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 5 교수-학습의 이해.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자유학기제와 예술교과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광 주 동 신 중 교사 국광윤. 예술교과 교육과정의 편성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 2009 개정 교육과정 (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성취기준 · 성취수준 지역 및 학교의 교육과정.
Advertisements

시기별 학급경영의 평가 시기별 학급경영의 평가 1. 시기별 학급경영의 평가 분류 2. 시기별 학급경영 평가 내용 음악교육과 이해인.
강의 SKILL-UP 과정 신 현 호. 2 교육 개요 Ⅰ Verbal, Document, Visual Presentation 성공적인 강의스킬 실현 - 학습심리 -HRD 개요 - 교수 설계 & 교안 작성법 지식 - 교수의 제기법 - 교수매체 활용 - 강의.
Ch 2. Foundations of individual behavior
2007년 1학기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교육방법과 교육공학의 성격
블룸의 교육목표분류학 (Bloom’s Taxonomy)
학습 경험의 선정과 조직 교과목 : 교육과정 및 교육평가 담당교수님 : 최종근 교수님 조 원: 최현섭
제7장 학습과 행위수정.
사회자와 참여자의 역할과 책임 토론 사회자의 주된 역할 객관적인 입장에서 토론이 원만히 이루어지도록 공정하게 토론을 진행
Entity Relationship Diagram
밥 파이크의 창의적 교수법.
4장 교수설계 이론.
제3장 교육공학의 이론적 기초 3학년 교육공학 방송통신대학교 출석수업 3.1 학습이론 3.2 커뮤니케이션 이론 3.3 체제이론
관찰가능한 변화 & 구인(constructs)
Multi Intelligence Theory
분석적 사고 (Analytical Thinking)
교육 교육목적: Why ? 교육내용: What ? 교육방법: How ?.
미국의 특별활동 교육 박지혜 황아름.
1. 현대 생활과 응용 윤리의 필요성 2. 윤리 문제의 탐구와 실천 3. 윤리 문제에 대한 다양한 접근
Mind Map - 교육 공학 영역 분반 04 소속 음악교육과 학번 이름 장미희.
제2장 특수교육 교수방법의 이해 1.
피임이란?.
암 전이 억제 유전자 발굴 및 작동 기전 연구 (Nature지 4월 14일자 발표)
제 10 장 의사결정이란 의사결정은 선택이다.
제3장 교육공학의 이론적 기초 3학년 교육공학 방송통신대학교 출석수업 3.1 학습이론 3.2 커뮤니케이션 이론 3.3 체제이론
Multi Intelligence Theory
제 15 장 직무설계 15.1 노동인력관리 목적 최대의 성과 만족스러운 성과 의사결정 직무설계 충원수준 선발 훈련과 경력개발
인지주의 학습이론.
소비자행동론2(2001수업자료) 김기찬(가톨릭대 경영학부 교수)
실기교사방법론 <핵심요약 정리>
성이란 무엇인가? 대연중학교보건실.
사회복지조사론(7) 2006학년도 2학기.
자기계발과 학습혁명의 Key! 마인드맵 세미나! 직장인을 위한 디지털 업무역량 강화 프로그램!
국가 간 불평등 현상과 해결방안 본 연구물은 학교 수업을 위해 개발된 것으로 교육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2.3 학습이론(Ⅱ).
보건교육 강사 : 노희숙 교수.
인생과 신앙을 푸는 열쇠 “EQ” - Emotional Intelligence
논문작성을 위한 연구모형 설정 양동훈.
학습목표 PBL 문제를 만들고, WBL방식의 학습을 실시한다.
균형이진탐색트리 이진 탐색(binary search)과 이진 탐색 트리(binary search tree)와의 차이점
2부 2부 동 학 이 주 습 론 행 행 의 ↘ 3장 3장 Thorndike의 S-R 결합이론 ↘ 4장 4장
Problem-Based Learning
하이브리드 문화 현상 11조 윤주성, 이호, 허성녕.
제 5장 교수설계의 실제 - ASSURE 모델 적용
6. 교수설계이론 양 미 경.
김정숙 (고려대학교 2014년) 국어국문학과 한국어학 석사 1기 이 드미뜨리
「 All children have strengths 」
Chapter 3. 성격 및 사회성 발달.
바넘효과 [Barnum effect]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가지고 있는 성격이나 심리적 특징을 자신만의 특성으로 여기는 심리적 경향. 19세기 말 곡예단에서 사람들의 성격과 특징 등을 알아 내는 일을 하던 바넘(P.T. Barnum)에서 유래하였다. 1940년대 말 심리학자인.
협동학습 박세정.
음악 수업 & 수업 지도안.
자녀의 심리적 안정도에 미치는 부모요인 분석.
Chapter 10. 인지주의 학습이론.
여러 가지 집의 같은 점과 다른 점 비교하기 슬기로운 생활 2학년 1학기
광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 - 생각열기 – 지구 온난화 해결의 열쇠가 식물에 있다고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다문화교육론 호 원 대 학 교.
Chapter 2. 인지발달.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Adjustment to New Pressures) (New Self-Expectations)
의미론적 관점 * TV에서 ‘푸른 빛이 아닌 청자빛’이란 표현을 들었을 경우
상관계수.
제1장 행동수정 이론의 특징.
아동의 발달-행동주의이론.
문화심리학 동양심리학의 학문패러다임적 정위(正位).
교육 교육목적: Why ? 교육내용: What ? 교육방법: How ?.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제4장 행동주의이론.
알렌 인지 수준 판별검사와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판별검사의 상관관계
Chapter 2. 인지발달.
이학적 검사 학번 : 이름 : 이 윤 진 담당 : 김형민 교수님.
이 은 Tyler 교육과정 개발 모형 이 은
Presentation transcript:

Chapter 5 교수-학습의 이해

1. 교수-학습의 개념 교수 ‘가르치는 것’ instruction(가르침) Teaching(교수) -옛지식 전달 위주의 주입식 강의를 의미 --지금)학습지도의 의미

1. 교수-학습의 개념 학습 Learning (공부하는 것) 학습은 인간 행동의 변화에 초점을 두는 심리학의 한 영역 비교적 지속적인 변화가 행동상에 나타날 경우에 한 함

행동주의 심리학에서의 학습 자극과 반응의 결과 - 파블로프,손다이크, 스키너

학습이론(파블로브) 고전적 조건형성(개 실험) -종소리 들으면 침이 무조건 흘린다 무조건 반응

파블로브의 타액실험

손다이크의 시행착오설 학습은 습관의 형성이다. 미로상자실험

문제상자에서의 행동변화 양상

학습이론(스키너) 조작적 조건형성 - 스키너 Box 실험, - 강화(보상과 처벌)

스키너박스

형태주의 심리학파 퀼러, 코프카- 통찰에 의한 발견 레빈- 인주구조의 변화 톨만-학습이란 기호의 의미를 파악하는 일

학습이란? 경험이나 연습의 결과로서 바람직한 방향으로 변화시켜 가는 비교적 영속적인 과정

교수-학습의 차이 교수(독립변인) 학습(종속변인)-교수의 영향을 받는다. 심리실험에서 독립변인은 자극이 되고 그 자극에 대한 반응은 종속변인이 된다. 예) '청소년의 폭력에 관한 태도 유형 및 이에 미치는 영향’ 독립변인- 법교육, 사이버 폭력경험, 연령(학령) 예) 유치원교사의 응급처치 대처 현황 조사

1. 교수-학습의 개념 교수-학습의 차이점 1 교수에는 일정한 목표가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음 2 교수에서 가르치는 것은 하나지만 학습에서 학습자는 제각기 다르게 배움 3 교수에 관한 연구는 교실사태가 연구대상, 학습에 관한 연구는 동물이 대상 4 교수는 처방적이지만 학습은 기술적 5 교재와 교수와 학습이 일치될 때 비로소 좋은 수업

2. 교수-학습의 원리 자발성의 원리 1 학습자 자신이 스스로 학습에 참여하는 데 중점을 두어야 함 학습자 중심의 학습활동을 통해 학생이 자발적으로 참여 함으로써 그들의 원래 지니고 있는 잠재적인 능력을 개발·신장시킬 것을 강조 학습의 모든 가능성이 의존하고 있는 최후의 중심관계가 ‘자아’라는 원리에 입각한 것 2 개별화의 원리 교수-학습과정에서 학습자가 가지고 있는 각자의 개성 또는 개인차에 따른 지도방법이나 학습내용의 구성으로 개인적인 지도를 하는 것 능력별 집단편성, 개별학습지도, 무학년제 등으로 나타남

