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교통중심의 친환경 도시개발방향 2010. 8. 18 정 성 봉.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Energy Demand and Supply Outlook 2040 APERC. Business as Usual Scenario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총 에너지 수요는 2040 년까지 50% 증가할 것으로 예상 에너지 수요의 증가는 수송부문의 수요 증가에 기인. 수송용.
Advertisements

⊙ 전기생산을 위해 공장마다 자가발전기를 구축하는 대신 발전소에서 전기를 받아 이용하는 것처럼, 클라우드는 IT·SW자원을 네트워크로 접속하여 이용하는 방식.
김기자실장 대지 위치 인천시 남동구 논현동 한화택지지구 상업용지 C2-3 대지 면적 1, ㎡ ( 평 ) 지구 / 지역 한화택지지구 상업지역 건축 면적 ㎡ ( 평 ) 건 폐 율 58.85% 주차 대수.
자유학기제와 예술교과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광 주 동 신 중 교사 국광윤. 예술교과 교육과정의 편성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 2009 개정 교육과정 (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성취기준 · 성취수준 지역 및 학교의 교육과정.
관계부처 합동. 보고순서 환경변화와 정부대책 안전인식 과 추진방향.
1 토지이용기반 통행수요관리 방안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이신해. 2 목 차 1. 토지이용과 교통 2. 통행수요관리 3. 토지이용기반 통행수요관리방안 4. 서울시 통행수요관리방안.
송도국제업무단지 ( 송도 신도시 ) 국내 신도시 중 최근 건 설 중인 도시 주변 도시 연계 교통망 녹지시설의 풍부함 주변 도시 연계 교통망 녹지시설의 풍부함 송도 신도시가 가장 유사사례 신도시 조건조건 조건조건 국내 도안신도시와 유사사례의 신도시 조건조건 조건조건 녹지공간교통수.
1. Ⅰ Ⅱ Ⅲ 국부고용창출 농림수산식품 산업의 선진화로 국부와 고용을 창출 자원관리 효율화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자원관리 효율화 국격제고미래준비 G20, 기후변화에 대응한 국격제고와 미래준비 경영혁신 소득증대 체질개선 미래준비 안전식품.
경상북도 신성장산업 육성계획 경북도청신청사 조감도 경상북도 창조경제산업실장 김학홍.
I I II III IV 목 차 I I 1. 인터넷의 어제와 오늘 Pre-Web 시대 Web 시대 Mobile & Social Internet 시대.
항공 예약 시스템 1 조 ( 김민철, 김영주, 이혜림, 장유정, 조윤주, 문하늘 ). 목차 차세대 전산시스템 도입의 필요성 현재 항공 시스템 ( 대한항공 ) 항공 시스템의 변화 미래항공 시스템.
상가분양자료 진접프라자 분 양 문 의 – – – –
73357 이미경. 대지위치 위치 : 여수시 중앙동 446 번 지일대 면적 : 1015 ㎡ 건폐율 : 60% 용적률 : 1300%
노인복지. Ⅰ. 노인복지서론 한국노인문제의 원인 노인의 인권 노인복지의 문제 1. 한국 노인문제의 원인 1. 인구의 급속한 고령화. 2. 핵가족화에 따른 노인세대의 분리. 3. 소가족화로 인한 전통 부양구조의 붕괴. 4. 현재 노인들의 노후준비 미비. 5. 산업사회에서의.
안전운행 정착 (S) 자립경영 구축 (M) 고객가치 극대화 (A) 지역발전 선도 (R) 조직문화 혁신 (T)
III. 순수관광 목적 방문지역별 여행 실태 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제주.
1 페이지 제 172 회 인천시의회 임시회 시 정 질 문 인천광역시의회 의원 강 창 규 ( 갈산 1·2 동, 삼산 1·2 동, 부개 3 동 ) ● 질문대상 : 인 천 광 역 시 ● 일 자 : 2009 년 3 월 13 일 ( 금 )
성공적인 혁신도시 건설방향 신 동 진 영남대학교 도시공학과.
중국 현지 연수 프로그램(5박6일) - 체계적인 벤치마킹 및 인프라 체험
테헤란로 이면 선릉역세권 업무용 빌딩 2013 INVESTMENT OPPORTUNITY 사옥/ 임대수익용 빌딩으로 적합 본건
로컬 푸드에 이어 로컬 에너지 시대로! 중앙집중형 지역자립형 발전소 수명 연장 분산화된 재생가능에너지 발전 의사소통과 통제향상
2008년 CreBiz 창업스쿨 교육내용 과정별 주요 교육내용 구 분 창업반 (기초과정) - 3주, 주2회 -
ㅊ. ㅊ ㅊ Telepresence Car 쉐어링 서비스 입주민 대상 카 쉐어링 서비스로 생활 편의성 극대화 Telepresence Car Sharing Service 입주민에게 단시간/단기간 동안 공용으로 차량을 사용함으로써 차량 유지비용 및.
남영아파트형공장 임대 안내문 2004 SHIN YOUNG ASSET CO., LTD.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TEHCHNOLOGY
Chap6. 유통경로설계 6.1 경로에 대한 고객욕구분석 1)입지의 편의성 2)대기시간 3)최소구매단위 4)구색(다양성)
2015년도 신기술 공공서비스 사업 통합 설명회 개최 안내 설명회개요 세부 일정 오시는 길
서울특별시 송파구 잠실동 베네빌딩 김상조부장 / Tel. 02)
2015 년 제1회 시 흥 시 사회조사 보고서 정보통신과.
양평동 동아 프라임 밸리 분양 안내자료 건축 개요 조 상 오 과장

