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6장 환경 속의 방사선과 핵폐기물질의 처분 문제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Energy Demand and Supply Outlook 2040 APERC. Business as Usual Scenario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총 에너지 수요는 2040 년까지 50% 증가할 것으로 예상 에너지 수요의 증가는 수송부문의 수요 증가에 기인. 수송용.
Advertisements

I. 우주의 기원과 진화 4. 별과 은하의 세계 4. 분자를 만드는 공유결합. 0 수소와 헬륨 ?  빅뱅 0 탄소, 질소, 산소, 네온, 마그네슘, … 철 ?  별 별 0 철보다 더 무거운 원소들 …( 예 > 금, 카드뮴, 우라늄 …)?  초신성 폭발 원소들은.
1)RACK 2)UPS 3)P D U 장치 4)Server Group 5)KVM Switch 7)UPS 를 위한 HUB 6) RACK Monitor.
사업 요약서 ㈜티엠바이오 ○ 패건전지 재활용에 대한 관심 증가 ▶ 패건전지를 활용한 다양한 재활용 사업 등장 - 패건전지 활용 벽돌 생산 업체 등 ▶ 패건전지 활용에 대한 관심은 증가하고 있으나, 재활용 기술의 장벽으로 기존 사업의 경우 저수익의 사업 구조를 가짐 ○ ㈜티엠바이오.
73357 이미경. 대지위치 위치 : 여수시 중앙동 446 번 지일대 면적 : 1015 ㎡ 건폐율 : 60% 용적률 : 1300%
방사선과 생활 제주대학교 물리학과 김용주. 원자핵과 방사선 물질 - 분자 원자 - 원자핵 핵의 구조 몇 가지 핵의 구조.
윤예린 박주현 최응환. Ⅰ. 서론 1. 환경오염원 : 인간 2. 세슘 등 방사능 오염 Ⅱ. 본론 1. 원자력의 정의 2. 원자력 발전소의 장단점 3. 방사능 폐기물로 인한 오염 4. 원전 사고로 인한 오염 Ⅲ. 결론.
원자력의학원 국가방사선비상진료센터 하 위 호 방사선 방호 기초와 검출기 사용법
정보전달 김정은, 고예은, 김혜진, 조은주. 후쿠시마원전사고 2011 년 3 월 11 일 일본 도호쿠 지방 앞바다의 대지진과 지진해일 ( 쓰나미 ) 로 인하여 후쿠시마 제 1 원자력발전소에서 발생한 사고. 발전소가 침수되어 전원 및 냉각 시스템이 파손되면서 핵연료 용융과.
원자력시설 제염해체 및 환경복원기술 ▢ 교육기간 ▏ ~ ▢ 교육장소 ▏건국대학교 쿨하우스 교육연수원 본관 204 호.
국내외 물 산업 시장 분석, 사업 추진을 위한 사업성 분석 및 사업 추진전략 연구 2013년 10월 한국R&S 연구소
로컬 푸드에 이어 로컬 에너지 시대로! 중앙집중형 지역자립형 발전소 수명 연장 분산화된 재생가능에너지 발전 의사소통과 통제향상
COMAR사업_3차년도 국가표준물질 수요조사 (화) 김윤배.
방사선 진단기기 박윤수, 심민경.
원자 스펙트럼 1조 서우석 김도현 김종태.
건설폐기물 정의 및 처리방안 고형폐기물 방지공학 6조 : 이회준, 김민영, 이자영 6조 건설폐기물.
가뭄 정의 한 지역에 지속적으로 물의 공급이 부족한 기간
전자기적인 Impedance, 유전율, 유전 손실
Ch.2. 토양(Soil): 여러 권역이 공존 상호 작용하는 곳 (다른 권역 간 계면의 존재)
3-4. 지열 에너지(geothermal energy)
ECO-IOC 200 제품 사용 설명서 친환경 이온성 탈지제 (침적 및 전해탈지용)
종양계 67Ga 검사 123I-MIBG 종양 검사 131I-MIBG 종양 검사 99mTc-MIBI 종양 검사
내분비계 99mTcO4- 갑상선 검사[Thyroid scan] 부갑상선 검사 요오드전신 검사
