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가정론 (4판) 제3부 건강가정 실천 7장 건강가정사업 프로그램 8장 건강가정사업의 전달체계 9장 건강가정사의 역할과 정의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신진영 현지 조사 방법 및 보고서 작성법 제 7 강 - 자료 수집과 설문지 작성 -
Advertisements

價値 시장을 잘 파악하기 위해서는 소비자의 상호작용에 대하여 관심을 가져야 한다. 이 제품의 사용자는 누구이며, 무엇을 하고, 어떤 환경에 있는지, 그리고 왜 그런 행동을 하는지에 대한 관찰을 통해 소비자의 생활 패턴을 파악해야.
자유학기제와 예술교과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 광 주 동 신 중 교사 국광윤. 예술교과 교육과정의 편성 무엇을 가르칠 것인가 ?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 2009 개정 교육과정 ( )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성취기준 · 성취수준 지역 및 학교의 교육과정.
소명의식 기본심리욕구 소명실행 1) 삶의 만족 2) 심리적 안 녕 자아수용 긍정적 대인관계 자율성 환경에 대한 통제 삶의 목적 개인적 성장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 일 가치감 일 목적지향 천직의식 기여와 헌신동기 이타행동 가설 1. 소명의식은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시기별 학급경영의 평가 시기별 학급경영의 평가 1. 시기별 학급경영의 평가 분류 2. 시기별 학급경영 평가 내용 음악교육과 이해인.
컴퓨터 종합설계 2012 년 2 학기 Syllabus 개요 (1/2) 목표  실 세계의 문제를 제시하고, 이에 대한 해결책을 컴퓨터 공학적인 방법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팀을 주축으로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 수행  프로젝트 계획에서부터 구현까지.
대표자명 / 연락처 / 이메일 ( 기 창업인 경우 회사 명칭 ) 지원하려는 사업 명칭 사업계획서 작성양식.
강의 SKILL-UP 과정 신 현 호. 2 교육 개요 Ⅰ Verbal, Document, Visual Presentation 성공적인 강의스킬 실현 - 학습심리 -HRD 개요 - 교수 설계 & 교안 작성법 지식 - 교수의 제기법 - 교수매체 활용 - 강의.
안정적 문화 반응적 문화 예측적 문화 탐험적 문화 창조적 문화 과정을 중시 하는 문화 회사의 운명 을 거는 문화 열심히 일하고 잘 노는 문화 강인하고 억센 문화 생산적 문화 관료적 문화전문적 문화 내 부 적 차 원내 부 적 차 원 안정적.
Trend Watching 과정 (주) 미래인재개발원 변화의 시대를 읽자!
사회자와 참여자의 역할과 책임 토론 사회자의 주된 역할 객관적인 입장에서 토론이 원만히 이루어지도록 공정하게 토론을 진행
Entity Relationship Diagram
밥 파이크의 창의적 교수법.
인간관계와 자기성장 14조 직장내 대인관계와 스트레스 김옥주 교수님.
Windows Server 장. 사고를 대비한 데이터 백업.
기업 경영전략의 의의 경영전략 기업경영전략의 요소 확인 전략수행과 달성 기업의 모든 자원인 물적, 인적자원과 능력, 환경적인
분석적 사고 (Analytical Thinking)
1. 현대 생활과 응용 윤리의 필요성 2. 윤리 문제의 탐구와 실천 3. 윤리 문제에 대한 다양한 접근
Mind Map - 교육 공학 영역 분반 04 소속 음악교육과 학번 이름 장미희.
KSA 콜센터 교육과정 안내 2018년 4월 고객을 이기는 컴플레인 관리하기 전화모니터링 반나절 만에 따라잡기
라포(Rapport)형성과 대화방법 삼육대학 이 혜 림.
DMAIC Template (제조).
이미지 포렌식 작성자: liberte97.
V. 인류의 건강과 과학 기술 Ⅴ-1. 식량자원 3. 식품 안전성.
피임이란?.
