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어 음운 체계 한국어의 역사 2016. 3. 29..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탑승 안내 주요 관광지 방문객 수 주요 관광지 방문객 수 야간코스 안내 Seoul City Tour 소개 목차
Advertisements

2016 년 취업 릴레이 특강 전체 일정 날짜구분특강명강사인원시간 & 장소운영 ( 월 ) 취업준비 NCS 기반 채용동향권성일팀장 100 2:30~4:20 공 207 왕정민 ( 화 ) 서류 기적의 자기소개서 작성법 김형관대표 ( 기적의자소서저자.
요가전문가 김민지 프로필 성 명성 명성 명성 명 김 민 지김 민 지김 민 지김 민 지생년월일 1967 년 1 월 1 일 ( 양력 ) 연락처 Mobile 요가카페 “ 뷰티요가 ”
동서양의 다양한 이상 사회의 모습을 제시할 수 있다. 학습 목표 이상 사회를 실현하기 위해 필요한 노력을 제시할 수 있다.
세계 문화의 이해 김진아 박선영 배지희 이유경 정은애.
안전신문고 앱 사용자매뉴얼. Ⅰ. 개요 1-1 개요 및 메인 화면 1P Ⅱ. 회원 2-1 로그인 2-2 나의 신고 (회원) 2-3 나의 신고 (비 로그인) 2-4 나의 신고 2P 3P 4P 5P Ⅲ. 안전신고 3-1 신고작성 3-2 인적 사항 입력 7P.
KEY POINT ∥ can not/may/must + have pp. → 과거 사실에 대한 추측 조동사 have pp. ― 과거 사실에 대한 추측 can not have pp. 과거 사실의 부정적 추측~했을 리 없다 may have pp. 과거사실의 추측~했을지도 모.
2006 수탁교육과정 ( 사회복지협의회 ) Learn CPR you can do it ! Learn CPR you can do it ! 광주소방학교 황 인 기본 인명 구조술.
반달곰 5 남매의 고라니 홍보  유치원에서 로드킬과 크리스마스트리를 주제로 창작연극  웹 홍보용 포스터 및 배너 제작, 배포  늘 푸른 고등학교에서 홍보노래 제작  밀렵밀거래방지 플랜카드로 거리 홍보  야생동물협회 등 기관방문을 통해 자체 교육 및 조언 구함 
1. 오랜만이군요. I haven’t seen you for a long time. 2. 세종문화회관 어떻게 가면 되죠 ? How can I get to the Sejong Culture Center? 3. 미안합니다만 저도 여기가 처음입니다. Sorry. I’m a.
캐나다의 지도 만든사람 = 김현정. 캐나다의 국기 단풍잎 모양 때문에 흔히 ' 메이플 리프플래그 ’ 라고 한다. 양쪽의 빨 강은 태평양과 대서양을 나타내 고, 12 개의 각이 있는 빨간 단풍잎 은 이 나라의 상징이다. 빨강과 하 양은 영국의 유니언 잭의 색에서 따온 것이며.
개념∥화법이란 다른 사람의 말을 전달하는 방법을 말한다. 화법에는 직접화법과 간접화법의 두 가지가 있다. 따옴표 (Quotation Marks) 를 써서 말한 사람 (speaker) 의 말을 그대 로 전달하는 방법을 “ 직접화법 ” 이라고 하며, 말한 사람의 말을 전달하는.
유교 힌두교 성서. 공자 = 孔夫子 =Kǒng fūzǐ= Confucious - 우주에 관한 이론 공자는 세계의 본성에 관하여는 이야기하지 않음. 그러나 天命이라는 개념을 사용하여 윤리규범을 초월적이고 궁극적인 명령으로 이야기함. 운명 : 인간의 이해와 노력을 넘어섬.
회계학과 김영록 회계학과 곽웅섭 회계학과 정찬규 경영학부 황 현.
우측보행국민운동본부 본부장 / 공학박사 황 덕 수 오른쪽으로 걷는 생활이 더 편리하고 안전하다 - 신체발달특성, 생활사례, 관련법규 중심으로 -
숫자 ② 식당이 어디에 있어요? 식당이 4(사)층에 있어요. Sogang Korean 1A UNIT 1 “숫자②”
2013년 05월 사목협의회 월례회 ( 제6대1기 10회 ) 대치3(성모 탄신)성당.
중국의 시사 국제통상학 진예환.
전자정부 프로젝트 관리 및 실무평가 제 1 주 전자정부 발전단계의 이해 01 전자정부 발전단계의 의의 및 기존 발전단계
자아가 건전한 세상을 위한 인성 자존감 유아 인성교육을 위한 부모 연수 자료집
