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절 해결중심이론 1. 기본가정 2. 주요원칙 3. 주요 개입 기술 4. 한계점 C반 박영주 박혜란 이은해 전우리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1) 문제 제기 : Not for ALL but for US 2) 프로젝트 목표.
Advertisements

궁금할 때 펴보는 기업윤리 Q&A 217 기업윤리 Q&A 전경련 사회공헌팀장 이 소원.
Nothing venture, nothing have! contents 회사소개 주요사업 주요고객사 개발실적 찾아오시는길.
LOGO 정규표현식 김영성. Company Logo Contents 1. 정규표현식이란 ? 2. 예제 소개 3. 예제 풀이 4. 참고자료.
INDEX Ⅰ. 新한류 열풍 Ⅱ. 한국 아이돌 성공요인 Ⅲ. 시사점 및 결 론 Ⅰ. 新한류 열풍 한국 아이돌 아시아 에서만 통한 다 ?!
1 철도건설기술 발전방향 철도교통의 방향 1) 철도설계의 특징 1) 철도설계의 특징 2) 철도 시설계획시 고려사항 2) 철도 시설계획시 고려사항 1) 철도의 사명 ( 역할 ) 1) 철도의 사명 ( 역할 ) 2) 분야별 ( 간 ) 개선사항.
프랑스 영화 ※ ‘ 프랑스 영화 ’ 의 이미지 - ' 재미없는 ' 영화 - 낯선 문화 코드 - 불안한 인물 심리 - 형식 실험 (ex. 산만한 줄거리 ) ☞ ‘ 재미없지만 뭔가 있는 ’, ‘ 예술 ’ 영화 …
III. 청년취업아카데미 소개. COPYRIGHT (C) 2011 LOTTE DATA COMMUNICATON COMPANY. ALL RIGHTS RESERVED. 2 실무 능력을 갖춘 우수한 IT 인력을 육성하여 협약기업에 추천하는 과정 추진 목적 교육을 통한 산업계.
Smart Grid SoongSil Univ. Electric Engineering 이종석 이정훈.
영어교육 서비스가이드 학습자 귀하.
성균관대학교 아동청소년발달증진연구소 박윤조
KUSITMS 6조 더 이상의 커플들의 고민은 없다! 고민을 날려줄 신개념 App 큐시즘 커플 조작단.
한국 경영학 교수인력 수급에 관한 연구 (사)한국경영교육인증원 연구책임자 : 김민수 공동연구원 : 김주엽
생명과학과 장형란 수학과 이선주 수학과 황민아
노동쟁의/파업 사례 전국철도노동조합 4조 이성화 이민경 박민 김승주 김태용.
인터넷 리더십 메 뉴 얼 2014 다음세대재단.
자가 진단법.
Pass the Ball Game 음악이 나오면 뒷사람에게 공을 전달합니다. 음악이 멈출 때 공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질문에 대답해야 합니다. 공을 던지거나 계속 가지고 있지 마세요~ Find the conversation question sheets (on many topics!)
Market Analyses 당신의 휴가를 책임져줄, 여행 App 백소연 윤병준 장다예 정현주 조원준 지혜림 최병수 최승호
제14장 가족대상 실천기술 사회복지실천기술론(전남련외)
측정(2) 측정도구 - 지표와 합성 측정 - 척도 구성 - 표준화된 측정도구.
Qman QMan QMan 이란? QMan은 문제등록 및 관리하는 프로그램으로 문제분류별 관리, 문제입력, 문항분석, 동영상, 이미지, 음성, 수식입력, 일괄입력 기능, 오류문제 수정 기능 등을 이용하여 편리하게 문제은행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신∙편입생 오리엔테이션 미디어영상학과 입학을 진심으로 축하합니다.
자기주도 학습 활용의 실제 - 동기 프로그램 중심
에어로플랜에 가입하기 1. Title Title을 입력한다. 성과 이름을 잘 구분하여 입력한다. 생년월일을 기입한다.
공개키 기반 구조에서 KT Single Sign-On 설계
연관관계 분석을 통한 스마트폰과 기능의 융합 분석 서강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 노미정, 김진화, 이재범.
오늘은 무엇을 배울까요? 구개음화 Palatalization.
BCG MATRIX 분석 경영학부 정상훈 경영학부 김미현.
인권의 이해.
제 3장. 창업의 핵심요소 : 기업가정신.
<부제>: 내 몸의 줄기 세포를 강화하여 무위자연의 방법으로 만병을 치유하는 원리.
치과 임플란트 시스템.
9강. JSP 본격적으로 살펴보기-I JSP 태그의 개념 이해 JSP 동작 원리 JSP 내부 객체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의 RBAC 기반 적응적 보안 관리 모델
발표, 토론 그리고 학술제 교육 : 황재원.
자바 5.0 프로그래밍.
1부 Ch.1 Politics and Human Society
아이디어 자극하기 말랑한 사고력 만들기.
제4장 경영전략.
정귀환, 주용식, 배강수, 윤철진직렬체WWJDNRL계
다섯째마당 수업시간은 재밌어!.
불편함의 Solution.
“1%의 Leader를 위한 영어 영재 교육원”
Department of Electrical Engineering
-보다 더 말하기 수업이 많아요? 네, 말하기 수업이 듣기 수업보다 더 많아요.
제4장 경찰과 그 법적 토대 3.경찰 작용법.
소아 알레르기 발표자: 김제범 김재운, 김은진, 김지윤, 김지혜.
Filter Seung Tae Ko.
제 3장 스트레스와 정신건강.
15.5 프로토 타입, 프로젝트와 인터페이스 ENVISION 프로젝트 CORE 프로젝트
Chapter 05. 사회복지실천의 이론.
’14년 B형간염 주산기감염 예방사업 질병관리본부 예방접종관리과.
김영수 교수 (숭실대학교 경상대학 벤처·중소기업학부)
청주 기적의 도서관 현황 1. 도서관 현황 청주기적의도서관은 2004년 7월 15일 개관하여 31,000여 점의 장서를 4,793 가족회원에게 일 평균 대출 579권 (회전율 5.22), 15개 프로그램을 운영 중. 도서관 현황 개관일자  2004년 7월 15일.
그리스도 안의 자유 멤버십 황금율.
(How your communication can inspire action and get results?)
발표자 : 조윤혜 발표일 : 담당 교수 : 성미영 교수님
AEROPLAN PASSWORD 재설정 방법
톡 튀는 컬러의 상큼한 오피스 톡 사무공간계획 토탈실내건축을 다녀오고 나서 김효선 류문경
회계학 공부, 어떻게 해야 하는가? 육지훈 (경영학박사 - 회계학전공).
운동시뮬레이션 제11주 통계역학, 상전이 그리고 아이징 모델 컴퓨터시뮬레이션학과 2016년 봄학기 담당교수 : 이형원
* 소방공학 도우미 상담소 * 2009년 장봉준.
ROUND 1 A K A K A K A K
보건의사소통 13주.
담당교수 : 신보성 교수님 종합설계발표 핸드피스 흡음제 신명호.
학 년 : 4학년 학 번 : 학 과 : 경영학과 이 름 : 이 인 성
전화 응대 업무 향상 전화 응대 향상을 목적으로.
Storytelling 마케팅에서 스토리텔링이 가지는 역할 강석원 공소희
제 2강. 정신건강과 적응.
Presentation transcript:

제2절 해결중심이론 1. 기본가정 2. 주요원칙 3. 주요 개입 기술 4. 한계점 C반 박영주 박혜란 이은해 전우리 해결중심이론 발표 시작하겠습니다. C반 박영주 박혜란 이은해 전우리

1. 기본가정 클라이언트는 자신이 무엇을 원하고 삶에서 어떤 변화가 일어나기 바라는지를 가장 잘 아는 전문가이다.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를 변화시키는 전문가가 아니라 클라이언트의 변화에 도움을 주는 자문가의 역할을 한다. 문제의 원인에 관심을 두기보다는 해결방안에 둔 다. 해결중심이론은 단기 치료의 대표적인 개입방법으로, 클라이언트 지향적인 접근방법입니다. 클라이언트를 자신의 문제를 가장 잘 아는 전문가로 인정하고, 동시에 문제해결의 주체로서 전문적 관계의 동반자로 생각하는 것이 해결중심이론의 가장 큰 특징 중에 하나입니다. 해결중심이론에 따라 클라이언트를 상담할 때는, 사회복지사 자신이 클라이언트를 변화시키는 전문가가 아니라, 클라이언트의 변화에 도움을 주는 자문가의 역할을 하는 것 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기본적인 가정입니다. 또한 해결중심이론은 문제의 원인보다는 해결방안에 관심을 둡니다.

