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전기설비기초 목원대학교 소방안전관리과 신 종 환.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을지대학교 무선 네트워크 사용 방법 2010 년 06 월 01 일. 을지대학교 무선 네트워크 사용 방법 1. PC 무선랜 카드 활성화 및 체크 1 단계 : 시작 -> 설정 -> 네트워크 설정 2 단계 : 무선 네트워크 설정 선택 -> 마우스 버튼 오른쪽 클릭 -> 사용.
Advertisements

119 신고요령 경기도 남양주 소방서 1. 휴대전화보다 유선전화로 신고 2. 낯 선 거리에서는 상가 전화번호
예비보고서1 : 8개의 푸시버튼 스위치가 있다. 이 스위치에 각각 0~7개까지의 번호를 부여하였다고 하자
실험 1 오실로스코프 목적 오실로스코프 작동원리 오실로스코프 사용법 오실로스코프 적용 R-C 회로 주파수 특성 측정.
LG전자 트롬을 위한 기획안.
03 전자 접촉기 제어 학습목표 ▶ 전자 접촉기의 동작 원리와 기능을 설명할 수 있다.
자바실험실 이동준 우리 곁으로 다가온 사물 컴퓨팅 자바실험실 이동준.
옥내 소화전 설비 관련 문제 27. 다음 중 옥내소화전설비의 함에 표시되지 않는 것은? 가. 옥내소화전설비의 위치 표시등 나. 가압송수장치의 시동 표시등 다. 옥내소화전설비의 사용요령을 기재한 표지판 라. 상용전원 또는 비상전원의 확인 표시등 옥내소화전함의 표시.
연결리스트(linked list).
CUDA Setting : Install & Compile
실험 8. 연산증폭기 특성 목적 연산증폭기의 개관, 특성 및 사용법 이해 입력저항, 개루프 이득, 출력저항, 슬루레이트 등
Windows Server 장. 사고를 대비한 데이터 백업.
실험 11. 트랜지스터 증폭기의 부하선 해석 방 기 영.
전기에 대해 알아보자 영화초등학교 조원석.
불꽃 감지기 설치 방법 P형 1급 수신기 배선도 예 UV/IR Flame Detector ( P형 1급 수신기 ) R1 C1
오브젝트 조합 회로 IT CookBook, VHDL을 이용한 디지털 회로 입문.
RS 및 D 플립플롭 RS Flip Flop 래치는 어떤 입력 레벨에 의해서 제어되는 데 플립플롭은 클록 입력이라고
JK 및 T 플립플롭 JK Flip-Flop JK 플립플롭은 디지털 시스템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플립플롭으로
멀티미디어 시스템 (아날로그 이미지,신호를 디지털로 변환 방법) 이름 : 김대진 학번 :
디지털 온도조절기(SHTC) 신한콘트롤밸브㈜ SERVICE MANUAL.
10 장 데이터 링크 제어(Data Link Control)
2008년도 소방시설(전기분야) 광주소방학교 이 영 철.
상관함수 correlation function
Central Gas Monitoring System 2005
발명의 명칭 IR LED Auto Control 발명의 목적
Ⅱ. 지구의 변동과 역사 1. 지구의 변동 2. 지구의 역사 3. 우리나라의 지질.
제4장 제어 시스템의 성능.
디지털회로설계 (15주차) 17. 시프트 레지스터와 카운터 18. 멀티바이브레이터 * RAM & ROM.
Quiz #7 다음 수들을 합병 정렬과 퀵 정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오름 차순으로 정렬하였을 때, 데이터 이동 회수를 각각 구하라. 여러분은 정렬 과정을 단계별로 보이면서 이동 회수를 추적해야 한다. 단, 퀵 정렬시에 피봇으로 배열의 왼쪽 첫 번째 원소를 선택한다. 5.
SMART-W50의 사용 방법 ▪ 1. 서버에서의 CDMA 설정
모델 WC8-48CH/AB 경보 수신반 사용 설명서 원 창 원창 모바일 KD7060MSG
마인드 맵.
특정소방대상물 소방시설 기준강화에 따른 개정법령 교육.