연구사업통합 시스템 접수안내매뉴얼-연구자
신개념 이동형 옥외광고 매체제안서.
LG전자 2006 글로벌 패밀리 페스티벌 환영만찬… 참가했던 해외전략거래선 사장단들의 행동방향 예측
2D 게임프로그래밍 프로젝트 1차 발표 유제원.
전산회계1급 기출 50회 신성대학교 세무부동산과 김상진.
Chapter 02. 네트워크의 구성.
Connecting LANs, Backbone Networks, and Virtual LANs
고장 진단방법 및 파형분석 지아이티 교육팀.
인권의 이해.
2 장 데이터 통신 기본 개념 2.1 회선 구성(Line configuration) 2.2 접속형태(Topology)
동남아 사회와 정치 제5강. 베트남의 사회와 정치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쉬운 표준원가.
가정의 달, 누구나 좋아하는 새콤달콤 망고로 센스 있는 선물 하세요 ^ㅁ^
예산결산 1.
하이/로우 임피던스 스피커 결선 방법 작성일자 : 2015년 08월 INTER-M C/S팀 임성환
성희롱성폭력 온라인 예방교육 이수 방법 포스텍 학생상담센터 성희롱성폭력 상담실.
제일제당 부산1공장 컨설팅 성과사례 항목 구 분 단위 BM(94년) 97년 BM대비 년평균 노동생산성 제분 천Bag/인년
찬양하라 복 되신 구세주 예수 백성들아 사랑을 전하세 Praise Him praise Him
세종학당(King Sejong Institute) – Free Korean Language Class
주 안 에 있 는 나 에 게 딴 근 심 있 으 랴 455 장 The trusting heart to Jesus clings,
나는 입으로 걷는다 <오카 슈조> 펠릭스는 돈을 사랑해 <니콜라우스 피퍼>
1. 주의 약속하신 말씀 위에서 영원토록 주를 찬송하리라 Stand-ing on the prom-is-es
활동도 조사표 작성 가이드 (조사대상업체용).
2차 발표: 내일은 홈런왕 학번: 이름: 주해성.
4차원의 영성 : 말 -류동희 교수-.
우린 할 수 있어 - Yes, We can do it 09년도 절대빈곤 자녀 썸머 훼스티벌
English Grammar in Middle School
십자가의 군기를 See where floats the conqu’ring sign, 높이 들고 나가세 On-ward to the war di-vine!
복식부기 기본원리 충청북도교육청 재무과 최은성.
파워포인트 단축키 모음 범주 명령/기능 단축키 오피스 공통 단축키 파일 열기 Ctrl + O O 열려진 창들 간의 전환
2월 테마가 있는 대화 ‘전진 승리의 해’4지침 1. 포교·우호 확대의 추진 2. 충실한 기관지 연찬 3. 지역우호 활동
[투팩] 메신저백 (TP-MB02) 수연대리님, 투팩 메신저백 상세페이지 요청 드립니다.
2014년 환경관리 중점 추진과제 울산광역시 (환경관리과).
제6장 부피성형가공 - (1) 단조.
샘플앱 제작 안내 2016/05/18.
제16강 입출력시스템 1.
Homework #3 (실습 #2) – [1/2] 1. 다음의 두 문서를 (유사하게) 표현하는 HTML 문서를 작성한다.
이전 13:45:25 아니오 예.
1.종소리 크게 울려라 2.시기와 분쟁 옛 생각 3.그 흉한 질병 고통과 4.기쁨과 넓은 사랑과
1.세무회계사무소에서 수임처로부터 통장내용(엑셀)을 등으로 받아 Super Book에 반영하는 방법
신규협력사 등록안내 SHICOS 신용평가 협력사 등록신청 SHICOS 주면허 선택 접수완료 회원가입 및 기본정보 등륵
중국의 단오절(端午节).
1.왕 되신 주 다 찬양하여라 2.소망의 주 다 찬양하여라 3.거룩한 주 다 경배하여라
2장 내 슬라이드 처음 만들기 실용컴퓨터 파워포인트.
사용자 매뉴얼 스마트공장추진단 사업관리시스템 - 공급기업.
학습목표 1.피싱의뜻 2.피싱의사례 3.피싱의예방방법 4.피싱의 대처요령
VIETNAM 천안 YMCA - 베트남팀 지역 활동 보고 김상현, 김영지, 박윤아, 유슬기, 정병칠.
우주의 생성 빅뱅 (대폭발).
모바일 주문 시스템 매뉴얼 (고객사 주문).
성 령 천주교 광주대교구 청소년사목국.
Presentation transcript:

신라어 음운 체계 한국어의 역사 2016. 3. 29.

신라어 자료 史籍에 나오는 固有名詞 표기(地名, 人名, 官職名) 吏讀 資料: 20여 종 鄕札 資料: 三國遺事 所載 14首, 均如傳 所載 11수 新羅語 語彙를 기록한 斷片 古代 日本語에 들어간 借用語 韓國 漢字音

신라어 자음 체계와 한국 한자음 신라어의 자음 체계를 재구하는 데에 가장 중요한 단서를 제공해 주는 것은 한국 한자음. 신라어의 자음 체계를 재구하는 데에 가장 중요한 단서를 제공해 주는 것은 한국 한자음. 한자가 신라에 처음 들어왔을 때, 신라인들은 각 한자를 당시 중국의 原 音에 가깝게 발음하려고 노력했겠지만, 고대 중국어의 음운 체계와 신라어의 음운 체계가 다름으로 인해, 발음 의 차이가 필연적으로 생기게 되었을 것 고대 중국어에는 존재했는데 한국 한자음에는 존재하지 않는 음소들을 살펴보면, 신라어의 음운 체계를 추론할 수 있음. 전제조건: 한자가 중국으로부터 신라에 전래되었을 무렵의 중국어의 음 운 체계가 어느 정도 밝혀져 있어야 함. 中古 중국어(7세기 『切韻』으로 대표됨)의 음운 체계는 꽤 밝혀져 있음. 上古 중국어(춘추전국시대. 『詩經』으로 대표됨)의 음운 체계는 아직 논란이 많음. 한반도, 신라에 한자가 전래된 시기는 上古→中古 과도기(漢代~남북조시대)

中古 중국어 의 음운에 대한 가장 깔끔하면서 권위 있는 논저 『구결연구』 30, 31집 (2013)에 한 국어 번역이 실려 있음.

한국 한자음에 대한 대표적 연구 업적 河野六郎(1962/1968), 『朝鮮漢字音の研究』 Kōno Rokurō: 경성제대 조선어문학부 교수 역임 1945년 이후 東京大 교수 중국어(음운)학, 한국어(음운)학, 문자론 등에 대한 20세기 전반기의 大家 伊藤智ゆき(2007), 『朝鮮漢字音研究』, 汲古書院. Itō Chiyuki: 東京大 언어학과 출신 河野六郎의 업적을 반세기 만에 뛰어넘은 것으로 평가 받음. 이진호 역(2011), 『한국 한자음 연구』, 역락.

