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과서 심사기준의 평가지표 개발 연구 -창의적 사고 역량을 중심으로- 연구책임자 옥현진(이화여자대학교) 공동연구원 신영준(경인교육대학교) 주미경(한양대학교) 설규주(경인교육대학교) 조병영(University of Pittsburgh) 박지현(광주교육대학교) 백혜선(국민대학교) 연구조원 고진아·이은영(이화여자대학교)
과제 소개 연구의 필요성 창의적 사고 역량에 대한 미래사회의 요구(4차 산업혁명) 창의적 사고 역량: 2015 교육과정의 핵심 요소 중 하나로 반영 학교 현장에서 교과서의 역할 창의적 사고 역량에 기여하는 교수학습 자료 특성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
과제 소개 “나는 경제발전 단계와 지력의 관계에 공식 하나가 있다고 본다. 즉, 후진국의 경제개발은 우선 간단한 ‘지식·기술’의 이해와 응용력으로도 족하고, 중진국으로 진입하고 발전하는 이에는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는 ‘사고력’이 있어야 하며, 선진국으로의 진입과 발전에는 ‘창의력’이 필수라는 공식이다.” 정범모(2016, p. 11)
과제 소개 연구의 목적 교과별 창의적 사고 역량 개념 구체화 학습자의 창의적 사고 역량 신장에 기여하는 교과서 사례 분석(국내외) 교과서 개발에 도움이 되는 아이디어 제공 교과서 검정, 교과서 선택 시 참고할 수 있는 평가지표 제안 관련 분야의 연구 필요성 환기
과제 소개 연구 방법 문헌 검토: 창의성, 창의적 사고 역량 등 교과서 분석: 국내외 해당 교과의 교과서 전문가 협의회 델파이 조사 연구 기간: 2015. 12. 17~2016. 5. 17.(5개월)
창의적 사고 역량_영재(교육)과의 관련성 영재: 평균 이상의 지능, 과제집착력, 창의성(그림 참조) 창조, 창의, 창작, 창안, 혁신 창의 Creativity Gifted behavior Above-average intelligence Task Commitment
창의적 사고 역량_다양한 정의 “새로우면서도 유용한 것을 생각해내거나 만들어내는 특성” “문제 상황에 적절한 새롭고 독창적인 산출물을 만들어내는 능력” “문제에 부딪히거나 경험하지 않은 새로운 상황에 직면했을 때 과거와는 다른 새로운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하거나 상황을 변화시키고자 하는 정신 작용”
창의적 사고 역량_교육과정에 나타난 창의적 사고 역량 추구하는 인간상 5차 ∙ 건강한 사람, 자주적인 사람, 창조적인 사람, 도덕적인 사람 6차 ∙ 건강한 사람, 자주적인 사람, 창의적인 사람, 도덕적인 사람 7차 ∙ 전인적 성장의 기반 위에 개성을 추구하는 사람 ∙ 기초 능력을 토대로 창의적인 능력을 발휘하는 사람 ∙ 폭넓은 교양을 바탕으로 진로를 개척하는 사람 ∙ 우리 문화에 대한 이해의 토대 위에 새로운 가치를 창조하는 사람 ∙ 민주 시민 의식을 기초로 공동체의 발전에 공헌하는 사람 2009 ∙ 전인적 성장의 기반 위에 개성의 발달과 진로를 개척하는 사람 ∙ 기초 능력의 바탕 위에 새로운 발상과 도전으로 창의성을 발휘하는 사람 ∙ 문화적 소양과 다원적 가치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품격 있는 삶을 영위하는 사람 ∙ 세계와 소통하는 시민으로서 배려와 나눔의 정신으로 공동체 발전에 참여하는 사람 2015 ∙ 전인적 성장을 바탕으로 자아정체성을 확립하고 자신의 진로와 삶을 개척하는 자주적인 사람 ∙ 기초 능력의 바탕 위에 다양한 발상과 도전으로 새로운 것을 창출하는 창의적인 사람 ∙ 문화적 소양과 다원적 가치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인류 문화를 향유하고 발전시키는 교양 있는 사람 ∙ 공동체 의식을 가지고 세계와 소통하는 민주 시민으로서 배려와 나눔을 실천하는 더불어 사는 사람
