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 Changing the View Point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0 Building on principle 2011 년 이후 부동산 시장 대전망 년 하반기 신규 입주량, 상반기보다 증가 ( 올 전체 물량의 60% 집중 ) 전국 미분양 적체, 특히 수도권 미분양 급격한 증가로 하락 압력 심화 신규 분양 전년 초과 + 재고주택.
Advertisements

→ to 부정사 : 「 to + 동사원형」의 형태 ( 명사, 형용사, 부사 역할 ) → 명사적 용법의 to 부정사 : ‘~ 하기, ~ 하는 것 ’ 의 의미로 문장 내에 서 주어, 보어, 목적어로 쓰인다. → 동사에 따른 사용 : to 부정사를 목적어로 취하는 동사, 동명사를.
Classroom English How do you say _________ in Korean? _________ 는 한국어로 뭐예요 ?
영어영문학과 강성문.  YES/NO Question formation -Are you happy? -----> Yes, I am./ No I’m not.  Wh- Question formation  Who is she? -----> She is Mary.
Lesson 2 A Caring Friend. Making true friends is hard. Keeping them is even harder. To keep a good friendship, you need to care about others. Then, how.
Copyright ⓒ 2011 by JIHOON KIM 제 6 회 나사렛대학교 총장배 어린이영어 경시대회 4~6 학년 ( 노래, 구연동화, 말하기 ) 2015 년 11 월 28 일 ( 토 ) 4~6 학년 ( 노래, 구연동화, 말하기 ) 2015 년 11 월 28 일 (
KEY POINT 1 ∥의문사 의문문이 다른 문장의 종속절이 될 때, 이를 ‘ 간접의문문 ’ 이라고 한다. 간접의문문 Do you know? + What is his hobby? → Do you know what his hobby is? ◎ 간접의문문의 어순은 평서문의.
김예슬 김원석 김세환. Info Northcutt Bikes Northcutt Bikes The Forecasting problem The Forecasting problem The solution 1~6 The.
영한 번역 : 유샤인 여자의 눈물 Tears of a Woman.
Lesson 11 What’s Your Type? 여러분의 유형은 무엇인가요 ?. What job do you want to have in the future? 여러분은 미래에 어떤 직업을 갖고 싶은가 ? p.218.
Stanford-Berkeley 친선 체육대회안 Aug 20 th, 2005 Stanford Campus.
분사구문 전남고등학교. 분사구문이란 ? 분사로 시작하는 문장 – 분사 : 현재분사 (~ing), 과거분사 분사구문은 ‘ 접속사 + 주어 + 동사 ’ 로 된 절을 대신하는 기능을 한다. 이유, 시간, 조건, 양보 등을 표현하는 부사절을 분사구문으로 바꿔 쓸 수 있다.
Spring in North Korea, a time for farmers to harvest their crops 농부들이 추수를 하는 봄의 계절이 왔다.
20%의 소수가 80%의 부를 누리는 `20 대 80 사회'는 점점 현실화되고 있는 걸까?
열등비교 not as/so + 원급 + as ~만큼 ~못 한 (열등비교) less 원급 than
Theory of Financial Structure
WEEK 1 DAY 1 COURSE INTRODUCTION
3학년 6반 꿈이 익는 잔치마당 2014년 11월 13일 목요일.
의문사 + to 부정사 주어 To study hard is important.
A: Could you tell me how to make a call from this phone
이병완 교수의 경제영어 영어… 이렇게 하면 된다. 2016년 3월.
부정사의 의미상의 주어 It's more blessed (for people) to give than to receive.
관계대명사 that The people whom/that they hired had high school diplomas.
Unit 2. No Time for Exercise?
명사의 구조 명사구 NP (관사) (형용사) 명사 a nice hat (D) (A) N Point 1 명사의 종류
제8장 금융구조의 경제적 분석.
LISTEN AND UNDERSTAND LISTEN AND SING
영어 7-b Lesson 11. Characters Are Everywhere (4/8) Talk And Talk.
-으세요 ② 아버지가 테니스를 좋아하세요? 네, 테니스를 좋아하세요. Sogang Korean 1B UNIT 3 “–으세요②”
정치학과 경제학 (예) “Prisoners’ Dilemma”
Talk and Talk 영어 8-a Lesson 6 I’m a Sea Turtle>TALK AND TALK>4/8
영어 7-a 단계 Our Neighbors (2/8) 2. Our Neighbors Read and Make Friends.
계수와 응용 (Counting and Its Applications)
EnglishCare 토.마.토. 토익 L/C 일상 어휘 ④ 강 사 : 김 태 윤.
Open Class Lesson- L2B3 Greeting (5’ 00”) Word Like Daddy, Like Mommy
조동사 must can will would may should.
제5장 조동사 must can will would may should.
The Best Thing I've Learned This Year
2018 BLOCK CHAIN CONFERENCE
음식 권유하기 영어 2학년 1학기 Lesson 4. Letters from Foreigners in Korea[3/8)
성문영어구문 pattern 관계대명사의 생 략.
제안 표현 말하기 영어 2학년 1학기 Lesson2. A Mom In Class (3/8) [제작의도] [활용방법]
★ Lesson 9 Four Seasons in One Day? (7/8)
Talk and talk Could you…? 영어 7-b
영어 8-a단계 Dear Diary (3/8) 4. Dear Diary Read and Understand.
제 10 장 < 접 속 사 >.
하나님은 변함없다. 힘내라..힘…!! Melbourne City Church 에스라 III
제1장 경제문제와 해결방법. 제1장 경제문제와 해결방법 Contents 01 왜 경제공부를 해야 하는가? 02 경제문제 발생원인과 해결과제 부록: 이론의 정립과정과 유용성.
제3장 시장론 : 시장의 개념과 의의.
Power Point 2007년 정보화교육 원미구청 총무과 통신전산팀.
9. Do You Have a Scientific Mind?
9. Do You Have a Scientific Mind?
Read and Think 영어 8-a단계 A Story of Two Seeds(3/8) [제작의도] [활용방법]
: 부정(negative)의 의미를 나타내는 접두사
CEO가 가져야 할 품질 혁신 마인드.
네가 나를 사랑하느냐 요21:15-17.
원천 6교회 10월 11일 주일 예배.
제1부 사회복지일반에 관한 법률 사회보장기본법 사회복지사업법 ㆍ사회복지사업종사자 훈련규정 ㆍ사회복지법인 재무ㆍ회계규칙
부정사1 부정사란? 동사의 목적보어 용 법 의미상의 주어 형 성 평 가 (1) 형 성 평 가 (2)
9. Do You Have a Scientific Mind?
평생 간직할 멋진 말 Excellent thought applicable through our whole life
충고와 부탁하기 영어 2학년 1학기 Lesson6. Ingyu’s Camping Trip to Muju (2/7) [제작의도]
점화와 응용 (Recurrence and Its Applications)
메인 채널로 변화하는 M-Commerce 1.
1.예수 거룩한 주 예수 생명의 11.예수 권능의 주 예수 19.그 누구도 그 누구도 21.It's all about you.
8강 I Can’t.
1월(Jan) 역대지상 4장10절   야베스가 이스라엘 하나님께 "나에게 복에 복을 더해 주시고, 내 영토를 넓혀 주시고, 주님의 손으로 나를 도우시어 불행을 막아 주시고, 고통을 받지 않게 하여 주십시오" 하고 간구하였더니 하나님께서 그가 구한 것을 이루어 주셨다. Jabez.
Fifth theme Superhero powers
Introduction to Christianity 최지만 간사 오클랜드 주님의 교회 청년부
Speaking -여섯 번째 강의 (Review ) RACHEL 선생님
Presentation transcript:

6.1 Changing the View Point 6. Mechanism Design 6.1 Changing the View Point So far, the rules of the game are given and the players simply follow the rules. Rules of the Game : players, strategies, payoffs = Mechanism Game Theory: Rules  Outcome(룰 정해지면 결과) Mechanism Design: Desired outcome  Rules.(원하는 결과 얻기 위해 룰/메커니즘을 디자인) You Design the Mechanism so that the outcome of the game comes out as you please  MD is called ‘The Reverse Game Theory(역 게임이론).’ From pawns(Agents) in game theory to the game master(Principal) in MD  also called the Principal-Agent Problem Ex: Tragedy of the Commons (next)

6. Mechanism Design 6.2 The Tragedy of the Commons 1833, William Forster Lloyd Too many goats overgrazing the limited pasture A social planner (gov’t) has the power to control the number of the goats but doesn’t know much about goat herding Thus, s/he confiscates all the milk produced and redistribute it equally among the goat-herding families. Socially optimal number of goats, chosen by each family, is achieved. Is this the first-best outcome possible in a market economy? Nope  Look for the second-best outcome by Mechanism Design.

Examples of Resources Overexploited by the Tragedy of the Commons Air Pollution Overgrazing Deforestation NIMBY Overfishing Traffic jam

6. Mechanism Design 6.3 The Judgment of Solomon Principal-Agent Ex in Bible (1 Kings: 3:26) Solomon confronted by 2 women disputing the motherhood of a baby  “cut the baby in half and share”  false mother said YES, real mother said NO!  Solomon found the real mother But, what if the false mother also said ‘don’t cut the baby’? His mechanism could fail. Need a better design. Trudy (real mom), Fanny (false mom) If both say they are the mothers, the defendant(피고) gets the baby and both fined.

