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수요와 총공급.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시장경제와 계획경제, 경제력 차이의 요인인가 ? 남한과 북한을 표본으로. 분단 60 년, 자유시장 지킨 한국의 경 제력은 계획경제 지킨 북한의 38 배 2013 년 북한의 주요 통계지표에 따르면 한국의 GNI 는 1279 조 5000 억원으로 북한의 33 조 4790.
Advertisements

폭등하는 유가, 대 책은 없나 2842 황소담. 세계 3 대 원유 WTI유-미국 서부~뉴멕시코 에서 생산 -북미지역에서 거래되는 원유 가격 -국제원유시장의 원유시황의 선행지표 브렌트유-영국 북해지역 생산 -유럽 시장 기준유 두바이유-아랍에미리트~두바이에서 생산 -중동.
매체홍보제안서. ◈ 목차 1. 엘리베이터 LCD 광고 2.GS 편의점 외부 LCD 광고 3.KT 대학교 PDP 광고 4. 마트영상 광고 5. 서울, 경기 가로변쉘터 광고 6. 관공서 뉴스비전 광고 7. 서울, 경기, 인천 LED 전광판광고.
국민소득의 측정. 거시경제학 미시경제학과 거시경제학  미시경제학 (microeconomics): 개별 가계, 기업의 의사결정, 개별시장의 균형가격 및 거래량 결정, 자원배분의 효율성 등을 다룸  거시경제학 (macroeconomics): 나라경제 전체의 고용, 생산,
FIDES INVESTMENT MANAGEMENT 김 한 진 / (02) / 년 경제전망 및 운용전략.
2009 년 & 4/4 분기 건 설 정 보 실건 설 정 보 실. 2 목 차 1. 국민경제에서 건설업의 위치 1) 산업별 경제성장률 ) 산업별 경제성장 기여도 ) GDP 중 건설업 생산비중
0 동일제지에 투자하고픈 이유  골판지업종은 과점화 추세 및 공장가동율 93% 이상으로 가격경쟁 지양 가능성  내년에는 농산물 포장화로 매출 확대 가능성  동일제지 기업군은 골판지 분야에서 거대 세력화 및 점유율 점차 증대  영업이익율 동종업종내 최고  탁월한.
저평가 가치주 종목발굴과 매매기법 영업부 오용준 차장. 2. 나는 누구인가 ? 브로커. 3. 장세에 대한 판단 어찌 ? 4. 종목 발굴은 ? 5. 가치투자란 ? 6. 브로커로서 가치투자란 ? 7. 앞으로의 장세는 ? 8. 중국의 선택 10. 매도.
미 증시환경변화와 국내 주식시장 전망 2001년 2월 투 자 전 략 팀 1.
2. 세계 여러 지역의 자연과 문화 2) 육지가 넓고 인구가 많은 북반구.
고교 자유학년제 오디세이학교 교육과정 및 학생 모집.
10월 월간동향분석 한국노총 동향분석팀 한국노총 21세기 노동자의 희망.
4주 2강 제4장 소비자행동의 이해 4.1 소비자시장과 소비자행동 4.2 산업재시장과 산업재구매자행동.
'지치면 지고, 미치면 이긴다' 공무원연금투쟁 승리를 위한 연금제도 이해와 대응 및 투쟁방향 ※ ※ 전국공무원노동조합.
시스템은 왜 중요한가? 자동차는 대략 3만 여 개의 부품으로 구성돼 있다. 부속품들을 일 열로 나열해 놓으면 시스템이 탄생되지 않는다. 이 들을 논리적 연관성을 갖도록 연결시켜 놓으면 자동차라는 시스템이 탄생된다. 자동차를 만든 사람들이 직접 발휘하는 힘은 미미하다. 그러나.
제4장 2절 (금융시장과) 통화정책.
성공적인 체육지도자의 삶 권 민 혁 단국대학교 체육교육과.
