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중등미술교육연구회 영광실업고등학교 교사 이 세 중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 딱과와 함께 하는 신나는 과학실험 ” - 표면장력으로 가는 배 - 표면장력으로 가는 배 표면장력은 배에 어떤 영향을 줄까 ?
Advertisements

물방울 속으로 Into the waterdrop 신림고등학교 화학교사 서인호. 탐구 내용 개요 1. 물방울의 모양 2. 빅뱅처럼 3. 뗏목의 이동.
그린에너지설비과 용접의 기초 및 방법 한국폴리텍 1 대학 서울정수 캠퍼스. 그린에너지설비과.
1. 도형의 연결 상태 2. 꼭지점과 변으로 이루어진 도형 Ⅷ. 도형의 관찰 도형의 연결상태 연결상태가 같은 도형 단일폐곡선의 성질 연결상태가 같은 입체도형 뫼비우스의 띠.
3M 8802-TLC/3 현장조립광커넥터 한국쓰리엠. SC 하우징 커넥터 몸체 부트 접속버튼.
 수학  2 학년 - 가  1. 세 자리 수 (04/09) 수업계획수업활동 뛰어서 세어 봅시다.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MS 오피스 엑셀 워드 아웃록 엑시스 파워 포인트.
풍경 그리기 중등미술교육 충주성심학교 황경섭.
야구 글러브에 대한 것 5학년 4반 6번 백경렬.
의자 만들기 전남중등미술교육연구회 곡성고등학교 진 미 경.
재미있는 요리 활동 바다반 친구들 모두모두 즐겁게 요리해요! 언양초 바다반 교사 백주영.
투명 비누 만들기.
도구 사용 안전 여러 가지 도구는 우리 생활을 편리하게 해줍니다. 그러나 주의하지 않으면 다칠 수 도 있어요. 도구를 사용할
각뿔의 전개도 알기 수학 6 – 가 2. 각기둥과 각뿔 > (7/9)
개인용 전자오락실 설계.
팀원 : 권유정, 박진영, 박채은 조교교사 : 김지섭
교수학습과정안 우리 돼지고기 ‘한돈’ 알아보기 영양교육 이시원.
주의할 점!!!! 1. 문자 쓸 때 문자 틀 글자 크기에 맞추기 2. 색 보정할 때 Colorize 체크하고 /
학습 주제 p 역학적 에너지는 보존될까?(1).
피타고라스 정리 Esc.
WIN95,98 보조프로그램 ‘그림판’을 이용한 포장지디자인.
소 눈의 구조를 밝혀라!.
기술 혁신과 설계.
내 손으로 만드는 즐거움 -압화를 한지에 나타내기- 미술 2학년 1학기
소 묘(Dessin) 소 묘 의 이해 크 로 키 스 케 치 석 고 데 생 정 밀 묘 사 작 품 감 상.
도형의 기초 3. 기본작도 삼각형의 작도 수직이등분선의 작도 각의 이등분선의 작도.
체크포스 설치 안내서 ㈜ 체크빌.
포스트잇으로 노란 나비 만들기.
등각투상법과 사투상법 기술 ·가정 1학년 2학기 Ⅳ. 제도의 기초>1. 물체를 나타내는 방법>9/13 [제작의도]
중화반응 구현고등학교 지도교사 :이병진.
정다면체, 다면체와 정다각형, 다각형의 관계 한림초등 학교 영제 6학년 5반 송명훈.
테셀레이션(쪽매맞춤) -나보라 선생님-.
1. 탐구동기 - 영재 수업에서 테셀레이션을 배운 적이 있는데 테셀레 이션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고 싶고, 나만의 테셀레이 션을 만들어 보고 싶어서 이 주제를 선정하게 되었다. 2. 탐구기간 년 12월 5일 ~ 2013년 1월 1일.