2. 교수-학습의 원리 3 사회화의 원리 학교교육을 통하여 학생들을 사회화함으로써 사회생활에 대한 객관적·실증적인 이해와 지식을 갖추게 함 사회생활에 참여시킴으로써 그 진보, 향상에 공헌하는 실천적인 능력을 얻게 하려는 데 그 목적임 4 통합성의 원리 교수-학습이 전인으로서의 인간형성을 위해서 종합적으로 다루어져야 한다는 것 오늘날 더욱 강조되고 있는 전인교육의 이념을 반영하는 것 교재의 통합, 인격의 통합, 지도의 방향 및 방법의 통합을 통해 구현될 수 있음

2. 교수-학습의 원리 목적의 원리 5 교육목표를 학생들의 발달 단계에 따라 학생중심으로 적합하게 표현하여야 한다는 것 학습자들이 뚜렷한 목표의식을 갖고 교수-학습에 임할 때 학습동기와 흥미는 유발되고, 자발적인 학습이 활발히 이루어짐 6 직관의 원리 어떤 사물에 대한 개념을 인식시키는 데 있어서 언어적 설명이나 교재를 통하여 가르치는 것보다는 구체적인 사물이나 현상을 직접 제시하거나 경험하게 함 시청각 자료 등과 같은 교육기기를 적절히 활용하는 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

3. 교수-학습의 성립요소 1) 교수-학습의 목적 2) 교수.내용. 학습자 3) 교수자의 역할 4) 학습자의 학습태도 5) 교수-학습의 환경

조이스(Joyce)와 베일(Weil)은 교수-학습의 목적에 따른 유형 3. 교수-학습의 성립요소 교수방법은 반드시 교수-학습의 목적에 따라 결정 교수-학습의 목적 교수-학습의 목적이 무엇이냐에 따라 교수방법이 달라짐 조이스(Joyce)와 베일(Weil)은 교수-학습의 목적에 따른 유형 사회적 상호작용 교수 모형 정보처리·인지 교수 모형 자아개발 교수 모형 행동수정 교수 모형

누가 가르치고 누가 배우느냐가 중요한 것이 아니고 3. 교수-학습의 성립요소 삼위일체가 중요 교수자․내용․ 학습자 한 요소가 특히 중심이 되어 교수-학습이 전개되어 왔음 교수자 중심 교수-학습 누가 가르치고 누가 배우느냐가 중요한 것이 아니고 무엇을 가르치고 무엇을 배우느냐가 중요하다.

3. 교수-학습의 성립요소 교수자 인성 특징이나 역할을 무엇으로 보느냐에 따른 탐색 교수자의 역할 철학자 동네 통장 장인 상사 코치 설명자 또는 해설자로서의 수업 예시자로서의 수업 조장자로서의 수업

3. 교수-학습의 성립요소 교수방법을 결정하는 데 매우 중요한 하나의 준거 틀 학습자의 학습태도 학습자의 욕구를 세 수준으로 구분 어쩔 수 없이 학습에 참여하는 물리·경제적인 욕구로서 이때의 학습태도는 순종적 사회적 욕구로서 이때 학습자들은 상호 간의 또는 교사와의 만남에 의미를 둠 자신의 내면적인 성장 발전을 중시하는 자아욕구

3. 교수-학습의 성립요소 미시적 : 1)학교환경 교수-학습의 2) 또래집단의 환경 환경 3) 교수자(가르치는 사람)의 심리적 환경 폐쇄적인 학교환경 --교수-학습과정이 사전에 구조화 --교수와 학습이 맹목적인 전달 제시와 수용의 관계로 전락 개방적인 학교환경 -- 교수자와 학습자의 요구가 존중 -- 교수자의 전문성이 극히 높이 존중됨