창의적 사고 역량_2015 교육과정의 개념 정의 창의적 사고 역량이란 다양한 영역에 대한 폭넓은 기초 지식과 자신의 전문 영역에 대한 깊이 있는 지식을 바탕으로 새롭고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산출해내고, 다양한 분야의 지식․기술․경험을 융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여기에는 인지적 측면에서의 창의적 사고 기능으로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정교성, 유추성 등이 하위 요소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정의적 측면에서의 창의적 사고 성향으로서 민감성, 개방성, 독립성, 과제집착력, 자발성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분야의 지식과 기술들을 융합하여 의미 있고 새로운 것을 산출하는 사고 능력으로서의 융합적 사고도 하위 요소로 포함될 수 있다.(2015 교육과정 해설)
창의적 사고 역량 창의적 사고 역량은 교육 가능한가? “우리가 창의적인 기술에 국한하여 이야기한다면 진전을 이룰 수 있다고 생각한다. 나는 창의적인 기술들을 가르칠 수 있다고 확신하고 있고, 창의적인 기술들을 습득하게 되면 창의적인 행동이 일어날 가능성이 더 높아질 수 있다고 확신한다. 그러나 그러기 위해서는 동기와 그 외의 다른 성격특성들, 즉 끈기, 용기, 자신의 일에 대한 사랑과 같은 특성들이 함께 존재해야 한다. 적어도 탁월한 창의적인 성취를 위해서는 ‘강렬한 열망’이 있어야 한다.” (Torrance, 1995, 이종연 역, 2005: 333).
창의적 사고 역량의 지표화 빈번한 창의적 사고 활동 경험으로부터 길러지는 능력 양적 지표 교과마다 창의적 사고 역량 관련 활동의 비중은 다르다. 교과마다 학습 활동의 형태가 다르다. 창의적 사고 역량 신장을 돕는 학습 활동이 충분히 제시되어 있는가?
창의적 사고 역량의 지표화 창의적 사고 역량의 다양한 하위 유형 양적 지표 & 질적 지표 유창성(fluency): 어떤 문제에 봉착했을 때 남들보다 훨씬 많은 아이디어를 쏟아낼 수 있는 특성 융통성(flexibility): 하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각도에서 접근할 줄 아는 특성 독창성(originality): 기존의 것과는 달리 새롭고 기발한 아이디어를 창출할 줄 아는 특성 정교성(elaboration): 막연하고 모호한 상황을 구체화하고 세밀하게 보완하는 특성 (교과의 특성에 맞게) 창의적 사고 역량의 다양한 측면을 고르게 발달시킬 수 있는 활동/과제가 제시되어 있는가?
창의적 사고 역량의 지표화 창의적 사고 역량의 다양한 하위 유형 양적 지표 & 질적 지표 정의적 측면: 민감성, 개방성, 독립성, 과제집착력, 자발성 학습자의 자발성과 주도성 유도 학습 주체 간의 다양한 상호작용 유도(협력학습) 창의적 사고 발현에 부합하는 맥락 제공(필요성, 중요성 등) 문제해결기반학습, 프로젝트기반학습, 시나리오기반학습 적절한 수준, 시간, 물리적 여건 등의 제공 여부 학습자의 창의적 사고 역량을 촉진할 수 있는 학습 환경/맥락이 제공되었는가?
