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PI 이론 및 실무교육.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한국지엠㈜ 김양수 기본에 충실하자 연무대 공업고등학교 첫 만남 25 대한민국 48,508,972,238 / 49 북한 22,665,345 ♡ 70 억 명 : 1 ♡ 첫 인상 ♡ 처 음 ↔ 끝 ◆ 첫인상의 좋은점 나쁜점은 처음 30~40 초에 결정.
Advertisements

목 차 Ⅰ 제도 도입 배경 및 개요 내일채움공제 사업 안내 내일채움공제 연계 지원 사업 Ⅲ Ⅱ.
5 학년 6 반 김진석.  애니메이션은 라틴어의 아니마 에서 온 것이다. 아니마 는 생명 영혼 정신을 가르키는 것리다.  애니메이션의 원리는 그림을 움직이는 환등기로 만드는데, 환등기는 인간이 가지고 있는 눈의 잔상 을 이용해 만들어 졌다.  최초의 애니메이션 작품은.
제 1 장 관리회계의 개요. 제 1 장의 주요내용 기업경영의 통찰적 분석 회계란 ? 재무회계와 관리회계의 차이는 ? 기업에서의 경영자의 기능은 ? 관리회계의 의의, 순환과정은 ? 관리회계 담당자가 맡은 역할은 ? 원가관리회계와 관련된 다른 경영학 분야에 대해...
직무에 대한 이해 및 직무정보 탐색 임영찬 취업강사 ‘ 이공계성공취업스토리 ’ 운영자, ‘ 뽑히는이공계취업 ’ 저자.
Korea Trade-Investment Promotion Agency
교육 프로그램의 분류 일반 직무능력 향상과정 3 P 계층별 역량 강화과정 109 P 경영혁신과정 150 P.
카드사의 효과적인 분석CRM을 위한 회원정보 정제 및 보강 방안 사례 연구 -신숙원, 배성민, 김태호, 장남식
제8회 익산천만송이국화축제 결과평가 및 발전방향 연구 보고서
통합인증기준 작성편람 및 심사편람 공청회 한국경영교육인증원 인증 현황 소개 손태원 수석부원장.
Value-driven commitment for CUSTOMER SUCCESS
조직구조, 성과통제, 기업문화 그리고 리더십 (수) 과 목 : 경영전략 교 수 : 문계완교수님
BSC 템플릿 및 작성 매뉴얼.
특허청 혁신 포럼 기업형 정부운영을 위한 혁신 기반 강화 연구 사단 법인 미래정부연구원.
BSC 관련 벤치마킹 1. 벤치마킹 체계.
제 1 부 원가관리회계의 기초개념 제1장 원가관리회계란 무엇인가? 제2장 원가개념.
이 재 호 (Ph. D. in Edu.) 광주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
행정자치부 성과관리체계
고객만족경영 추진방법.
INI STEEL 성과관리시스템 구축을 위한 SAP 제안설명회
프로세스 성과관리 방법론 Feb
코레일 경영가치체계 재정립(안) 경영기획단 (철도선진화팀) 철도선진화팀장 부단장 경영기획단장 부사장 사 장
시스템 / 프로세스 / 절차서.
비전 수립의 의의 및 구축방법론 개관.
(Management by Performance Objectives)
한국통신 BSC도입사례 한국통신 김윤정.
Right Project 선정방법에 대한 연구
BSC 기법에 의한 성과지표설정방법 강사 : 오영환(달란트HR컨설팅 대표/경영학박사)
전략 중심의 조직운영 방향 (SFO : Strategic Focused Organization)
중소기업청 인사제도 진단 PROJECT 보고서
성과평가시스템(BSC) 구축 전략3 Wisdom21 Management Consulting.
B S C Balanced Scorecard System 구축 사례
전략기획 매뉴얼 Volume 2 November, 2013 A Task’s Force.
ELAND BSC CKO실.
한미파슨스의 인재중심 조직문화 -GWP 사례를 중심으로 한 미 파 슨 스 김 종 훈.
성과경영과 목표관리.
성과관리 및 역량평가체계 동부화재 인사팀.
ⓒ AMOREPACIFIC Human Resources
FTA강의자료 경영컨설팅의 이해와 비즈니스 모델의 창출 나도성 한성 KSCon 교수겸 연구원장.
제8장 BSC와 지식경영.
목차 INDEX 1. 회원가입 및 로그인 2. 업체정보 3. 제조검사 신청 4. 인보이스 5. 검사진행현황(현장검사 신청)
제 13 장 경영혁신과 혁신적 경영기법 학과 교수.
이 랜 드 BSC와 HR scorecard.
자원관리 (Resource management)
‘ 더 빨리 더 좋게 ’ Single PPM 추진 현황
Customer Satisfaction
인사평가시스템의 설계 방안과 사례 성신여대 경영학과 박준성 교수.
MBO 제도 도입 계획.
KPI 이론 및 실무교육.
III . 내부평가제도 개선방향 Ⅲ. 내부평가제도 개선방향.
성과관리ᆞ인사고과
사업추진을 위한 전략 수립 회사 정책수립을 위한 제언 및 신규사업 전략 Park Byoungcheol.
BSC 기업사례 서비스경영 수4,5,6교시 경영학과 이소라.
Balanced Score Card의 이해 및 활용
알기 쉬운 CS 하기 쉬운 CS (CUSTOMER SATISFACTION)
공공기관의 통합성과관리시스템 구축방안 ㈜아이에스앤에프 대표 박정수 ㈜아이에스앤에프.
공공기관의 성과관리 시스템 정다솔.
고객의 재발견.
BSC를 활용한 R&D Wisdom21 Management Consulting.
KPI 도출 및 활용을 위한 실무 가이드 Wisdom21 Management Consulting.
‘07년 조직KPI 설정 기준(안) Ⅰ. ’07년 경영방침 Ⅱ. ’07년 KPI 설정 기준 Ⅲ. Process 및 수립 일정
임금협상사례 2조 곽몽양 이세진 정요한 조미진 후문룡.
전략적 경영관리.
BSC의 모순과 한계, 그리고 새로운 대안 BSC, AHP, DEA, 성과예산, 최적화 방법론을 통합 활용
책을 읽읍시다  탈향 진지하게 설명해드림 1303 김소희 1309박지호 1315이지수.
BSC를 활용한 R&D Wisdom21 Management Consulting.
목 표 관 리.
2016년 제1차 운영위원회 평택시건강가정 ∙다문화가족지원센터
WEXI NEWSCLIPPING Contents
㈜ CS 산업 Work shop
Presentation transcript:

KPI 이론 및 실무교육

목차 1. KPI 란? 2. 성과의 측정 : KPI 구축 목적 3. KPI 정착을 위한 Process 6. KSF의 이해 7. KSF 로직 트리 vs KPI 로직 트리 8. KPI를 실행하는 상세 로직 트리 (예) 9. BSC (Balanced Scorecard)의 이해 10. BSC 관점에서 분류한 KPI (예) 11. BSC 관점에서 분류한 R&D KPI (예)

1. KPI 란? KPI(Key Performance Indicator:핵심 성과 지표)는 미래성과에 영향을 주는 여러 핵심 지표를 묶은 업적 평가 기준임. KPI 정립 재 무 적 관 점 고 객 관 점 내 부 프 로 세 스 관 점 학 습 & 성 장 관 점 Key Success Factors VISION HOUSE

2. 성과의 측정 ; KPI 구축 목적 1. 활동 성과에 대한 투명성 확보 World Class 2. 비전에 대한 전사적인 커뮤니케이션 및 공감대 형성 3. 비전과 팀 목표 사이의 연계성 구축 및 조직 내 체화 4. 객관적인 측정이 가능한 프로세스 모니터링 체제 구축을 통해서 효과적인 Early Warning System 정착 5. 목표 미달성 시 원인 규명을 통한 혁신 활동 및 학습 기회 제공을 통해서 역량 강화 성과 관리 정착 매출 신장 핵심 역량 구축 6. 성과 위주의 보상 시스템 구축

3. KPI 정착을 위한 Process 평가 및 피드백 적 용 설 계 제 안 6. KPI 개량 및 수정을 통해 KPI의 인과 관계 지속 평가 및 피드백 5. 구축된 KPI의 완전한 정착을 위한 지원 적 용 4. 팀별 게시, 보고 및 검토 체계 개발 3. 팀별 KPI 선정 설 계 2. 팀별 KSF 분석 1. KPI 개발과 활용에 대한 목적 설명 제 안

