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산여고 김광욱  VI. 지 구  태양계 탐사와 별 끝.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태양계 행성들의 특징. 수성 (Mercury) 첫번째 행성 지구의 1/3 크기 수성의 1 년 - 88 일 하루 - 59 일 수많은 분화구로 덮여있음 밤낮의 기온차 큼.
Advertisements

 과학  10 학년  Ⅴ. 지구 > 3. 태양계와 은하 > 4 / 9 행성의 표면과 대기의 특징은 어떻게 다른가 ? 행성의 표면과 대기의 특징은 어떻게 다른가 ?
1. 지구가 둥근 증거는 무엇일까 ? 지구가 둥근 증거 ( 고대 그리스 ) – 월식 때 달에 비친 지구의 그림자가 둥글다. – 먼 바다에서 들어오는 배는 윗부분부터 보 인다. – 북극성의 고도 변화 지구가 둥근 가장 확실한 증거 – 지구의 인공위성 사진 – 마젤란의 세계.
I. 우주의 기원과 진화 I-2. 우주의 진화 1. 별의 진화와 원소의 생성. 자연계에 존재하는 여러 가지 원소 별이 진화하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별의 진화 과정에서 무거운 원소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I-2. 우주의 진화.
목성에 대해서 서동우 박민수. 목성 목성은 태양계의 5 번째 궤도를 돌고 있습니다. 또 한 태양계에서 가장 큰 행성으로 지구의 약 11 배 크기이며, 지름이 약 14 만 3,000km 이다. 목성은 태양계의 5 번째 궤도를 돌고 있습니다. 또 한.
2011 학년도 1 학년 융합과학 수업자료 018 행성의 대기 두 사진의 차이점을 생각해 보자. 달 탐사를 대비하여 훈련 중인 우주인 달 탐사를 실제로 수행 중인 우주인 지구와 달에서 바라본 하늘의 모습을 살펴보자. 어떤 차이가 있는가 ? 그 이유는 무엇일까 ? 도입.
태양계 행성의 종류와 특징. 태양 태양계 행성의 종류와 특징 - 태양 - - 크기 ( 반지름 ) : 약 69 만 5000km - 질량 : 지구의 약 33 만 3 천배 - 구성 물질 : 수소, 헬륨 등 - 자전 속도 : 약 7400km/h ( 만약 태양이 지구같은 크기였다면.
소사벌 초등학교 5 학년 6 반 8 번 승현우 태양계의 탄생 먼지와 가스가 합쳐진 원시태양계 성운에 + 중 력이 가하여 핵반응을 일으키는 원시태양계를 모습으로 만들어졌다. 이후 또 커다란 빅뱅으로 현재의 태양개가 탄생 하였다. 그이후 태양계에서 수백억에 달하는 암석들이.
목차  1. 태양계 구성요소  2. 태양계의 의미 태양 지름은 지구보다 109 배, 질량은 약 33 만 배로 태양계 질량에 99% 를 차지하며 2 억년 주기로 은하계 중심을 공전하는 항성이다. 태양에서 나오는 빛과 열은 생명체에게 도움을 주어서 옛날엔 신 ( 아폴론,
2. 속력이 일정하게 증가하는 운동 Ⅲ.힘과 운동 2.여러 가지 운동. 도입 Ⅲ.힘과 운동 2. 여러 가지 운동 2. 속력이 일정하게 증가하는 운동.
태양계와 우주 제 9 주 2015 년 가을학기 우주는 무엇으로 만들어졌을까 ? 컴퓨터시뮬레이션학과 이형원, 장영실관 304 호,
I. 우주의 기원과 진화 4. 별과 은하의 세계 4. 분자를 만드는 공유결합. 0 수소와 헬륨 ?  빅뱅 0 탄소, 질소, 산소, 네온, 마그네슘, … 철 ?  별 별 0 철보다 더 무거운 원소들 …( 예 > 금, 카드뮴, 우라늄 …)?  초신성 폭발 원소들은.
1. 도형의 연결 상태 2. 꼭지점과 변으로 이루어진 도형 Ⅷ. 도형의 관찰 도형의 연결상태 연결상태가 같은 도형 단일폐곡선의 성질 연결상태가 같은 입체도형 뫼비우스의 띠.
외계행성과 생명 Extraterrestrial Planets and Life 년 1 학기 교수 : 이 상 각 25-1 동, 413 호 : 조교 : 신영우 25-1 동, 409 호 :
태양 행성계의 기원. 1. 원시 태양계 성운 2. 콰이퍼 대 천체와 미생성체 3. 티끌에서 미행성체로 4. 미행성체에서 원시 행성체로 5. 원시 행성체에서 지구형 고체 행성으로 6. 기체형 거대 행성의 고체 핵 - 기체 대기 모형 중력 불안정, 나선 밀도파의 형성 7.
태양 행성계의 기원 S.S.Hong _ 태양 행성계의 기원 1. 원시 태양계 성운 고밀 분자 회전 분자운 핵 ; 원시 태양계 성운, PROPLYD 의 밀도 구조 2. 콰이퍼 대 천체와 미생성체 콰이퍼 대 천체의 발견 ; KBO 의 궤도 ; KBO 의 종류.