7 거시경제의 단기균형: 폐쇄경제.
원정초등학교 5학년1반 48번 윤민정.
제 33 장 총수요와 총공급.
*노동문제 * -비정규직 유효림 박지희 전향숙 황연두.
제 9 장 국제수지의 균형.
Neospring 모의크라우드펀딩 기업 작성 양식 참가 기업명 참가 기업로고.
금창호(한국지방행정연구원, 자치행정연구실장)
신개념 이동형 옥외광고 매체제안서.
제안서 작성 기법.
김승연(사회복지학 박사, 서울복지시민연대 사회행동위원장)
통화량 증가와 인플레이션 © 2007 Thomson South-Western.
1 PROJECT TITLE 기획 PAGE NO. 웹 페이지 구성 화 면 번호 화 면 설 명 연 결 화 면 L1 L4 L7
1 국민경제의 순환과 주요 거시경제 변수.
중장기적 베트남 국가 경쟁력 및 중장기 경제 전망
제 34 장 금융정책과 재정정책이 총수요에 미치는 효과 1.
Chapter 1 거시경제학 입문.
제 14 장 거시경제학의 개관 PowerPoint® Slides by Can Erbil
제 5 장 조 직 화.
국민소득의 측정.
집념과 고집 : 한라산 등반 사고 골 절 탈 진 2016 염 좌 탈골 사망 조난
생계비의 측정.
C E O P L A N 本 자료는 제한된 정보와 多數의 假定을 바탕으로 보편적이고 일반적인 기준에 의해서 작성된 바, 個個의 사안에 따라 실제 와는 차이가 있거나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本 자료는 참고 수준으로만 활용하시기 바라며 보다 구체적인 내용이 요구 되거나.
7 거시경제의 단기균형: 폐쇄경제.
거시경제에 관한 다섯 가지 쟁점 © 2007 Thomson South-Western.
생계비의 측정 © 2007 Thomson South-Western.
주가와 거시경제변수 목 차 발표자 Part I 소개 금리와 주가 인플레이션과 주가 부동산과 주가 통화량과 주가 결론
경영전략 실천 매뉴얼.
1.Keynes의 재화(생산물)시장모형 2.소비와 저축 3.투자
8 국제수지의 균형.
제1장 국민경제의 순환과 주요 거시경제 변수 조 장 옥.
삼안 인트라넷 메뉴얼.
2015 한국연구재단 글로벌박사 양성사업 변경사항 안내
러시아의 체제전환과 경제발전: 회고와 전망 (Ⅰ), (Ⅱ)
생계비의 측정.
중국은 평평하지 않다 차이와 격차 알아야 중국 사업 성공한다
제16장 공급사슬관리 1. 공급사슬관리의 개요 2. 생산/구매 의사결정과 아웃소싱 3. 구 매 4. 배 급
- Process 분석 기법 (As-Is, To-Be)
제 7 강 농 업.
Chapter 4 글로벌 시장 평가에서의 문화적 역동성 International Marketing 15th edition
통화량 증가와 인플레이션 © 2007 Thomson South-Western.
실물경제 따라잡기 재정과 물가.
개방경제의 거시경제 이론.
(제작자: 임현수)모둠:임현수,유시연,유한민
생산 > 생산관리 기본이론 Capacity.
교육행정 및 경영 제13장 교육재정 (화) 안 봉 직.
개방경제의 거시경제 이론.
국제금융.
다가올 미래는 신흥시장의 시대.
조세제도.
8 국제수지의 균형.
실험 8. 다이오드의 응용.
학 년 : 4학년 학 번 : 학 과 : 경영학과 이 름 : 이 인 성
Part6 개혁개방 박서 아.
Presentation transcript:

총수요와 총공급

단기 경기변동 대부분의 해에 재화와 서비스의 생산은 증가한다. 지난 50년 동안 미국의 총생산은 연평균 3% 증가했다. 어떤 해에는 성장률이 이보다 낮아서 경기후퇴가 발생했다. 경기후퇴 (recession)는 실질소득이 감소하고 실업이 증가하는 시기를 말한다. 경기침체(depression)은 심각한 경기후퇴를 말한다.

경기변동의 세 가지 중요한 특징 경기변동은 불규칙적이고 예측하기 어렵다. 불경기와 호경기가 반복되지만, 그 지속기간에는 일정한 패턴이 없다. 대부분의 거시경제변수들은 함께 움직인다. 소득, 지출, 투자, 건설 등이 변동폭은 다르지만, 거의 같은 방향으로 움직인다. 생산량이 감소하면 실업이 증가한다. 실질 GDP 변동과 실업률 변동 사이에는 마이너스 상관관계가 있다.

그림 33.1(a) : 미국 경제의 단기 경기변동 추이

그림 33.1(b) : 미국 경제의 단기 경기변동 추이

그림 33.1(c) : 미국 경제의 단기 경기변동 추이

부록 그림 33.1(a) : 경기변동 : 실질 GDP, 총투자, 실업률

부록 그림 33.1(b) : 경기변동 : 실질 GDP, 총투자, 실업률

부록 그림 33.1(c) : 경기변동 : 실질 GDP, 총투자, 실업률

부록 그림 33.1(d) : 경기변동 : 실질 GDP, 총투자, 실업률

고전학파 거시경제학의 가정 대부분의 경제학자들은 고전학파 이론이 장기적 현상은 잘 설명하지만 단기 현상은 잘 설명하지 못한다고 생각한다. 고전학파의 이론에 따르면 통화량의 변동은 장기적으로 실질변수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명목변수에만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화폐 중립성 가설은 경제의 단기 변동을 설명하는데 적절치 못하다.

경제의 통화량이 두 배로 증가하면 물가와 소득이 두 배로 증가하지만 실질 변수는 변하지 않는다. 고전학파 이론과 단기 경기변동 경제의 통화량이 두 배로 증가하면 물가와 소득이 두 배로 증가하지만 실질 변수는 변하지 않는다. 그러나 통화량 변동에 따른 경제변수의 변동은 즉각적으로 나타나지 않는다. 가격과 소득이 변동하는데 시간이 걸리며 이 기간 동안에는 통화량 변동이 실질변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단기 경기변동을 설명하는 두 가지 변수 단기 경기변동을 설명하기 위한 모형에 사용되는 두 변수 경제 전체의 재화와 서비스 산출량: 실질 GDP. 경제 전체의 평균 물가수준 : CPI 또는 GDP 디플레이터

총수요-총공급 모형 경제학자들은 장기추세선을 중심으로 한 단기변동을 설명하기 위해 총수요-총공급 모형을 이용한다. Time Economic activity Business cycle

총수요곡선과 총공급곡선 총수요곡선: 각 물가수준 (CPI로 표시)에서 가계, 기업, 정부가 구입하고자 하는 재화와 서비스의 수량 (GDP 로 표시)을 나타내는 곡선. 총공급곡선: 각 물가수준에서 기업들이 생산, 판매하고자 하는 재화와 서비스의 수량을 나타내는 곡선. 질문: 미시경제학에서 배운 수요-공급 곡선과 어떻게 다른가?

그림 33.2 : 총수요와 총공급

총수요곡선 총수요는 다음 네 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Y = C + I + G + NX 총수요곡선의 기울기는 왜 마이너스일까? 세 가지 이유 1. 소비: 자산효과 (wealth effect) 2. 투자: 이자율 효과 (interest rate effect) 3. 순수출: 환율효과 (exchange rate effect)

그림 33.3 : 총수요곡선

총수요곡선이 마이너스 기울기를 갖는 이유 소비의 자산효과 이자율효과 환율효과 물가가 하락하면 보유화폐 및 자산의 실질가치가 상승하고 소비자들이 더 부자가 된 것으로 생각하여 소비가 증가한다. 이자율효과 물가가 하락하면 이자율이 하락하고 이에 따라 차입비용이 감소하여 투자지출이 증가한다. 환율효과 물가수준이 하락하면 이자율이 하락하여 자국화폐의 실질환율이 절하되어 순수출이 증가한다.

총수요곡선이 이동할 수 있는 이유 총수요곡선은 물가수준에 대해 마이너스 기울기를 갖는다. 그러나 주어진 물가수준에서 다른 변수들도 재화와 서비스의 수요량에 영향을 미친다. 이들 변수 중의 어느 하나가 변하면 총수요곡선이 이동한다. 총수요를 구성하는 소비, 투자, 정부구입, 순수출이 변하면 총수요곡선이 이동한다.