0. 코스트의 이해 단가 × 양 = 원가 원가는 생산/ 판매활동에 직접 관련된 비용이다 단 가 양
1-2 [도서관발전종합계획]과 연계된 중자기 발전계획의
제 10 장 의사결정이란 의사결정은 선택이다.
재무회계의 개념체계 재무회계의 목적 회계의 기본가정 회계정보의 질적 특성 재무제표의 구성요소 회계원칙(회계기준) 제약조건
2장.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등장 배경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의 정의
고대 구로병원 IRB 전문간사 종양내과 오상철
제 15 장 직무설계 15.1 노동인력관리 목적 최대의 성과 만족스러운 성과 의사결정 직무설계 충원수준 선발 훈련과 경력개발
부서 QI 및 지표 담당자 모임 2012년 8월 2차 QI 활동 방법 지표 관리 회의록 작성법
성이란 무엇인가? 대연중학교보건실.
사회복지조사론(7) 2006학년도 2학기.
국가 간 불평등 현상과 해결방안 본 연구물은 학교 수업을 위해 개발된 것으로 교육 이외의 목적으로 사용될 수 없습니다.
CONTENT CONTENT BPR의 등 장 배 경 BPR의 정 의 BPR의 4 가지 근 간
웹사이트 분석과 설계 (화면 설계) 학번: 성명: 박준석.
논문작성을 위한 연구모형 설정 양동훈.
발전적 변화를 도모하는 오순절 평화의 마을 사회복지 서비스 환경의 변화
우리 지역의 공정여행 지도를 만들어볼까? - 우리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공정여행 지도-
1. 인력계획 1) 인력 계획 프로세스 사업계획 인력계획 과부족 비교 인적자원 수요 예측 가용 인적자원 예측 과잉인력 적정인력
Problem-Based Learning
경영정보시스템(MIS)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알고리즘 알고리즘이란 무엇인가?.
제 5장 교수설계의 실제 - ASSURE 모델 적용
미국 음악교육자협의회 (MENC, Music Educators National Conference)
김정숙 (고려대학교 2014년) 국어국문학과 한국어학 석사 1기 이 드미뜨리
3장, 마케팅조사의 일번적 절차 마케팅 조사원론.
물리 현상의 원리 TIME MACHINE.
바넘효과 [Barnum effect]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가지고 있는 성격이나 심리적 특징을 자신만의 특성으로 여기는 심리적 경향. 19세기 말 곡예단에서 사람들의 성격과 특징 등을 알아 내는 일을 하던 바넘(P.T. Barnum)에서 유래하였다. 1940년대 말 심리학자인.
음악 수업 & 수업 지도안.
창의적 공학 설계 < 사용자 중심의 공학설계 > : Creative Engineering Design
조직화란 조직의 목표를 최상의 방법으로 실현할 수 있도록 인적자원과 물적자원을 결합하는 과정
사회과 서술형 평가 문항 자료집 -중학교 일반사회 영역 -.
< 대면평가 자료 작성요령 > 안녕하십니까! 창업진흥원 창업인프라팀입니다.
다문화교육론 호 원 대 학 교.
(Adjustment to New Pressures) (New Self-Expectations)
웹 사이트 분석과 설계 [디자인 리서치] 학번: 이름 : 홍지애.
비교분석 보고서 Template 2015.
의미론적 관점 * TV에서 ‘푸른 빛이 아닌 청자빛’이란 표현을 들었을 경우
제1장 행동수정 이론의 특징.
'클럽 상담자'로 봉사 국제협회  지대위원장 연수.
현지조사 방법 및 보고서 작성법 현지조사(field working)란?
Chapter 4 사회복지 전문직과 윤리강령.
교육 교육목적: Why ? 교육내용: What ? 교육방법: How ?.
알렌 인지 수준 판별검사와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판별검사의 상관관계
Part 7 호텔 식음료 직원의 인적관리 Ch 01 호텔 식음료의 인사관리 Ch 02 호텔 식음료부서의 교육훈련.
이학적 검사 학번 : 이름 : 이 윤 진 담당 : 김형민 교수님.
이 은 Tyler 교육과정 개발 모형 이 은
Presentation transcript:

건강가정론 (4판) 제3부 건강가정 실천 7장 건강가정사업 프로그램 8장 건강가정사업의 전달체계 9장 건강가정사의 역할과 정의 10장 건강가정사의 실천기술 및 현장실습

Chapter 7. 건강가정사업 프로그램 프로그램의 개념과 개발 원리 건강가정사업 프로그램의 개발

1. 프로그램의 개념과 개발원리 1) 프로그램의 개념 특정 교과 과정이나 특별한 주제에 관련된 학습과정 협의의 개념 특정 교과 과정이나 특별한 주제에 관련된 학습과정 (성교육 과정, 부부대화 프로그램 등) 광의의 개념 특정한 시설이나 기관의 후원으로 참여자들이 경험하는 모든 것, 즉 지역사회의 기관이나 학교에서 제공하는 모든 종류의 코스 또는 교과 과정 건강가정사업을 건강가정 실현을 위한 다양한 조치와 대안들, 건강가정사업 프로그램들은 그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실천적인 소프트웨어들을 의미

1) 프로그램의 개념 건강가정 프로그램의 특성 교육이라는 한정된 개념보다는 상담, 문화, 집단활동 등의 과정을 포함하는 보다 광범위한 다양한 활동을 모두 포괄 프로그램은 어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선택된 활동에 관해 누가, 무엇을, 어떻게, 왜, 언제, 어디서, 누구와 행할 것인가를 종합적으로 묶어서 보다 구체적으로 일목요연하게 제시해 주는 활동 지침 프로그램이 가져야 하는 기본적인 요소 프로그램의 목적이나 목표가 되는 의도 참여자들이 프로그램의 의도를 성취하기 위해 행하는 활동 참여자들이 계획된 프로그램 목표를 실행하기 위해 상호작용하는 데 사용되는 도구로서의 자원이나 재료 평가요소

2) 프로그램 개발의 기본 원리 (1) 창조성의 원리 (2) 현실성의 원리 (3) 논리성의 원리 창조성은 프로그램 내용과 방법의 혁신성 및 독특성. 독특성이란 프로그램의 내용과 방법이 다른 기관의 프로그램과 비교하여 독특한 차별성이 있어야 함을 의미 (2) 현실성의 원리 현실성이란 계획된 결과물(내용)의 실현가능성 차원. 무슨 계획이든지 그 결과가 주어진 자원과 여건을 고려할 때 실현가능한 것이어야 함. 따라서 실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현장경험이 많은 사람을 참여시킴 (3) 논리성의 원리 논리성이란 계획행위의 체계성과 합리성 차원. 이는 프로그램의 전문성 뿐 아니라 프로그램 수행 과정의 효과성 등을 갖추기 위해 필요. 따라서 프로그램 개발은 다양한 절차와 단계를 체계적이고 합리적으로 진행시켜야 전문성을 인정받을 수 있고 프로그램의 구조가 짜임새를 갖출 수 있음

2. 건강가정사업 프로그램의 개발 프로그램 개발이란 어떤 목적하에, 누구를 대상으로, 어떤 내용을, 어떤 방식으로 제공하고 실행할 것인가, 그리고 실행된 프로그램의 효과를 어떻게 검증할 것인가를 포함한 일련의 계획  즉 기획을 의미 이상과 같은 기획의 개념과 특성을 통해서 건강가정사업 프로그램 개발이란 크게 두 가지 차원으로 사용될 수 있음. 기관 운영을 위한 기획 건강사업사업 목적을 위한 기획  본 장에서는 전자의 차원보다는 두 번째 차원, 즉 프로그램 내용 및 방법에 관한 설계에 초점

