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사운동의 발달 강의 7.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2. 속력이 일정하게 증가하는 운동 Ⅲ.힘과 운동 2.여러 가지 운동. 도입 Ⅲ.힘과 운동 2. 여러 가지 운동 2. 속력이 일정하게 증가하는 운동.
Advertisements

INSERT LOGO 5조5조 심정지 환자 발생 시 대응요령 제 2 기 소방안전교육사반.
심폐소생술의 정의 CPR ( 심폐소생술 ) 갑작스런 심장마비나 사고로 인해 심장박동과 호흡이 멈출 때 ! 가슴압박, 인공호흡.
학년 체력 검사 * 요령 및 측정방법 * 서울문교초등학교 50m 달리기 출발 전 1. 제자리에서 가볍게 뜀뛰며 준비한다. ( 기록향상효과 ) 2. 출발 직전 ( 제자리 ) 에는 상체를 최대한 앞으로 쏠리게 한다.
뇌 졸 증 환자의 관 절 운 동 건강관리과 정읍시 보건소. 뇌 졸 증 환자의 일 반 적 문제점 ▶ 근육의 약화 ▶ 근육의 약화 ▶ 근 긴장도의 변화 ▶ 근 긴장도의 변화 ▶ 감각 장애 ▶ 감각 장애 ▶ 독립운동의 상실 ▶ 독립운동의 상실 ▶ 지각운동의 장애 ▶ 지각운동의.
휴보 2. 휴보의 신체특징 키 : 128cm 몸무게 : 45kg 보행속도 1.8km/h( 최대 ) 달리기속도 3.6km/h( 최대 )
처음화면 국민체조국민체조   체육   1 학년   Ⅲ. 체조 > 1. 맨손체조 (5/7)
1.
. . . The 10 Minute Success POSTURES (운동자세) R&G Marketing.
식생활지침 ..
세라밴드를 이용한 발목운동법 발목 신전운동 앉은 자세에서 세라밴드의 양쪽을 손으로 고정합니다.
야구 글러브에 대한 것 5학년 4반 6번 백경렬.
권 태 도 월 1 야 구 꽃터널놀이 2 3 매트 곡선 평균대 4 주 학 습 내 용 주 제 ∙소도구 놀이∙
손 기능 및 발달 작업치료사 박미연.
제 4장 영아기.
신생아 관리.
대림대학교 2017년도 1학기 강의 왕보현 순서도와 스크래치 5주차 대림대학교 2017년도 1학기 강의 왕보현
이소연 이화정 정세나 정한나 최아현 조민규 장 건 정진희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전반적 이해, 선별, 진단, 중재법
1-1 일과 일률.
아침을 여는 간단 셀프 스트레칭 뻑뻑한 눈의 피로 풀기(10분) 뭉친 어깨근육 풀기(15분) 뻣뻣한 뒷목 풀기(20분)
개인용 전자오락실 설계.
Positioning Mobility Guideline & consideration practice
7. 자극과 반응 7-2. 신경계 2. 신경계의 구성.
수 중 방 향 찾 기 (UNDERWATER NAVIGATION)
1. 중심근육이란?.
감각 및 지각운동의 발달 I 강의 3 신라대 체육학부 이범진, Ph.D..
서울 아동발달임상연구소 소장 윤 현 숙 Ph.D 자폐성 아동의 인지특성 및 지도 서울 아동발달임상연구소 소장 윤 현 숙 Ph.D