- 사업의 수익증대와 마케팅 자질 및 전문성 향상을 위하여 교육 Ⅱ. 환경분석 - 거시환경분석
실거래가격을 활용한 유사가격권 구분방법 연구
제 3 장 유통 환경 1. 거시 환경 2. 소비자 변화.
종이팩 재활용 실태조사 홍수열/자원순환사회연대 정책팀장.
분석 기획 발굴 워크북 (템플릿)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 추진방안
서울시 중구 충무로 4가 일흥빌딩 5층 ☎ 02) 지하철 만족도 조사 서울시 중구 충무로 4가 일흥빌딩 5층 ☎ 02)
공원/녹지 김영록,한규환.
우리나라 관할해역의 해상 중력 (자력) 이상도
3 지식경영을 위한 인사·조직시스템 설계 현선해·차동옥 교수(성균관대학교 경영학부).
미세먼지 해결을 위한 생태교통의 필요성 (수) 14:00 한국농어촌공사 장화선 팀장
국가 간 불평등 현상과 해결방안 본 연구물은 학교 수업을 위해 개발된 것으로 교육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합동설명회 또는 합동공청회 (사업시행자-사전환경성검토 및 영향평가)
부동산 매물 소개 강릉시 연곡면 퇴곡리 소유자 연락처 : 010 –
발전적 변화를 도모하는 오순절 평화의 마을 사회복지 서비스 환경의 변화
Love경남 시사탐구팀 전문화교육 (화)15:10 경상남도자원봉사센터 이종은 / 녹색경남21추진협의회사무처장
기술보증기금.
Boiler Waste Heat Recycling System
주요 패턴 (한)문화방송 14 HY울릉도M 13 [ Bottom-Up ] 휴먼새내기체 12 [ Top-Down ]
네이버 CCL 도입 현황 및 계획 서비스정책센터 최인혁.
광명 의료복합클러스터 지식산업센터 분양.
잠실 파크리오 2008년 완공 66개 동, 6864세대 구성 18평, 25평, 32평, 33평, 45평, 46평, 51평
1. 교통의 개념 2. 교통체계 3. 도시교통의 특성 및 문제점
PBLIS 개발 필요성 대두 국민 의식의 변화 사회 환경의 변화 업무 효율성 제고 행정수요의 증가 다양한 정보 요구 신속한 정보 요구 국민 의식의 변화 PBLIS 개발 필요성 대두 정보 인프라 구축 전자정부 구현 정보화사회 도래 도면관리의 비효율 수작업 도면관리.
창의적 공학 설계 < 사용자 중심의 공학설계 > : Creative Engineering Design
핵심 교양 신,재생에너지와 자원재활용 화공생명공학과 이관영 교수.
< 대면평가 자료 작성요령 > 안녕하십니까! 창업진흥원 창업인프라팀입니다.
다문화교육론 호 원 대 학 교.
Ⅲ 세계 여러 지역의 문화적 다양성 4. 지역 문화의 특성 ① 다양한 지역 문화(1).
균형 성과표(BSC) Balanced scorecard.
장소 의미 장소의 특징 일상 생활이 이루어지는 구체적인 생활공간, 개인이나 집단의 경험과 인식에 바탕을 둔 공간
신곡 새샘터 도서관 개관 구축 및 운영보고 (화) 신곡초등학교.
5. 도시 재개발과 주민 생활의 변화 ② 도시 재개발 과정.
직지 BRT 도입 제안서 오송역 -> 충청대 -> 휴암동 -> 가경터미널 -> 공단입구 -> 충북대 입구 -> 사창사거리 -> 사직사거리 -> 충북도청 -> 청주시청 -> 청주대입구 -> 문화산업단지 -> 성모병원 -> 충북학생문화회관 –오근장역.
Smart Persnal Moblity Advertising
【기술보증기금】.
제 4 장 도시개발 과정.
경기복지거버넌스 시∙군 협력 실무회의.
생산 부문의 테마선정 착안사항 구 분 관 리 항 목 관 리 기 준 비 고 원가절감 인건비 인원/인건비
Presentation transcript:

대중교통중심의 친환경 도시개발방향 2010. 8. 18 정 성 봉

목 차 Ⅰ. 서 론 Ⅱ. TOD 국내도입 필요성 및 방향 Ⅲ. 국내교통정책 방향 및 문제점 목 차 Ⅰ. 서 론 Ⅱ. TOD 국내도입 필요성 및 방향 Ⅲ. 국내교통정책 방향 및 문제점 Ⅳ. TOD 효율적 추진을 위한 실천방안 Ⅴ. 결론 및 정책제언

에너지 절약적인 도시개발, 대중교통중심의 도시개발 등에 대한 필요성 대두 Ⅰ. 서 론 1. TOD (Transit Oriented Development) 도입 배경 1920년대 자동차 대중화 시대에 따른 교외화 진행(Suburbanization) ⇒ 자동차 중심의 지역개발 1960년대 도시확산(Urban Sprawl) ⇒ 대기오염, 에너지소비, 대규모 택지개발을 위한 환경훼손과 파괴 1970년대 2차례에 걸친 유류파동(Oil Shock) ⇒ 도시확산으로 인한 취약점 그대로 노출 2000년대 지구온난화 등의 환경문제 ⇒ 도시․교통부문의 지속가능한 발전 개념 강조 에너지 절약적인 도시개발, 대중교통중심의 도시개발 등에 대한 필요성 대두

도시확산을 방지 및 Smart Growth 실현 Ⅰ. 서 론 2. TOD 개념 및 특징 Calthorpe(1993)의 「The Next American Metropois」에서 처음 정립 고밀도 복합용도개발 지향 - 대중교통 정거장으로부터 반경 2,000ft의 보행 또는 자전거 통행거리 내에 상업 및 고용 중심지를 형성 - 그 외곽에 공공용지와 주택을 배치 - 이를 통해 자동차 없이 직장 및 상가-주택 간의 통행이 가능하도록 한 도시개발형태 도시확산을 방지 및 Smart Growth 실현

Ⅰ. 서 론 3. TOD 유사 개념 대중교통집중형 개발 (TFD : Transit-Focused Development) 대중교통기반 개발 (TBD : Transit-Based Development) 대중교통지원 개발 (TSD : Transit-Supportive Development) 대중교통마을 (Transit Village), 도시 오아시스 (Urban Oasis) 등의 개념이 대두 < 대구광역시 중앙로 대중교통전용지구 >

Ⅰ. 서 론 4. TOD 주요 요소 개선된 접근성과 환경성(Enhanced Accessibility and Environment) ⇒ 역으로부터 보행거리 내 주거, 상업, 직장, 공원, 공공시설 설치 친 보행자적 공간배치(Pedestrian Friendliness) ⇒ 지구내에는 걸어서 목적지까지 도달 가능 개선된 정주환경 확보(Improved Suburban Living) ⇒ 양질의 자연환경과 공지 보전, 대중교통 중심의 지역 재개발 촉진 공공안전, 치안의 개선(Public Safety) ⇒ 고밀도 집적 개발로 인한 안정성 있는 도시활동