2. 건강가정사업 프로그램의 개발 기획 과정의 세가지 영역 (1) 프로그램의 준비 및 설계단계 프로그램 대상자의 욕구 및 문제 파악, 프로그램의 목표설정, 프로그램 설계를 포함 (2) 프로그램 실행에 관한 기획 프로그램의 효과적 운영 방법 및 인력조직, 자원동원 등 (3) 프로그램 평가 프로그램의 효과를 어떻게 검증할 것인가에 관한 것을 기획하는 것

1) 프로그램의 준비 및 설계 문제 및 욕구파악 문제 및 욕구파악은 세부 프로그램의 선택과 실행계획을 위한 가장 기초적인 작업으로서,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과 타당성이 누구에게나 객관적으로 이해될 수 있기 위해 문제·욕구의 식별, 문제의 규모 및 심각성, 경향 등을 제기하는 것 사회적 욕구의 종류 규범적 욕구는 기준 또는 규범에 중점을 두는 것으로서, 전문가의 판 단에 의해 규정된 욕구 인지적 욕구는 사람들이 그들의 욕구로 생각하고 느끼는 것 표출적 욕구는 무엇인가에 대해 필요하다고 느껴진 욕구가 행동으로 표출된 것 상대적 욕구는 다른 사람이나 다른 지역과 비교해서 정해지는 욕구

1) 프로그램의 준비 및 설계 욕구의 측정 방법 직접관찰법 : 대상 집단에게 직접 물어보거나 검색을 해 욕구를 파악하는 방법으로 사회조사(일반 인구조사, 표적 인구조사, 델파이 방법), 관찰법, 심층면접법, 지역사회 공개토론회 등이 있음. 직접관찰법을 통해 파악되는 욕구는 주로 인지적 욕구 사례조사 : 알려고 하는 대상 집단을 직접 상대하거나 관계를 하고 있는 제삼자들을 접촉하여 증언을 듣는 방법으로, 프로그램 운영자 조사, 주요 정보제공자 조사, 서비스 통계 이용 등이 있음. 사례조사로 파악되는 욕구는 주로 표출적 욕구 간접증거 자료조사 : 조사대상 집단을 정확히 알지는 못하지만 어느 정도 관련이 있는 정보의 출처들을 이용하여 대상 집단의 욕구나 문제를 추산하는 방법으로서 사회지표분석, 행정자료 조사, 비활동 자료분석 등이 있음. 간접증거 자료는 주로 규범적 욕구

1) 프로그램의 준비 및 설계 (2) 목표 설정 문제 및 욕구파악을 통해 누구를 대상으로,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가, 즉 프로그램 시행을 통해 얻는 결과가 무엇인가를 명확히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와 같은 과정이 곧 프로그램 기획의 목표설정 바람직한 목표의 조건 목표는 가정 및 사회에 대한 정확한 현실분석과 관련 목표는 결과중심적 목표는 재정적, 기술적, 윤리적, 법적으로 실현가능한 것이어야 함 목표의 대상 집단을 언급해야 함. 목표는 측정 가능해야 함. 이는 프로그램이 어느 정도 효과적이었는가를 평가하는 데 지표가 될 수 있음. 목표는 긍정적으로 표현되어야 함. 목표는 기관이나 센터의 사회적 소명이나 목적과 부합되어야 함

1) 프로그램의 준비 및 설계 (3) 프로그램 설계 ① 프로그램 내용 선정 합목적성(목표와의 연계성) 고려 서비스 대상자에 대한 고려: 서비스 대상자의 필요, 흥미, 그리고 능력 수준 등을 고려하여 선정 포괄성: 한 가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몇 가지 내용을 연관지어 구성 혹은 반대로 한 가지 내용이 두 가지 이상의 목표와 관련되어 동시에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 실용성: 지역적·시대적·사회문화적 현실 속에서 적합한 실현가능한 것, 그 활동의 결과는 실제 생활에 도움이 되어야 함. 지역성: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는 것은 프로그램의 효과를 증가시킬 뿐 아니라 해당 지역의 문화전통을 계승한다는 점에서도 중요한 원리 효율성: 시간적·경제적 비용을 고려하여 가장 적합하거나 효율적인 내 용과 방법으로 구성하는 것이 필요.