Fourier Transform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meter
1-3. 지구의 탄생과 진화(2)
1-3. 지구의 탄생과 진화(1)
Ⅱ. 지구의 변동과 역사 1. 지구의 변동 2. 지구의 역사 3. 우리나라의 지질.
Hydrogen Storage Alloys
5-3. 화석 연료의 이용 세계 에너지 소비량
V. 인류의 건강과 과학 기술 Ⅴ-1. 식량자원 3. 식품 안전성.
나노필터(nano filter) 나노바이오화학과 강인용.
학습 주제 p 밀도를 이용한 혼합물의 분리.
Plastic cycle 전자공학과 김수민 전자공학과 윤영관.
슬러지 감량형 Membrane Bioreactor 오수고도처리공정 개발
5-5. 지구 온난화 지구 온난화란? 일반적 의미: 지구가 따뜻해지는 것
태양, 지구의 에너지 창고 교과서 87p~.
반 : 4 번호 : 1 성명 : 권채윤 건설 시공 과정.
고체의 전도성 Electronic Materials Research Lab in Physics,
흉부영상의 촬영조건과 화질평가 신구대학 방사선과3학년 조한상.김영국.문성호.
지구온난화 보고서.
Chapter 18 방사능과 핵에너지.
국가 간 불평등 현상과 해결방안 본 연구물은 학교 수업을 위해 개발된 것으로 교육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1 전기와 전기 회로(03) 전기 회로의 이해 금성출판사.
자원과 환경 제 4장. 태양 에너지
Ⅰ. 소중한 지구 1. 행성으로서의 지구 1-3. 지구계의 순환과 상호작용.
식물의 광합성 식물은 어떻게 영양분을 만들까요? 김 수 기.
위험물 제조소 등의 종류 주식회사 한국소방엔지니어링.
끓는점을 이용한 물질의 분리 (1) 열 받으면 누가 먼저 나올까? 증류.
III. 아름다운 분자 세계 3. 탄소 화합물 … 01. 다양한 탄소 화합물 02. 탄화수소의 다양한 구조
가압경수로 계통.
사방시설 우수사례 제출(서식) 2018 제출 기관명.
수력에너지.
Gland Packing 과 Mechanical Seal의 비교
1-5 용해도.
Ch. 3. 시료 채취 및 처리 2-1. 시료의 종류 및 고려사항 시료의 종류: 고려사항:
광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 - 생각열기 – 지구 온난화 해결의 열쇠가 식물에 있다고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P (2) 지구계의 구성 요소의 특징과 역할.
프로젝트 6. 핵 붕괴 윤석수.
신분류체계 적용에 따른 동굴처분시설 운영방안
지구화학 및 실험 유재영 강원대학교 지질학과.
분별증류 GROUP12 조만기 양나윤 김세인.
컴퓨터공학과 손민정 Computer Graphics Lab 이승용 교수님
시료채취장치, 조립 및 취급.
Energy Band (고체속의 전자구조)에 대해서 쉬운 얘기를 한 후에 Bloch state 로 다시 돌아 가겠습니다.
대기오염 지구온난화 한지우.
8장 표면거칠기 1. 표면 거칠기의 종류 - KS의 가공 표면의 거칠기(요철현상)를 지시하는 방법 최대높이 거 칠기(Ry), 10점 평균 거칠기(Rz), 산술(중심선) 평균 거칠기(Ra), 요철의 평균 간격(Sm), 국부 산봉우리의 평균 간격(S), 부하 길이 율(tp)
회로 전하 “펌핑”; 일, 에너지, 그리고 기전력 1. 기전력(electro-motive force: emf)과 기전력장치
2. 방사성 물질은 어떻게 이용될까? 방사성 물질 원자력 발전.
과학 탐구 토론 대회 3학년 11반 송정아, 이보라, 임미선.
일본 대지진의 영향 및 유망 품목 (주)오리엔탈 시그마 기꾸타 아끼라.
Presentation transcript:

제26장 환경 속의 방사선과 핵폐기물질의 처분 문제 제26장 환경 속의 방사선과 핵폐기물질의 처분 문제 화학공학과 200103143 이지혜 200202711 김정애

목 차 방사선 1. 자연방사선 2. 인공방사선 3. 방사선의 영향 핵폐기물 처분문제 1. 방사성 폐기물의 분류 2. 저장방법 목 차 방사선 1. 자연방사선 2. 인공방사선 3. 방사선의 영향 핵폐기물 처분문제 1. 방사성 폐기물의 분류 2. 저장방법 3. 처분방법 4. 국내,외 핵폐기물 관리현황

방사능이란? 에너지를 갖는 입자의 흐름 또는 파동 무색, 무미, 무취 물질을 구성하고 있는 가장 기본적인 단위 는 원자 원자를 구성하는 양자, 중성자, 전자가 균 형을 이루지 못할 때 방사선을 낼 수 있는 능력(방사능)을 가짐

방사선과 방사능 방사능이 나오는 물질 ->방사성물질 방사성물질에서 나오는 에너지 -> 방사선 방사선의 종류 방사성물질에서 나오는 에너지 -> 방사선 방사선의 종류 -> 알파선, 베타선, 감마선, X선 등

1. 자연방사선 지구상에서 자연적으로 생긴 방사선 우주선 에서 나오는 방사선 등 -> 세상을 구성하는 수많은 물질 중 하나. 지각, 토양, 해양, 건축물, 음식물, 호흡하는 공기, 인체 내에 존재

자연방사선 우주선 : 양성자 건물 내부 : 라돈 자연방사선준위가 높은지역 인체 내 : K-40 지각방사선 : 우라늄, 토륨

각 국별 자연방사선 연 평균 선량

고 자연 배후방사선 지역

2.인공방사선 인위적인 행위에 의해 발생되는 방사선 - 병원에서 검사에 쓰이는 진단방사선 - 치료 쓰이는 치료방사선 - 병원에서 검사에 쓰이는 진단방사선 - 치료 쓰이는 치료방사선 - 공항에서 쓰이는 보안 검색장치 - TV등과 같은 전자제품에서 발생되는 방사선 - 원자력발전소 같은 곳에서 발생되는 방사선

자연방사선과 인공방사선

a) b) 방사선의 종류에 따른 방사선의 양 b) 연간 받는 방사선의 종류별 분포량

3. 방사선의 영향 방사선과 함께 생활해도 문제가 없는 이유? -방사선의 양이 적어서 인체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기 때문 한꺼번에 많은 방사선 받으면 신체적 장애발생 우리가 받는 연간 방사선량 ☞약 2.4mSv -100배 이하를 한꺼번에 받아도 영향 없음 -1000배 이상 받아야 신체적 이상 나타남

방사성 폐기물의 관리

방사성폐기물의 분류

고준위 폐기물 우라늄, 토륨, 세슘, 요오드, 스트론튬, 테크네륨 등의 방사성 동위원소가 속함 주로 핵연료의 재처리 공장에서 나오는 고방사능 폐기물 우라늄, 토륨, 세슘, 요오드, 스트론튬, 테크네륨 등의 방사성 동위원소가 속함 우라늄- 반감기가 71만년 전체 방사능의 95%차지하는 가장 위험도 높은 물질 저준위 폐기물에 비해 양이 훨씬 적다

저준위 폐기물 고준위 방사성폐기물을 제외한 것의 총칭. 작업자가 사용했던 작업복, 휴지, 덧신, 장갑, 폐부품 등이 주류 방사성동위원소를 사용하는 연구기관이나 병원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 시험관, 주사기, 튜브류 등 국내에서 발생되는 방사성폐기물 중 사용후연료를 제외하고는 모두 중·저준위 폐기물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연적으로 방사능이 약해지는 특성. 방사성 폐기물도 장기간 관리하면 방사선이 나오지 않는 상태.

성상에 따른 폐기물처리 고체폐기물 성상에 따른 폐기물처리 고체폐기물 성상에 따른 폐기물처리 고체폐기물 성상에 따른 폐기물처리 고체폐기물 초고압으로 압축하여 철제 드럼속에 넣음

액체폐기물 수분을 증발시켜 부피를 줄인 다음, 시멘트와 함께 굳혀 드럼 속에 넣고 밀봉한 후 저장고에 보관.

기체폐기물 밀폐탱크에 저장한 후 방사능이 기준치이하로 떨어지면 고성능필터를 통해 대기로 내보냄.