1. 기본가정 사회복지사의 역할은 클라이언트가 문제해결을 위한 열쇠를 사용하도록 돕는데 있다.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의 관계는 협동적 동료관계이다. 작은 변화는 큰 변화의 모체가 되며, 해결을 위한 출 발이다. 또한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의 관계를 협동적 동료관계라고 인정하는 것이 해결중심이론의 주요 개념 입니다.

2. 주요원칙 ① 병리적인 것 대신, 건강한 것에 초점을 둔다. ② 클라이언트의 강점, 자원을 발견하여 치료에 활용한다. ③ 탈 이론적이며, 비규범적이며, 클라이언트의 견해를 중시한다. ④ 단순하고 가장 솔직한 의미를 추구한다. ⑤ 변화는 항상 일어나며, 불가피한 것이다. ⑥ 현재와 미래를 중시한다. ⑦ 클라이언트의 자율적인 협력을 중시한다. ⑧ 일단 효과가 있는 것을 알면 그것을 강화 한다. 이 해결중심이론의 주요 원칙은, 병리적은 것 대신, 건강한 것에 초점을 두고, 클라이언트의 강점, 자원을 발견해, 치료에 활용하고, 탈 이론적, 비규범적으로 , 이론과 규범에 탈피해 이론과 규범에 얽매이지 않고, 클라이언트의 견해를 중시합니다. 또한 클라이언트의 자율적인 협력을 중시하는데, 이는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가 함께 해결방안을 발견하고 구축하는 과정에서 특히 중요시됩니다.

3. 주요 개입 기술 1) 상담기법 ① 경청과 인정 기법 클라이언트의 강점과 능력에 관심을 가지고, 원하는 것을 계속 할 수 있도록 돕는 데 초점을 둔다. ② 호기심 갖기 기법 평가를 위해 정보를 수집하거나, 질문하지 않고, 클라이언트의 대답에 호기심을 가진다. 해결 중심 이론의 주요 개입 기술에는 상담기법, 해결 지향적 질문, 목표 설정하기, 메시지 작성과 전달, 과제부여하기가 있습니다. 먼저, 상담기법의 경청과 인정 기법은, 상담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인 기법으로,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간의 신뢰 형성에 기초입니다. 이는 클라이언트의 강점과 능력에 관심을 가지고, 원하는 것을 계속 할 수 있도록 돕는데 초점을 두는 기법입니다. 다음, 호기심 갖기 기법은 평가를 위해 정보를 수집, 질문하지 않고, 클라이언트의 대답에 귀를 귀울이고, 호기심을 가지는 기법입니다.

3. 주요 개입 기술 1) 상담기법 ③ 초대하기 기법 미래의 삶과 인생을 어떻게 살고 싶은지, 대화할 수 있도록 초대 초기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파악하기 위해 초대 상담 중 진전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표시가 무엇인지 파악할 수 있도록 대화에 초대 목적 달성 문제 해결 후 다음 초대하기 기법은, 상담을 부드럽게 하기 위한 기법으로, 상담 초기에는 미래의 삶, 인생을 어떻게 살고 싶은지, 이야기를 유도합니다. 상담 중에는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파악하기 위해 대화에 초대하고, 목적 달성, 문제 해결 후에는 진전 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표시가 무엇인지 파악할 수 있도록 대화에 초대합니다.

3. 주요 개입 기술 1) 상담기법 ④ 격려하기 기법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가 효과가 있는 것을 하도록 용기를 북돋아 주는 것을 중요하게 여기는 기법 마지막으로, 격려하기 기법은 클라이언트의 용기를 북돋아 주는 것을 중요하게 여기는 기법으로, 클라이언트가 효과가 있는 것을 하도록 유도합니다.