한국어와 다른 언어의 장애음 체계 세계의 많은 언어들의 장애음 체계는 대개 2원 체계임. 유성음 대 무성음: 영어, 일본어 유기음 대 무기음: 중국어 한국어의 장애음은 평음, 격음, 경음의 3계열로 이루어져 있음. 모어의 장애음 체계가 두 항으로 이루어져 있는 학습자가 한국어 장애 음을 배울 때 어려움을 겪음. 특히 경음. 한국어 화자가, 유성음 대 무성음의 2원 체계를 가진 언어를 배울 때에 도 조심해야 함. 한국어에는 유성 대 무성의 대립이 없어서 /ㅂ, ㄷ, ㄱ/을 공명음 사이에서는 유성음으로, 기타 환경에서는 무성음 으로 발음함. 한국인이 영어나 일본어의 /b, d, g/를 발음할 때, 특히 어두에서 이들을 무성음으로 잘못 발음하기 쉬움.(간섭의 예)

파열음, 마찰음에서의 유성-무성 대립

한국 한자음의 특징 1: 경음이 없음 고유어 중에는 경음을 가진 단어/형태소가 많이 있음. 까다, 깔다, 꿈, 꾸다, 떡, 뜻, 빨다, 뺨, 뼘, 싸다, 쏘다, 쓰다, 쓸다, 짜다 한자음에는 경음이 매우 드묾: 雙쌍, 喫끽, 氏씨 이들도 중세 한국어에서는 경음이 아니었음: 雙, 喫긱, 氏시 15세기의 뛰어난 언어학자였던 신숙주가 이 사실에 주목하였음. 東國正韻 序: 我國語音 其淸濁之辨 與中國無異 而於字音獨無濁聲 豈有此理 고대 중국어에는 淸音(무성음) 대 濁音(유성음)의 대립이 있었음. 한국어에는 이러한 무성 대 유성의 대립은 없지만, 이와 음성적으로 가 장 유사한 것은 평음 대 경음의 대립임. 외국어의 유성음을 경음으로 수용: bus /뻐스/, back, bag /빽/, bat /뺏/ 신라어에 평음 대 경음의 대립이 있었다면, 중국어의 탁음을 경음으로 받아들였을 것 한국 한자음에 경음이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은, 한자를 처음 받아 들였을 무렵의 신라어에는 경음이 존재하지 않았음을 시사

한국 한자음의 특징 2: 격음이 드묾 고유어 중에는 격음을 가진 단어/형태소가 많이 있음. 차다, 춥다, 치다, 칼, 코, 크다, 타다, 탈, 트다, 틀다, 푸르다, 피 한자음에서 ‘ㅊ‘, ‘ㅌ‘, ‘ㅍ’은 많이 있으나 ‘ㅋ‘은 극히 드묾. ‘쾌’(快, 夬, 筷, 儈, 噲)가 유일함. ㅊ: 車, 次, 此; ㅌ: 他, 打, 土; ㅍ: 波, 包 신숙주는 이 사실도 인식하였음. 東國正韻 序: 國語多用溪母 而字音則獨夬之一音而已 고대 중국어의 청음(무성음) 중에는 全淸(무기음)과 次淸(유기음)의 대립 이 있었음. 신라어에도 현대 한국어처럼 무기 대 유기의 대립이 완벽하게 존재했다 면, 당시 중국음의 全淸은 평음으로, 중국음의 次淸은 격음으로 받아들 였을 것

중국음 유기음의 한국 한자음 반영 양상 중국어의 齒音의 次淸은 ‘ㅊ’으로 반영되는 것이 일반적 중국어의 脣音의 次淸은 음절구조에 따라 ‘ㅂ’과 ‘ㅍ’의 분포가 결정됨 (음 절 편향) ‘반/판’, ‘발/팔’, ‘변/편’, ‘병/평’, ‘보/포’, ‘비/피’의 경우에는 兩者가 다 나타나나 ‘박’,‘번’,‘벌’,‘범’,‘벽’,‘별’,‘본’,‘봉’,‘분’,‘불’,‘븍’,‘빙’ 등은 평음만 있고 ‘패’,‘폄’,‘폐’,‘표’,‘풍’,‘픔’,‘필’,‘핍’ 등은 격음만 있음. 중국어의 牙音의 次淸은 거의 ‘ㄱ’으로 반영됨. (夬 등 소수의 예외 있음) 중국어의 次淸이 한국 한자음에 받아들여지는 양상이 불규칙적이라는 사 실을 근거로 하여, 고대 한국어에 유기음 계열이 존재하지 않았다고 주장 하는 학자도 있음: 河野六郞 1968, 朴炳采 1971 이기문의 견해 불규칙적이기는 하나 한국 한자음에 유기음 계열이 존재한다는 사실 자체가 중요 한자를 받아들일 시기에 불완전하게나마 유기음이 형성되어 있었음을 시사

