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육. 스포츠 철학.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2. 속력이 일정하게 증가하는 운동 Ⅲ.힘과 운동 2.여러 가지 운동. 도입 Ⅲ.힘과 운동 2. 여러 가지 운동 2. 속력이 일정하게 증가하는 운동.
Advertisements

자유학기제와 예술교과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광 주 동 신 중 교사 국광윤. 예술교과 교육과정의 편성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 2009 개정 교육과정 (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성취기준 · 성취수준 지역 및 학교의 교육과정.
- 안전교육 - 어린이집 ( 어린이집 ) 버스 이용 시 주의점. 1. 어린이집에서 멀리 또는 가까이 사는 친구들을 집에서 어린이집까지 빠르고 안전하게 데려다 준다. 2. 견학이나 나들이 활동 시 편하고 안전하게 데려다 준다. ( 어린이집 ) 버스의 필요성 -> 버스를.
ICT 기반 베이비붐 세대 창업 사업계획서 작성양식. 목차 1. 창업 동기 2. 지원 동기 3. 자체역량 분석 4. 시장 전망 5. 재무 분석 6. 창업자 및 경영진 준비하시는 사업 특성에 따라 목차 및 세부내용의 일부 변경 ( 추가 및 Skip) 은 가능합니다.
우주공학 개론 손 명환 (Myong Hwan Sohn)
심리학 개론 언어재활과.
Trend Watching 과정 (주) 미래인재개발원 변화의 시대를 읽자!
1. 실험 목적 회전축에 대한 물체의 관성모멘트를 측정하고 이론적인 값과 비교한다 .
요한복음 3:16.
소금물과 설탕물 의 농도를 측정하는 간이 비중계 만들기 제북교 영재학급 5학년 김수용
역학 혁명 2: 데카르트와 뉴턴.
1-1 일과 일률.
TRIZ 와 방법론 직관력 경험 TPM ,TQM 통찰력 지식 6Sigma TRIZ 빠뜨리는것 +α Check 방법론 방법론
Multi Intelligence Theory
잠재력의 발견
최현진 정경대학 정치외교학과 국제정치론 2014 가을학기 제1주(2) 최현진 정경대학 정치외교학과
일(Work)과 역학적 에너지(Mechanical Energy)
인생태도 욕구 이론 기본적 인생태도의 개념 : 양친과의 스트로크를 바탕으로 하여 배양되는 자기나 타인 또는 세계에 대한 기본적인 반응이자 태도이다. 또는 그것에 기인하는 자기상(自己像)이나 타인상(他人像)을 말하며 기본적 인생태도 대부분은 부모로부터 어떠한 스트로크(긍정적,
인간행동과 심리학 15. 뇌과학의 응용.
1. 현대 생활과 응용 윤리의 필요성 2. 윤리 문제의 탐구와 실천 3. 윤리 문제에 대한 다양한 접근
Ch. 2 Force.
Ⅱ. 지구의 변동과 역사 1. 지구의 변동 2. 지구의 역사 3. 우리나라의 지질.
별의 밝기와 거리[2] 밝다고 가까운 별은 아니야! 빛의 밝기와 거리와의 관계 별의 밝기 결정.
제1장 통계학이란 무엇인가 제2장 자료와 수집 제3장 자료 분석 방법
V. 인류의 건강과 과학 기술 Ⅴ-1. 식량자원 3. 식품 안전성.
Human Movement.
힘이 작용할 때의 물체의 운동은? 본 차시의 주제입니다.
Multi Intelligence Theory
태양, 지구의 에너지 창고 교과서 87p~.
프랙탈 넌 누구냐?! 한림초등학교 수학’과학영재 현승환.