뇌를 자극하는 Windows Server 2012 R2
피 난 안 내 도 (예시) 업소명쓰세요 현위치 비상구 피난동선 소화기 화재시 대피방법 소화기 사용방법
Infusion pump (의약품 자동주입기)
AMC-2300 주차장 연동 구역 설정 방법 작성일자 : 2016년 07월 25일 INTER-M C/S팀 김성배
TFT-LCD 구조 동작원리 응용분야.
LSIF3A SERIAL 전송을 하기위한 장치.
반 : 4 번호 : 1 성명 : 권채윤 건설 시공 과정.
4 장 신호(Signals) 4.1 아날로그와 디지털(Analog and Digital)
P 등속 직선 운동 생각열기 – 자동차를 타고 고속도로를 달릴 때, 속력계 바늘이 일정한 눈금을 가리키며 움직이지 않을 때가 있다. 이 때 자동차의 속력은 어떠할까? ( 속력이 일정하다 .)
삼각형에서 평행선에 의하여 생기는 선분의 길이의 비
피 난 안 내 도 (예시) 업소명쓰세요 현위치 비상구 피난동선 소화기 완강기 화재시 대피방법 소화기 사용방법
10 장 데이터 링크 제어(Data Link Control)
10 장 데이터 링크 제어(Data Link Control)
제5장 하수 관로 시설 3-6 받이 각 가정, 공장 등의 하수를 각각 배수설비를 통하여 집수 하는 것으로, 배수설비와 연결
위험물 제조소 등의 종류 주식회사 한국소방엔지니어링.
피 난 안 내 도 (예시) 업소명쓰세요 현위치 비상구 피난동선 소화기 완강기 화재시 대피방법 소화기 사용방법
균형이진탐색트리 이진 탐색(binary search)과 이진 탐색 트리(binary search tree)와의 차이점
2. 누화와 케이블링 1. 서론 2. 용량성 누화 3. 유도성 누화 4. 복합적인 누화(누화의 일반적인 이해)
4장. 데이터 표현 방식의 이해. 4장. 데이터 표현 방식의 이해 4-1 컴퓨터의 데이터 표현 진법에 대한 이해 n 진수 표현 방식 : n개의 문자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표현 그림 4-1.
Chapter 1 단위, 물리량, 벡터.
3D 프린팅 프로그래밍 03 – 도형 회전 (손잡이컵 만들기) 강사: 김영준 목원대학교 겸임교수.
1. 정투상법 정투상법 정투상도 (1) 정투상의 원리
자동차의 정의 및 제원 자동차의 정의 치수에 의한 제원
비무장지대(DMZ).
5.1-1 전하의 흐름과 전류 학습목표 1. 도선에서 전류의 흐름을 설명할 수 있다.
7. 힘과 운동 속력이 변하지 않는 운동.
실험 13. MOSFET 소스 공통 증폭기 1 조 방 기 영.
건설업 안전보건관리10계명 1 6 작업 전 안전점검과 작업 중 정리 정돈 상태를 확인하여 위험을 사전에 제거 또는 통제한 후 작업 하는 것을 습관화해야 합니다. 감전재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가설전기의 접지상태 및 누전 차단기 작동여부 등을 확인하고 필요 시.
전하량 보존 항상 일정한 양이지! 전류의 측정 전하량 보존.
OP-AMP를 이용한 함수발생기 제작 안정훈 박선진 변규현
“국내 발명특허 설계 제작된 BL 전자테크” 태양광 안전 경고등
고해상도 IP 무선 송수신기 제품 MANUAL Model Name : D2400.
소화용수설비 김 종 희
버스와 메모리 전송 버스 시스템 레지스터와 레지스터들 사이의 정보 전송을 위한 경로
전기와 안전.
소화설비 및 경보설비 느티나무 요양원.
바스 엔지니어링 통합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 (TTM/TTC) BAS-2001 (SMS 문자,음성 실시간 전송)
Presentation transcript:

소방전기설비기초 목원대학교 소방안전관리과 신 종 환

감지기의 배선 Page 47~48 송배전 방식 감지기 배선의 도통시험을 용이하기 하기 위해서 배선을 도중에서 분기하지않는 방식, 일면 보내기 배선방식 이라고도 한다.