신라어의 유기음의 片鱗과 그 후의 발달 居柒夫 或云荒宗 (三國史記 권44) 중세어의 ‘거츨-’(荒)이 신라어에도 있었음을 시사. 厭髑 或作異次 或云異處 方音之別也 譯云厭也 (三國遺事 권3) 중세어의 ‘잋-’(疲, 困)이 신라어에도 있었음을 시사. 의미는 본래 ‘厭’이었던 듯 신라어에 유기음이 있었다 해도, 모든 조음위치에서(즉 /ㅍ ㅌ ㅊ ㅋ/이) 한꺼번에 발생한 것이 아니라, 발생/정착 시기에 차이가 있었을 듯. 한국 한자음에의 반영 양상은 중국음 次淸 중에서 /ㅊ/이 가장 안정적 그 다음이 /ㅌ/ /ㅍ/은 일부 음절구조에서 먼저 발생하고 일부 음절구조에서는 나중에 발생 /ㅋ/은 가장 나중에 발생. 한국/신라 한자음의 형성 초기에는 없었음. 한국어가 알타이어족에 속한다면, 알타이조어의 유성-무성 대립이 한 국어에서 무기-유기 대립으로 변화했음을 상정해야 함. 이 과정에서 유기음들이 순차적으로 정착했다고 생각할 수 있음.

유성 마찰음 중세 한국어에는 유성 마찰음들이 존재함: ㅿ[z], ㅸ[β], ㅇ[ɤ] 이들 유성 마찰음이 신라어에 이미 존재했는지는 자료의 결핍으로 인 해 확실히 알기 어려움. ‘ㅿ’과 ‘ㅸ’이 고대 한국어에는 없다가 나중에 ‘ㅅ’과 ‘ㅂ’으로부터 유성 음화에 의해 생겨났다는 생각이 학자들 사이에 널리 퍼져 있음. 그러나 ‘ㅿ’과 ‘ㅸ’ 중에는 ‘ㅅ’과 ‘ㅂ’에서 왔다고 생각되는 것도 있고 그 렇게 볼 수 없는 것도 있음. /ㄹ, y/ 뒤의 /ㅅ ㅂ/은 /ㅿ ㅸ/으로 바뀔 수 있음. 단순히 모음과 모음 사이의 /ㅅ ㅂ/은 /ㅿ ㅸ/으로 바뀌지 않은 듯. 후자는 고대 한국어에서부터 이미 유성 마찰음 ‘ㅿ’, ‘ㅸ’으로 존재했다 고 보아야 할 듯.  秋察(祭亡妹歌), 秋察尸(怨歌) : ‘秋’는 훈독자. ‘察‘은 末音添記

음절말 자음의 발음 방식 한국어는 음절말 자음(종성)을 외파시키지 않고 불파시키는 강한 경향이 있음. 프랑스어는 음절말 자음을 외파시키는 경향이 강함: pomme, Canne 영어는 중간적임. 비음의 경우 불파시키는 경향: him, can, ring 장애음의 경우 약간 외파시킴. 그래서 ‘tap’과 ‘tab’, ‘rip’과 ‘rib’ 등이 구별될 수 있음. 일본어의 음절은 주로 개음절 음절말 자음이 아예 없거나 극히 제한됨. 영어의 ‘ng’를 음절말 자음이 아니라 별도의 음절로 발음: king キング 한국어 음절말 자음은 심한 불파화 경향으로 인해 발음될 수 있는 자음의 종류 가 극히 제한됨. /ㄱ, ㄴ, ㄷ, ㄹ, ㅁ, ㅂ, ㅇ/의 7개뿐임. 마찰음(ㅅ, ㅆ)이나 파찰음(ㅈ, ㅊ, ㅉ)이 발음될 수 없음. 음절말에서 자음을 발음할 때 완전히 막아서 닫아 버리기 때문. 격음과 경음도 발음될 수 없음. 격음과 경음은 닫았던 부분을 파열시켜서 열 때 어떤 특징이 첨가되는 소리인데, 음절말에 서는 닫았던 부분을 열지 않기 때문

