화 이론 1972. The Principle of Normalization in Human Services. 사람들의 삶의 조건 (수입, 주거지, 직업, 여가 등)을 최소한 평균적인 사람들의 그것과 동일하게 해줄 수 있는 문화적으로 정상적인 수단 을 사용하는 것. 사회에서 박탈될 처지에 있는 사람들을 위하여 가치가 내재화된 사회적 역할을 강조하고 지원하며 방어해주는 것이 Normalization의 궁극적인 목표. 최초로 통합을 정의: * 물리적 통합 * 사회적 통합: 질적, 양적 측면에서 문화적으로 정상적이며 가치가 부여된 환경 및 컨텍스트에서 발생하는 비장애인과 장애인 간의 사회적 상호작용 및 관계. 1998. 수정된 통합의 정의: 가치 부여된 환경에서 발생하는 가치 부여된 활동에 가치 부여된 사람들과 함께 가치 부여된 방식으로 상호작용, 관계, 역할 등에 참여하는 것.

비판적 이론/ 논의들 1. 유물론적 관점: M. Oliver(영) * “장애인의 경험을 전문가들이 정의하고 식민화하는 장애 정치” * ‘disabled people’ 선호. (사회에 의해 장애를 입은 타율적 의미) * “왜 자본주의사회에서 장애인들이 억압받는가?” * “억압의 사슬로부터 장애인을 자유롭게 할 전략은?” * “장애인의 억압은 자본주의 사회경제적 구조에 뿌리”

2. 문화론적 관점 S. Sainsbury (영) * ‘normal life’ 선호. * “ –zation은 지향성의 작위적 호소.” “장애인/ 비장애인, 여성/ 남성, 흑인/ 백인 등 대칭 단위들이 서로의 문화와 특징을 인정하고 자기들 사회의 가치를 추구하며 즐기는 사회가 더 자연스러운 사회” * “어설픈 단일문화를 추구하는 폭력 행위”

3. 탈시설화 “미국과 영국에서 주장되어온 Normalization과 사회복지 이론/정책들은 시설 유지의 막대한 예산을 감안한 보수당 정권들의 복지예산 삭감과 발맞춘 현상.” “Normalization 등은 실증적 연구가 결여된 미흡한 주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