입자상 방사성 물질 처리 방사성옥소의 처리

방사선 폐기물의 저장방법 중저준위폐기물의 저장방법 1. 지하 저장 (Subsurface Storage) 목적: 장기간 동안 많은 양의 TRU(초우라늄:transuranic) 폐기물을 저장하기 위해. 문제점: 필요에 따라 폐기물을 회수하기 어려움 많은 비용이 소요 가능조건 : 저장기간이 짧고,일반인 거주지역과 멀리 떨어진 건조한 사막지역 등 적절한 기후조건이 확보된 경우 ※지금까지 국내에서는 방사성폐기물 지하저장법을 적용 한 사례가 없다.

건전성 확보가 어려우므로 지표면 저장법은 적절하지 않다. 2. 지표면 저장 (Area Storage) 다양한 포장물에 대해 고려할 수 있는 방법 일차 포장한 후 강철드럼으로 재포장한 용기, 폐기물 드럼을 포함한 ISO 화물용기, 플라스틱 드럼 등. ※ 주의점 반드시 폐기물 포장물에 대한 주기적인 검사필요 주변에 농작물 재배지역이 없어야 함 저장지역 주변에 접근을 통제하기 위한 울타리 설치 ※ 일반적인 강철 드럼의 경우 기후변화에 따른 포장물의 건전성 확보가 어려우므로 지표면 저장법은 적절하지 않다.

3. 공학적 저장 (Engineered Storage) 아스팔트 기초 위에 단순한 건물 등 구조물을 축조 후 그 안에 방사성폐기물을 저장하는 방법 대부분의 국가 - 대부분 창고 형태의 저장시설 국내 - 공학적 저장설비에 저장 최근 -포장물 취급장치, 차폐기능, 원격 검사설비, 공기조화설비, 유출물 포집설비, 제염설비 등 다양한 공학적 설비가 보강된 저장시설이 건설/ 운영

공학적 저장

방사성폐기물의 처분방법 영구적으로 생태계로부터 격리 처분되어야 함 방사성폐기물의 처분방법   영구적으로 생태계로부터 격리 처분되어야 함 처분방법에 요구되는 격리의 정도는 방사성폐기물의 농도와 종류에 따라 다름 우리나라의 경우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 - 천층처분시설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 심층처분시설

중·저준위 방사성폐기물의 처리 천층처분 방식 1) 표층처분 2) 동굴처분 -지표면 가까이에 폐기물을 처분 (약 30m 깊이까지) -지표면에 공학적 방벽으로 설치 -폐쇄 후 : 수 미터 이상의 천연 및 공학적 덮개에 의해 인간 생활권으로부터 격리 -실시 국가 -영국, 미국, 구소련, 프랑스, 스페인, 일본 등

2) 동굴처분 -지하에 폐기물을 처분 , 동굴의 형태로 설치 -폐쇄 시: 진입 통로를 메움으로써 인간 생활권으로 부터 격리되는 방식 -단 점 : 천층 처분에 비해 초기 비용이 많이 소요, -잠 점 : 자연 및 인위적 사고로부터 폐기물의 격 리 및 방호 효과가 우수. -시행국가 : 독일, 스웨덴, 핀란드.

고준위 방사성폐기물의 처리 심층방식 지하 500 ∼ 1,000미터의 암반에 처분시설 설치 심층방식 지하 500 ∼ 1,000미터의 암반에 처분시설 설치 현재 미국, 프랑스 등을 중심으로 지하시험시설을 만들어 기술개발 중.

사용후연료 원자력발전의 연료로 사용되고 난 후 원전연료 물질 관리방안 : 재활용과 영구처분 재활용 : 사용후연료에 남아 있는 유용한 물질 분리하여 추출 (고준위수거물 방출유발) 영구처분 : 일정기간 저장 후 지하 깊은 곳의 암반층에 가두는 것 국내 - 재활용은 경제성 및 핵확산 문제로 시설과 기술확보가 현실적으로 어려움

중간저장 •사용 후 연료의 저장방식 발전소부지 외에 어느 한곳에 모아서 저장하는 방안 대부분의 국가들은 중간저장방안을 채택 우리나라의 경우도 중간저장이 기본정책 •사용 후 연료의 저장방식 습식 : 열과 방사선을 주로 물을 이용하여 관리 건식 : 공기와 콘크리트 등의 차폐체로 관리