음절말 자음 체계 중세어 문헌 자료에서 종성의 ‘ㄷ‘과 ‘ㅅ‘이 엄격하게 구분되는 것을 보면, 15세기에는 종성에서 8개의 자음이 발음될 수 있었던 듯. 고대→중세→근세로 오면서 음절말 자음의 불파화 경향이 강해짐에 따 라 음절말에서 발음될 수 있는 자음의 가짓수가 줄어들었음. 15세기 이전으로 올라가면 음절말 자음의 불파화 경향이 덜했고 음절말 에서 발음될 수 있는 자음의 가짓수도 더 많았을 듯. ‘ㅅ’과 ‘ㅈ‘은 구분되었던 듯. 차자표기에서 ‘ㅅ’은 ‘叱‘로, ‘ㅈ’은 ‘次‘로 구분되어 표기됨. 것거 折叱可(獻花歌), 城叱 잣(彗星歌); 닛금 尼叱今, 尼斯今, 尼師今 다봊 蓬次(慕竹旨郞歌), 갖(>가지) 枝次(讚耆婆郞歌) ‘ㅈ’과 ‘ㅊ’은 표기상 구분되지 않은 듯하나(異次, 蓬次), 이는 표기가 거칠 어서 그런 것일 수도 있음. 후대의 ‘ㄹ’이 음절말에서 ‘尸‘와 ‘乙‘로 구별 표기됨. /r/과 /l/이었던 듯. ‘쇼ㅎ’(俗), ‘ㅎ’(褥), ‘뎌ㅎ’(笛), ‘자ㅎ’(尺) 등의 중국어 차용어는 중국어의 말음 *k가 *ɤ 또는 *h로 반영된 것인 듯. ㅂ ㅁ; ㄷ ㄴ ㅅ (ㅿ); ㄹ1(l) ㄹ2(r); ㅈ (ㅊ); ㄱ ㆁ; (ㅎ)

모음 체계 신라어의 모음 체계를 직접 재구하기는 매우 어려움. 15세기의 모음 체계로부터 고려 시대의 모음 체계를 재구하고, 다시 이로부터 신라어의 모음 체계를 재구/추정할 수 있을 뿐 이기문 교수의 추정은 위 그림과 같음: 비판의 여지 많음 15세기 모음 체계에 대한 추정은 학자들 사이에 대체로 일치함. 14세기 모음추이 가설을 상정함으로써, 그 이전 시기는 매우 달랐다고 봄. 알타이 공통조어의 전설 대 후설 대립이 고대 한국어에도 있었다고 봄. 인위적으로 대칭적인 체계

모음조화 향가의 조사 표기에서 모음조화의 존재가 암시됨. 화제·대조의 보조사: 隱-양성·음성에 모두 사용, 焉-양성에만 사용 두은二肹隱, 너는汝隱; 나吾隱 손手焉, 나吾焉 속격조사: 矣-양성·음성에 모두 사용, 衣-양성에만 사용 心音矣; 저의自矣 양성-음성 양쪽에 두루 쓰이는 借字도 있고, 어느 한 쪽에만 쓰이는 借字도 있었던 듯 전자가 차자표기법에서 일반적인 양상임. 어떤 借字가 한국어의 X라는 음절을 나타낼 수 있다면, X와 모음조화의 짝이 되는 음절도 나타낼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