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의 장 이론 문화관광론
목차 구조주의와 체계개념 문화이론과 생략효과 문화사회학과 장 개념 아비튀스, 실천, 그리고 문화의 장 세력장의 개념 I. 구조주의와 체계개념 II. 문화이론과 생략효과 III. 문화사회학과 장 개념 IV. 아비튀스, 실천, 그리고 문화의 장 V. 세력장의 개념 VI. 장 이론의 한계
I. 구조주의와 체계개념 1. 구조주의: 역동적으로 통합된 전체 2. 티냐노프의 접근 문제점 3. 그람시의 헤게모니론 -상이한 요인들이 역동적으로 서로 관계를 맺으며 구성적 기능을 수행하는 복합적 전체(Tynyanov): 문학의 진화 투쟁과 계승 2. 티냐노프의 접근 문제점 -티냐노프: 인접체계를 객관적인 문화적 전체로서가 아니라 오히려 ‘텍스트’와 ‘상호 텍스트적인 것’으로서의 전체 체계로 이론화 *문학체계의 발생과 구조에 사회세력들이 미치는 영향이 불문명 3. 그람시의 헤게모니론 -문화를 ‘텍스트’로 환원하지 않고, 문화변형을 집합적 행위자 및 서로 다른 계급과 사회집단 간의 관계와 관련하여 이해 4. 부르디외의 field 이론 -문화에 대한 역사적-사회학적 이론 내에서 티냐노프의 모델에 내재하는 특이성, 자율성, 맥락주의라는 원리를 통합함으로서 그 원리를 재발견 하고자 하는 진지한 시도
II. 문화이론과 생략효과 1. 생략효과(short circuit effect) -객관적인 것과 주관적인 것 사이에는 무시되거나 문화적 창조물과 사회적 맥락의 구체적 특징(문화생산자, 사회집단, 사회적 위치) 사이에 직접적이고 즉각적인 연계가 설정될 경우에 그 역할이 최소화되었던 복잡한 세력들의 구조가 자리하게 되는 것 2. 실례: 앙탈-집단의 이데올로기가 예술작품으로 전치된다고 가정 3. 부르디외의 시각 -’생략효과’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양성과 차이, 생산된 소비 내의 위계구조, 문화적 자원과 지위를 둘러싼 갈등과 투쟁을 설명하는 한 층 더 복잡하고 역사적으로 구체적인 사회-문화적 맥락개념을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III. 문화사회학의 장 개념 1. 부르디외의 사회적 맥락의 정의: 분화된 다차원적 공간 1) 경제적 자본(물질적 기술, 부) 2) 문화적 자본(지식, 지적 기술) 3) 상징적 자본(축적된 위세와 명예감) -교육, 국가, 교회, 정당, 예술은 부르디외의 용어로 장이며, 그 특정한 내적 논리에 의해 특징지워지는 자율적인 ‘영역’임 -차이를 통해 역동적으로 구조화되고, 그 차이가 생산의 장에 내재하는 갈등을 통해 발전하는 서로 다른 적대적 속성들의 쳬계를 구성 2. 부르디외의 시각 -자본은 장, 즉 물질화된 혹은 체화된 생산 또는 재생산의 도구들에 권력을 부여한다 -장을 그것이 갖는 변혁적 속성, 즉 상이한 행위자들이 정당성 투쟁 속에서 사용하는 전략들과 관련하여 이론화: *지배적 위치의 장: 방어적, 보수적인 보존전략 채택 *신참자: 장의 정당성을 용인하면서 지배규칙 ‘전복전략’ 채택
IV. 아비튀스, 실천 그리고 문화의 장 Habitus: socialized subjectivity 2. 행위자의 장 독점 -의미: (습관이 아니라) ‘지속하는 성향’ ㄸ 속성의 체계 second nature; embodied history 내면화 연속감 -기능: 행위자가 사회체계를 이해하고, 해석하고, 행동하게 함 -형성: 어린 시절에 주입되고, 사회적 맥락에 의해 구조화되어, 생성적이면서도 변화가능한 성향 -성찰적 행위자: 창조적이고 상상력이 풍부한 행위자는 장 내에서 자신들의 사회적 위치를 유지하고, 진전시키는 데 지식과 기술을 사용하여 자신에게 주어진 많은 가능성을 펼침 2. 행위자의 장 독점 -개인이 경쟁을 줄이고 장 자체에 대한 독점권을 확립할 수 있는 것은 1) 장들이 실천의 논리를 공유하고 있기 때문이나 그 보다는 2) 그 장들이 축적한 자본 때문이다
V. 세력장의 개념 1. 부르디외의 장 -장은 사회-역사적 맥락의 내적 논리와 외적 논리 둘 다를 통해 구축된 social microcosm -개념: 경제적, 문화적, 상징적 자본의 분배와 관련하여 정의된 상이한 위치들간의 객관적 관계들의 네트워크 -변화: 장은 권력의 문제 즉 각자의 문화적 정당성을 획득하기 위해 독자적인 목표와 전략을 추구하는 계급 및 계급분파들의 사회적 투쟁을 축으로 하여 구축됨 -장: 투쟁의 장, 즉 기존의 세력균형을 변화시키거나 유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세력장’ -대립의 유형: 예술 ㄷ 돈, 순수한 예술 ㄷ 상업적 예술, 지배집단 ㄷ 도전자 -특징: ‘열린 활동공간’이며 ‘유동적인 경계’를 특징으로 함
VI. 장 이론의 한계 1. 부르디외 장과 아비튀스 개념 -객관적 차원과 주관적 차원을 함께 엮어내며, 구조의 역사적 발생에 대한 관심 즉, 사회적 행위와 실천의 집합적 토대에 대한 관심을 실천 그 자체의 개방적 성격과 결합시킴 2. 장 이론에 대한 비판 1) 계급 아비튀스라는 개념과 Mannheim의 집합적 주체간의 차이는 무엇인가? *만하임: 독자적인 사회집단들-부르주아, 프롤레타리아, 귀족-은 개인 또는 시대에 대한 총체적인 포괄적 관점을 구성하는 독특한 ‘사유양식(세계관)’을 발전시킴 2) 성찰적 프로젝트라기보다는 구조결정론의 하나인가? *장 개념과 아비튀스 개념이 갖는 명백히 결정론적 성격을 지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