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류관리사 기출 문제 (보관하역론 ) 문제 유형 : 이론 문제
유형4 : 창고의 개념 및 운영 자가창고 와 영업용 창고의 비교 자동화 창고 크로스도킹 오더피킹 WMS 유형4 : 창고의 개념 및 운영 자가창고 와 영업용 창고의 비교 자동화 창고 크로스도킹 오더피킹 WMS 창고관리 및 오더피킹 포함 약 4문제
창고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4 가. 창고는 물품의 감실 및 변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보관할 수 있는 장소이다. 창고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4 가. 창고는 물품의 감실 및 변질이 발생하지 않도록 보관할 수 있는 장소이다. 나. 수요와 공급의 조정을 원활히 하여 생산활동, 판매활동, 소비활동에 기여하는 시설이다. 다. 창고는 물품의 감실 또는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구축물/공작물을 시설한 토지 또는 수면에 물품을 보관하는 시설이다. 라. 최근 물류시스템이 발전하고 소비자 중심의 물류가 중시되면서 창고의 유통기능보다 저장기능이 더욱 중시되는 추세이다. 마. 제조업이나 도매업에서 소비지에 위치하고 있는 소규모 배송 거점을 배송센터라고 한다
3
다음 중 물류센터(창고)의 관리측면이 아닌 운영측면에서의 KPI(핵심평가 관리항목, Key Performance Indicators)와 거리가 먼 것은? 5 가. 재고 정확도 나. 상차 소요시간, 인원 다. 제품별 재고 회전 일수 라. 상자 당 창고 보관 및 운영 비용 마. 채권 회수율
다음은 보관 시스템의 구체적인 작업을 나열 한 것이다. 작업의 순서가 바르게 나열된 것은? 3 가. 입하→검품→오더피킹→포장→보관→출하 나. 입하→오더피킹→검품→보관→포장→출하 다. 입하→보관→오더피킹→검품→포장→출하 라. 입하→보관→오더피킹→포장→검품→출하 마. 입하→오더피킹→보관→검품→포장→출하
집배 중심형창고에서 창고의 입출고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과 거리가 먼 것은? 5 가. 트럭 적재함과 창고높이 조절과 같이 창고와 연계되는 접점을 조정한다. 나. 엘리베이터, 컨베이어 등을 수직․수평운반에 이용한다. 다. 입출고 등을 위한 창고 내의 작업시간대가 서로 중복되지 않도록 할당한다. 라. 보관품의 재고위치 검색이 용이하도록 한다. 마. 드라이브인 랙이나 이동식 랙을 설치하여 통로면적을 축소한다.
창고의 배치 방법 중 집중형 배치방법의 장점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5 가. 관리공간이 한곳에 집중되어 있으므로 정보 및 화물관리가 용이하다. 나. 수요에 대처할 수 있는 품목들과 수량, 모두 구비 가능하다. 다. 배송센터 규모에 맞는 출하시설의 운영이 가능하다. 라. 창고 규모에 비하여 적은 수의 관리요원으로 효율적인 창고운영관리가 가능하다. 마. 분산배치형에 비하여 창고의 크기가 작아도 되므로창고 내에서 작업시 운반거리가 짧다.
보관에서 선입선출(FIFO)의 원칙이 반드시 필요한 상품은? 4 가. 상품 수명주기가 길어 상품가치에 큰 영향 없는 상품 나. 상품의 파손이 발생하지 않는 상품 다. 진부화 속도가 느린 상품 라. 형식변경이 잦은 상품 마. 저가이면서 부피가 큰 상품
창고 운영형태별 장ㆍ단점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 ① 자가창고는 기계화 설비를 도입하여 생력화하는 데에 유리하다. ② 자가창고는 계절적 수요 변동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③ 영업창고를 이용하면 비용 지출이 명확해지는 장점이 있다. ④ 영업창고를 이용하면 입지 선정이 용이하다. ⑤ 리스창고를 이용하면 낮은 임대요율로 보관 공간을 확보할 수 있지만 보관장소를 탄력적으로 운용하는 것이 어렵다.
영업창고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3 가. 시장환경의 변화에 대응하여 입지장소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나. 물류관리에 있어서 보관부문의 비용을 명확히 할수 있다. 다. 치밀한 고객서비스가 가능하다. 라. 보관에 대한 노하우와 경험을 종합적으로 활용 하여 하주의 필요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마. 계절의 변동, 수요의 특성에 따라 공간의 효율적인 운용이 가능하다.
다음 중 자동창고의 장점이 아닌 것은? 5 가. 보관면적의 감소 나. 운영인력의 절감 다. 재고관리 용이 라. 화물손상 감소 및 안전성 증대 마. 시설자금 조달의 경감
다음 중 창고에 대한 설명으로 거리가 먼 것은? 5 가. 자동창고 제어방식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구분한다. 나. 창고구조에 의한 분류로는 보통창고, 기계화창고, 자동화창고 등으로 구분한다. 다. 냉장․냉동창고는 냉각장치에 의하여 10℃ 이하의 온도로 물품을 보관하는 창고를 말한다. 라. 야적창고는 담장, 철책 등을 설치하여 목재, 컨테이너 등을 야적형태로 보관하는 창고를 말한다. 마. 창고 운영형태에 따라 보통창고, 야적창고, 수면창고, 위험물창고, 냉동․냉장창고 등으로 분류된다.