총수요곡선의 이동 물가 수준 D2 P1 Y2 총수요 곡선, D1 Y1 산출량 Remove bullet in graph – graph needs no additional title??? 총수요 곡선, D1 Y1 산출량

표 33.1 : 총수요곡선 : 요약

총공급곡선 단기 총공급곡선은 물가수준에 대해 플러스 기울기를 갖는다. 장기적으로 한 나라의 생산능력은 그 경제의 부존자원의 양, 생산요소의 투입량, 기술수준, 법제도 및 정책능력에 달려 있다. 따라서 국내 총생산량은 물가수준과 무관하고 장기총공급곡선은 수직선이다. 장기 총공급곡선은 고전학파의 이분성과 화폐 중립성을 반영한다. 단기 총공급곡선은 물가수준에 대해 플러스 기울기를 갖는다.

그림 33.4 : 장기 총공급곡선

장기 총공급곡선 장기 총공급곡선은 자연산출량 (natural rate of output)에서 수직 자연산출량: 실업률이 정상상태, 자연실업률과 일치할 때의 재화와 서비스 생산량 잠재 산출량(potential output) 또는 완전고용 산출량(full-employment output)이라고도 한다. 경제의 산출량은 장기적으로 자연산출량에 수렴한다.

장기 총공급곡선이 이동할 수 있는 이유 장기적으로 그 나라경제의 자연산출량, 또는 생산능력을 변화시키는 변화는 곡선을 이동시킨다. 기술 진보 물적 자본의 축적 인적 자본의 축적 자연실업율의 상승

그림 33.5 : 총수요 · 총공급모형을 통해 본 장기 경제성장과 인플레이션 그림 33.5 : 총수요 · 총공급모형을 통해 본 장기 경제성장과 인플레이션

총수요-총공급 곡선을 이용한 장기 경제성장과 인플레이션의 설명 장기적으로 경제에 가장 중요한 변수는 기술과 금융(통화)정책이다. 단기 산출량과 물가수준은 장기 경제성장과 인플레이션 추세선으로부터의 이탈로 볼 수 있다.

단기 총공급곡선이 플러스 기울기를 갖는 이유 단기 총공급곡선은 플러스 기울기를 가진다. 물가수준이 상승하면 생산자들이 공급하고자 하는 재화와 서비스의 총 수량이 증가한다. 물가수준이 하락하면 산출량은 감소한다. 단기 총공급곡선의 기울기를 설명하는 이론 생산자들의 착각 임금의 경직성 가격의 경직성

그림 33.6 : 단기 총공급곡선

임금경직성 이론 명목임금은 경제여건 변화에 대응하여 천천히 변동한다. 따라서 단기에 경직적이다. 명목임금의 변화속도가 물가의 변화속도보다 항상 느리다 즉, 단기적으로는 임금 상승이 물가 상승을 따라잡을 수 없기 때문에, 실질임금이 낮아지고, 기업은 고용을 늘린다. 임금의 변화가 느린 이유는 단체협약 등 제도적 요인과 사회적 관행 때문

가격경직성 이론 가격이 높은 기업들의 판매량이 감소하여 이 기업들이 산출량을 줄인다. 임금뿐 아니라 많은 재화의 가격도 물가수준의 변화에 비해 느리게 변화한다 물가수준이 예상치 않게 하락하면 적정수준보다 가격이 높은 기업들이 있지만 여러 가지 이유로 가격을 즉각적으로 낮추지 않는다. 예를 들어, 메뉴비용이 있을 경우 일반 물가가 상승하여도 일부 기업이 가격을 올리지 않는다 가격이 높은 기업들의 판매량이 감소하여 이 기업들이 산출량을 줄인다.

