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자생물학 데이터베이스 - 역사적인 배경 - 2006년 3월 28일 정용진.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세상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 FRACTAL 경영학과 강다 원. 목차  프랙탈의 개념  프랙탈의 유래  프랙탈의 특징  프랙탈 동영상  프랙탈의 예  인간이 만든 프랙탈  프랙탈의 응용  프랙탈의 의의.
Advertisements

New Platform Training CSA Illumina 이용 매뉴얼. Social sciences and Education Collection 사회학, 사회복지, 교육, 국제정치, 범죄 등 사회과학 전반에 관한 저널 및 정부문서, 논문, 단행본 등 다양한 연구자료에.
휴먼게놈프로젝트와 컴퓨터 Human genome project and Computer science
진지한씨와 유령선생 언론영상학과 장미선.
9장. 파일시스템 A 김연주.
㈜맥스무비 영화관 발권 전산망 시스템.
MO/MT를 활용한 Call Center 제안
한국에서 개회되는 국제스포츠행사의 안전대책
Award winning Business database
컴퓨터공학과 김소원.
<민족사 되찾기 운동본부를 다녀와서>
바다 목장의 설계.
BW & CDRS 활용 사례 BW & CDRS 활용 사례 강남 세브란스병원 의료정보팀 김홍재 파트장.
2. 분자생물학 데이터베이스 2.1 역사적인 배경 분자유전체학과 이영애.
게놈 (지놈)이란? 게놈(genome)은 유전자(gene)와 염색체(chromosome)
VectorNTI 사용법 교육 Insilicogen, Inc. Consulting Team 이 기 용.
인공지능시스템 (Artificial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GHS 분류·표시 세부지침 웹 프로그램 활용 및 산업안전보건연구원 이종한 (Ph.D)
분자생물학실험 SUBJECT Electrophoresis 결과 확인, Sequence blast
Importing GEO data into MIAME format-based information System
1장-2장.
.
2장 운영 체제의 개요 운영체제의 개념 운영체제의 유형 운영체제의 발전 과정 운영체제의 구성 운영체제 서비스 시스템 구조
선진사 Benchmarking 결과보고 통합 ERP 구축 전담반.
소프트웨어시스템 실험 Software Systems Lab. 데이터베이스 기초
비특허문허 검색 Know-How 생명공학 분야 - 신 원 혜 생명공학심사과.
정보기술을 이용한 단백질 서열 분석 (IT-based Protein Sequence Analysis)
장애인고용지원 콜센터 운영 제안서
바이오칩의 현황과 미래 생명공학지원과 신희정.
작업장에서 불의의사고로 절단사고가 발생했다면
건설관리학 강의슬라이드 15장. 건설정보관리.
(Material Safety Data Sheet)
인터넷.
Ⅲ-3. 생명의 연속성 5. 유전적 다양성과 현대의 진화
- 사이트 이용법 안내 (Flash 화면), 한글어 자막 제공
제 6장. 유전체 지도 작성과 지도 데이터베이스.
이 랜 드 BSC와 HR scorecard.
바이오 보건산업 활성화를 위한 조직은행 추진방안
서울대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 서울의대 보라매병원 흉부외과
아이스랜드 경우:deCODE社의 전략 Iceland 아이슬란드 정부 & deCODE Genetics사
진핵생물과 원핵생물의 차이 박진우.
Bioinformatics and Biomedical Imagining 연구회
보완대체의료와 간호 환경과 건강.
Quantum Cryptography 양자 암호 통신 자람 32기 안채령.
지능형 생물정보처리 시스템 제1회 수퍼지능칩 및 응용기술 워크샵 장 병 탁 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부
제 4 장 데이터베이스에 유전자 서열 투고하기.
돌연변이 생물교재론 양현주.
분자생물학 데이터베이스의 새로운 세대 정희준
교육방법 및 평가방법 안내.
3D 프린팅 프로그래밍 04 – 도형 회전 (하트 열쇠고리 만들기) 강사: 김영준 목원대학교 겸임교수.
고급 정보 검색 1. 개 요.
2013년도 상반기 고객만족도 조사 결과 보고서
2013년도 하반기 고객만족도 조사 결과 보고서
(생각열기) 횡파와 종파를 구분하는 기준은 무엇인가?? 답 : 진동하는 방법의 차이
5. 구조 데이터베이스 구조모델: 아름답고 신기.
천연물 농·산업 빅데이터 기반 바이오 클라우드 구축: 1차 기획안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강릉분원 천연물 연구소
학술정보활용교육 도서관 홈페이지를 이용한 문헌검색법
원시 지구에서 단백질과 핵산은 어떻게 만들어졌는가?
▶서류관리 프로그램 1. 로그인….2 2. 서류등록 … 서류도착 서류스티커발행
유예 X-FILE *조사자* 1301권희원 1315이예지 1317장아정 1322홍자현.
E-HR 설계 기본(안) for x x x HR 팀.
4.2 생화학 네트워크의 원리 정 희 준.
창조론과 진화론 사상독서스쿨 아가피아 스쿨 5반.
2장.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등장 배경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정의
주제 : 원핵에서 진핵으로, 단세포에서 다세포로
부산항도선정보시스템(IPIS) 선박대리점 사용 매뉴얼
엑셀 Add-In 응용프로그램 개발 소개
DNA로 기록된 생물정보와 정보의 활용 중심원리, 생명공학, 농업혁명.
11월 고등부 공과설교 업드림? 업드림! 갈라디아서 6:9-10.
Presentation transcript:

분자생물학 데이터베이스 - 역사적인 배경 - 2006년 3월 28일 정용진

분자생물학 데이터베이스의 발전 데이터베이스 종류 데이터 내용 예 문헌 데이터베이스 서지학적 인용 온라인 간행물 Medline(1971) 사실정보 데이터베이스 핵산서열 아미노산 서열 3차원분자구조 GenBank(82),EMBL(82) PIR(1968),PRF(1979), SWISS-PROT(1986) PDB(1971), CSD(1965) 지식기반 모티프 라이브러리 분자분류 생화학 경로 PROSITE(1988) SCOP(1994) KEGG(1995)

도서목록 데이타베이스 초록, 저자, 제목, 출판자, 색인단어, 분류기호  2차 출판 목적 - 정보의 검색 - 사람들이 읽고 이해하기 위한 것

도서목록 데이터베이스 CA(Chemical Abstracts) - Chemical Abstracts Service (1907) - 화학적 문헌 BA(Biological Abstracts) - BIOSIS (1926) - 생물학적, 의학적 문헌 MEDLINE - NIH (1971) -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NCBI) (1988)

MEDLINE by NCBI 사실정보 데이터베이스와 연결 - DNA, 단백질 서열, 3차원 분자구조 온라인으로 전문을 제공하는 출판사와 연결 무료사용 가능 (인터넷)

사실정보 데이타베이스 출판된 논문들에 관련된 실험데이터 집합 컴퓨터를 이용한 분석을 위해 사용 종류 - 아미노산 서열 데이터베이스 - 3차원 구조 데이터베이스 - 핵산 서열 데이터베이스

아미노산 서열 데이타베이스 국립 생명의학 연구재단(NBRF) - Margaret Dayhoff - NBRF protein sequence database PIR (Protein Information Resource) - 1984 by NIH PRF (Protein Research Foundation) - 1979 by Japan SWISS-PROT - 1984 by 제네바대학

3차원 구조 데이터베이스 PDB (Protein Data Bank) - 실험적으로 정해진 생물학적 거대분자 들의 3차원 구조 보관 - Protein, RNA, DNA 등의 구조데이터 - 1971 by BNL  RCSB (1999) CSD (Cambridge Structural Database) - 유기화합물, 금속유기화합물 3차원 구조 - 1965 by CCDC

핵산 서열 데이터베이스 GenBank - 1982 by Los Alamos  NCBI (1992) EMBL Database - 1982 by EMBL DDBJ (DNA Data Bank of Japan) - 1984  International Nucleotide Sequence Database Collaboration

Flat File형식 Flat file system “파일들 사이의 관계를 지배하는 계층적 질서가 없는 파일 유지 관리 체계. 보조 기억 장치인 디스크 내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은 모두 각각 다른 이름을 가져야 한다. 각각 다른 디렉터리에 존재하더라도 2개의 파일이 같은 이름을 가질 수 없다. 매킨토시운영 체계의 초기 버전이었던 매킨토시 파일 시스템(MFS)과 마이크로소프트 디스크 운영 체계(MS-DOS)의 버전 1.X 등에서 단층 파일 체계가 채용되었다. 계층적 파일 시스템(HFS)과 대칭된다.” GenBank & SWISS-PROT <그림2-2> 1) 명명법&서지학적 정보 2) Features table 3) 일차 서열 데이타

유전체 데이타베이스 생물종에 대해 특이적이며 주어진 생물종에 대한 유전적 지도, 물리적 지도, 핵산 서열, 그리고 아미노산 서열과 같은 데이터 포함 생물학적 조직  유전체 구조, 기능 표현 <표2-4> 기능 유전체학(functional genomics) DNA chip, protein chip과 접목

지식기반(Knowledge Base) 사실정보 데이터베이스 내용의 표준화의 어려움에서 시작 단순한 검색보다는 추론을 목적으로 함 : 저장된 지식으로부터 새로운 지식 생성 PROSITE (1988) SCOP (1994) KEGG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