3. 주요 개입 기술 2) 해결 지향적 질문 ① 첫 면담 이전의 변화에 관한 질문 클라이언트는 문제가 심각할 때 혹은 더 이상 참거나 견디지 못할 때 도움을 요청하며, 이후 첫 면담까지의 시간 동안에 변화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변화를 파악하는 것이다. 다음은 해결 지향적 질문하기 입니다. 클라이언트는 문제가 심각할 때 혹은 더 이상 참기 힙들 때, 도움을 요청하기 때문에, 이후, 첫 면담까지의 시간 동안에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때문에 이러한 변화를 파악하는 것으로, 클라이언트가 처음 전화를 걸거나, 약속시간을 정한 후부터 처음 면담에 왔을 때까지 변화된 것이 있는지를 묻습니다.

3. 주요 개입 기술 2) 해결 지향적 질문 ② 예외질문 (exception question) 문제해결을 위해 성공적으로 잘 하고 있으면서도 의식하지 못하고 있거나 가치를 두고 있지 못하는 것을 발견하고, 사회복지사가 의식적이고 의도적으로 성공하였던 클라이언트의 행동을 강화시키는 기술이다. 두번째 해결 지향적 질문은 예외질문하기 입니다. 문제해결을 위해 클라이언트가 잘 하고 있는 행동이면서도, 클라이언트 자신이 자각하지 못하고 있을 때, 그 행동을 발견해주어, 의식적이고 의도적으로 그 행동을 강화시켜 주는 기술입니다.

3. 주요 개입 기술 2) 해결 지향적 질문 ③ 기적질문 (miracle question) 문제가 해결된 미래에 대해 상상하도록 함으로써 클라이언트가 안도감, 희망, 용기를 갖도록 하는 것이다. 세번째 기술은 기적질문입니다. 이는 문제가 해결된 미래에 대해 상상하도록 함으로써, 클라이언트가 안도, 희망, 용기를 가지도록 하는 것입니다.

3. 주요 개입 기술 2) 해결 지향적 질문 ④ 척도질문 (scaling question) 문제의 심각한 정도를 사정하고, 치료목표 성취 정도를 측정하고, 결과를 구체적으로 평가하는데 있어 구체적인 수치를 사용하여 그 정도를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질문이다. 네번째 기술은 척도질문입니다. 이 기술은 문제의 정도와 치료 목표 성취 정도를 구체적인 수치를 사용, 그 정도를 표현하는 기술로, ‘오늘, 지난주, 지난달’과 같이 시간을 제한하여야 클라이언트의 이해를 보다 더 쉽게 할 수 있습니다. 또한, 현재와 미래에 관하여 초점을 두고, 과거에 초점을 두지 않습니다.

3. 주요 개입 기술 2) 해결 지향적 질문 ⑤ 대처질문 (coping question) 클라이언트가 절망적인 상황에서도 잘 견디어 내어 더 나빠지지 않은 것을 강조하고 위기에서 살아남기 위해 대처해 온 방법을 파악하고, 그것을 인식, 강화, 확대하기 위해 활용하는 기술이다. 다섯번째 질문은 대처질문입니다. 이 질문중에는 클라이언트가 절망적인 상황에서도 더 나빠지지 않은 것을 강조하며, 위기에서 살아남기 위해 대처해 온 방법을 파악, 그것을 인식, 강화, 확대하기 위해 활용하는 기술 입니다.

3. 주요 개입 기술 3) 목표 설정 * 목표의 기능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가 클라이언트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노력하는 것을 의미 -상담의 종결시기를 알 수 있음 -결과를 사정 할 수 있게 한다. 다음은 목표설정입니다. 사회복지사는 상담의 목표를 잘 정의하는 것이 중요한데, 목표는,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가 클라이언트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노력하는 것을 의미 합니다. 또한, 목표는 상담의 종결시기를 알 수 있게 하며, 결과를 사정 할 수 있게 합니다.