스크래치 언어 이해 스크래치 이용법 습득 고양이가 말을 하며 움직이는 예제 작성
12장 발달장애아동.
체위변경 별관6병동 김성림.
사례를 통해 문제 제시하기 진아는 왜 갑자기 사라졌나요? 진아에게 무슨 말을 해줄 수 있을까요?
맨손근력검사 남순기.
전기진단검사 I.
활기찬 하루를 여는 “건강 박수 !!!”.
뇌성마비아 자세 , 이동, 식사 동작 지도 정 동 일.
Infusion pump (의약품 자동주입기)
귀의 구조와 기능(1) 두드려라 그러면 들릴 것이다! 귀의 구조와 기능 청각의 전달 경로.
교육진단검사 PEP-R.
운동발달의 개요 강의 1.
신경계의 구성(2) 몸속 네트워크 신경계의 구성 중추 신경계의 구성 말초 신경계의 구성.
배영의 발차기와 팔젓기 동작분석하기 초등학교 체육 4학년 1학기 게임활동 > 5. 계절활동 (1) 물놀이(3-4/6)
2 자동화와 로봇 2 기계 운동의 원리 기계의 이해 기계요소 기계의 동력 전달 과정 금성출판사.
인체 대 탐험 3D GAME ENGINE 게임 공학과 이성진.
유아 건강 ★ 해피 트리 ★.
5주차 소비자 반응 모형3 : 주의.
뇌 성 마 비 환 자 의 평 가 교 수 : 성 치 도 신성대학 물 리 치 료 과.
운동생리학 체육학과 강은진.
2장. 일차원에서의 운동 2.1 평균 속도 2.2 순간 속도 2.3 분석 모형: 등속 운동하는 입자 2.4 가속도
중증장애인을 위한 운동프로그램 국립재활원 물리치료실 조규행.
1. 정투상법 정투상법 정투상도 (1) 정투상의 원리
성인 심폐소생술 의식확인 방법 119신고 및 도움요청 환자가 반응이 없고, 비정상인 호흡 또는 호흡이 없으면
제4차시 큰절 남녀 큰절의 기본 동작 대구달서시니어클럽 유아전통예절교육단.
영아기와 걸음마기의 신체•운동발달.
DNA의 구조와 역할 (1) DNA : 이중 나선 구조로 수많은 뉴클레오타이드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5.1-1 전하의 흐름과 전류 학습목표 1. 도선에서 전류의 흐름을 설명할 수 있다.
PART 02 케어복지 실천기술론 CHAPTER 19 관절운동.
불조심.
교육자료 작성자 / 오두환.
제5장 태내발달과 태내환경 생명의 시작 1) 수정 2) 성의 결정.
자기유도와 인덕턴스 (Inductance)
김덕용 게임 엔진론 Project 2차발표.
Chapter 4 영아기.
3. 굴착 작업 오른손 조종 : 붐과 버킷 작동 ㄱ) 붐 하강 : 앞으로 민다. ㄴ) 붐 상승 : 뒤로 당긴다.
Ⅱ. 분자의 운동 1. 움직이는 분자.
초기화면 음 악 6 학년 23.쾌지나 칭칭 나네 (1/3) 메기고 받는 소리 익히기.
자세 조절 능력의 발달 강의 8 자세 조절 능력은 기본운동기술부터 고도의 스포츠 기술 수행에 이르기까지 가장 기본이 되는 능력이다. 따라서 자세 조절 능력의 발달을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인지발달과 운동수행 II 강의 6.
승마운동이 정신지체아동의 근육량 및 평형성에 미치는 영향
Presentation transcript:

반사운동의 발달 강의 7

목차 반사(reflex)행동의 개념 반사의 유형 스테레오타입(stereotype) 신라대 체육학부 이범진 Ph.D.

반사행동의 개념 반사의 개념 반사의 역할 신라대 체육학부 이범진 Ph.D.

반사의 개념 외부 감각 자극의 형태에 따라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불수의적인 반응 행동 생후 4개월까지 나타나는 대부분의 움직임 성장함에 따라 점차 사라짐 영아 반사의 이해 미래의 움직임 예측 건강상태 예측 중추신경계 이상유무 예측 연령과 반사 신라대 체육학부 이범진 Ph.D.

연령에 따른 반사의 역할 수행에 대한 영향 자세반사 수의적 움직임 원초반사 연령 신라대 체육학부 이범진 Ph.D.

반사의 역할 영아의 생존을 도움 미래의 움직임 예측 영아 운동행동 진단 빨기, 잡기 등 수의 운동을 위한 사전연습 단계 걷기 반사 등 영아 운동행동 진단 신경학적 장애 추측 모로 반사(Moro reflex) 비대칭목경직 반사(asymmetric tonic neck reflex) 신라대 체육학부 이범진 Ph.D.

반사의 유형 원초반사 자세반사 이동반사 신라대 체육학부 이범진 Ph.D.

원초반사(primitive reflexes) 불수의적인 반응으로서 영아의 생존 또는 보호와 관계 뇌의 하위 구조에서 조절 대부분의 원초반사는 태내에서부터 나타나며 자궁 내의 움직임으로 출산에 도움 신라대 체육학부 이범진 Ph.D.

원초반사 – 손바닥쥐기 반사(palmar grasp reflex) 출생(태내) ~ 4개월 손바닥에 주어진 자극을 움켜짐 생후 1년 후에도 이러한 동작이 반사의 형태로 나타나면 신경적인 문제 의심 신라대 체육학부 이범진 Ph.D.

원초반사 – 설근 반사 (rooting reflex) 동의어 – 뿌리반사, 젖 찾기 반사, 탐색반사, 루팅 반사 등 출생 ~ 4개월 뺨을 건드리거나 치는 자극에 의해 나타남 자극 방향으로 고개를 돌림 젖 빨기를 위한 중요한 반사행동 신라대 체육학부 이범진 Ph.D.

원초반사 – 빨기 반사 (sucking reflex) 출생 ~ 3개월 입술 근처를 가볍게 자극하면 자동으로 머리를 돌리고 입술을 갖다 대는 아기 빨기 동작 3개월 이후는 자의적인 동작으로 전환 신라대 체육학부 이범진 Ph.D.

원초반사 - 모로 반사 (Moro reflex) Ernst Moro(Austrian Pediatrician, 1874-1951) 갑작스런 자극에 의해 발생 큰소리 머리나 몸의 위치 변화 생후 4~6개월 까지 지속 이상 현상 출생 시 미 출현 – 중추신경계 장애 추측 소멸 시기 후 출혈 – 감각운동 장애 추측 신라대 체육학부 이범진 Ph.D.

원초반사 - 목경직 반사 (tonic neck reflex) 대칭목경직반사 (symmetric tonic neck reflex) 생후 6~7개월 사이에 나타남 목을 뒤로 젖히는 경우 팔의 신전 + 다리의 수축 목을 앞으로 굽히는 경우 팔 수축 + 다리의 신전 반사가 지속적으로 나타나면 머리 제어와 관련된 여러 운동 능력 발달 저해 뻗기, 잡기, 앉기, 걷기 등 비대칭목경직반사(asymmetric tonic neck reflex) 생후 4개월까지 유지 누워 있는 상태에서 머리를 한쪽 방향으로 돌리는 자극에 의해 출현 머리가 돌아간 방향과 같은 방향의 팔과 다리의 신전 반대편 팔과 다리의 굽힘 6개월 후 지속적으로 나타나면 여러 기형적인 신체발달의 위험 척추의 휨, 걷기, 서기, 앉기 등의 어려움 등 신라대 체육학부 이범진 Ph.D.

목경직 반사(계속) 대칭목경직반사 비대칭목경직반사 신라대 체육학부 이범진 Ph.D.

원초반사 – 발바닥오므리기반사(plantar grasp reflex) 출생 ~ 1년(걷기 시작할 때까지) 발가락과 발바닥의 연결 부위를 손가락으로 자극하면 출현 발가락을 오므리는 반응 신라대 체육학부 이범진 Ph.D.

원초반사 – 바빈스키반사 (Babinski reflex) 출생 ~ 4개월 발바닥에 뾰족한 것이 닿거나 손가락으로 발바닥을 자극하면 출현 발바닥을 쫙 펴는 반응 생후 6개월 후에도 지속적으로 나타나면 신경계 이상 추측 신라대 체육학부 이범진 Ph.D.

원초반사 - 기타 손바닥-턱다물기반사 (palmar-mandibular reflex) 손바닥-턱벌리기반사 (palmar-mental reflex) 출생 ~ 3개월 한쪽 손바닥을 긁는 자극에 의해 출현 아래턱을 벌리거나 다무는 반응 출생 ~ 3개월 양손에 압력을 가하면 출현 입을 벌리고, 눈을 감고, 고개를 숙이는 반응 신라대 체육학부 이범진 Ph.D.

