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접근성 현황 및 정책방향 행정안전부 정보문화과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 제주도 : 지난 80 년대부터 대외무역법에 의한 직접수출, 간접수출, 외국 인도 - 제주도 : 지난 80 년대부터 대외무역법에 의한 직접수출, 간접수출, 외국 인도 수출 ( 이전기업 ), 용역수출 ( 외국인면세점 ) 도 포함하는 광의 개 념 수출 ( 이전기업.
Advertisements

기업명 ( 담당자명, 연락처, 이메일 ) [ 첨부 2] 부산 스마트콘텐츠 마케팅 지원사업 마케팅 계획서.
지지금 우리나라에서는 정보보안전문가가 약 500 명도 되지 않는다. 그그리고 지금 컴퓨터를 쓰지 않는 곳이 없다. 또, 농협 해킹 등 여러 가지 이유 등으로 유망하다.
법조분야의 국제화와 전문화 국내 소비자에게 보다 나은 법률서비스 제공 일부 국내 대기업들은 국내 기업들이 아니다 (?) [ 삼성전자, 현대 자동차, LG 전자 등 ]
영남대학교의료원 기획조정실 의료정보팀 ( 금 ) 기획조정실 의료정보팀 장 준 이.
2010 서 희 명 ) 시스템 아키텍처 감리 - 강의계획서 -
의료산업은 좋은 일자리와 성장동력의 축 10.
GB 마스터 사업 설명회 Ⅰ. GB 마스터 제도 변경 취지 년도 하반기 현금영수증 제도 개선 ① 현금영수증 발급 금액 하향 조정 : 현행 5,000 원  3,000 원으로 하향 조정 ② 포상금 제도 도입 : 발급거부 신고 때 건당.
식기에 관한 소비자 조사 Ⅰ. 조사 개요 Ⅲ. 조사 결과 분석 Part1. 식기브랜드 관련 소비자 인식 국내 식기브랜드 최초 / 비보조 인지 수입 식기브랜드 최초 / 비보조 인지 식기브랜드 보조인지 보유 식기브랜드 현재.
Ⅰ Ⅰ 선진국 직업교육훈련의 특징과 우리의 일 · 학습병행제 1. 선진국 직업교육훈련의 특징 2. 선진국과 우리나라의 청년고용률 3. 일 · 학습병행제 추진현황 4. 우리의 일 · 학습병행제 특징 Ⅱ Ⅱ 산업계 주도 직업교육훈련체제 구축 및 산업별단체.
사이버범죄 발생 및 검거 현황 한광고등학교 유대열.
2015년 ★ 연수대상자 ★ 연수기간 (1일 4시간 이상 8시간 이하/1주 총 20시간 초과불가)
서울시립대학교 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 김한준
연구실 안전교육센터 교육안내.
KHRD컨퍼런스2010 HRD컨퍼런스&엑스포 제8회 한국HRD대상 KHRD컨퍼런스2010 참가 신청서