쉬는 시간

4. 교수-학습 이론들 교수관련이론 학습관련이론 부르너의 교수이론 손다이크의 학습의 법칙 캐롤의 학교학습모형 가네의 수업이론 글레서의 교수모형 아스벨의 유의미학습 프렌더스의 수업분석모형 학습관련이론 손다이크의 학습의 법칙 파블로프의 조건형성원리 스키너의 도구적 조건형성 퀠러의 통찰설 정보처리이론

4. 교수-학습관련 이론 교수관련 이론 Bruner의 교수이론 Carroll의 학교학습 모형 1 2 Gagné의 수업이론 Glaser의 교수 모형 3 4 Ausubel의 유의미학습 Flanders의 수업분석 모형 5 6

4. 교수-학습관련 이론 Bruner의 교수이론 1 학습의욕 지식의 구조 학습의 계열 강화 [Bruner]

4. 교수-학습관련 이론 Carroll의 학교학습 모형 2 지적 학습과 관련된 주요 변인들을 추출한 다음 그들 변인 간의 상호 관계를 기초로 하여 학교학습의 방안을 조직적으로 체계화시킨 것 학습의 정도에 대하여 그가 설정한 독특한 명제에서 출발 학습에 사용될 시간 학습의 정도 = f 학습에 필요한 시간 학습기회∙지속력 학습의 정도 = f 적성∙수업이해력∙수업의 질

Gagné의 수업이론(학습의 조건 4가지 전제) 4. 교수-학습관련 이론 Gagné의 수업이론(학습의 조건 4가지 전제) 3 1)학습된 능력은 수준이 낮은 것에서 높은 것으로 축적 2)지식은 위계적 축적된다 3) 복잡성의 정도에 따라 위계적으로 상이한 수준의 학습된 능력을 필요로 한다 4)효과적인 학습은 학습자의 지적 능력에 따라서 학습 유형을 달리해야 한다 [Gagné]

4. 교수-학습관련 이론 Glaser의 교수 모형 4 교수과정을 하나의 체제로 파악하고 그것을 네 개의 구성요소로 구분 교수목표 시발점 행동 교수 절차 성취도 평가 수업계열에 따라 학생들의 학습을 안내하고 조작한다는 것이 핵심 학습자의 행동을 계획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의식적이고 체계적인 노력의 과정을 교육의 과정으로 정의 복잡하고 정교한 교수 모형을 소화하는 데 선행지식으로서도 중요한 역할

4. 교수-학습관련 이론 Ausubel의 유의미학습 5 암기 위주의 기계적 학습이 아닌 유의미학습이 되어야 한다는 이론을 전개 1) 선행조직자 활용의 원리 2) 학습과정의 제시방법

4. 교수-학습관련 이론 Flanders의 수업분석 모형 6 언어 상호작용 분석 방법에 있어 수업 형태를 크게 두 가지로 구분(지시적 수업 형태, 비지시적 수업 형태) 수업 형태의 선택이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간에 여러 가지 요인과 관련되어 있으며, 특히 학급의 분위기가 그 시간의 목표와 관련성이 있음 학급에서 일어나는 교사와 학생의 모든 상호작용은 세 가지로 분류됨 교사의 말 학생의 말 작업

4. 교수-학습관련 이론 학습관련 이론 자극-반응 결합설 고전적 조건형성이론 1 2 도구적 조건형성이론 통찰설 3 4 정보처리 학습의 법칙 5 6

4. 교수-학습관련 이론 자극-반응 결합설 1 일반적으로 결합설이라 하는데, 이 이론의 효시로는 손다이크의 시행착오설을 들 수 있음 준비성의 법칙 어떤 행동을 행할 준비가 미리 되어 있을 때 행동을 취하면 만족감을 줌 연습의 법칙 상황 또는 자극에 대한 반응의 결합은 사용 횟수가 많으면 강화 [Thorndike] 효과의 법칙 반응의 결과가 만족스러우면 자극-반응 간의 결합이 잘 일어나고 불만족스러우면 결합은 약화