우주공학 개론 손 명환 (Myong Hwan Sohn)
2011학년도 1학년 융합과학 수업자료 014 케플러의 법칙.
태양계 사진 모음 Solar System Photography
29장 자기장.
과학 행성의 운동.
I. 우주의 기원과 진화 I-2. 우주의 진화 1. 별의 진화와 원소의 생성.
태양계의 오늘과 원시 태양계 성운의 태동 S.S.Hong SNU,
3-4. 지열 에너지(geothermal energy)
1-3. 지구의 탄생과 진화(2)
5-2. 오존층의 역할과 파괴 오존층의 형성 생물의 출현  자유 산소 집적  오 존층 형성 자유 산소의 역할
Ⅱ. 지구의 변동과 역사 1. 지구의 변동 2. 지구의 역사 3. 우리나라의 지질.
OpenGL PROJECT I T S 우광식 성기영 서창수
별의 밝기와 거리[2] 밝다고 가까운 별은 아니야! 빛의 밝기와 거리와의 관계 별의 밝기 결정.
인간의 고향 - 별 : 별의 탄생.
태양계를 구성하는 천체들 1 학년 2 학기 과학 지구>01.태양계는 어떤 천체들로 구성되어 있을까?(1/7) 수업계획
SCIENCE 블랙홀 조원 : 박세현, 명수지, 심민호 11월 7일 수요일~11월 8일 목요일
학습 주제 p 밀도를 이용한 혼합물의 분리.
지구 환경은 어떻게 되어가고 있는가? 8조 노 범 식 이 승 용.
(생각열기) 거울과 일반적인 물체에서 빛은 어떻게 반사 되는가?
태양, 지구의 에너지 창고 교과서 87p~.
2차시: 달의 공전 지구과학
고리와 위성계.
별의 일생(Star Lives) 발표조: 9조.
OpenGL (spaceship movement) PROJECT 2012.
Ⅶ. 태양계의 운동 2-1.달의 위상 변화 화순중학교 이미현.
밀도 (1) 부피가 같아도 질량은 달라요 ! 밀도의 측정 밀도의 특징.
다면체 다면체 다면체: 다각형인 면만으로 둘러싸인 입체도 형 면: 다면체를 둘러싸고 있는 다각형
OPENGL PROJECT 별자리관측 이지은,정현정, 조은영, 황태량.
인간의 고향 - 별 : 별의 종말.
자원과 환경 제 4장. 태양 에너지
식물의 광합성 식물은 어떻게 영양분을 만들까요? 김 수 기.
Habitable Zone 으로 알아보는 외계 생명의 거주 가능 범위
4.4-3 대기 대순환 학습목표 1. 대기 대순환의 원인과 순환세포를 설명할 수 있다.
고리와 위성계.
제20강 유도전압과 인덕턴스 20.1 유도 기전력과 자기 선속 • 유도 기전력
3-5. 태양계와 행성(2).
Cause and Evidence Group 10.
(생각열기) 요리를 할 때 뚝배기로 하면 식탁에 올라온 후에도 오랫동 안 음식이 뜨거운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 이유는?
덴마크의 Herrzsprung과 Russell에 의해 고안된 태양 부근 별들의 표면온도와 절대등급 사이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별들이 몇개의 무리로 분류된다는 사실을 알았다. 후에 이것이 그들의 이름자를 딴 H-R도가 되었으며, 별의 분류와 그 특징을 알아보는 중요한.
행성을 움직이는 힘은 무엇일까?(2) 만유인력과 구심력 만유인력과 케플러 제3법칙.
1. 정투상법 정투상법 정투상도 (1) 정투상의 원리
광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 요인 - 생각열기 – 지구 온난화 해결의 열쇠가 식물에 있다고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학습 주제 p 끓는점은 물질마다 다를까.
P (2) 지구계의 구성 요소의 특징과 역할.
학습 주제 p 질량과 부피 측정 방법 알기.
3-7. 별의 밝기와 등급(1).
(생각열기)별의 색깔이 다르게 나타나는 이유는 ? 답 : 별의 표면 온도가 다르기 때문이다.
행성은 어떤 운동을 하고 있을까?(2) 케플러 법칙.
Ⅳ. 제도의 기초 1. 물체를 나타내는 방법 3) 물체의 표현 방법 (2) 입체도법 지도학급 : 태화중학교 1학년 4반
P 300.
3-8. 성단과 성운.
케플러 법칙.
소주제 에세이 쓰기: 둘 제21강_071120: 소주제 에세이 둘.
Ch. 11 각운동량(Angular Momentum)
Presentation transcript:

서산여고 김광욱  VI. 지 구  태양계 탐사와 별 끝

태양 둘레를 공전하는 모든 천체들이 차지하는 공간 태양계 탐사와 별 준비학습 (1) 태양계의 정의, 구성원, 크기 태양 둘레를 공전하는 모든 천체들이 차지하는 공간 태양을 비롯하여 지구와 동격인 9개의 행성 구 성 원 수천 개의 소행성, 행성에 딸린 60여 개의 위성 긴 타원 궤도를 그리는 혜성 태양이 태양계 전체의 질량의 99.9%를, 차지하므로, 태양계의 질량은 명왕성 궤도의 장반경인 40AU 이내에 모두 들어 있다.

태양계 탐사와 별 준비학습 (2) 태양계의 일반적인 특성 궤도 경사각 : 명왕성과 수성을 제외한 행성들의 궤도는 황도면을 기준으로 3.5°인 얇은 평면 안에 있다. 자전 방향 : 태양의 자전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태양 주위를 공전 행성의 자전축 : 공전 궤도면에 대체로 수직, 위성들도 대부분 공전면에 수직인 편이다. 고리(회전원반체) :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에서 고리가 발견됨 회전 원반체의 모습은 태양계의 중요한 특징으로 부각

준비학습 공전궤도

별 행성 태양계 탐사와 별 준비학습 (3) 별과 행성의 구별 핵융합 반응으로 스스로 빛을 낼 수 있는 천체를 우리는 별 또는 항성이라고 한다. 태양계에서는 태양만이 별이다. 행성 행성은 스스로 빛을 내지 못하지만 태양의 빛을 받아 반사 시키기 때문에 우리에게 밝게 보이는 것이다. 태양을 제외한 태양계의 모든 구성원들 은 태양으로부터 빛을 받아 일부는 반사하고, 나머지는 흡수했다가 적외선으로 다시 내놓는다.

태양계 탐사와 별 탐구 활동 (1) 우주선 탐사가 밝힌 행성의 표면

태양계 탐사와 별 탐구 활동 (2) 행성의 분류

태양계 탐사와 별 탐구 활동 (2) 행성의 분류 (크기)

태양계 탐사와 별 탐구 활동 (2) 행성의 분류 (질량)

태양계 탐사와 별 탐구 활동 (2) 행성의 분류 (밀도)

태양계 탐사와 별 탐구 활동 (2) 행성의 분류 (자전주기)

태양계 탐사와 별 탐구 활동 (2) 행성의 분류 (편평도)

태양계가 태어난 성간운을 우리는 원시 태양계 성운이라고 부른다 행성계의 모습이 회전 원반이라는 사실에서 태양계 탐사와 별 보조 학습 (1) 태양계의 형성 태양계가 태어난 성간운을 우리는 원시 태양계 성운이라고 부른다 행성계의 모습이 회전 원반이라는 사실에서 태양계는 회전하던 성간운이 중력 수축하여 만들어진 것이라고 추측된다

소행성대 근방을 경계로 안쪽에는 금속광물이나 규산염의 암석 물질이 그 바깥쪽에는 H2O, CH4, NH3 태양계 탐사와 별 보조 학습 (2) 얼음 분수령 소행성대 근방을 경계로 안쪽에는 금속광물이나 규산염의 암석 물질이 그 바깥쪽에는 H2O, CH4, NH3 등의 얼음 물질이 생성된다. 이 경제 지역을 얼음 분수령이라 함

태양계 탐사와 별 발전 (1) 행성의 대기 학습 금성과 화성의 표면 기압이 큰 차이가 나는 이유는? 금성은 두터운 대기층으로 둘러 쌓여 있는 반면, 화성에는 대기가 매우 희박하기 때문이다.

태양계 탐사와 별 발전 학습 (1) 행성의 대기 금성은 CO2의 온실 효과가 크기 때문에 행성 중 온도가 제일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