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성비가 자연에 미치는 영향 화학과 4학년 김민기.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Energy Demand and Supply Outlook 2040 APERC. Business as Usual Scenario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총 에너지 수요는 2040 년까지 50% 증가할 것으로 예상 에너지 수요의 증가는 수송부문의 수요 증가에 기인. 수송용.
Advertisements

작성일 : 작성자 : 허재승, 주현승, 김준수 ? 지구 온난화의 의미.
해양 오염과 대책 난 깨끗한 것이 좋아.. 학습 목표 해양 오염의 원인과 그 대책에 대해서 설명할 수 있다.
정보전달 김정은, 고예은, 김혜진, 조은주. 후쿠시마원전사고 2011 년 3 월 11 일 일본 도호쿠 지방 앞바다의 대지진과 지진해일 ( 쓰나미 ) 로 인하여 후쿠시마 제 1 원자력발전소에서 발생한 사고. 발전소가 침수되어 전원 및 냉각 시스템이 파손되면서 핵연료 용융과.
생태학개론 제 2 주제 : 조직의 계층구조. 1. 계층구조 계층구조 (hierarchy) - 구분된 요소들이 정돈되어 있는 일련의 계열 - 인간사회와 마찬가지로 생태계도 계층구조가 존재 - 생태계의 계층구조를 이해 → 유기체적 작용 ( 움직임 ) 을 이해.
4D기술로 인한 책의 인터페이스 변화 : 디지로그북
2011학년도 1학년 융합과학 수업자료 019 Part.3 지구의 형성과 진화.
II. 지구계와 지권의 변화 1. 지구계 2. 지구계 구성 요소의 상호 작용.
나무가 드리는 소중한 선물 자료근거 제61회 식목일 나무심기 자료집 (2006, 산림청) 국립환경연구원 (1988)
가뭄 정의 한 지역에 지속적으로 물의 공급이 부족한 기간
3-4. 지열 에너지(geothermal energy)
4. 화석 연료의 사용과 지구 온난화는 어떤 관계가 있을까? 온실 기체와 온실 효과 지구 온난화.
동의대학교 생명공학과 생물정화공학 폐 수 처 리 공 학 Wastewater Engineering; Treatment, Disposal, and Reuse 9장 생물학적 단위공정 – (2) 변 임 규
Ch.4. 화석 연료와 환경 문제 화석 연료(Fossil Fuel)? 환경 문제 석유 천연가스 석탄
1-3. 지구의 탄생과 진화(2)
4-6. 광합성 작용(1).
Hydrogen Storage Alloys
Chapter 22 경구용 고형제.
태양광발전 원리 Solar Followers.
V. 인류의 건강과 과학 기술 Ⅴ-1. 식량자원 3. 식품 안전성.
지구의 환경이 생물에게 미치는 영향 지구온난화로 인한 문제.
연소 반응의 활성화 에너지 연료가 연소되기 위해서는 활성화 에너지가 필요합니다.
2조 식품생명공학과 조광국 배석재 윤성수 우홍배
전지 안정성 평가를 위한 과충전 비교시험 ENERGREEN R&D Center
5-5. 지구 온난화 지구 온난화란? 일반적 의미: 지구가 따뜻해지는 것
[2] 식품안전성 수업목표1. 수업목표2. 수업목표3. GMO가 만들어지는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Infusion pump (의약품 자동주입기)
태양, 지구의 에너지 창고 교과서 87p~.
박진우 Buffer(완충제).
생명 기술과 미래의 기술 VI 1 생명 기술의 세계 2 미래 기술과 통합 체험 활동 금성출판사.
산불예방.
식품에 존재하는 물 결합수(bound water): 탄수화물이나 단백질과 같은 식품의 구성성분과 단단히 결합되어 자유로운 이동이 불가능한 형태 자유수(free water): 식품의 조직 안에 물리적으로 갇혀 있는 상태로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한 형태.
지구온난화 보고서.
질소(Nitrogen) 인(Phosphorus) 유황(Sulfur)
우리나라의 외래종 확산과 과제: 다 없애는 것이 좋은가?
산성비가 식물의 잎과 씨앗에 미치는 영향 한림초등학교 5학년 5반 박성용.
자원과 환경 제 4장. 태양 에너지
Ⅰ. 소중한 지구 1. 행성으로서의 지구 1-3. 지구계의 순환과 상호작용.
식물의 광합성 식물은 어떻게 영양분을 만들까요? 김 수 기.
끓는점을 이용한 물질의 분리 (1) 열 받으면 누가 먼저 나올까? 증류.
III. 아름다운 분자 세계 3. 탄소 화합물 … 01. 다양한 탄소 화합물 02. 탄화수소의 다양한 구조
과학 자유 탐구 모둠 이름 : 고구마 조 모둠 원 1번 김다영 11번 송은영 12번 안승연 13번 이다빈.
열역학 Fundamentals of thermodynamics(7/e) RICHARD E
중2 사회 Ⅴ.자연재해와 인간생활.
Clean blue sky 우리손으로 만듭시다!.
광촉매 응용 효과를 극대화하는 방안, 광촉매의 정확한 사용법
중국 미세먼지   환경공학과  심동진.
1-5 용해도.
Ch. 3. 시료 채취 및 처리 2-1. 시료의 종류 및 고려사항 시료의 종류: 고려사항:
물의 전기분해 진주중학교 3학년 주동욱.
광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 - 생각열기 – 지구 온난화 해결의 열쇠가 식물에 있다고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P (2) 지구계의 구성 요소의 특징과 역할.
생물 농축은 어떻게 일어날까? 과학 본 차시의 주제입니다.
3.3-2 운동 에너지 학습 목표 1. 운동에너지의 정의를 설명할 수 있다. 2. 운동에너지의 크기를 구할 수 있다.
P 양분의 전환과 이용.
지구화학 및 실험 유재영 강원대학교 지질학과.
유체 속에서 움직이는 것들의 발전 진행하는 추진력에 따라 압력 차이에 의한 저항력을 가지게 된다. 그런데, 앞에서 받는 저항보다 뒤에서 받는 저항(흡인력)이 훨씬 더 크다. 유체 속에서 움직이는 것들은 흡인에 의한 저항력의 최소화를 위한 발전을 거듭한다. 그것들은, 유선형(Streamlined.
토양의 화학적 성질 토양미생물학 교재: 토양생물학, 이민웅 3장
제 19장 물의 오염도와 오염물질의 종류 김기호 정남진.
영구적 염모제의 원리 학번 : 이름 : 윤다현
제 1 막 오염자들의 등장. 제 1 막 오염자들의 등장 대기오염자 대기오염의 원인: 공장의 가동, 운수교통의 활동, 일반 가정의 연료소비 등 사람들의 생활이나 활동에 따라 생기는 인위적인 것이다. 대기오염의 영향 대기오염 농도가 증가하면서 기관지 및 호흡기에 악영향을.
생물막 (Biofilm).
서울 미세먼지 경보 센터
대기오염 지구온난화 한지우.
해양수산부 주관 <HEBEI SPIRIT호 유류오염 생물정화기법 적용관련 토론회> 발표 자료
풍화 작용 (교과서 p.110~113) 작성자: 이선용.
사과의 갈변현상 관찰하기 4-2 배형준.
P 물질의 세 가지 상태 - 생각열기 – Q. 자동차에 액체, 기체 상태의 물질이 들어 있는 곳은 어디인가?
5-3. 화석 연료의 형성과 개발 화석 연료: 과거 생물의 유체가 지층 중에 묻혀 연료 화 된 것 석유 석탄 천연가스.
3. 보일러 효율 관리 보일러 및 열사용 설비 성능 분석
Presentation transcript:

산성비가 자연에 미치는 영향 화학과 4학년 김민기

목 차 1 산성비란 2 산성비의 원인 3 산성비로 인한 피해 4 해결방안

산성비 1 산성도를 나타내는 수소이온 농도지수(pH)가 5.6 미만인 비. 일반적으로 빗물은 pH 5.6∼6.5 정도의 약산성이지 만 대기오염이 심한 지역에서는 강한 산성의 산성비가 내 리기도 한다.

산성비의 원인 2 산성비의 원인 산성비의 원인 물질로는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질소산화물과 공장이나 발전소, 가정에서 사용하는 석탄, 석유 등의 연료가 연소되면서 나오는 황산화물이 있다. 이들이 대기 중에 축적되어 대기의 수증기와 만나면 황산이나 질산으로 바뀐다. 이러한 물질들은 강산성이므로 비의 pH를 낮추게 된다.

2. 산성비가 내리는 과정

산성비로 인한 피해 3 1.산림에 대한 영향 산성비가 내리면 산성 물질이 독성에 의하여 나뭇잎은 황갈색으로 변하고 나무는 말라 죽게 된다. 또한 산성비로인해 식물에 양분이 되는 광물질의 용해도가 크게 증가하여 씻겨져 버리므로 필요한 양분이 부족하게 된다.

2.수중생태계에 대한 영향 수중생태계에 대한 영향으로 산성비가 하천이나 호수 등에 유입되면 물의 산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물고기가 직접독성을 받는다. 미생물의 분해작용이 감소해 녹조류가 크게감소 호수나 하천의 물이 산성비의 영향으로 PH가 낮아지고 산성도가 증가하면 수중의 플랑크톤, 부착조류, 수생동물 등의 종 조성이 바뀌고 단순화하며, 어떤 종은 멸종하고 만다.

3.토양에 대한 영향 양은 보통 호수, 하천 등의 경우보다 산화에 대한 저항력이 강하기 때문에 가시적, 생태학적 장애 없이도 많은 양의 산을 함유할 수 있다. 산성의 물은 토양중의 영양염을 유출케 한다. 또 토양생태계의 변화를 일으켜 박테리아 등에 의한 유기물의 분해와 대기중 질소의 고정화속도를 저하시켜서 토양의 생산능력을 감퇴시킨다. 산성비는 삼림에 영향을 주듯이 농작물이나 식물에 직접적인 피해를 줄 뿐 아니라, 토양과 호소, 하천의 물의 산성화를 통하여 농작물의 생산성을 저하시킨다.

해결방안 4 1. 원인물질인 황산화물과 질소산화물의 배 출을 줄여야됨. 1. 원인물질인 황산화물과 질소산화물의 배 출을 줄여야됨. 2. 산림보호를 위해 자동차의 매연가스의 양을 줄이고 대중교통을 이용한다. 3. 대체에너지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