자세반사(postural reflex) 중력반사 – 자세를 유지하기 위하여 나타나는 현상 중요성 영아가 머리를 세워서 숨쉬는 것을 가능하게 함 앉거나 몸을 뒤집는 행동에 도움 신라대 체육학부 이범진 Ph.D.

자세반사 – 낙하반사 (parachute reflex) 시기 전방지지 – 4개월 이후 측면지지 – 6개월 이후 후방지지 – 10개월 이후 영아를 든 상태에서 예고 없이 아래로 내릴 때 출현 다리의 신전과 발을 바깥쪽으로 벌리고 손을 짚는 동작 신라대 체육학부 이범진 Ph.D.

자세반사 – 미로반사 (labyrinthine reflex) 생후 2개월 ~ 1세 신체가 기울어졌을 때 출현 기울어진 반대 방향으로 머리가 움직이는 반응 반사가 잘 나타나지 않으면 안뜰 기관의 이상 추측 신라대 체육학부 이범진 Ph.D.

자세반사 – 턱걸이반사(pull-up reflex) 생후 3개월~1년까지 나타남 상체를 세운 상태로 앉아 있는(혹은 누워있는) 자세에서 손을 잡고 앞뒤로 움직이는 자극에 의해 출현 팔을 굽히거나 펴는 반응 신라대 체육학부 이범진 Ph.D.

머리-신체일치반사 생후 2~6개월까지 나타남 반듯이 누운 상태에서 머리나 몸통을 한쪽 방향으로 돌리는 자극에 의해 출현 반응 머리 – 몸통이 같은 방향으로 돌아감 몸통 – 머리가 같은 방향으로 돌아감 구르기 동작의 기초 신라대 체육학부 이범진 Ph.D.

이동반사 기기반사 걷기반사 수영반사 출생~4개월 생후 몇 주~5개월 배를 바닥에 대고 엎드려 있는 상태에서 양쪽 발바닥을 번갈아 건드리는 자극에 의해 출현 바로 세운 상태에서 표면에 발바닥이 닿는 자극에 의해 출현 물 속에 몸이 잠기도록 하면 나타남 기기와 같은 형태의 팔과 다리 반응 걷기 동작과 유사한 반응 팔과 다리의 수영 동작 기기행동의 기본 걷기에 영향 잠수 시, 숨 정지 반사로 인해 호흡을 멈춤 신라대 체육학부 이범진 Ph.D.

스테레오타입(stereotype) 반사 vs. 스테레오타입 특성 반사 – 자극에 의해 발생 스테레오타입 – 특정한 자극 없이도 발생 특성 반복적 정형화(차기, 흔들기 등) 차기, 흔들기 등 영아 전체 움직임의 약 40% 중추신경계에서 제어 생후 6~10개월 경에 가장 활발 신라대 체육학부 이범진 Ph.D.

발과 다리의 스테레오타입 생후 4주 ~ 32개월 (6~8개월 가장 활발) 발과 다리의 차기 동작 동시에 발차기 번갈아 차기 생후 4주 ~ 32개월 (6~8개월 가장 활발) 발과 다리의 차기 동작 동시에 발차기 번갈아 차기 발을 같이 스치기 다양한 종류의 한발 차기 다리 구부리기 신라대 체육학부 이범진 Ph.D.

몸통의 스테레오타입 발과 다리의 스테레오타입보다 늦게 출현 앞뒤로 흔드는 동작 기는 자세 앉은 자세 선 자세 신라대 체육학부 이범진 Ph.D.

손, 팔, 손가락의 스테레오타입 34~42주 물체를 잡고 있는 상황과 잡고 있지 않은 상황 모두 나타남 팔 4~12주 손의 경우, 14~22주까지 나타나지 않음 손가락은 손보다 약 4~12주 빨리 나타남(24~32주 가장 활발) 물체를 잡고 있는 상황과 잡고 있지 않은 상황 모두 나타남 영아의 기기, 잡기, 흔들기 등의 출현과 관계 신라대 체육학부 이범진 Ph.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