창의적 사고 역량의 지표화 창의적 사고 역량의 다양한 하위 유형 양적 지표 & 질적 지표 정의적 측면: 민감성, 개방성, 독립성, 과제집착력, 자발성
창의적 사고 역량의 지표화 연계/융합 활동과 밀접한 관련 양적 지표 & 질적 지표 “다양한 지식을 연결시켜 새로운 것을 만들어내는 융합적 사고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창의융합형 인재를 기르는 데 필수적이다. 교사는 핵심 개념과 일반화된 지식에 기초하여 학생들이 개별 사실이나 정보를 습득할 때 교과의 전체적인 구조 속에서 그 의미를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2015 개정 교육과정 해설) 다양한 연계/융합 방식 교과 내, 교과 간, 교과와 일상 경험(학교 밖) 연계/융합의 적합성 수준 적합성 학습 요소의 잉여(중복)/결핍 여부 연계/융합의 필연성: topic 중심의 느슨한 연계에 대한 재고 필요 학습자의 창의적 사고 역량 신장을 돕는 융합 활동이 적절히 제시되었는가? 질적으로 완성도 있는 융합활동이 제시되었는가?
창의적 사고 역량의 지표화 연계/융합 활동과 밀접한 관련 양적 지표 & 질적 지표 느슨한 연계에 대한 재고 필요 출처: 허경철 외(2001), 교과교육학신론
창의적 사고 역량의 지표화 연계/융합 활동과 밀접한 관련 양적 지표 & 질적 지표 느슨한 연계에 대한 재고 필요 출처: 허경철 외(2001), 교과교육학신론
창의적 사고 역량의 지표화 적절한 양과 수준의 기초학습 제공 질적 지표 Csiksezntmihayli(1996)는 창의성을 이루는 세 가지 요소를 영역(domain), 활동 현장(field), 개인(individual)으로 보고 한 개인이 창의성을 발현하기 위해서는 우선 자기가 활동할 영역의 규칙과 내용, 그리고 현장이 선택하고 선호하는 기준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창의적 사고 역량 관련 활동이 학습자의 선행 지식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가?
창의적 사고 역량의 지표화 창의성을 발휘하고자 하는 사람은 창의적인 체계 안에서 움직이면서 그 체계를 자기 것으로 만들어야 한다. 다른 말로 하자면, 영역의 규칙과 내용뿐 아니라 현장이 선택하고 선호하는 기준에 대해 알아야 한다. 과학에서는 실제로 영역의 기초지식을 습득하지 않고 창의적인 업적을 남긴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과학자이자 발명가인 프랭크 오프너는 말한다. “중요한 사실은 자연과학의 기초가 튼튼하지 않으면 더 이상 어떤 발전도 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Csiksezntmihayli, 1996; 노혜숙 역(2016: 59) 수렴적 사고에 의한 기본적인 학습의 축적이 없는 백지상태에서 푸른 하늘을 쳐다보고 공상만 한다고 창의적 아이디어가 느닷없이 떠오르는 것은 아니다. 도리어 보람 있는 아이디어의 창출에는 수렴적 학습의 온축이 있어야 한다. (정범모, 2016: 20)
창의적 사고 역량의 지표화 구체적인 수행/산출물과의 연계 양적, 질적 지표 역량 개념은 “준거에 따른 효과적이고 뛰어난 수행과 인과적으로 관련되어 있는 내적인 특성”, “특정한 상황이나 맥락에서 발생하는 복잡한 요구들을 개인의 심리사회적 특성들(지적인 측면과 비지적인 측면을 포함)을 동원하여 성공적으로 해결하는 능력”(OECD)으로부터 도출(이광우 외, 2009: 15). 구체적인 산출물 생산 경험, 문제해결 경험의 긍정적 효과 머릿속에서 일어나는 정신적 과정에 대한 피드백 필요 창의적 사고 역량 관련 활동이 구체적인 수행/산출물과 연계되는가?
창의적 사고 역량의 지표화: 국어과 사례
창의적 사고 역량의 지표화: 수학과 사례
창의적 사고 역량의 지표화: 사회과 사례
창의적 사고 역량의 지표화: 과학과 사례
창의적 사고 역량의 지표화: 음악과 사례
감사합니다 Q&A ok@ewha.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