착각이론 (misperceptions) 생산자들이 가격의 변화가 나타내는 신호기능을 잘못 해석할 수 있다. 즉, 자기 제품가격이 상승한 것을 보고 마치 자기가 생산하는 물건의 상대가격, 즉 실질 시장가치가 증가한 것으로 착각하여 생산량을 증가시킨다 새 고전학파의 이론

세 학설이 주는 시사점 세 학설 모두 단기적으로 사람들의 물가에 대한 인식(예측)과 실제물가가 다르면 산출량이 자연산출량과 달라질 수 있다고 본다. 산출량 공급량 = 자연산출량 + a (P –P e) 여기서 P = 실제 물가수준 P e = 예상 물가수준 그러나, 사람들의 반응은 장기적으로 합리적이므로 이러한 착각이 반복될 수 없다. 따라서 장기적으로는 총공급곡선이 수직이 된다.

다음 변수들이 변하면 단기 총공급곡선이 이동한다 단기 총공급곡선이 이동할 수 있는 이유 다음 변수들이 변하면 단기 총공급곡선이 이동한다 예상 물가수준 노동 자본 자연자원 기술

표 33.2 : 단기 총공급곡선 : 요약

그림 33.7 : 장기 균형

표 33.3 : 거시경제의 변동을 분석하는 4단계

경기변동을 분석하는 4 단계 어떤 사건이 총수요곡선을 이동시키는지 총공급곡선을 이동시키는지 결정한다. 어느 방향으로 곡선이 이동하는지를 판단한다. 그래프를 이용하여 최초 균형과 새로운 균형을 비교한다. 단기균형과 장기균형 및 단기에서 장기 균형으로의 이행 과정을 추적한다.

단기적으로 총수요곡선이 이동하면 경제의 산출량이 변동한다. 총수요곡선의 이동으로 인한 경기변동 단기적으로 총수요곡선이 이동하면 경제의 산출량이 변동한다. 장기적으로 총수요곡선이 이동하면 물가수준에는 영향이 있지만 산출량은 불변이다. 총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정책은 경기변동을 완화할 수 있다.

그림 33.8 : 총수요의 감소

그림 33.9 : 1900년 이래 미국의 실질 GDP

단기 총공급곡선의 이동으로 인한 경기변동 해로운 총공급충격으로 총공급곡선이 왼쪽으로 이동하는 경우 산출량이 자연산출량에 미달한다. 실업이 증가한다. 물가가 상승한다. 산출량이 감소하고 물가가 상승하는 현상을 스태그플레이션 (stagflation)이라고 한다 총수요를 조절해도 두 가지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없다.

그림 33.10 : 총공급의 감소

경기후퇴에 대한 대응책 아무런 정책개입을 하지 않고 물가와 임금이 조정되기를 기다린다. 금융정책이나 재정정책을 사용하여 총수요곡선을 이동시킨다.

그림 33.11 : 총공급의 감소에 대응한 총수요 확대 정책

모든 경제는 장기 추세선을 중심으로 단기 경기변동을 경험한다. 경기변동은 불규칙적이고 대체로 예측할 수 없다. 경기후퇴가 발생하면 실질 GDP와 다른 소득지표, 지출, 생산이 감소하고 실업은 증가한다.

고전학파 거시경제 이론은 명목변수들은 실질변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가정에 기초하고 있다. 대부분의 경제학자들은 이러한 가정이 장기적으로는 정확하지만 단기적으로는 그렇지 않다고 생각한다.

경제학자들은 총수요-총공급곡선을 이용하여 단기 경기변동을 분석한다. 이 모형에 따르면 경제전체의 재화와 서비스 생산량과 물가수준은 총수요와 총공급이 일치하도록 조정된다.

총수요곡선이 마이너스 기울기를 갖는 이유는 세 가지이다. 자산효과, 이자율효과, 환율효과 소비, 투자, 정부구입, 순수출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사건이나 정책은 주어진 물가수준에서 총수요곡선을 이동시킨다.

장기 총공급곡선은 수직이다. 단기 총공급곡선은 플러스 기울기를 갖는다. 단기 총공급곡선이 플러스 기울기를 갖는 이유를 설명하는 이론이 세 가지 있다. 명목임금의 경직성 이론, 물가의 경직성 이론, 착각이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