1) 프로그램의 준비 및 설계 ② 주요 구성요소 검토 참가자 : 참가 대상의 명확화 및 규모, 참가집단의 구성 등. 참가자의 속성은 개체의 성질면(성별, 발달단계별 등), 생활의 장과 공간적인 면, 프로그램 참가 경험에 의해 구분 실시 주체 : 실시 주체가 무엇을 지향하는지, 프로그램을 통해 어떤 효과를 얻고자 하는지 등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프로그램에 반영

1) 프로그램의 준비 및 설계 활동 내용 활동 내용을 정선하고 세분화 : 프로그램의 목적, 주제, 방침 등의 맥락을 중시, 개인 및 집단에 있어서 주요도 검토, 내용의 긴급성 판단, 참여 대상 자의 질 수준을 고려, 새로운 지식, 기술, 정보의 습득과 관련되는 내용의 참신성 등을 유의 활동 내용을 실시방법 및 장비/도구 등과 관련시켜 선정/편성 : 학습내용 에 어울리는 다양한 방법, 참가자의 특성에 적합하고 활동내용의 이해를 도울 수 있는 방법, 참가자 특성 및 수준에 적합한 지도매체, 프로그램 운 영자의 능력과 경험에 적합한 방법, 참가자의 주체성과 활동을 촉진할 수 있는 것 등을 고려 활동 내용을 활동의 연속성 및 발전성을 고려하여 선택하고 편성 활동 내용의 양과 질을 고려: 활동요구와 필요 사이의 불일치, 참가자 요 구와 운영자의 격차, 참가자에게 부담이 가지 않는 정도의 시간 수, 횟수 등을 배려

1) 프로그램의 준비 및 설계 • 실시 방법 보다 효과적인 방법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목표달성에의 효과성 제공되는 내용의 질과 양에 대한 적절성 적절한 장비/도구의 이용 가능성 운영자 및 참가자의 경험 능력에 대한 적합성 참여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둘 이상 방법의 혼용 가능성 개인지도 방법과 집단지도 방법을 상호 보완하여 사용할 수 있는가 등의 문제를 특히 고려

1) 프로그램의 준비 및 설계 • 장비/도구 매체의 선정에 있어서는 활동목표, 주제, 내용, 방법에 대한 적절성 참가자의 경험 및 기술 수준 지도매체에 대한 지도자의 이해도 및 숙련도 지역성 및 참가자의 일상생활과의 긴밀성 등을 고려 • 실시 기간 프로그램의 편성에 영향을 미치는 시간적 요소는 프로그램 실행의 시기, 시간대, 총 시간 수 등 프로그램의 편성과 실시 기간이 지나치게 길거나 짧으면 참가자의 참여 및 활동 의욕 문제 발생 가능

1) 프로그램의 준비 및 설계 환경/장소 프로그램 실시 장소 선정에 있어서 가장 먼저 검토되어야 할 것은 장소가 프로그램의 내용과 방법에 적절한 것인가, 즉 프로그램의 목적을 원만하게 달성할 수 있는 장소인가, 그리고 참가자의 비언어적 행동 변화는 활동 환경의 분위기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활동환경이 긍정적으로 작용될 수 있느냐에 대한 검토가 필요 프로그램 담당자 프로그램 담당자는 일반적으로 슈퍼바이저, 스태프, 자원봉사자로 구성. 개별 담당자의 역할을 구체적으로 명시하는 것이 바람직 또한 프로그램 수행 역할에 관련된 학력, 경력이나 훈련, 자격요건 등을 구체적으로 명시해야 하며 할당 시간의 경우 담당자가 프로그램에 투여하는 시간을 명시

