Ⅳ 고려의 성립과 변천 3. 대몽 항쟁과 반원 자주화 노력 03 새로운 정치 세력이 성장하다.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2. 속력이 일정하게 증가하는 운동 Ⅲ.힘과 운동 2.여러 가지 운동. 도입 Ⅲ.힘과 운동 2. 여러 가지 운동 2. 속력이 일정하게 증가하는 운동.
Advertisements

20722 이유라 5.18 민주화 운동의 의미 배경 : 1979 년 12 월 12 일 쿠데타 원인 : 사태 (1979) - 박정희 대통령 죽음, 국가 혼란 - 전두환은 군대를 동원, 정권강탈 - 전국적 시위 발생 5.18 민주화 운동 발생.
광개토대왕광개토대왕. 광개토대왕 광개토대왕의 업적 374 년 탄생, 이름은 담덕 386 년 고구려의 태자로 책봉됨 391 년 고구려 제 19 대 태왕이 됨, 고구려 최초로 연호를 제정하여 사용하고, 백제의 10 개의 성을 빼앗고 관미성도 함락됨 392 년 백제 북쪽.
수·당이 중국을 통일하다 지역 세계의 형성과 발전 02 Ⅷ 1. 수·당의 발전과 동아시아 세계의 형성.
고려의 성립과 변천 2. 귀족 사회의 형성과 대외 관계. 귀족 사회의 형성과 대외 관계 2 고려, 통치 제도를 정비하다 1 1. 중앙 정치 제도 (1)2 성 6 부 : 최고 관서는 중서문하성 ( 장관 문하시중이 국정 총괄 ), 상서 성은 6 부 두고 정책 집행 (2)
중국 정치경제 이슈 시진핑시대 분석 년 11 월 : 공산당 제 18 차 전국대표대회 ( 당대회 ) 와 제 18 기 1 중전회 ( 제 18 기 중앙위 원회 제 1 차 전체회의 ) 에서 총서기와 중앙군 사위원회 주석 년 3.
경제 개발 계획 발표자 : 김지혜 교과서 119 쪽. 차례 경제 개발 계획 추진 목적 경제 개발 5 개년 계획 추진 경제 개발 추진 결과 산업 구조 개편 퀴즈.
국어 시간 ‘ 폭풍 ’ 과 ‘ 경설 ’. 학습 목표 1. ‘ 폭풍 ’ 과 ‘ 경설 ’ 에 나타난 삶의 태도를 비교하여 말할 수 있다. 1. ‘ 폭풍 ’ 과 ‘ 경설 ’ 에 나타난 삶의 태도를 비교하여 말할 수 있다. 2. 서로 다른 주장에 대해 근거를 들어 말할 수 있다.
아름다운 우리 광주 신문 번 김현지. 아름다운 우리 광주 신문 BC 5 에 하남 위례성에서 천도해 온 이후 신라 문무왕 12 년 (AD 672) 토성 ( 주장성, 일장성라 칭함 ) 으로 축성하였고, 조선 광해군 13 년 (1621 년 ) 에 후금의 침임을.
Ⅰ Ⅰ 선진국 직업교육훈련의 특징과 우리의 일 · 학습병행제 1. 선진국 직업교육훈련의 특징 2. 선진국과 우리나라의 청년고용률 3. 일 · 학습병행제 추진현황 4. 우리의 일 · 학습병행제 특징 Ⅱ Ⅱ 산업계 주도 직업교육훈련체제 구축 및 산업별단체.
1.
Ⅱ 삼국의 성립과 발전 2. 삼국의 발전과 가야 01 고구려가 동북아시아의 강자로 성장하다.
☆훈민정음을 만든 사람 ☆훈민정음을 반포한 날 ☆훈민정음을 만든 이유 ☆훈민정음의 원리
ǁ. 고려 귀족 사회의 형성과 변천 한국사.
7-2 정치과정에 참여하는 다양한 정치 주체 2, 정당과 언론의 역할 (4/7차시)
유탄발사기 M79 유탄발사기 M203.
신호처리 실험 (Signal Processing Lab)
(생각열기) 멘델레예프의 주기율표와 모즐리의 주기율표 에서 원소를 나열하는 기준은? ( )
고려의대외관계.
고려의 외침극복 사회 6학년 1학기 1.우리 민족과 국가의 성립 2)민족을 다시 통일한 고려(11/21) (활용방법)
일본의 독도 침탈과정의 불법성을 알고 일본의 잘못된 주장을 반박하기.
분석적 사고 (Analytical Thinking)
7. 자극과 반응 7-2. 신경계 2. 신경계의 구성.
1. 지구와 달의 운동 교과서 24쪽.
Ⅱ. 지구의 변동과 역사 1. 지구의 변동 2. 지구의 역사 3. 우리나라의 지질.
별의 밝기와 거리[2] 밝다고 가까운 별은 아니야! 빛의 밝기와 거리와의 관계 별의 밝기 결정.
1. 고려의 성립과 정치 발전 원의 간섭과 공민왕의 반원 개혁 정치 6.
V. 인류의 건강과 과학 기술 Ⅴ-1. 식량자원 3. 식품 안전성.
2. 다양한 관점.