4G LTE 시대를 선도해나갈 LG유플러스에서 여러분의 꿈을 펼쳐보세요.
Accredited Certificate
Volunteer work.
피티라인 파워포인트 템플릿.
대·중소상생 수시과정 과정인정 가이드라인 컨소시엄지원팀.
Is Web Usability Abstract or Concete
KISA IP기반산업팀 황의종 선임연구원 국내 IPv6 추진현황 소개 - IPv6 & 식별자포럼 워크숍 KISA IP기반산업팀 황의종 선임연구원
종이팩 재활용 실태조사 홍수열/자원순환사회연대 정책팀장.
급조 @ 김 용규,장 동현,이 재욱,송 준형,나 혜린 아이핀 마이핀 과연 안전한가? 급조 @ 김 용규,장 동현,이 재욱,송 준형,나 혜린.
국가문화유산정보 종합 서비스 시연회 (수).
포항시종합자원봉사센터 오인섭 , 임건택.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 추진방안
1-2 [도서관발전종합계획]과 연계된 중자기 발전계획의
고대 구로병원 IRB 전문간사 종양내과 오상철
Is Web Usability Abstract or Concrete
2018년 K-MOOC 자율참여 안내
2016년도 안전인증센터 운영 방향 안전인증센터.
업무처리절차흐름도 소기능명 WMO 장기예보 다중모델앙상블 선도센터 운영 처리부서 기후예측과 단위과제 작성자 단계
실험실 안전교육시스템 사용설명서 [ 목차 ] 1. 실험실 안전교육
맞춤형복지 사용자 시스템 매뉴얼 공무원연금공단 맞춤형복지부 문의사항:
UNISDR ONEA-GETI 안내.
인터넷의 역사 김승년 김슬기 김한나.
발표평가 자료 작성 유의사항 각 페이지의 작성 TIP을 참고하여 내용 기재 (총 20페이지 이내, 발표시간 약 10~15분)
고등학교에서 고등교육기관으로 진학하는 비율 (진학률, %)
단계1 단계2 단계3 단계4 단계5 단계별 제목 상세내용1 상세내용
발전적 변화를 도모하는 오순절 평화의 마을 사회복지 서비스 환경의 변화
OECD 평균 한국
추가 개선 요청사항 ▣ 조치내역 항목 상세 입력 요망 (항목별 별도 시트 작성 후 첨부)
2 컴퓨터와 통신 기술 3 정보의 보호와 공유 정보의 보호 정보의 공유 금성출판사.
기술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
Multimedia | Taylor Univ.
1. 학교생활기록부 반영 비중 확대 (1) 학생부 신뢰도 현황과 제고 노력
포털의 저작권보호 및 개선방안 한국음악저작권협회.
?type=main&sub_type=&docid=MD §ion=&limit=30
네이버 CCL 도입 현황 및 계획 서비스정책센터 최인혁.
연구학교 운영 절차 및 평가 단계별 협의회 운영 절차 협의록 처리 절차 과정 평가 절차.
여행용 자동통역서비스를 위한 서버형 한국어 대화체 음성인식 기술 ETRI Technology Marketing Strategy
‘17년 협력 업체 등급 평가 제도 운영안 2017년 01월 18일.
채용 컨설팅 기업 ㈜ACG에서 대기업 적성검사 문항 개발을 위한 문항 개발자를 모집하고 있습니다.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빈곤 및 소득분배와 개선효과 추이 대통령자문 빈부격차ㆍ차별시정위원회.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모바일(폰)메일 서비스 정흠수 최동훈.
TEXT 콘텐츠의 학습적 활용을 위한 Moodle의 사용자 중심 기능 개선 제안
제12회 KHU 봄 프로그래밍 경시대회 경희대학교 학생들의 졸업 후 국내외 최고 수준의 소프트웨어 인재 양성의 비전 아래, 프로그래밍 실력 향상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고자 프로그래밍 경시대회를 개최합니다. 본 대회는 경기남부 6개 대학 프로그래밍 경시대회(SHAKE)의 예선을.
신곡 새샘터 도서관 개관 구축 및 운영보고 (화) 신곡초등학교.
About Tax Museum.
장애인기업 제품 공공구매 안내
피티라인 파워포인트 템플릿.
1. 돌파지식 제목 2.핵심성과 3.핵심 아이디어 4.실행 프로세스 ★ 돌파 레벨 : 개인 / 팀 / 복지관 / 재단
경기복지거버넌스 시∙군 협력 실무회의.
지방자치단체의 장 (시·도지사 또는 시 · 군 · 구청장)
한국지역정보개발원 교육기획팀 홍길동.
Presentation transcript:

