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와 미생물.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II. 연구 재료 ■ 생식세포의 수정 ■ 생식세포의 수정 1. 대부분의 세포는 세포막을 가지고 있고 세포막 안에 세포질이 있다. 2. 세균과 같은 박테리아를 제외한 대부분의 세포의 핵은 핵막으로 둘러 쌓여져 있으며 그 안에는 유전물질인 DNA 와 염색체가 있다. 3. 식물세포는.
Advertisements

감염. 감염관리의 예방과 대상 감염성 질환의 발생 숙주의 방어 시스템 치과에서 기구 사용 시 주의사항.
처음 페이지로 이동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VRE) 와 vancomyc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VRSA) 선별을 위한 배지 개선 세브란스병원 진단검사의학과 미생물계 안 철 희.
어린이집 조리종사자 위생교육자료 월. 목 차 식중독의 정의 노로바이러스 베임에 대한 사고예방.
1. 전염병의 역 사 2. 현대의 새로운 감염병 3. 면역의 기능 4. 면역과 영양.
미생물의 생물학적 특징 1. 미생물의 세계 2. 미생물의 분류 2009 년 2 학기 생활속의 미생물 -2 주차.
2장-세균의 구조 세균의 기본형태[구균(알균), 간균(막대균), 나선균 등]를 설명한다.(A)
DNA ® mRNA ® Protein(효소) ® 생리현상
2016 공무 국외여행 보고 제26차 European Congress of Clinical Microbiology and Infectious Disease (ECCMID) 학술대회 참석 및 연구 결과 발표 ○ 장 소 : 네덜란드 (암스텔담), RAI Amsterdam.
The Irish Potato famine and the Brith of Plant Pathology
B형 간염 환자의 임상증례 . 안산자생한방병원 진단검사실 우성혜, 최정아.
22장 원핵생물과 바이러스.
토양과 토양생물 토양생물학 교재: 토양생물학, 이민웅
“AEGIS(이지스) Microbe Shield™”
미생물이란? What are Microorganisms?
병리학 임미란
피부의 구조 및 기능 피부는 표층으로부터 표피(epidermis), 진피(dermis), 피부밑조직subcutaneous tissue) 피부부속기로는 털, 기름샘, 땀샘 등이 있다. 발생학적으로 피부는 외배엽과 중간엽에서 유래한다. 표피는 중층편평상피이고, 표층으로부터.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VRE) 감염관리 개선활동
1.1 미생물학의 범위 미생물학 (microbiology): 작은 생물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생물학의 한 분야
미생물의 종류.
제13장 미생물은 사람과 어떤 관계를 맺고 있을까?.
I. Microbiology of Classes
감염(infection) 정의 병원성 미생물 또는 병원체가 생체의 세포와 조직을 침범해서 정착 또는 증가하는 것
항생제.
4-6. 광합성 작용(1).
세균 염색체(Bacterial chromosome)
미생물학 길라잡이 8판: 라이프사이언스.
LMO 등급 분류 - 1) 미생물 또는 유래 유전물질
바이러스 (Virus) 진균 (Fungi)
병 리 학 7. 감염증.
체 세 포 분 열 배 수 경 중3 과학.
항바이러스 한약제 검사 바이러스팀 최유정, 이대희.
진균의 특성과 구조
○ 심수관개법 - 잡초 발생 전에 논의 수심을 10~15cm 유지시켜 잡초 종자의 발아 및 생육을 억제시키는 방법
제1장 식품미생물학의 발전 역사와 문화 1조: 정미현,정선화,박재현.
1.1 감염병의 개념 감염(infection) 감염병(infectious disease)
지구 : 태양계내의 행성 공전주기 : 365일 5시간 48분 48초 자전주기 : 24시간
생명 기술과 미래의 기술 VI 1 생명 기술의 세계 2 미래 기술과 통합 체험 활동 금성출판사.
진균 (FUngi).
균주별 감염관리.
병원 미생물학의 이해 미생물학(microbiology) Micro =small bios = living
호르몬이란? 동물의 내분비 샘에서 분비되어, 몸 안을 순환하며 화학적으로 여러 가지 중요한 작용을 하는 물질의 총칭.
식물의 生老病死와 생존전략.
제2장 세포: 생명체의 단위 2.1 세포의 발견 세포(cell): 대부분의 생물을 구성하고 있는 현미경적 구조
식물유래 천연항균물질의 항균력 측정 김 영 민 도 은 표 박 병 주.
제12장 바이러스 유행성 이하선염 바이러스는 몇몇 샘(gland)을 포함한 특정 조직에 감염된다.
약물조사 항암제 - 관해 유도 치료 - 유지요법 - 항생제 - 항진균제 - 진토제.
기생충학 (1강) - 기생충학 총론편-.
제 4 장 수질화학 환경보건과 김해숙.
제 6장 세포주기 세포분열과 세포예정사 사이의 균형 세포 주기 세포주기의 조절 세포예정사 암 – 세포주기의 이상.
건강이란 무엇인가 ? 세계보건기구의 정의 : 건강이란 …. 마음이 건강하며 육체적, 정신적 및 사회적인 면으로 완전히
약인성 간염 진단 DB 구축 정용진.
백신의 형태 백신이란 ; 용어는 가축 질병의 원인이 되는 한 종류 또는 다수의 특이한 항원체나 톡신을 적당한 방법으로 배양 또는 처리하여 만든 제품을 말하며 어떤 종류의 백신은 경구적으로, 어떤 종류의 백신은 비경구적으로 적용된다.  톡신은 어떤 미생물이 생산하는 물질.
세포 분열의 필요성 날마다 새롭게! 세포 분열을 통한 생장과 생식 세포의 크기가 작은 이유.
Ch. 3. 시료 채취 및 처리 2-1. 시료의 종류 및 고려사항 시료의 종류: 고려사항:
4주차 면역.
3. 방어 작용 01. 병원체 1. 질병과 병원체 (1) 비감염성 질환 : 병원체 없이 발생하는 질환 (고혈압, 당뇨병)
1. 식품미생물의 역사와 발전 미생물의 정의 1.특징; 육안으로 보이지 않는 아주 작은 생물
결핵균 동정방법의 비교 미생물계 류 희 정.
Chapter 5 미생물 생장과 생장 조절.
8. 생물농약의 이해 1.
6주차 감염차단 및 처치.
원시 지구에서 단백질과 핵산은 어떻게 만들어졌는가?
매개체-숙주-환경 모델 16조 최효림 하유정 담당 : 주영주교수님.
생물막 (Biofilm).
학습목표 1. 미토콘드리아와 엽록체의 기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원생동물의 특징을 규정할 수 있다.
면역과 방어.
CHAPTER 1 미생물과 미생물학.
고효율 전구체 생산 모듈시스템 개발 및 플랫폼기술 개발 대량생산용 인공지능 전구체 합성세포공장 개발
제 2장 생물학의 기초원리 개관 미생 물의 다양성 온도에 따른 분류
Presentation transcript:

치과와 미생물

치과와 미생물 미생물의 종류 미생물과 감염관리 미생물과 항생제

미생물의 종류 육안으로 볼 수 없는 0.1 mm 이하의 미세한 생물체 세포성 미생물 진정세균 ( bacteria ) 고세균 ( archaea ) 진균 ( fungi ) 원생동물 ( protozoa ) 비세포성 미생물 바이러스 ( virus)

진정세균 ( bacteria ) 단세포의 원핵세포 생물(핵막X) 세포벽을 가지고 있음 지구상에 널리 분포

고세균 핵이 없고 크기가 작아 원핵생물에 속하지만, 세균과 달리 높은 온도나 높은 염도의 환경에서 잘 생식 핵이 없고 크기가 작아 원핵생물에 속하지만, 세균과 달리 높은 온도나 높은 염도의 환경에서 잘 생식 오랜 옛날의 지구 환경과 비슷한 환경에서 자라는 종 시원세균(始原細菌)이라고도 함 병원성 고세균은 확인 X

진균류 핵막, 세포소기관이 발달 => 진핵생물 효모, 곰팡이, 버섯 등이 있음 식물과 비슷하지만 엽록소 X

원생동물 동물에 속하는 단세포성 진핵생물 아메바, 트리코모나스, 톡소플라즈마

비세포성 미생물 바이러스 세포 구조를 갖지 않음 숙주세포 내에서만 기생하여 증식 동물바이러스, 식물바이러스, 세균바이러스 DNA 바이러스, RNA 바이러스

치과와 미생물 미생물의 종류 미생물과 감염관리 미생물과 항생제

미생물과 감염관리 감염질환 숙주의 방어기전이 약하여 임상적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내인성 외인성 기회감염 -- 비병원성 미생물에 의한 질병

건강 or 질병 = 병원성(독성)* 미생물의 양 숙주의 저항력 감염원 탈출 확산 숙주 유입 감염 손상

숙주의 방어기전 비특이적(선천적) 방어 피부, 분비물, 화학적-세포성 장벽 특이적 방어 면역반응 자연능동면역, 인공수동면역

치과와 미생물 미생물의 종류 미생물과 감염관리 미생물과 항생제

미생물과 항생제 항생제 미생물이 생산하는 대사산물로 소량으로 다른 미생물의 발육을 억제하거나 사멸시키는 물질 1928 플레밍(스코틀랜드) 페니실린 발견

항균 범위 특정 미생물에 대해 선택적인 효과 숙주에 독성이 낮고, 부작용이 없으며, 넓은 범위의 항생제를 사용 권장 숙주에 독성이 낮고, 부작용이 없으며, 넓은 범위의 항생제를 사용 권장 또한 내성을 나타내지 않는 항생제 권장 항세균제, 항진균제, 항바이러스제

항생제의 내성 페니실린의 사용 증가에 따라 증가 추세 약제내성균, 다제내성균 메티실린 내성 포도상구균(MRSA) 반코마이신 내성 포도상구균(VRSA) 반코마이신 내성 장구균(V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