손다이크의 시행착오설 학습은 습관의 형성이다. 미로상자실험

4. 교수-학습관련 이론 고전적 조건형성이론 2 개 실험을 통하여 소화작용에 따른 침의 자동적 분비 현상을 연구하다가 직접적인 자극인 음식이 없어도 이에 관련된 실험에 의해서 침과 위액이 분비되는 것을 발견하여 조건형성에 관한 이론정립 파블로프는 개 실험을 통한 조건형성의 원리는 네 가지로 분류됨 [Pavlov] 시간의 원리 일관성의 원리 계속성의 원리 강도의 원리

파블로브의 타액실험

4. 교수-학습관련 이론 도구적 조건형성이론 3 고전적 조건형성이론을 받아들여 발전시킨 이론 의지를 지닌 자발적인 존재로 보았다는 점에서 고전적 조건형성이론과는 차이가 있음 스키너 상자에 의한 실험결과 지렛대를 눌러 먹이를 먹는 습관을 형성하게 되어, 도구적 조건형성이 이루어지게 됨 스키너는 파블로프의 조건반응을 자극과 직접 관련이 있다 하여 S형 조건화(S type conditioning)라 함 도구적 조건반응은 자극에 의한 반응이 간접적인 역할을 하여 행동의 재강화를 가져오는 것이라 하여 R형 조건화(R type conditioning)라 함 [Skinner]

스키너박스

4. 교수-학습관련 이론 통찰설 4 학습이 정신적 요소의 결합에 의한 것이 아니고 전체의 구조 속에서 문제를 파악하는 통찰적 행동, 즉 형태적 파악에 의하여 사태가 의미를 가지는 요소로서 구성되는 것 쾰러는 통찰에 관한 실험을 통해 문제해결 과정은 침팬지가 시간적·공간적으로 직접 연결되는 하나로 통합된 독자적인 과정인 통찰을 통해서 성립되어 일어나는 것 시행착오에도 다소 통찰이 작용하며 고등정신 활동에도 습관적 반응이 나타난다고 보는 것이 타당한 견해 [Khler]

통찰설 갑자기 '아하!'하고 깨우치는 것 A = B, B = C 라서 A = C 처럼 점진적, 수동적 X 주어진 정보들이 갑자기 조합되어 답이 떠오르는 것 침팬지 우리 바깥쪽에 바나나를 놓아두고 침팬지에게 하나는 짧고 하나는 긴, 연결이 가능한 막대기 2개를 주었더니 잠시 후 침팬지는 막대기를 길게 연결하여 바나나를 끌어당기는 데 성공 --- 통찰은 도구의 발견·사용·제작과정에서 자주 볼 수 있으며, 경험의 재구성 및 구조전환 등이 핵심이 된다. 갑작스런 발견, 반짝이는 통찰. 비약적

2009년 임용고시문제 통찰의 특징을 바르게 표현한 것은?? 1 점진적 사고과정의 결과이다 2 연역적 사고과정의 결과이다  1 점진적 사고과정의 결과이다 2 연역적 사고과정의 결과이다 3 비약적 사고과정의 결과이다 4 수동적 사고과정의 결과이다  

4. 교수-학습관련 이론 5 정보처리 학습과 기억을 설명하기 위해 내적 처리과정을 더 정교화시킬 것을 제안 내적 구조와 처리의 다양성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매우 큰 차이를 보이고 있음 인간의 학습과 기억은 현재 정보처리이론에 의하여 새롭게 해석 처음의 자극은 보거나 듣거나 혹은 다른 감각을 통해 우리의 두뇌 속으로 등록 감각기억 등록된 정보가 일시적으로 저장될 때 두 번째 변형이 일어남 단기기억 장기기억 저장된 정보를 인출하는 과정에서도 변형이 일어남

정보처리이론

4. 교수-학습관련 이론 학습의 법칙 6 교수-학습과 관련해 학습을 보다 효과적으로 촉진할 수 있는 법칙 학습자가 학습목표 달성 시 성공감을 갖고 다음 학습에 능동적으로 학습활동 전개 효과의 법칙 학습자가 학습을 할 수 있는 심신의 태세가 갖추어야 학습의 효과가 발생 준비성의 법칙 선행학습과 후행학습의 내용이 유사성을 가질 때 학습의 효과가 발생 접근의 법칙 학습자의 학습행위의 반복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학습효과가 높음 빈도의 법칙 개별성의 법칙 학습자의 개별적 능력과 성향에 따라 학습효과가 다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