Ⅱ. TOD 국내도입 필요성 및 방향 1. TOD 유형 입지와 기능에 따른 분류 개발방식과 입지에 따른 분류 - 도시형 TOD ⇒ 간선 대중교통 노선의 결절점 중심의 고밀도 상업․업무지구와 중고밀의 주거기능을 고려한 개발 - 근린주구형 TOD ⇒ 지선 및 순환기능을 담당하는 주요 버스 및 전철 중심의 중저밀 주거지역과 서비스, 소매, 오락, 그리고 공공시설 등이 복합적으로 결합된 개발 개발방식과 입지에 따른 분류 - 기성시가지 재개발 : Redevelopment TOD - 도시내부 충진형 개발 : Urban Infill TOD - 도시외곽 신개발 : New Urban TOD

Ⅱ. TOD 국내도입 필요성 및 방향 2. TOD 국내 도입 배경 및 필요성 사회·경제·문화적 여건 변화 - 환경보호 등에 대한 공감대 형성 -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요구 증대 - 가족구성의 변화 등 자동차 중심의 도시개발 ⇒ 혼잡증대, 환경오염, 교통사고 증가

Ⅱ. TOD 국내도입 필요성 및 방향 2. TOD 국내 도입 배경 및 필요성 (계속) 지속적인 도로건설 및 도시철도, 환승시설 개선 등 운영체계 개편, 교통혼잡 통행료 및 교통유발 부담금 징수, 주차요금 인상 등 교통수요관리대책 집행 ⇒ 교통위주의 개선대책 집행 ⇒ 여전히 혼잡 및 환경오염문제 심각 최근 신도시 개발 및 다양한 주택정책 추진 ∴ 토지이용계획과 교통계획의 결합필요성 증대 ⇒ 새로운 도시개발계획 및 설계기법으로서의 TOD 도입필요

Ⅱ. TOD 국내도입 필요성 및 방향 3. TOD 도입의 효과

Ⅲ. 국내교통정책 방향 및 문제점 1. 토지이용과 교통계획의 분리 토지이용계획과 교통계획의 추진주체간 협조체계 미비 - 국토, 주택 및 토지, 교통정책 시행부처의 다원화 국토정책 : 국토해양부 국토정책국(국토정책과, 지역정책과, 산업입지 정책과, 도시재생과, 녹색도시과, 도시정책과 등) 교통정책 : 국토해양부 교통정책실(종합교통정책과, 도시광역교통과, 도로정책과, 간선도로과, 광역도시도로과, 도로운영과, 첨단도로환경과, 철도정책과, 간선철도과, 광역도시철도과 등) 주택토지정책 : 국토해양부 주택토지실(주택정책과, 토지정책과, 택지개발과, 신도시 개발과 등)

Ⅲ. 국내교통정책 방향 및 문제점 < 국토해양부 조직도 >

Ⅲ. 국내교통정책 방향 및 문제점 2. 효율성 중심의 교통투자정책 도로위주의 투자정책

Ⅲ. 국내교통정책 방향 및 문제점 2. 효율성 중심의 교통투자정책 투자평가 시 이동성 위주의 효과척도로 사업추진여부 결정 - 통행시간절감편익 - 차량운행비용 절감편익 - 환경비용감소편익 - 사고비용감소편익 등 이로 인해 대중교통시설 관련 사업의 타당성은 저평가 - 2006년~2008년에 수행된 예비타당성 조사 결과비교 ⇒ 도로 : B/C≥1인 사업은 43.2%(총 74건 중 32건) ⇒ 철도 : B/C≥1인 사업은 16.7%(총 12건 중 2건) 도로의 경제적 타당성 확보율 철도의 2배 이상!