5-9. 전기 에너지가 편리한 이유는? 학습 주제 < 생각열기 >
중국 조선업의 몰락 경영학과 윤동현.
원격탐사의 활용 - Mapping -.
[1] 임진왜란의 극복 학습 목표 왜군의 침략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수군과 의병의 승리를 설명할 수 있다
27강 JAVA Collections - II - Map계열 컬렉션 클래스 살펴보기 - Set계열 컬렉션 클래스 살펴보기
FileMaker를 이용한 데이터 관리 옥현진(KICE).
위치 에너지(2) 들어 올리기만 해도 에너지가 생겨. 탄성력에 의한 위치 에너지.
생활 속의 밀도 (1) 뜨고 싶니? 내게 연락해 ! 물질의 뜨고 가라앉음 여러 가지 물질의 밀도.
우리나라 수학자 기초반-17번-이호준.
구형왕릉.
Ⅴ. 지각의 물질과 변화 5.1 지각을 이루는 물질.
십자가의 도가 멸망하는 자들에게는 미련한 것이요 구원을 받는 우리에게는 구원을 받는 우리에게는 하나님의 능력이라
4.4-3 대기 대순환 학습목표 1. 대기 대순환의 원인과 순환세포를 설명할 수 있다.
학습 목표 한국 윤리의 전개 과정을 유교, 불교, 도교 및 근대 한국 윤리 별로 각각 설명할 수 있다.
말하기 ㆍ 듣기 2학년 2학기 5.마음을 전해요 >1)주고받는 마음 (2/4) 내 마음 전하는 말 하기.
Ⅳ 고려의 성립과 변천 1. 고려의 건국과 귀족 사회의 형성 03 고려 전기의 대외 관계.
Ⅳ 고려의 성립과 변천 2. 무신 정권의 성립과 농민∙천민의 봉기 01 문벌 귀족 사회가 흔들리다.
Ⅳ 고려의 성립과 변천 2. 무신 정권의 성립과 농민∙천민의 봉기 02 무신들이 권력을 잡다.
Ⅳ 고려의 성립과 변천 2. 무신 정권의 성립과 농민∙천민의 봉기 03 농민과 천민이 봉기하다.
Ⅳ 고려의 성립과 변천 3. 대몽 항쟁과 반원 자주화 노력 02 원의 내정 간섭에 맞서 개혁 정치를 펴다.
Ⅲ 통일 신라와 발해의 발전 2. 남북국의 성립과 발전 01 통일 이후 신라는 어떻게 변화하였을까?
Ⅲ 통일 신라와 발해의 발전 2. 남북국의 성립과 발전 03 발해가 건국하여 남북국을 이루다.
Ⅳ 고려의 성립과 변천 3. 대몽 항쟁과 반원 자주화 노력 01 몽골의 침략에 맞서 싸우다.
Ⅲ 통일 신라와 발해의 발전 1. 고구려의 대외 항쟁과 신라의 삼국 통일 01 고구려가 수∙당을 막아 내다.
Ⅲ 통일 신라와 발해의 발전 2. 남북국의 성립과 발전 02 통일 신라에서 발전한 사상과 예술.
햄버거가 만들어내는 사회·생태적 문제는?.
Ⅲ. 조선 유교 사회의 성립과 변화 한국사.
하나님의 말씀은 나를 변화 시켜요!! 사무엘은 돌을 하나 가져다가 미스바와 센 사이에 세우고 그 돌을 에벤에셀이라고 불렀습니다
행성을 움직이는 힘은 무엇일까?(2) 만유인력과 구심력 만유인력과 케플러 제3법칙.
학습 주제 p 끓는점은 물질마다 다를까.
(Adjustment to New Pressures) (New Self-Expectations)
견훤, 궁예, 왕건을 알아보자! 6학년7반 29번 양수정.
5.1-1 전하의 흐름과 전류 학습목표 1. 도선에서 전류의 흐름을 설명할 수 있다.
유체 속에서 움직이는 것들의 발전 진행하는 추진력에 따라 압력 차이에 의한 저항력을 가지게 된다. 그런데, 앞에서 받는 저항보다 뒤에서 받는 저항(흡인력)이 훨씬 더 크다. 유체 속에서 움직이는 것들은 흡인에 의한 저항력의 최소화를 위한 발전을 거듭한다. 그것들은, 유선형(Streamlined.
Ⅲ 세계 여러 지역의 문화적 다양성 4. 지역 문화의 특성 ① 다양한 지역 문화(1).
의미론적 관점 * TV에서 ‘푸른 빛이 아닌 청자빛’이란 표현을 들었을 경우
p 감수 분열로 자손 남기기 학습 주제 [개구리 동영상] [매미 동영상]
Ⅲ 조선 사회의 변화와 서구 열강의 침략적 접근 주제4 통치 체제의 재정비와 통상 수교 거부.
세포는 어떻게 분열할까?(2) 양파 뿌리의 체세포 분열 관찰 순서 [ 해리 ] [ 염색 ] [ 고정 ] 학습 주제
중국 중산층 장기 해외여행자 증가 이유 언어정보학과 김예원.
6장 가족문제 예방을 위한 실천 가족복지론 최진령.
Presentation transcript:

Ⅳ 고려의 성립과 변천 3. 대몽 항쟁과 반원 자주화 노력 03 새로운 정치 세력이 성장하다

3. 대몽 항쟁과 반원 자주화 노력 03 새로운 정치 세력이 성장하다 학습 목표 고려 후기에 새롭게 성장한 신진 사대부와 신흥 무인 세력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고려 말의 정치 변화를 말할 수 있다.

03 미리 보기 새로운 정치 세력이 성장하다 신진 사대부의 성장 새로운 정치 세력의 성장 신흥 무인 세력의 성장 위화도 회군 3. 대몽 항쟁과 반원 자주화 노력 03 새로운 정치 세력이 성장하다 미리 보기 새로운 정치 세력의 성장 신진 사대부의 성장 신흥 무인 세력의 성장 고려의 멸망 위화도 회군

03 내용 정리 새로운 정치 세력의 성장 1. 신진 사대부의 성장 출신: 대부분 지방 향리나 하급 관리의 자제 3. 대몽 항쟁과 반원 자주화 노력 03 새로운 정치 세력이 성장하다 내용 정리 1 새로운 정치 세력의 성장 1. 신진 사대부의 성장 출신: 대부분 지방 향리나 하급 관리의 자제 학문: 명분과 의리를 중시하는 성리학을 학문적 기반으로 삼음. 이색 이색은 원에서 귀국한 이후 정몽주, 정도전 등에게 영향을 주어 성리학을 널리 확산시켰다.

03 2. 신흥 무인 세력의 성장 (3) 성장: 과거를 통해 관직 진출, 공민왕의 개혁 정치 과정에서 크게 성장 3. 대몽 항쟁과 반원 자주화 노력 03 새로운 정치 세력이 성장하다 (3) 성장: 과거를 통해 관직 진출, 공민왕의 개혁 정치 과정에서 크게 성장 (4) 활동: 권문세족의 비리를 비판하고 견제함, 명과의 화친 주장 2. 신흥 무인 세력의 성장 홍건적의 침입: 한때 개경을 함락하기도 함. → 정세운, 이방실, 이성계 등이 격퇴

03 (2) 왜구의 침입 (3) 신흥 무인 세력의 성장: 홍건적과 왜구를 격퇴하는 과정에서 최영과 이성계 등 무인 세력 성장 3. 대몽 항쟁과 반원 자주화 노력 03 새로운 정치 세력이 성장하다 (2) 왜구의 침입 피해 상황: 남쪽 해안 지방을 침략, 개경을 위협하기도 함, 조세 운송이 어려워져 궁핍해짐. 격퇴: 최영, 이성계, 최무선(화포 사용), 박위(쓰시마 섬 토벌) (3) 신흥 무인 세력의 성장: 홍건적과 왜구를 격퇴하는 과정에서 최영과 이성계 등 무인 세력 성장

3. 대몽 항쟁과 반원 자주화 노력 03 새로운 정치 세력이 성장하다 탐구 고려 후기 정치 세력 _ 교과서 139쪽

03 1 자료 1, 2에 해당하는 고려 후기 정치 세력을 쓰고, 이들의 성향을 비교해 보자. 새로운 정치 세력이 성장하다 3. 대몽 항쟁과 반원 자주화 노력 03 새로운 정치 세력이 성장하다 1 자료 1, 2에 해당하는 고려 후기 정치 세력을 쓰고, 이들의 성향을 비교해 보자. 답 정치 세력 역할 자료 1 권문세족 원의 세력에 기대어 성장하여 친원적 성향을 가지고 있었다. 대농장과 노비를 소유하였고, 음서 등을 통해 권력을 세습, 확대하였다.