국내 방사성폐기물 관리현황 폐기물은 각 원전 부지내의 저장고에서 안전하게 관리 국내 방사성폐기물 관리현황   폐기물은 각 원전 부지내의 저장고에서 안전하게 관리 국내 원자력발전소 1기당 연간 중저준위폐기물 발생량은 1992년도에 약500드럼 감용노력에 따라 2000년도 기준으로 호기당 중•저준위 폐기물 연간 약140드럼으로 감소

원전별 방사성수거물 누계 발생량 및 포화 예상시기 (2003년 6월말 기준) 원전별 방사성수거물 누계 발생량 및 포화 예상시기 (2003년 6월말 기준)

원전별 방사성수거물 누계 발생량 및 포화 예상시기 (2003년 6월말 기준) 원전별 방사성수거물 누계 발생량 및 포화 예상시기 (2003년 6월말 기준)

해외 방사성폐기물 관리현황 1.미국 3곳의 중·저준위 폐기물 처분시설을 운영 - 천층처분 방식 -1965년 - 사우스 캐롤라이나주의 반웰(Barnwell) 처분시설 -1971년 – 워싱턴주 리치랜드(Richland) 처분시설 지표토양을 길이 100m, 폭 40m, 깊이 10m 정도로 파서 폐기물을 채 운 후 토양으로 매립하는 방식을 택하고 있음 -1980년- 유타주의 Salt Lake City 근처에 위치한 EviroCare 처분장 사용후연료와 고준위폐기물을 국가에서 통합관리하기위해 1982년에 방사성폐기물관리법을 제정 고준위 및 사용후연료의 처분을 위해 1987년 네바다주의 Yucca Mt.을 후보부지로 선정, 연구와 처분장 건설 2010년부터 약 300미터 깊이의 심층처분시설을 상용 운영할 예정

해외 방사성폐기물 관리현황 2. 프랑스 중·저준위 폐기물 처분시설을 운영 천층처분 방식 채택 -지표를 평탄하게 절토한 후 콘크리트 구조 물을 만들고 그 안에 폐기물을 처분하여 콘 크리트 등으로 채우는 처분방식 로브(L'Aube) 처분시설 -파리 동남쪽 150㎞ 지점에 위치 1992년부터 운영 라망쉬 처분시설 1969년 - 운영 개시된 프랑스의 첫 번째 처분시설 1994년 - 용량포화로 폐쇄

해외 방사성폐기물 관리현황 3. 일본 중·저준위 폐기물 처분시설을 운영 천층처분 방식- 지표를 10여m 판 후 콘크리트 구조물을 만들고 그 안에 폐기물을 처분하여 모르타르 등으로 채우는 처분방식 로카쇼무라 처분시설 – 1992년 부터 운영

해외 방사성폐기물 관리현황 4. 스웨덴 동굴처분 방식 - 해안에서 1㎞ 떨어진 지점의 해 저 50m에 동굴 뚫어 건설 중·저준위 폐기물 처분시설 동굴처분 방식 - 해안에서 1㎞ 떨어진 지점의 해 저 50m에 동굴 뚫어 건설 스톡홀름에서 북쪽으로 160㎞ 지점에 위치한 포스마크 원전 인근에 처분시설을 만들어 1988 년부터 운영

해외 방사성폐기물 관리현황 5. 독일 중·저준위 폐기물 처분시설을 운영 동굴처분 방식 - 암염 폐광을 이용 구 동독지역에 위치한 몰스레벤(Morsleben) 처분시설 (1981년부터 운영.)

연습문제 1.방사성 폐기물의 관리방법을 4단계로 나타내어 보시오 (발생-저장-운반-처분) 1.방사성 폐기물의 관리방법을 4단계로 나타내어 보시오 (발생-저장-운반-처분) 2.중, 저준위 방사성 폐기물의 처리방법인 천층처분의 두 가지 방식은? (동굴처분, 표층처분) 3. 아스팔트 위에 구조물 축조 후 그 안에 방사성 폐기물 저장하는 방식은?(공학적 저장) 4.국제원자력 기구의 약어는? ( IAEA –International Atomic Energy Agen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