1) 프로그램의 준비 및 설계 경비/예산 프로그램의 총예산을 인건비, 관리비, 기자재 및 집기 구입비, 수용비, 사업비 등의 항목으로 나누어 각 항목의 산출근거를 구체적으로 제시. 예산 항목별 자금조달계획을 알 수 있도록 제시 프로그램 평가계획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서 각 단계의 유의사항 및 평가의 대상, 주체, 시기, 방법 등을 프로그램 편성 시 미리 구성

2) 프로그램의 운영‧ 관리 (1) 프로그램 운영조직의 구성 결정된 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시행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이 수행될 부서가 명시된 기관 조직표나 프로그램 운영 조직표를 도식화. 또한 담당 부서의 명시 뿐 아니라 타 부서 및 상부 조직과의 업무협조 체계가 잘 이루어져 자원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비공식 조직체계(예를 들면 자원봉사자)의 활용도 중요하게 고려. 프로그램 담당의 운영과 조직구성은 수행인력의 배치와 함께 이루어져야 함. 프로그램 수행인력으로는 최고 관리자, 중간관리자, 업무담당자, 자원봉사자, 자문위원 및 타 부서와의 관계 등 프로그램에 투입되는 모든 인력을 포함. 프로그램이 효과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수행인력 간의 상호의존적 관계 형성과 위계화가 분명해야 함

2) 프로그램의 운영‧ 관리 (2) 프로그램 관리체계의 유형 ① 문제발견 및 예측에 대한 관리기법 -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고려해야 할 요소로서 5P(Person, Problem, Purpose, Process, Place)를 중심으로 체크리스트를 만들어 사용. - 가장 많이 사용하는 5W1H 체크리스트는 Who, What, When, Where, Why, How의 여섯 가지 관점에서 업무를 체크하고 업무 누락을 발견 또는 방지하기 위한 기법

2) 프로그램의 운영‧ 관리 ② 프로그램 진행에 대한 관리 기법 • 프로그램 평가검토기술(Program Evaluation and Review Technique: PERT) - 활동 간의 상호관계를 일련의 행사망의 형태로 파악하기 위해 행사를 묘사하는 원과 화살표를 이용하여 나타내는 기법으로 활동 간, 행사와 활동의 관계를 보여줌. • 활동별 시간계획표/공정표(Gantt Chart) - 한 프로그램을 완성하기 위해 일정 기간 동안 행해질 의도적인 활동들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한 것으로, 프로그램 혹은 프로젝트를 구성하는 각 개별 활동들, 각 활동을 끝내는 데 필요한 시간, 도표 위에 그 활동들의 진행일정표 제시 • 월별 활동 카드 - 특정 활동이나 업무를 조그마한 카드에 기입하여 월이 기록되어 있는 공간에 삽입하거나 붙이는 방법으로 업무의 시간에 따라 변경, 이동시키는 데에 편리하지만 과업과 완성된 행사들 간의 상관관계를 잘 알 수 없는 단점이 있음. • 총괄진행표 - 프로그램의 서비스 제공 과정을 한눈에 조감할 수 있도록 총괄진행도를 작성

3) 프로그램의 평가 프로그램 평가의 필요성 프로그램에 대한 관리능력 향상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를 통해 서비스 대상자의 특성과 문제점, 서비스 종류와 양, 품질, 비용 등에 관한 정보를 파악함으로써 더 좋은 품질의 프 로그램을 계획, 설계하며 실행하는 데 중요한 자원으로 활용 평가를 통해 서비스 대상자 중심의 서비스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프로 그램 대상자가 프로그램을 통해 어떤 실질적인 도움이나 효과를 얻게 되 었는가를 보여줌으로써 건강가정사업 운영기관이나 담당자의 사회적 책 임성을 증명 건강가정사업의 자원을 조정하고 개발하는 데 영향을 미침. 즉 평가결과 를 통한 사업 및 프로그램의 효과성은 정부의 예산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다른 민간자원을 활용하는 데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음