웹 접근성 현황 및 정책방향 2009. 4 행정안전부 정보문화과 앞장서 뛰는 행정안전부

웹 접근성 현황 웹 접근성의 필요성 웹 접근성 정책 추진방향 웹 접근성 추진실적 1 2 3 4

1. 웹 접근성의 필요성(1) 일상생활의 필수도구로써 장애인의 가장 중요한 생활 수단 인터넷은 전자정부, 인터넷뱅킹, 전자상거래, 교육, 뉴스 등 일상생활의 필수도구로써 장애인의 가장 중요한 생활 수단 전 국민 인터넷이용률 : 77.1%(만 6세 이상) 장애인(210만명) 인터넷이용률 : 51.8% 전자조달(나라장터) : 약 30만건 (’08.12월말) 전자민원 발급 : 560만건 (’08.12월말) 인터넷 뱅킹 고객 수 : 5,260만 명 - ’07년 (4,470만명) 대비 16% 증가 (한국은행, ’08.12월말) 전자상거래 이용자 : 인터넷 이용인구 중 약 60.6% (한국인터넷진흥원, ‘08.12월말) 1

1. 웹 접근성의 필요성(2) 25.3%p의 격차 발생 (’08.12, 한국정보문화진흥원(KADO)) 장애인의 인터넷 이용률은 51.8%로 전체 국민 77.1%에 비해 25.3%p의 격차 발생 (’08.12, 한국정보문화진흥원(KADO)) 장애인 컴퓨터 보유율 추이 장애인 인터넷 이용률 추이 9.9 25.3 10.5 80.9 77.1 12.7 80.4 20.0 78.9 31.8 76.3 26.4 전체국민 77.9 72.8 전체국민 37.9 65.5 71.0 51.8 69.9 66.2 장애인 장애인 49.9 57.9 41.0 27.6 (단위 : %) (단위 : %) 2003 2005 2007 2008 2003 2005 2007 2008 2

웹 접근성 웹 접근성 이란 장애인, 고령자 등이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비장애인과 동등하게 접근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보장 웹 접근성 ※ 웹 접근성 준수 예시 장애인의 웹사이트 이용 애로요인 웹 접근성 준수방안 이미지 등 시각 정보에 대한 설명부재 이미지 정보에 대한 대체 텍스트 제공 동영상에서의 음성정보에 대한 설명부재 동영상에 대한 캡션 제공 키보드만으로의 콘텐츠 접근 불가 키보드 이용 보장 글자확대 불가능 글자를 배율로 제공(고정된 크기가 아님) 3

2. 웹 접근성 현황(국내) 중앙행정기관은 평균 90.6점으로 우수한 수준 웹 접근성 실태조사 중앙행정기관(46개) 89.5 88.2 86.6 82.7 81.8 72.3 72.2 ‘05 ‘06 ‘07 ‘08 ‘05 ‘06 ‘07 ‘08 중앙행정기관(46개) 입법사법기관(4개) 입법사법기관(4개) 4

2. 웹 접근성 현황(국내) 광역지자체는 평균 91.6점으로 우수하나, 기초지자체는 평균 83.3점으로 다소 미흡 웹 접근성 실태조사 광역지자체는 평균 91.6점으로 우수하나, 기초지자체는 평균 83.3점으로 다소 미흡 91.6 86.8 83.3 80.3 81.8 71.6 77.6 74.0 ‘05 ‘06 ‘07 ‘08 ‘07 ‘08 ‘07 ‘08 광역지자체(16개) 기초지방자치단체 (230개) 전자정부(20개) 4

2. 웹 접근성 현황(국내) 연도별 웹 접근성 실태조사 결과(종합) 구 분 ‘05년 ‘06년 ‘07년 ‘08년 전년대비 구  분 ‘05년 ‘06년 ‘07년 ‘08년 전년대비  중앙행정기관 72.3 (56개) 81.8 (58개) 88.2 (57개) 90.6 (46개) +.2.4점 입법‧사법‧헌법기관 72.2 (4개) 82.7 (4개) 86.6 (4개) 89.5 (4개) +.2.9점 광역 지방자치단체 71.6 (16개) 81.8 (16개) 86.8 (16개) 91.6 (16개) +.4.8점 전자정부 77.1 (1개) 78.4 (1개) 74.0 (19개) 80.3 (20개) +.6.3점 기초 지방자치단체   77.6 (230개) 83.3 (230개) +.5.7점 공기업 77.5 (24개) 신규 준 정부기관 73.7 (77개) 국공립대학교 72.1 (52개) 기타 80.4 (34개)  소계 72.2 (77개) 81.8 (79개) 79.8 (326개) 81.0 (503개) +1.2점 ※‘08년 처음 실태조사한 공기업, 준 정부기관 등은 대체적으로 낮은 수준임 4