교차회로 방식 하나의 방호구역내 2이상의 감지기회로를 설치하고 인접한 2이상의 감지기회로가 동시에 동작할때 소화설비가 작동한다. 교차회로 방식을 사용하는 소화설비 1.준비작동식, 일제살수식 스프링클러설비 2.포소화설비, 물분무소화설비 3. 가스계소화설비 등

발신기 page51 발신기란 화재발생시 사람이 누름단추를 조작하여 수신기에 수동으로 신호를 발신하는 것으로서 P형, T형, M형 발신기가 있으며, 주로 P형1급이 사용된다. ** P형 2급은 전화 및 발신기응답표시등이 없음

1.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기본간선의 가닥수는 7선이 기본이며, 회로(경계구역)가 증가할때 마다 가닥수가 늘어난다. 2. 회로에 사용되는 공통선은 벨,표시등에 사용되는 공통선과는 별개로 사용되며, 7회로(경계구역)을 초과할때마다 회로공통선은 1개씩 추가로 사용한다. 3. 전화,표시등,응답선의 수는 경계구역의 개수와 관계없이 항상 일정해도 무방하다. 4. 벨,표시등에 사용되는 공통선은 경계구역의 개수와 관계없이 항상 일정해도 무방하다. 5. 경보방식이 전층 경보방식일때는 경종의 간선수는 1개이다. 6. 감지기외부회로는 그림a에서 2번 지구(회로)와 4번공통에 연결.

****7 경계구역 초과시마다 회로 공통선을 추가로 설치****

발신기 설치기준 조작이 쉬운 장소에 설치하고, 스위치는 바닥으로부터 0.8m 이상 1.5m 이하의 높이에 설치할 것. 소방대상물의 층마다 설치하되, 당해 소방대상물의 각 부분으로부터 하나의 발신기까지의 수평거리가 25m 이하(지하가중 터널의 경우에는 주행방향의 측벽길이 50m이내)가 되도록 할 것. 다만, 복도 또는 별도로 구획된 실로서 보행거리가 40m 이상일 경우에는 추가로 설치하여야 한다. 3. 제2호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제2호의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로서 기둥 또는 벽이 설치되지 아니한 대형공간의 경우 발신기는 설치 대상 장소의 가장 가까운 장소의 벽 또는 기둥 등에 설치 할 것. 발신기 배치 예시

4.발신기의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등은 함의 상부에 설치하되, 그 불빛은 부착면으로 부터 15° 이상의 범위 안에서 부착지점으로부터 10m 이내의 어느 곳에서도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적색등으로 하여야 한다.

수신기 Page56-67 참조 수신기란 감지기, 발신기, 로컬기기등과 전선에 의해 직접 또는 중계기(R형)를 사이에 두고 감지기,발신기,로컬기기 등이 작동 했을 때 그 장소를 관계자에게 알려주며 경보 및 기타 필요한 출력을 주는 장치. 종류로는 P형, R형, M형, GR형, GP형이 있다. R형수신기 P형 1급 수신기

P형 수신기와 R형수신기의 비교 5. P형 수신기와 R형 수신기의 비교 구 분 P형 수신기 R형 수신기 신호전송방식 1:1 접점방식 다중전송방식 신호의 종류 공통신호 고유신호 화재표시기구 램프 액정표시장치 자기진단기능 없음 있음 선 로 수 많이 필요하다 적게 필요하다 기 기 비 용 적게소요 많이 소요 배관배선공사 선로수가 많이 소요되므로 복잡하다. 선로수가 적게 소요되므로 간단하다. 유 지 관 리 선로수가 많고 수신기에 자기 진단기능이 없으므로 어렵다. 선로수가 적고 자기진단기능 에 의해 고장발생을 자동으로 경보․표시하므로 쉽다 수신반 자격 기능이 단순하므로 가격이 싸다. 효율적인 감지․제어를 위해 여러 기능이 추가되어 있어 가격이 비싸다. 화재표시방식 창구식, 지도식 창구식, 지도식, CRT식, 디지털 식