4. 성공적인 Process 실행 필수 조건 파트너쉽 권한부여 통합된 성과관리 팀워크 경영진, 관리부서, 내•외부 고객 , 협력업체 간의 파트너쉽 기업 관계자들간에 변화의 필요성과 그 방향에 대한 상호 이해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권한부여 조직 내 Top-Down , Bottom-Up 방식의 커뮤니케이션 성과 관리를 위한 직원의 적극적인 참여 및 주인의식 고취 조직 내 구성원들간의 완전한 정보 공유 성과 향상을 위해 직원들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 기회 및 적절한 권한 부여 통합된 성과관리 조직 내 구성원들간에 의사 결정 권한 공유 관리에 대한 전통적인 기능 및 역할의 변화 관리직과 비관리직에 대한 구분이 사라짐. 통합적인 성과관리의 발전은 보다 광범위한 KPI 개발 유도 팀워크 자체 관리력을 보유한 팀 구축 KPI 개발을 위한 적극적인 지원 필요 팀 KPI와 비전과의 연계성

Vision 과 연계된 KPI 도출 5. KPI 작성의 3대 원칙 1. 관리 중요성 : 경영활동을 대표할 수 있는 핵심 업무 중심으로 성과 지표 선정 KPI 의 출발점은 기업이 지향하는 가치나 방향이 되어야 함. 비전 달성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성공 요소들 간의 인과 관계도가 작성되어야 함. KPI 작성시 기업 내에서 수행되고 있는 활동들이 빠짐없이 포함되어야 함. 업적 평가의 타당성(Validity) 증대 2. 통제 가능성 : 자신의 업무 권한 범위 내에서 직접 통제 가능한 것. 탑다운 방식으로 배분된 성과 지표에 대해서 통제 가능 여부를 파악 업무 담당자와의 Consensus 3. 측정 가능성 : 측정을 통한 KPI 모니터링, 피드백 및 개선 종합 품질 지수 : OQI ( Overall Quality Index) 고객 만족 지수 : CSI ( Customer Satisfaction Index) 구성원 만족 지수 : ESI ( Employee Satisfaction Index) Vision 과 연계된 KPI 도출

6. KSF 의 이해 KSF 란? 핵심성공요소(Key Success Factors : KSF)란 기업의 전략적 목표 달성을 위해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하는 요소들 KSF 3대 원칙 포괄성(Inclusion) : 상위 단계 KSF의 목표가 하위 단계의 KSF에 의해 어떻게 달성될 수 있는 지 설명 할 수 있어야 함. 연속성(Continuity) : 모든 단계의 KSF는 서로 연계되어야 하며, 하위 단계 KSF 실행 사이클 타임은 상위 단계 KSF보다 짧아야 함. 강건성(Robustness) : 하위 레벨의 KSF 목표가 달성되면, 상위 레벨 KSF는 목표 또는 그 이상의 수준이 달성되어야 함. 팀별 KSF 분석 프로세스 맵 팀별 프로세스 구성요소 파악 프로세스 맵핑 핵심성공 프로세스 추출 SF 추출 KSF 3대 원칙 충족 KSF 인과관계 분석 KSF 추출 추출 SF 타당성 분석

핵심성공요소 (Key Success Factors) 핵심성과지표 (Key Performance Indicators) 7. KSF 로직 트리 & KPI 로직 트리 핵심성공요소 (Key Success Factors) 핵심성과지표 (Key Performance Indicators) ★ 각 팀별 팀원들이 전원 참석한 가운데 핵심 성공 요소들(KSF)과 핵심 성과 지표들(KPI)을 선정함.

8. 팀별 KPI를 실행하는 상세 로직 트리 (예)

9. BSC(Balanced Scorecard)의 이해 균형성과표(Balanced Scorecard : BSC)란 조직의 사명과 전략을 측정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포괄적인 측정지표로 바꾸어주는 틀 재무적 관점 장기적 성장을 위한 투자와 단기적 실적을 위한 비용절감 사이의 균형 “ 주주 / 채권자들이 우리를 어떻게 보는가? ” 고객의 관점 고객을 향한 차별화 된 가치 제안 “ 내 • 외부 고객이 우리를 어떻게 보는가? ” 내부 프로세스 관점 제품 & 서비스가 고객에 전달되기 위해 조직 내부에서 거치는 전 과정 “ 우리는 어떤 분야에서 뛰어나야 하는가? ” 학습&성장 관점 무형 자산 개발을 통한 가치 창출 “ 팀 가치를 증대 및 창출할 수 있는가? ”

10. BSC 관점에서 분류한 KPI (예)

11. BSC 관점에서 분류한 R&D KPI (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