2. 웹 접근성 현황(국내) 우리나라의 웹 접근성 법률 및 규정, 제도 「정보격차해소에 관한 법률」제정 (’01년 1월 제정) - 장애인·노인 등의 정보통신 접근성 향상을 위한 권장지침 (고시) 마련 (’02년 1월) “인터넷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국가표준 승인 (’05년 12월) - 국가 표준 준수 기술가이드라인 마련('09. 3월) 정부업무평가 및 지자체 정보화 평가지표에 '웹 접근성 실태조사’ 결과 반영 및 상향조정(’09.1월)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시행(’08.4.11) 6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시행 (08.4월) 2. 웹 접근성 현황(국내) 「장애인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시행 (08.4월) 제21조 (정보통신·의사소통에서의 정당한 편의제공) - 행위자는 장애인에게 전자정보 및 비전자정보를 동등하게 접근 이용할 수 있는 필요한 수단을 제공 시행령 제14조 (정보접근·의사소통에서의 정당한 편의 제공의 필요수단 및 단계적 범위) 1. 누구든지 신체적 · 기술적 여건과 관계없이 웹사이트를 통하여 원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접근성이 보장되는 웹사이트 7

2. 웹 접근성 현황(국내) 단계적 범위 행위자 기간 공공기관 교육기관 의료기관 복지시설 문화예술 법인 ’09년 ’10년 정부 및 지방 자치단체 등 특수학교/특수학급 있는 국공립학교/ 장애전담보육시설 종합병원 사회복지시설 장애복지시설 ’10년 국공립문화예술 단체/박물관,미술관/공공도서관 ’11년 국공립유치원/초·중· 고 대학교/보육 시설(100인 이상) 일반병원/치과/한방병원 (입원 30인 이상) ’12년 민간종합공연장(1,000석~) 영화관(300석~) ’13년 사립유치원/평생 교육시설,연구기관/ 직업훈련기관/보육시설(100인 이하) 그외병원 이하) 체육관련행위자 모든법인 ’15년 민간일반공연장/ 소공연장 등 8

2. 웹 접근성 현황(국외) 국외 웹 접근성 법률 및 규정, 제도 영국 미국 일본 호주 1995 장애인차별금지법 2003 웹 접근성 표준 제정(JIS X 8341-3) 1992 장애인차별금지법(DDA) 1990 미국장애인법 1998 재활법 508조 2001 웹 접근성 지침 508조 1194.22 9

2. 웹 접근성 현황(국외) 미국의 웹 접근성 제고 영국의 웹 접근성 제고 「재활법 508조(Section 508 of the Rehabilitation Act)」에 의거 연방정부 및 소속기관에서 제공하는 모든 웹사이트에 웹 접근성 준수를 의무화(’01년 6월) W3C(국제표준화기구)의 지침을 기초로 16개 항목에 대한 웹 접근성 지침 제정(’00년 12월), ’06년 7월부터 표준 개정 중 영국의 웹 접근성 제고 「장애인차별금지법(Disability Discrimination Act)(1995년 제정 후 2004년 적용) 의거 모든 웹사이트 이용에 웹 접근성 준수를 의무화(’04년 10월) W3C의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1.0’을 활용,「PAS(Publicly Available Specification) 78」 이란 웹 접근지침 해설, 평가방법 포함한 가이드라인 마련(’06년) 10