수신기 기능별종류 1) 일반 수신기 감지기나 발신기의 화재신호가 발신되면서부터 수신기에서의 수신완료까지는 5초 이내이어야 하며 수신완료와 함께 화재표시등, 지구표시등, 주경종, 지구경종이 동작되는 일반적인 수신기라 볼 수 있다. 2) 축적형 수신기 최초의 화재신호가 입력되면 수신기는 일반 수신기와 달리 바로 모든 작동이 시작되지 않고 예비 신호로서 지구표시장치와 주경종이 작동되며 그 이후 축적이 계속되며 축적종료 시점에서도 화재신호가 계속 입력 될 때 나머지 지구경종 및 수신기의 화재표시등이 작동되는 수신기이다. 축적 종료시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예비신호는 자동으로 복구가 되는 수신기이다. 축적 시간은 5초 이상 60초 이내이어야 하고 공칭축적시간은 10초 이상 60초 이내에서 10초 간격으로 한다. 3) 다신호식 수신기 최초의 회재동작 시에는 예비신호만 작동이 되며 예비신호가 작동된 경계구역에서의 다른 감지기로부터 두 번째 화재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화재표시등 및 지구음향장치가 자동적으로 작동되는 수신기이다.

4) 아날로그식 수신기 아날로그 감지기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예비신호 및 화재표시등과 지구경종이 동시에 작동하며 이 와 동시에 열, 연기를 단계별로 표시하며 공칭감지온도와 공칭감지농도를 조정할 수 있는 조정장치가 있는 수신 기이다. 5) 복합형 수신기 일반 수신기의 주기능인 경보설비 기능뿐만 아니라 감지기나 발신기의 입력 신호와 연동하여 소화설비 등을 제어 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수신기를 말한다. P형 수신기의 점검방법-----------------------------PAGE63

수신기 설치기준 수위실 등 상시 사람이 근무하는 장소에 설치할 것. 다만, 사람이 상시 근무하는 장소가 없는 경우에는 관계인이 쉽게 접근할 수 있고 관리가 용이한 장소에 설치할 수 있다. 수신기가 설치된 장소에는 경계구역 일람도를 비치할 것. 다만, 모든 수신기와 연결되어 각 수신기의 상황을 감시하고 제어할 수 있는 수신기(이하 "주수신기"라 한다)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주수신기를 제외한 기타 수신기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경계구역 일람도 예

3. 수신기의 음향기구는 그 음량 및 음색이 다른 기기의 소음 등과 명확히 구별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4. 수신기는 감지기․중계기 또는 발신기가 작동하는 경계구역을 표시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5. 화재․가스 전기등에 대한 종합방재반을 설치한 경우에는 당해 조작반에 수신기의 작동과 연동하여 감지기․중계기 또는 발신기가 작동하는 경계구역을 표시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6. 하나의 경계구역은 하나의 표시등 또는 하나의 문자로 표시되도록 할 것. 7. 수신기의 조작 스위치는 바닥으로부터의 높이가 0.8m 이상 1.5m 이하인 장소에 설치할 것. 8. 하나의 소방대상물에 2 이상의 수신기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수신기를 상호간 연동하여 화재발생 상황을 각 수신기마다 확인할 수 있도록 할 것

음햔장치 설치기준 PAGE 68 1. 주 음향장치는 수신기의 내부 또는 그 직근에 설치할 것 수신기에 주 음향장치를 경종으로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림과 같이 벽부형은 수신기 상부에, 자립형은 수신기 내부에 설치하는 것이 보통이다.