03 1 자료 1, 2에 해당하는 고려 후기 정치 세력을 쓰고, 이들의 성향을 비교해 보자. 새로운 정치 세력이 성장하다 3. 대몽 항쟁과 반원 자주화 노력 03 새로운 정치 세력이 성장하다 1 자료 1, 2에 해당하는 고려 후기 정치 세력을 쓰고, 이들의 성향을 비교해 보자. 답 정치 세력 역할 자료 2 신진 사대부 과거를 통해 관직에 진출하였고, 유교 지식과 행정 실무 능력을 바탕으로 성장하였다. 권문세족의 비리를 비판하였으며, 명과의 화친을 주장하였다.

03 2 자료 3에 해당하는 정치 세력을 쓰고, 당시 이들의 정치적·사회적 위상을 서술해 보자. 새로운 정치 세력이 성장하다 3. 대몽 항쟁과 반원 자주화 노력 03 새로운 정치 세력이 성장하다 2 자료 3에 해당하는 정치 세력을 쓰고, 당시 이들의 정치적·사회적 위상을 서술해 보자. 답 신흥 무인 세력으로 이들은 홍건적과 왜구를 격퇴하는 과정에서 백성의 신망을 얻고 정치적 입지를 확대해 나갔다.

3. 대몽 항쟁과 반원 자주화 노력 03 새로운 정치 세력이 성장하다 2 고려의 멸망 1. 위화도 회군 명과의 관계: 명의 무리한 공물 요구, 철령 이북의 땅 요구 → 우왕과 최영의 요동 정벌 추진 (2) 위화도 회군(1388) 내용: 요동 정벌군을 이끈 이성계가 압록강의 위화도에서 군사를 돌려 개경으로 진군 결과: 최영 제거, 우왕 폐위 → 이성계 일파가 정치적· 군사적 실권 장악

[보충] 위화도 회군 이성계는 요동 정벌이 당시 상황에 적절하지 못하다고 여겨 압록강 가운데에 있는 위화도에서 군사를 되돌리고, 개경으로 돌아와 최영을 제거하고 정치적 실권을 장악하였다. ♣ 이성계가 요동 정벌을 반대한 이유 작은 나라가 큰 나라를 거스르는 일을 옳지 않다. 여름에 군사를 동원하는 것은 부적 절하다. 요동을 공격하는 틈을 타서 남쪽에 서 왜구가 침범할 염려가 있다. 무덥고 비가 많이 오는 시기라 활 의 아교가 녹아 무기로 쓸 수 없고, 병사들도 전염병에 거릴 염려가 있 다.

03 2. 고려의 멸망(1392) 신진 사대부의 분열 (2) 개혁 단행 3. 대몽 항쟁과 반원 자주화 노력 03 새로운 정치 세력이 성장하다 2. 고려의 멸망(1392) 신진 사대부의 분열 온건파: 고려의 전통 질서를 유지하면서 개혁 추구, 이색, 정몽주 등 급진파: 새 왕조의 수립을 주장, 조준, 정도전 등 (2) 개혁 단행 주도: 이성계와 급진파 신진 사대부 내용: 조세 제도와 토지 제도를 바로잡음. (3) 조선 건국(1392): 정몽주 등 온건파 세력 제거, 공양왕이 이성계에게 왕위를 내어 줌.

3. 대몽 항쟁과 반원 자주화 노력 03 새로운 정치 세력이 성장하다 확인 학습 1 성리학을 학문적 기반으로 삼아 관직에 진출하여 공민왕 때 크게 성장한 정치 세력은? 2 요동 정벌에 반대한 이성계가 압록강 가운데 있는 섬에서 군대를 돌려 개경으로 온 사건은? 3 다음 내용을 읽고 맞으면 O, 틀리면 X로 표시해 보자. 장기간 외적을 물리치면서 큰 공을 세운 무인으로 백성의 인기를 얻은 세력을 신흥 무인 세력이라고 한다. [ ] 이성계 등 무인 세력은 이색, 정몽주 등 온건파 신진 사대부와 함께 연합하여 조선을 건국하였다. [ ] 신진 사대부 위화도 회군 O X

‘종교와 학문이 발달하다’를 학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