Ⅲ. 국내교통정책 방향 및 문제점 2. 효율성 중심의 교통투자정책 대중교통사업의 저평가 원인 - 편익발생 구조의 한계 : 도로의 혼잡감소로 인해 발생하는 효과가 편익의 대부분 차지 - 철도사업의 (-) 편익 발생 : 수단분담율 변화로 인한 사업시행전후의 이용자수 변화 - 도로사업비에 비해 철도사업비가 더 높음 ⇒ 도로(22개 사업평균) : 474.0억원/km ⇒ 철도(5개 사업 평균) : 618.2억원/km

Ⅲ. 국내교통정책 방향 및 문제점 3. 결절점 중심의 교통투자정책 한정된 역세권 위주의 개발사업 - 철도이용 편의증진 시설에 국한 - 적정 개발밀도 및 복합적 토지이용계획 미수립 - 주변 지역의 토지이용계획을 무시한 일방적 개발계획 수립 지역간 이동중심의 환승연계 부문에 집중 - 대다수의 대중교통정책이 중장거리 통행 편리성 향상에만 집중 - 인접지역개발을 감안한 중단거리 통행 편리성 향상은 상대적으로 미비 계획지역내 지속가능교통체계 구축 미비 - 주 교통수단과의 연계환승에만 관심 - 단위 지구 또는 개발권역 내의 친환경적·친보행자적 교통체계 개발 소홀

Ⅲ. 국내교통정책 방향 및 문제점 4. 정책방향과 집행내용 부조화 대중교통 수단분담율 제고를 위해 연계환승체계 구축 및 대중교통시설 증대에만 집중 ⇒ 대중교통간 수단전환 ⇒ 도로의 혼잡 감소효과 미미 일례로 서울시 BRT 도입으로 인해 기존 도로의 혼잡 가중 ⇒ 실제 승용차로부터의 전환 미미 효과적 대안? ⇒ 대중교통을 편리하게 만드는 정책도 중요하지만, ⇒ 승용차 이용을 상대적으로 더 불편하게 만들어 주는 정책이 적절 ⇒ 국외의 경우 승용차 진입 및 주차시설 제한 정책을 강력하게 시행

Ⅲ. 국내교통정책 방향 및 문제점 < 주차여부, 기점 및 차량대수에 따른 철도수단 선택확률 (TCRP Report 95, TRB, 2007) >

Ⅲ. 국내교통정책 방향 및 문제점 5. TOD를 위한 관련 법·제도 미비 개별 수단 및 시행주체, 계획대상 위주의 법체계 - 교통체계효율화법, 대중교통육성 및 이용촉진에 관한 법률, 도시재정비 촉진을 위한 특별법 등 ⇒ 이는 역세권 등 대중교통 결절점 중심의 계획수립과 시행만이 가능 토지이용중심의 법제도 및 계획 - TOD계획요소의 종합적인 적용 어려움 - 역세권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일반적 계획 - 대중교통 및 녹색교통 이용증진을 위한 구체적 계획 부재 ⇒ (지구단위 및 도시재정비촉진계획 등) 이로 인해 간선도로변 중심 개발

Ⅳ. TOD 효율적 추진을 위한 실천방안 1. 올바른 토지이용(Get the land uses Right) 대중교통지원 시설 확보 비대중교통 시설의 제한 역주변 복합시설 입주(고밀도 개발) 역주변 지원시설 배치 - 보행자, 자전거 이용자, 그리고 버스 및 환승 이용자 등을 포함한 설계

Ⅳ. TOD 효율적 추진을 위한 실천방안 2. 보행자 편리를 감안한 설계(Create Convenient Pedestrian Connections) 안전 및 편리성을 감안한 대중교통지구내 인도 및 횡단보도 설계 대중교통수단으로의 접근성 확보 - 대중교통수단까지 보행거리 최소화 - 대중교통수단까지 직접적인 접근성 - 보행도로의 선형 단절성 최소화(계단, 경사도) - 차량과 보행자의 분리

Ⅳ. TOD 효율적 추진을 위한 실천방안 3. 주차계획(Planning for Parking) - 과다한 주차시설의 경우 친 보행자 환경을 저해 - 과소한 주차시설의 경우 사업 및 근린지구 주변의 주차공간이 대중교통 이용자들의 주차로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것임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주차시설 공급기준이 필요 - Move it : 승강장으로부터 5~7분 거리에 주차시설 구비 - Share it : Time-of-day와 time-of-week 이용수요를 감안한 주차공간 설계 - Deck it : 단층보다는 복층구조를 가지도록 설계 - Wrap it : 역주변 토지이용공간이 목적지가 될 수 있도록 설계