자동화 창고 설계시 사전에 조사해야 할 항목과 거리가 먼 것은? 1 가. 취급 화물의 가격 및 색상 나. 취급 화물의 중량, 사이즈, 형상 다. 창고 내 취급단위(UNIT LOAD) 라. 평균 및 피크 시 보관량 마. 평균 및 피크 시 입출고량
물류센터에서 자동분류시스템을 도입하는 목적으로 가장 적합하지 않은 것은? 1 가. 유연성의 향상 나. 생산성의 향상 다. 분류시간의 단축 라. 분류오류의 감소 마. 고객서비스의 향상
오더피킹과 관련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2 가. 오더피킹은 저장 중에 있는 창고내 화물을 거래처로부터 수주받아 주문별로 모아서 출하하는 것이다. 나. 총량피킹방식이란 일정량에 해당되는 화물의 무게만을 피킹하는 방식이다. 다. 싱글오더피킹은 한건의 주문에 대해 물품을 피킹하는 것이다. 라. 릴레이방식은 여러 사람의 피커가 각각 자신이 분담하는 종류나 작업범위를 정해 놓고 피킹 전표에서 자기가 맡은 물품만을 피킹하여 릴레이식으로 다음 피커에게 넘겨주는 방식이다. 마. 어소트 방식은 집하된 물품을 주문별로 배분하는 방식을 말한다.
4
다음은 오더피킹의 방식과 그 내용을 설명한 것이다. 잘못 설명된 것은? 2 다음은 오더피킹의 방식과 그 내용을 설명한 것이다. 잘못 설명된 것은? 2 가. 존(zone) 피킹 방식: 여러 명의 작업자가 각기 자기가 담당하는 선반의 범위를 정해 두고 해당 범위에 속하는 선반의 물품만을 피킹하는 방식 나. 릴레이 방식: 각 보관 장소를 순회하면서 필요한 물품을 피킹하는 방식 다. 일괄 오더피킹 방식: 여러 건의 주문전표를 모아서 한 번에 피킹하는 방식 라. 총량 피킹 방식: 일정 기간의 주문전표를 한데 모아서 피킹하는 방식 마. 1인1건 방식: 1인의 작업자가 1건의 주문전표에서 필요한 물품을 피킹하는 방식
다음 오더피킹 방식의 설명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2 릴레이 방법과 같이 여러 사람의 피커가 각각 자기가 분담하는 종류의 작업범위를 정해두고서 피킹 전표 속에 자기가 맡은 종류의 물품만을 피킹한다. 가. 1인 1건 방법 나. 존 피킹 방법 다. 싱글오더피킹 방법 라. 일괄오더피킹 방법 마. 총량피킹 방식
선반에 표시된 피킹지시에 따라 피킹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상품명과 문자를 읽지 못하는 작업자도 큰 오류없이 작업수준을 유지할 수 있는 오더피킹시스템은 다음 중 어느 것인가? 1 가. Digital Picking System 나. Batch-order Picking System 다. Pallet Picking System 라. Peace Picking System 마. Split Picking System
오더 피킹 작업을 자동화하고자 할 때, 고려해야 할 요건으로 거리가 먼 것은? 1 가. 기존 작업자의 작업패턴 나. 취급 화물의 형상, 규격 및 중량 다. 피킹 규모 라. 적용기기의 성능 마. 투자대비 효과
다수의 피커(Picker)가 제각기 분담한 작업범위를 정해두고 피킹(Picking) 전표에서 자신이 담당하는 물품만을 골라 피킹하는 방법은? 5 ① 단일 주문 피킹(Single Order Picking) ② 이중 주문 피킹(Double Order Picking) ③ 배치 주문 피킹(Batch Order Picking) ④ 총량 주문 피킹(Total Order Picking) ⑤ 존 주문 피킹(Zone Order Picking)
4
다음은 무엇에 관한 설명인가? 3 공급처에서 물류 거점으로 입하된 상품을 격납 및 인출 과정을 거치지 않고 환적 등의 작업을 통하여 수요처로 즉시 출하하는 시스템이다. 이를 위해서는 공급처의 출하정보 사전 입수 체계와 물류 거점으로의 적시 입하 체계를 갖추어야 한다. 가. 직접선적(Direct Shipment) 나. 창고 자동화(Warehouse Automation) 다. 크로스 도킹(Cross Docking) 라. 판매시점관리(Point-of-Sale Management) 마. EDI(Electronic Data Interchange)
1
크로스 도킹(Cross Docking) 시스템이 가장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 경우는? 2 ① 제품의 수요가 일정하고 안정적이며, 재고품절비용이 높을 경우 ② 제품의 수요가 일정하고 안정적이며, 재고품절비용이 낮을 경우 ③ 제품의 수요가 불확실하며, 재고품절비용이높을 경우 ④ 제품의 수요가 불확실하며, 재고품절비용이낮을 경우 ⑤ 모든 경우 크로스 도킹 시스템은 유용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