The Script: Are You the Mother? 원고-피고 둘다 자기가 엄마라고 주장할 경우, 둘 모두에게 벌금을 과하고 애기는 피고에게 줌 솔로몬은 T가 원고인지, F가 원고인지 모르고 있으므로, 두가지 경우(T에게 ‘네가 엄마냐?’ 묻는 경우와 F에게 ‘네가 엄마냐?’라고 물을 수 있음)가 생기게 됨 (다음) Plaintiff(원고) Y Defendant(피고) Y Defendant gets the baby: Both fined N N Defendant gets the baby: No fine Plaintiff gets the baby: No fine

6. Mechanism Design 6.3 The Judgment of Solomon (cont’d) Solomon wants to be selected t: Trudy’s valuation of the baby f: Fanny’s valuation of the baby F: Fine/Penalty For F to choose N, -f > f - F  F > 2f N N T F Y Y Are you mother? -t < t 원고 T or F 피고 F or T S For T to choose Y, t – F > -t  2t > F Are you mother? F T Y Y N N -f > -f-F N를 선택

6. Mechanism Design 6.3 The Judgment of Solomon (cont’d) For F to choose N, F > 2f For T to choose Y, 2t > F Thus, the fine (F) should be 2f < F < 2t. Trudy always gets the baby and no fine is paid. Problem: S can’t observe t or f. Participation Constraint (참여제약) F 0 f t 2f 2t Principal’s best U = Incentive Constraint (유인제약) Participation constraint(the agent must be willing to work for the principal) and Incentive constraint(the agent must be willing to work in the best interests of the principal) should be satisfied. Agent 2’s U Agent 1’s U 비참여시 효용 End of Chapter for undergraduate course

The Tragedy of the Commons (Graduate Course, skip) 방목되는 염소의 숫자를 통제하지 않을 경우, 통제할 경우 보다 10가구의 우유생산량이 훨씬 적음 (M*=10 vs. M=0.012) 따라서, 이러한 경우를 ‘공유지의 비극’ 이라고 부르며, 참가자 모두 각자의 우월전략을 택하지만, 결국 가장 최악을 결과를 가져오게 됨  ‘죄수의 딜레마’ 임. 그러면 어떻게 하여야 하나? Mechanism Design!!! 정부가 모든 가구들에게 어떻게 하라고 일일히 지시할 필요 없으며 유인 시스템(incentive system) 및 규칙/제약만 만들어 놓으면 됨 예) 가구당 1마리만 키울 수 있도록 허가증(license) 발행하는 방법. 더 좋은 방법은? 정부가 가구의 우유생산함수만 알고 있다고 가정. 정부는 A가 얼마나 되는지 모름 (알수도 있음. 평생 방목으로 먹고 살았다면 ). 따라서 각 가구들의 지식을 이용하기로 함.

The Tragedy of the Commons (Graduate Course) 10개 가구가 1km2 공유지에서 염소 방목 일 착유량(b=양동이 숫자/일)은 가능한 공유지 면적 중 방목면적의 비중 (a)의 함수 위 생산 함수에 의하면, 염소 1 마리가 공유지 1/10 면적의 풀을 뜯어 먹으면(a=1/10) 매일 1 양동이 우유생산 최적 염소마리수(N*), 우유생산량(M*)? a=1/N N*=10, M*=10 (why? NEXT) 모든 가구가 똑같이 우유를 생산한다면, 각 가구마다 염소 1마리를 기르도록 허용. 가구당 매일 우유 1 양동이 생산-소비

The Tragedy of the Commons (Graduate Course)

The Tragedy of the Commons (Graduate Course) 문제는 정부가 각 가구의 행태를 감시하여 이러한 할당을 강제할 수 없다는 것임  각 가구가 마음대로 염소 마릿수(g)를 정하게 됨. 이 경우 각 가구의 우유생산량은 다음과 같음. *G는 다른 나머지 가구들의 염소 마릿수. 각 가구가 최적 염소 마릿수(g*)를 결정할 때, 다른 가구들의 마릿수(G)는 변하지 않음(why? 자신이 결정할 수 없는 변수는 상수처리). 이 경우 이 가구의 최적 염소 마릿수는? 이전과 같이 10마리 (why? NEXT) 결국 10가구 모두가 10마리씩 방목  N=100 따라서 10가구들의 총 우유 생산량(M)은? cf. N*=10, M*=10

The Tragedy of the Commons (Graduate Cour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