Ⅳ. TOD 효율적 추진을 위한 실천방안 4. 대중교통우선 계획(Transit First Planning) - 일례로 샌프란시스코는 수년전 Transit First Policy을 입법화함 이를 위해서는 역주변 또는 주요 목적지 주변의 주차공간을 정비 - 워싱턴 D.C.는 단기주차와 공유주차를 제외한 역주변의 모든 주차공간제거를 계획 - 대신 자전거, 오토바이 등을 위한 주차공간은 확보 이 외에도 버스전용차로 도입, 대중교통위주의 도로 재설계 등 다양한 정책을 시행할 필요가 있음

Ⅳ. TOD 효율적 추진을 위한 실천방안 5. TOD 사례(Ballston Metro Station, Saratoga Country, NY) 아파트 건물 1층에 상가입주 인근지역 업무빌딩, 쇼핑몰 등 상업시설 입주 넓은 인도를 포함한 보행자 친화적 시설 도로 가운데 버스정차시설 확보 주차제한, 상대적으로 높은 주차요금 및 지하공간 활용

결국 친서민 주택과 관련된 TOD는 “Redevelopment TOD + 근린주구형 TOD” Ⅴ. 결론 및 정책제언 1. 국내 TOD사업추진 방향 기존 도시보다는 신도시에 적합(기존 도시의 경우 도심재생사업 시 적합) 계획도시의 입지적 특성을 감안한 도시 및 교통계획 수립 ⇒ 획일적 TOD 계획 지양 ⇒ 도시특성 및 기능, 주변교통체계를 감안한 유연한 개발계획 수립 정책지향적 친 대중교통정책 ⇒ 주차시설 및 승용차 진입 제한정책 등 강력한 대중교통정책 수립 수단간 연계․환승 강화 ⇒ 접근성 및 이동성 동시 확보 결국 친서민 주택과 관련된 TOD는 “Redevelopment TOD + 근린주구형 TOD”

Ⅴ. 결론 및 정책제언 2. TOD 효과적 추진을 위한 고려요소 보행자를 최 우선으로 한 도로 및 시설 설계 도심의 랜드마크로서의 철도역 개발 인접한 거리에 업무, 주거, 상업 등 다양한 복합이용시설을 배치 역주변 10분 거리에 고밀도, 고품질 개발 버스, 트램, 경량전철을 포함한 대중교통수단을 지원할 수 있는 시설확보 자전거, 스쿠터 등의 이용 편리를 감안한 설계 도심 또는 역 주변 10분 거리내 엄격한 주차 관리

Ⅴ. 결론 및 정책제언 3. 정책제언 효과적 TOD 추진을 위한 관련 법제도 정비 사업추진방식의 합리화 - 정부주도형 민간참여 유도 대중교통위주의 교통정책 시행 - 시민참여 유도, 강력한 자동차 수요관리 대책 마련 필요 효율적 TOD 추진을 위한 지침개발 - 캐나다의 Transit Oriented Development : Best Practices Handbook - 샌프란시스코의 BART : Transit Oriented Development Guidelines - 오스틴의 Transit Oriented Development Guidebook

참고문헌 1. 성현곤, TOD 활성화를 위한 교통부문 제도 개선방안(월간교통 2008년 2월호(통권 120호)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 성현곤, TOD 적용사례분석 : 로즐린-볼스톤 TOD와 미나토 미라이 21 개발사업, 월간교통 2007년 6월호 통권 112호 5. 권영종, 대중교통친화적 도시개발을 통한 교통수요관리, 버스교통 2007년 no. 15 6. 권영종, 파주 운정신도시 TOD 국제 워크숍, 월간교통 2006년 7월호(통권 101호) 7. 권영종, 대중교통지향형 도시개발과 교통체계 구축방안(2004), 기본과제(04-03) 8. 권영종, 대중교통지향형 도시개발의 추진과제와 전략(2004), KOTI 기획도서(20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