생활 속의 밀도 (1) 뜨고 싶니? 내게 연락해 ! 물질의 뜨고 가라앉음 여러 가지 물질의 밀도.
미 술 6 학년 3. 다양한 표현 (1~2/6) 초기화면 다양한 표현 방법 알아보기.
표지 수학8-나 2학년 2학기  Ⅲ.도형의 닮음 (4) 삼각형의 중점연결정리 (13/21) 삼각형의 중점연결정리.
끓는점을 이용한 물질의 분리 (1) 열 받으면 누가 먼저 나올까? 증류.
초기화면 미 술 5학년 10.판본체 궁체로 쓰기(3/8) 판본체와 궁체의 모양을 비교해 봅시다.
Pop-up book 만들기 전래 동화, 문화재 소개.
Ⅱ. 기계 공업 기술 3. 기계제작 2. 기계제작이란 무엇인가 [ 소 성 가 공 법 ]
표지  수학8-나  2학년 2학기  Ⅲ.도형의 닮음 (1) 닮은 도형의 성질 (4/21) 닮음의 중심.
소리 편집 안 재 형.
삼각형의 무게중심(1) 수학 8나 대한 109쪽 Ⅲ. 도형의 닮음
도자기 공예 전남 보성율어중학교 맹 범 호.
서로의 작품 감상하기 미술 4학년 4. 색의 느낌 (6/6) 학기, 단원, 주제 및 차시를 안내하기 위한 슬라이드이다.
세상에서 가장 가벼운 의자 만들기 6-3 현승규 지도교사: 김윤수.
애니메이션 제작 기법 2D 애니메이션 3D 애니메이션 임희영.
1. 정투상법 정투상법 정투상도 (1) 정투상의 원리
학습 주제 p 끓는점은 물질마다 다를까.
표지 수학8-나 2학년 2학기  Ⅱ.도형의 성질 (4) 삼각형의 내심과 외심 (9/20) 삼각형의 내심.
3.여러 가지 색.
표 현 생활용품 만들기.
원예 대표 브랜드 심폴 야생화, 인터넷 포장 방법 원예 대표 브랜드 심폴
훔쳐보기 없기 게임 구성 게임 준비 게임 방법 게임 목표: 눈가리개 가면을 쓰고 내 손에 있는 것이 무엇인지 맞춰본다.
Ⅳ. 제도의 기초 1. 물체를 나타내는 방법 3) 물체의 표현 방법 (2) 입체도법 지도학급 : 태화중학교 1학년 4반
정삼각형을 정사각형으로 바꾸는 원리 탐구 하귀초등학교 6학년 고지상.
미 술 5 학년 4.이야기 세상 (5-6/6) 초기화면 마술 그림을 그리고 작품 감상하기.
전남중등미술교육연구회 나주반남중학교 맹 범 호
헤드폰 제작 헤드폰 제작 준비물 헤드폰을 제작하는데 필요한 준비물은 사진과 같습니다..
테셀레이션 물메초등학교 5학년 홍민선.
물들여 만들기 강 진 농 업 고 등 학 교 정 미 희.
- 수학 - 5학년 나 단계 - 3. 도형의 합동 > (7) 7. 수준별 학습 수업 계획 수업 활동.
2, 3, 4, 5 가르기와 모으기 수 학 1학년 1학기 4. 가르기와 모으기 (01/05)
부조석고형뜨기 전남중등미술교육연구회 조성중학교 김 순 정.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8장 표면거칠기 1. 표면 거칠기의 종류 - KS의 가공 표면의 거칠기(요철현상)를 지시하는 방법 최대높이 거 칠기(Ry), 10점 평균 거칠기(Rz), 산술(중심선) 평균 거칠기(Ra), 요철의 평균 간격(Sm), 국부 산봉우리의 평균 간격(S), 부하 길이 율(tp)
Ⅱ. 분자의 운동 1. 움직이는 분자.
초기화면 음 악 6 학년 23.쾌지나 칭칭 나네 (1/3) 메기고 받는 소리 익히기.
수학 2 학년 1 학기 문자와 식 > 미지수가 2개인 연립방정식 ( 3 / 4 ) 대입법으로 풀기.
공예염색과정 형지스크린 Craft dyeing course paper stencil printing.
Presentation transcript:

전남중등미술교육연구회 영광실업고등학교 교사 이 세 중 http://lsjart.org/ 점토를 이용한 사각화병 만들기 전남중등미술교육연구회 영광실업고등학교 교사 이 세 중 http://lsjart.org/

학 습 목 표 점토 재료의 특성을 알고 이에 맞은 재료를 선택 제작 할 수 있다 . 학습목표 학습자료 형성평가 학 습 목 표 점토 재료의 특성을 알고 이에 맞은 재료를 선택 제작 할 수 있다 . 2. 학습준비를 성실히 하고 사각형 제작과정을 알고 창의적 작품을 만들 수 있다

1. 준비물 2. 제작과정 1-6 3. 제작과정 7-11 4. 참고작품 1-2 학 습 자 료 학습목표 학습자료 형성평가 학 습 자 료 1. 준비물 2. 제작과정 1-6 3. 제작과정 7-11 4. 참고작품 1-2 학습할 내용을 선택하여 클릭하시오

준 비 물 준비물 (1) (9) (5) (3) (13) (7) (11) (2) (8) (4) (12) (6) (10) 학습목표 학습자료 형성평가 준 비 물 준비물 1. 점토 2. 밀대 3. 사각형 아크릴판 4. 50 센치 자 5. 스펀지 6. 칼 7.도자기용 작업 칼 8. 나무칼 9. 물통 10. 쇠줄 11. 방망이 12. 가위 13. 밑받침용 판자 (1) (9) (5) (3) (13) (7) (11) (2) (8) (4) (12) (6) (10)

제작 과정-1 학습목표 학습자료 형성평가 비닐포장을 볏겨 낸다  점토의 1/3 정도를 절단한다  절단된 점토 모양  나무망치로 두들겨 넓게 편다  반복해서 두들겨 편다  점토를 반대로 뒤집어 바꾼다

제작 과정-2 학습목표 학습자료 형성평가 밀대로 점토판을 고루게 민다  점토판을 바닥에서 뒤집는다 밀대로 점토판을 고루게 민다  점토판을 바닥에서 뒤집는다  반대쪽에서 다시 밀대로 민다  적당한 두께의 면적을 확인한다  자를 이용하여 반듯하게 자른다  왼쪽 판을 칼로 잘라낸다

제작 과정-3 학습목표 학습자료 형성평가 잘라진 여분을 남겨 둔다  아래쪽을 자른다  윗쪽을 자른다  아크릴 모형을 판위에 놓는다  아크릴면에 점토를 밀착 시킨다  세밀하게 아크릴판에 밀착한다

제작 과정-4 학습목표 학습자료 형성평가 나무칼로 표면을 정리한다  판을 잡고 돌려 눕힌다  점토판을 완전하게 밀착한다  밀착한 점토판을 다듬는다  밀착한 표면을 정리한다  2면을 돌려 점토판을 밀착한다

제작 과정-5 학습목표 학습자료 형성평가 면 모서리를 직각으로 다듬는다  면 아래를 정리 정돈한다  도자칼로 표면을 편편히 한다  전체를 세밀하게 다듬는다  나무칼로 밀어 잘라 낸다  아래까지 계속 잘라낸다

제작 과정-6 학습목표 학습자료 형성평가 4면을 정리하고 판위에 올린다  판위에 놓고 모서리를 정리한다  나무칼로 표면을 정리한다  부족한 곳에 점토를 대어 붙인다  손으로 밀어 넣어 붙인다  나무칼로 다듬는다