3) 프로그램의 평가 (1) 프로그램 평가의 유형 ① 평가방법을 기준으로 한 모형 실험적 접근 (Experimental Approach)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을 상호 비교하여 인과적 관계를 도출함으로써 객관성과 과학적 방법을 확보하려는 방법 사전-사후검사가 대표적 엄격한 인과관계의 도출을 복지 서비스에 적용하기 어려움, 개입의 과정 자체도 무시 목표지향적 접근(Goal oriented Approach) 프로그램의 목표를 명확히 설정하고 그 달성 여부를 평가하는 것으로서 목표달성척도(Goal Attainment Scaling) 같은 것이 대표적인 예 인간관계를 통해 전달되는 건강가정 프로그램 특성으로 인한 과정상의 효과나 예상치 못한 결과 등을 간과

3) 프로그램의 평가 의사결정 중심적 접근(Decision-focused Approach) 관리상의 의사결정과 프로그램 수행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체계적인 정보수집과 분석을 강조하는 접근 방법 객관성이 훼손될 수 있으며, 평가자가 일종의 의사결정권자로 도구화될 가능성 이용자 지향적 접근(User-oriented Approach) 평가에 있어 다양한 이해집단들의 상호관계성을 강조 이해 당사자들이 프로그램에 대한 강력한 압력단체로 부상 반응적 접근(Responsive Approach) 사용자 지향적 접근과 체계적인 방법(의사결정 지향적 접근)을 결합한 것으로 다양한 이해 당사자들의 개인적 인지와 기대, 가치들을 포함. 인터뷰, 관찰, 사회망 분석 등 질적인 방법을 사용 객관성 부족

3) 프로그램의 평가 ② 운영과정을 기준으로 한 모형 형성평가/과정평가 과정평가는 서비스나 그 전달방법의 개선, 프로그램 결과의 향상, 그리고 서비스의 효율성을 증진시킬 목적으로 실시하는 평가. 프로그램을 형성하는 자체에 초점을 두기 때문에 형성평가라 부르기도 함. 프로그램 진행 중에 프로그램의 원활하고 성공적인 수행을 위하여 문제 점을 찾아내고 수정·보완할 목적으로 실시

3) 프로그램의 평가 총괄평가/목표지향적 평가 통합/혼합평가 총괄평가는 연역적·객관적 방법으로 한 기관의 정책 또는 프로그램이 달성하고자 했던 목표를 얼마나 잘 성취했는가의 여부를 평가. 대개 프로그램 시행이 종결된 후에 실시 통합/혼합평가 통합평가 모형은 프로그램의 발전 및 시행 단계마다 나타나는 특성이나 문 제에 적절한 평가방법을 융통성 있게 사용. 대개 총괄평가적 접근으로 평가를 한 후 과정평가적 접근을 통해서 프로그 램 운영과정의 타당성과 인과관계를 정밀하게 검토함으로써 총괄평가에서 얻은 정보의 타당성과 신뢰도를 판정

3) 프로그램의 평가 (2) 프로그램 평가의 준거 ① 투입/노력평가 노력성이란 기관에 대한 평가에 적용 가능한 것으로서, 일정 기간 동안 기관이 수행한 사업의 산출(성과)을 평가. 이용자의 수, 상담 횟수, 진료건수 등 투입/노력의 계량적 평가 ② 효과성 평가 효과성이란 일반적으로 목표달성의 정도를 의미. 프로그램이 성과가 있었는지에 관한 정보를 얻기 위한 평가. 사업의 목표가 확인되고 목표가 구체적으로 설정되었을 때만이 가능 ③ 효율성/능률성 평가 효율성은 최소의 자원 투입으로 최대의 산출을 했는가에 초점을 두는 것. 투입(비용)/산출(노력)의 비율로 표현되며, 자원의 효율적 사용에 대한 정보를 제공. ④ 서비스 이용자 만족도 평가 서비스 이용자들이 서비스에 대하여 만족하고 있는가, 전달된 서비스 또는 기술들이 실제 문제해결에 도움이 되고 효과가 있었는가, 어떻게 하면 서비스가 더 개선될 수 있는가 질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