성이란 무엇인가? 대연중학교보건실.
정다면체, 다면체와 정다각형, 다각형의 관계 한림초등 학교 영제 6학년 5반 송명훈.
테셀레이션(tessellation) 테셀레이션(tessellation) 이란 마루나 욕실 바닥에 깔려 있는 타일처럼 어떠한 틈이나 포개짐이 없이 평면이나 공간을 도형으로 완벽하게 덮는 것을 말한다.
합집합과 교집합이란 무엇인가? 01 합집합 두 집합 A, B에 대하여 A에 속하거나 B에 속하는 모든 원소로 이루어진 집합을 A와 B의 합집합이라고 하며, 기호 A∪B로 나타낸다. A∪B ={x | x∈A 또는 x∈B}
P 등속 직선 운동 생각열기 – 자동차를 타고 고속도로를 달릴 때, 속력계 바늘이 일정한 눈금을 가리키며 움직이지 않을 때가 있다. 이 때 자동차의 속력은 어떠할까? ( 속력이 일정하다 .)
위치 에너지(2) 들어 올리기만 해도 에너지가 생겨. 탄성력에 의한 위치 에너지.
학습 주제 p 운동 에너지란 무엇일까?(2).
중등용 몸으로 말해요.
끓는점을 이용한 물질의 분리 (1) 열 받으면 누가 먼저 나올까? 증류.
01 로그의 정의 ⑴ 일 때, 양수 에 대하여 을 만족시키는 실수 는 오직 하나 존재한다. 이때 를
국제관계의 이해 제1강. 국제정치란 무엇인가? 신라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이 동 윤.
P.346~P 과학 철학과 현대 사회 – 3. 과학기술자들이 갖추어야할 윤리 발표자 : 신상목
김정숙 (고려대학교 2014년) 국어국문학과 한국어학 석사 1기 이 드미뜨리
「 All children have strengths 」
물리 현상의 원리 TIME MACHINE.
햄버거가 만들어내는 사회·생태적 문제는?.
비열.
사이클로이드실험을 하고 느낀점.
행성을 움직이는 힘은 무엇일까?(2) 만유인력과 구심력 만유인력과 케플러 제3법칙.
학습 주제 p 끓는점은 물질마다 다를까.
쉽게 배우는 알고리즘 2장. 점화식과 점근적 복잡도 분석
다문화교육론 호 원 대 학 교.
환경결정론의 효시, 프리드리히 라첼 (Friedrich Ratzel, 1844~1904) 인문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3-7. 별의 밝기와 등급(1).
(Adjustment to New Pressures) (New Self-Expectations)
3.3-2 운동 에너지 학습 목표 1. 운동에너지의 정의를 설명할 수 있다. 2. 운동에너지의 크기를 구할 수 있다.
웹 사이트 분석과 설계 [디자인 리서치] 학번: 이름 : 홍지애.
하나님의 말씀 이스라엘이여 여호와의 구원을 너는 행복한 사람이로다 그는 너를 돕는 방패시요 너 같이 얻은 백성이 누구냐
경동대학교 건축토목공학부 교수 디자인기초 7주차 경동대학교 건축토목공학부 교수
제1장 행동수정 이론의 특징.
7. 힘과 운동 속력이 변하지 않는 운동.
자기유도와 인덕턴스 (Inductance)
유체 밀도와 압력 고체 물질의 상태 유체 액체 기체 플라스마 유체 흐를 수 있는 물질 담는 그릇에 따라 모양이 정해짐
Chapter 1. 이산수학의 개요.
문화심리학 동양심리학의 학문패러다임적 정위(正位).
CHAPTER 1 미생물과 미생물학.
교육 교육목적: Why ? 교육내용: What ? 교육방법: How ?.
꽃잎의 수로 피보나치 수열하기 장전초등학교 6학년 신찬유.
피보나치수열에 대하여 한림초 5학년 신동오.
Presentation transcript:

체육. 스포츠 철학

체육(Physical Education)이란? 체(體) + 육(育) = 몸과 관련된 교육(신체에 관한 교육) 일상언어: ‘운동’ 의 의미로 사용 계획된 신체활동을 통한 인간행동 변화의 총체

철학(Philosophy)이란? ‘Philos’(love: 사랑) + ‘Sophia’(wisdom: 지혜)의 복합어 “지혜의 사랑”(the love of knowledge and wisdom) 인생이나 우주에 대해 진리를 탐구하는 학문 세계를 보는 시야, 즉 근본의 진리를 다루는 학문 [고대 그리스] 학문자체= 철학 철학=학문 철학자=수학자=과학자

철학(Philosophy)에 대한 관심 ‘근본으로의 회귀’를 의미함 철학은 과학이 해결할 수 없는 문제에 대하여 총괄적인 해석과 결단을 가능하게 함

체육∙스포츠 철학이란? 체육∙스포츠의 모든 이론을 발달시키기 위해 철학의 여러 원리나 학설을 체육학에 이용한 응용학문

체육∙스포츠 철학의 역할 체육, 스포츠가 무엇인지에 대한 명확한 정의를 내리고, 인간은 왜 체육, 스포츠를 해야 하는가를 연구·규명 무엇이냐?(What is) & 왜?(Why) 즉, ‘언어를 분석하고 개념을 명백히 하는 학문’ 체육∙스포츠를 연구·교육하는데 있어 모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안내자, 지침서의 역할 연구의 핵심!!

체육과 철학의 공통점 체육과 철학의 대상은? 동물? 인간? 동물: 먹고, 자고, 싸기만 함, 목적이 없는 삶 체육과 철학의 대상은? 동물? 인간? 동물: 먹고, 자고, 싸기만 함, 목적이 없는 삶 인간: '생각하는 존재이기에 의미·목적이 있는 삶을 추구

철학과 과학 철학과 과학 철학: What, Why 에 대한 시도이며 목적(사색, 비평, 분석) (철학적 질문·대답) 수치환산 불가능!! ‘사변적인 접근’을 요구하는 문제를 다룸 과학: How 라는 질문에 대한 대답이며 방법 (과학적 질문·대답) ‘수’로서 환산 가능!! 실험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문제를 다룸

철학과 과학 철학과 과학 [철학적 질문] 왜 달리는가? [철학적 답변] 대답이 모두 다르다! [철학적 질문] 왜 달리는가? [철학적 답변] 대답이 모두 다르다! [과학적 질문] 어떻게 해야 잘 달리는가? [과학적 답변] 일반화 된 대답이 나온다!

철학과 과학 철학과 과학은 무엇인 먼저일까? 철학? 과학? 만류인력의 법칙(사유) 아르키메데스의 원리(직관에 의해 발견) 철학? 과학? 만류인력의 법칙(사유) 아르키메데스의 원리(직관에 의해 발견) 철학적 관점: 전통, 경험, 이해, 사유 등이 바탕을 이룸

철학과 과학 만유인력의 법칙 아르키메데스의 원리 한 물체가 어떤 액체 속에 잠길 때, 그것이 흘러나온 액체의 질량을 가진 모든 물체는 두 물체 사이에 질량의 곱에 비례하고, 두 물체의 질점 사이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는 인력이 작용한다는 법칙 1665년, 영국, 아이작 뉴턴이 발견 아르키메데스의 원리 한 물체가 어떤 액체 속에 잠길 때, 그것이 흘러나온 액체의 무게와 똑같은 부력으로 떠오른다는 원리. 부력의 원리하고도 함 시라쿠스의 왕 히에론은 자신의 왕관이 순금 100%인지 확인하고 싶어서 아르키메데스에게 부탁을 함. 아르키메데스는 목욕탕에서 이 원리를 깨닫고 유레카(eureka)! 라고 외치며, 거리를 벌거벗은 채로 돌아다님 B.C. 220년, 고대 그리스, 아르키메데스가 발견

철학과 과학 철학과 과학 철학과 과학은 분리할 수는 있어도 떨어트릴 수는 없음 철학과 과학은 같이 맞물려 가야지만 올바른 방향으로 갈 수 있음 과학 철학

체육∙스포츠철학을 연구하는 태도 진보주의적 사고방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