2. 5층(지하층을 제외한다)이상으로서 연면적이 3,000㎡를 초과하는 소방대상물 또는 그 부분에 있어서는 2층 이상의 층에서 발화한 때에는 발화층 및 그 직상층에 한하여, 1층에서 발화한 때에는 발화층․그 직상층 및 지하층에 한하여, 지하층에서 발화한 때에는 발화층․그 직상층 및 기타의 지하층에 한하여 경보를 발할 수 있도록 할 것 2층에서 발화 1층에서 발화 지하1층에서발화

3. 지구음향장치는 소방대상물의 층마다 설치하되, 당해소방대상물의 각 부분으로부터 하나의 음향장치까지의 수평거리가 25m 이하(지하가중 터널의 경우에는 주행방향의 측벽 길이 50m이내)가 되도록 하고, 당해층의 각부분에 유효하게 경보를 발할 수 있도록 설치할 것. 다만, 비상방송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202) 규정에 적합한 방송설비를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감지기와 연동하여 작동하도록 설치한 경우에는 지구음향장치를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다. [터널의 경우 적용 예] [지구음향장치의 수평거리 예]

4. 음향장치는 다음 각목의 기준에 따른 구조 및 성능의 것으로 하여야 한다. 가. 정격전압의 80% 전압에서 음향을 발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나. 음량은 부착된 음향장치의 중심으로부터 1m 떨어진 위치에서 90 폰 이상이 되는 것으로 할 것 다. 감지기 및 발신기의 작동과 연동하여 작동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 5. 제3호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제3호의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로서 기둥 또는 벽이 설치되지 아니한 대형공간의 경우 지구음향장치는 설치 대상 장소의 가장 가까운 장소의 벽 또는 기둥 등에 설치 할 것

경계구역 PAGE 89 자동화재탐지설비 1회로가 유효하게 화재발생을 탐지할 수 있는 구역 1. 하나의 경계구역이 2개 이상의 건축물에 미치지 아니하도록 할 것 건축물이 두개인 경우 각각 별개의 경계구역으로 해야한다. 즉 회로가 2개임

2. 하나의 경계구역이 2개 이상의 층에 미치지 아니하도록 할 것 2. 하나의 경계구역이 2개 이상의 층에 미치지 아니하도록 할 것. 다만, 500㎡ 이하의 범위 안에서는 2개의 층을 하나의 경계구역으로 할 수 있다. 왼쪽에서 경계구역은 6개 왼쪽에서 경계구역은 2개

3. 하나의 경계구역의 면적은 600㎡ 이하로 하고 한변의 길이는 50m 이하로 할 것 하나의 층의 경계구역은 600㎡를 기준으로 산정하되 한 변의 길이가 50m를 초과하면 안 되므로 그림의 왼쪽그림과 같은 경우에는 층별로 4개의 경계구역으로 산정할 수 있으나. 오른쪽 그림과 같이 한 층의 바닥면적이 600㎡이하인 경우라 하더라도 한 변의 길이가 50m를 초과하면 층별로 2개씩 총 8개의 경계구역으로 설정해야 한다.

4. 지하구 또는 터널에 있어서 하나의 경계구역의 길이는 700m 이하로 할 것 (지하구 적용예)

5. 계단(직통계단외의 것에 있어서는 떨어져 있는 상하계단의 상호간의 수평거리가 5m 이하로서 서로간에 구획되지 아니한 것에 한한다. 이하 같다)․경사로․엘리베이터권상기실․린넨슈트․파이프덕트 기타 이와 유사한 부분에 대하여는 별도로 경계구역을 설정하되, 하나의 경계구역은 높이 45m 이하(계단 및 경사로에 한한다)로 하고, 지하층의 계단 및 경사로(지하층의 층수가 1일 경우는 제외한다)는 별도로 하나의 경계구역으로 하여야 한다.

6.외기에 면하여 상시 개방된 부분이 있는 차고․주차장․창고 등에 있어서는 외기에 면하는 각 부분으로부터 5m 미만의 범위 안에 있는 부분은 경계구역의 면적에 산입하지 아니한다. 7.스프링클러설비 또는 물분무등소화설비의 화재감지장치로서 화재감지기를 설치한 경우의 경계구역은 당해 소화설비의 방사구역과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