3. 웹 접근성 추진실적 웹 접근성 관련 제도 개선 웹 접근성 인식 제고 웹 접근성 민간 단체표준이 제정되어 국가표준으로 승인(’05.12) 정부업무평가기본법에 의한 정보화 부문 평가항목에 웹 접근성 반영(’06.6) ▶웹 접근성 평가점수 확대 조정 : 1점(’06년, ’07년) → 8점(’08년) 공공 및 민간부문의 웹 접근성 준수 단계별 의무화(장차법, ’08.4) 웹 접근성 인식 제고 공공기관의 웹 접근성 실태조사 단계별 확대 실시(’05년부터) ▶’08년 기초지자체, 공공기관, 교육기관 등으로 확대(500여개) 공공기관 담당자 인식 제고를 위한 전문교육 (총 3,021명, ’05년~’08년) ▶웹기획, 웹디자이너 등 민간개발자 대상 웹 접근성 전문가 교육 (총 265명, ’08년) 웹 접근성 우수기관 품질마크 부여 (’07년~’08년, 58개) 11

3. 웹 접근성 추진실적 민간과의 협력체계 구축 기술자문 및 지원활동 민간 웹 개발자 대상 교육, 토론회, 세미나 등 개최 ▶ 웹 접근성 전문가 인력양성 위탁교육 ▶ 웹 접근성 세미나 및 설명회 개최(매년 1-3회) 민관 협력의 웹 접근성 인식확산을 위한 캠페인 등 홍보 ▶민간포털 협의체 구성 운영(네이버, 다음, 파란 등) ▶온라인 공동캠페인 전개, 웹 접근성 준수 홍보자료 제작, 보급 기술자문 및 지원활동 공공기관 홈페이지 대상 웹 접근성 평가 자문 제공 ▶ ’06년 17개, ’07년 29개, ’08년 52개 평가 및 자문 실시 웹 접근성 관련 기획, 이해, 기술, 평가 등 온라인 자문실시(’08년 11월, 총 52건) 웹 접근성 자동평가 프로그램 (KADO-WAH 2.0) 개선, 보급(’06년) 12

4. 향후 추진방향 공공 및 민간부문 웹 접근성 향상 추진 정부ᆞ지자체ᆞ공공기관의 웹 접근성 실태조사 (‘09.9~12) 공공 및 민간부문 웹 접근성 향상 추진 정부ᆞ지자체ᆞ공공기관의 웹 접근성 실태조사 (‘09.9~12) - 웹 접근성 실태조사 사전설명회 개최 (‘09.7~8) 공무원 및 민간개발자 대상 웹 접근성 전문교육 (’09.3~) 우수 웹사이트 접근성 품질 마크 인증제도 운영(연3회) 장애인 웹 접근성 기술자문 컨설팅 및 전용 포털사이트 운영(연중) - 플래시, 자바스크립트 등 접근성 제작기법 - 법령, 제도, FAQ 등 실시간 정보 제공 14

4. 향후 추진방향 웹 접근성 인식제고 및 홍보강화 ’09.4월 장차법 적용 웹사이트(종합병원 등) 대상 설명회개최 민간부문 웹 접근성 인식 제고를 위한 세미나 개최(‘09.5) 지역ᆞ업종별 웹 접근성 인식 제고를 위한 설명회 개최(‘09.3~) 웹 접근성 국가표준 준수 기술가이드라인 지침 시달 및 홍보 (’09.3~) 정부ᆞ지자체ᆞ포털사업자 등 민ᆞ관 협력 공동 캠페인 전개(‘09.6~) 13

[기타사항] 2009년도 웹 접근성 실태조사 추진일정 기관별 로그분석 결과 최다 접속 페이지 50개 제출(9월 말) 웹 접근성 실태조사 설명회 개최(7월~8월) 기관별 로그분석 결과 최다 접속 페이지 50개 제출(9월 말) 웹 접근성 실태조사 실시(10월 ~ 12월) 실태조사 결과분석(’09년 12월 ~’10년 1월) 결과발표 및 개선사항 통보(‘10년 2월)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