제작 과정-7 학습목표 학습자료 형성평가 나무칼로 불필요한 점토를 자른다  끝까지 잘라낸다  3면을 돌려 눕히고 다듬는다  모서리에 점토를 붙인다  손으로 눌러 붙인다  나무칼로 긁어 다듬는다

제작 과정-8 학습목표 학습자료 형성평가 다음면 모서리에 점토를 붙인다  두께를 일정하게 다듬는다  바닥면을 정리한다  칼로 수평으로 잘라낸다  물을 적셔 표면에 바른다  거치 자국을 내어 준다

제작 과정-9 학습목표 학습자료 형성평가 밑바닥을 자국을 낸 모양  여분의 바닥을 얇게 만든다  붙일 면에 거치 자국을 깊게 낸다  몸체를 들어서 바닥면에 놓는다  접착이 되게 약간 눌러준다  불필요한 여백 점토를 잘라낸다

제작 과정-10 학습목표 학습자료 형성평가 점토를 들어낸다  삐져나온 점토를 눌러 접합한다  나무칼로 다듬어 정리한다  면을 돌려서 반복 작업을 한다  세밀하게 표면을 살핀다 정리된 후 아크릴판을 들어 낸다

제작 과정-11 학습목표 학습자료 형성평가 조심스럽게 들어낸다  안쪽에 붙어 있는 종이를 떼낸다  안쪽에 붙어 있는 종이를 떼낸다  다시 한번 표면을 정리한다 조심스럽게 옮겨서 건조시킨다 표면에 필요한 장식을 한다 판을 붙이고 뚫고 접합 할 수 있다 화장토로 표면을 장식 할 수 있다 전의 모양을 직선으로 잡는다 다시 건조 시킨다 이동할 때 파손에 조심한다 초벌구이 준비를 한다 800의 온도로 초벌구이 한다 희망하는 유약 을 바른다 가마안에 작품 재임을 한다 1250의 온도로 본벌구이를 한다 완성  완성된 사각형 도자기

학습목표 학습자료 형성평가 참 고 작 품-1 유약을 발라 완성된 사각형 도자기(1) 유약을 발라 완성된 사각형 도자기(2)

학습목표 학습자료 형성평가 참 고 작 품-2 유약을 발라 완성된 사각형 도자기(3) 유약을 발라 완성된 사각형 도자기(4)

형성평가-1 1. 사각형 화병을 제작할 때 아크릴 모형을 원판으로 사용하는 가장 적절한 이유가 아닌 것은? 학습목표 학습자료 형성평가 형성평가-1 1. 사각형 화병을 제작할 때 아크릴 모형을 원판으로 사용하는 가장 적절한 이유가 아닌 것은? 타래로 사각형으로 쌓는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사각 형태의 제작 시간을 절약하기 때문에 타래로 쌓는 방법보다 쉽기 때문에 도자제작은 일정한 방법이 정해진 것이 아니기 때문 이러한 사각형 제작 방법은 좋은 방식이 아니다 (5)

학습목표 학습자료 형성평가 형성평가-2 2. 나무 방망이로 점토를 내리치는 이유로서 적절하지 않는 것은? 점토안의 공기를 제거하는 효과를 기대한다 점토안의 수분의 고른 배분을 유도한다 방망이로 내려치면 점토의 점력을 증진한다 점토는 자주 재사용하는 헌 흙 일수록 좋다 점토는 깨끗하게 사용하는 새로운 흙이 좋다 (5) 3. 사각형 도자 형태 제작 방법으로 잘못 설명한 것은? 각진 모서리는 잘 휘어지지 않는다 사각형은 소성 후에 전 부분이 잘 휘지 않는다 주로 사각형은 안쪽으로 배가 휜다 제작할 때 날카로운 각 부분을 원만히 다듬는다 점토 두께는 7미리 정도가 가장 이상적이다 (2)

학습목표 학습자료 형성평가 끝 전남중등미술교육연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