3. 주요 개입 기술 3) 목표 설정 ① 클라이언트가 상담을 통하여 원하는 것이 무엇이라고 말하는가? ②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것이 그들에게 어떻게 변화를 줄 수 있는가? ③ 클라이언트가 자신이 원하는 것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는가? ④ 클라이언트는 그들이 지금 원하는 것을 얼마나 경험하고 있는가? 목표 설정 과정에서 사회복지사는 다음 네 가지 영역을 다루는 데, 클라이언트가 상담을 통해 원하는 것이 무엇이라 말하는가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것이 그들에게 어떤 변화를 주는가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것을 위해 노력하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는가 클라이언트는 지금 원하는 것을 얼마나 경험하고 있는가를 다룹니다.

3. 주요 개입 기술 4) 메시지 작성과 전달, 과제 부여 -짧은 시간을 이용, 메시지를 준비 -클라이언트의 즉각적인 반응으로부터 벗어나, 객관적 사고를 하고, 사회복지사의 메시지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사회복지사는 짧은 시간을 이용하여 메시지를 준비합니다. 함께 일하는 치료 팀이 없는 경우에도 사회복지사는 상담시간 도중이라도 잠시 중단하고, 치료과정을 검토하면서 적절한 메시지와 과제를 준비하는 것이 효과적 입니다.

3. 주요 개입 기술 (1) 메시지 작성과 전달 -메모지에 기록한 내용을 천천히 신중하게 읽고, 설명하면서 전달 한다. -메시지내용이 클라이언트에게 도움이 되고 좋은 것임을 알게 해야 한다. -칭찬을 할 때는 관계성과 근거를 가지고 해야 한다. -클라이언트의 목표에 동의하고 긍정적인 방법으로 말한다. -클라이언트에게 잠재적인 능력과 가능성이 있음을 강조한다. 다음은, 상담 중과 후에 작성한 메시지를 잘 전달하는 기법으로, 메모지에 기록한 내용을 천천히 신중하게 설명하면서 전달하고, 칭찬을 할 때에는 관계성과 근거를 가지고 하며, 클라이언트의 목표에 동의하고, 긍정적인 방법으로 말하고, 잠재적인 능력과 가능성이 있음을 강조합니다.

3. 주요 개입 기술 (2) 과제부여 클라이언트에게 생각, 관찰, 확인, 작은 것 행동하기 등과 같은 과제를 부여 *과제는 항상 잠재적이거나 해결해야 하는 문제가 해결되는 방향으로 이끄는 것이어야 한다. 다음은 과제 부여하기 입니다. 사회복지사는 상담 후에 생각, 관찰, 확인, 작은 것 행동하기 등 과 같은 과제를 부여합니다. 과제는 항상 잠재적이거나 해결해야 하는 문제가 해결되는 방향으로 이끄는 것이어야 합니다.

4. 한계점 ①해결중심이론에 근거한 접근방법은 여러 기법의 배합 혹은 절충주의적 접근으로 보려는 경향이 있다. ①해결중심이론에 근거한 접근방법은 여러 기법의 배합 혹은 절충주의적 접근으로 보려는 경향이 있다. ②문제의 원인을 해결하기보다는 임시대응적인 응급책으 로 여긴다. ③해결중심이론을 활용하려는 사회복지사들은 이모델을 적용하는 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④다른 전문가들과 협력하는 것이 쉽지 않다. ⑤클라이언트에 따라 상담하러 오는 시간 간격이 다르므 로 사회 복지사의 업무 일정을 계획하고 실행하는데 어 려움을 겪는다. 마지막으로, 해결중심 이론의 한계점입니다. 해결중심이론은 단기치료 접근방법이면서, 장기치료와 비슷한 치료의 효과가 있는 점과 클라이언트 중심의 관계 및 협조를 활용하고, 클라이언트의 장점을 파악한다는 점에서 많은 유용성이 있지만, 문제의 원인을 해결하기보다는 임시대응적인 응급책으로 여기며, 해결중심이론을 활용하려면 사회복지사의 적응기간과 노력이 많이 필요하고, 또한 다른 전문가들과 협력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한계점을 가집니다. 이상으로 해결중심이론 발표를 마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