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세계와 한국의 식량자원 가. 세계의 식량자원 나. 한국의 식량자원.

Slides:



Advertisements
Similar presentations
담배 속에 유해물질. 니코틴 1  아편과 같은 수준의 습관성 중독유발 니코틴 2  고혈압  동맥경화증  소화기궤양  구토, 현기증, 두통유발.
Advertisements

적화, 적과를 할 때 액화, 액과 따기의 중요성 前 이바라기현 과수협회장 구로다 야스마사.
어르신 생활 지혜 ( 사 ) 과 우 회 과우봉사단 ( 사 ) 과 우 회 과우봉사단 1 녹색성장을 위한 생활과학.
전라남도보건환경연구원 폐기물분석과 하 훈, 강 광 성 전남지역 골프장의 친환경적 생태조사.
『푸른농촌 희망찾기 』 경북 영양군 수비면 송하리 발 표 자 : 권 영 도 꿈과 희망이 넘치는 송하마을.
신안군농업기술센터. 면 적 : 1,058ha, 1,571 농가 전국 5,645ha 의 18.7% 노지채소 3,436ha 의 31% 생 산 량 : 9,522 톤 매 출 액 : 238 억원 시금치 재배현황 맛과 향이 뛰어나 “ 신안섬초 ” 최고급 명품 브랜드로 판매됨 “
우리테크 녹색경영을 달성하기 위한 녹색경영 방침 □ 우리테크는 파워 드레인트탭을 제조, 판매하는 회사로써 오랜경험과 축적된 노하우를 통해 독 자적인제품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 또한 우리테크는 안정적이고 친환경적인 제품 생산을 위해 항상 연구와.
필란드에 대해서. 필란드는 북유럽에 위치해 있으며 수도는 헬싱키 입니다. 인구는 약 515 만 명 정도 되며 면적은 338,148km 입니다.
행복한 금연 김지영, 박시영, 박윤조, 박은미, 조윤희. 담배의 발암물질 담배의 구성성분 인체에 미치는 악영향.
재 배 현 황 통 계( ’ 02년) 농가수 8,000 호 면 적 1,000본당 생산량 총생산량 28,406천본 (947ha) 200 Kg 4,591톤 (건조) 통 계 1,000본당 생산액 총생산액 농가소득 (호당평균) 소 득 율 천원 30,720 억원 5,165 1,100천원48.
수학 수행평가 김재환.
소하천 정비사업 추진방향 및 소하천정비법 설명
화훼류 생산 및 수출입동향 (전국, 경북).
1. 서천군 일반현황 서천군 지리적 여건 및 지역특성 인구 특성 행정 구역 서천군 벼농사 현황
자연순환형 친환경축산 정책 방향 농림수산식품부 자원순환팀.
산주가 가꾸고 싶어 할 나무들 국 립 산 림 과 학 원 최 완 용.
동절기 화재예방 교육 동래봉생병원.
Ⅴ. 건설 기술과 환경.
환경위생학 안동과학대 보건행정과 겸임교수 이 재 만.
청도군농업기술센터 농촌지도사 장 성 재 054) 친환경 고품질 미나리                                                                    청도군농업기술센터 농촌지도사.
Ⅱ.녹색 가정생활의 실천.
산림소득사업 지원 정책 산림청 목재소득과 1.
문제제기 문제분석 기대효과.
mt. co. kr/view/mtview. php
순환&면역 6조 박아름 이명동 최제춘.
전동휠체어 충돌에 따른 유리파손으로 발생할 수 있는 교통약자 인명사고 및 운행지연 방지를 위한 승강기 내벽유리 충돌 보호대 설치 용인시설팀 최광철 차장.
2-1 대기 중의 물.
녹색산업의 전망(배경) 한림대학교 변용환 교수
시설채소 육묘기술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이 준구.
발의 12경맥과 경혈.
1. 세포의 구조와 기능 (1) 식물 세포 와 동물 세포 조영희
러시아 농산물(생산,판매)사업 000“OKA” 2010~
관 광 잠 수 함 사 업 계 획 서.
○ 주요 쌀 수출국.
1 [1] 매체 자료의 표현 방식 02 괴물.
패시브하우스 신안산대학교 l 건축과 l 박효동, 박창준, 지예림.
화재예방 안전교육 2013년 이현119안전센터장 김 용 래 작성
Page Turner 에 맞는 책의 종류선정 은경태
우리나라의 수자원 물 보기를 금같이 우리나라의 수자원 현황 우리나라의 수자원 이용 현황.
태양의 크기 지구, 달, 태양 누가 가장 클까? 태양의 크기 측정 지구, 달, 태양의 크기 비교.
식물은 어떻게 빛에너지를 이용할까? 과학 본 차시의 주제입니다.
옥탑 광고 제안서 (효천 빌딩).
전체보기확대축소                                                                                                                                                                     
1-2. 열평형.
지구 온난화 원재환.
지역의 자연 환경과 인문환경 조사 사회 1학년 1학기 Ⅰ.지역과 사회 탐구>1.지역사회의 지리적 환경(3/6
3D 프린팅 프로그래밍 04 – 도형 회전 (하트 열쇠고리 만들기) 강사: 김영준 목원대학교 겸임교수.
단원 02. 기계를 구성하는요소(기계요소) (198p) 학습목표 1. 기계요소를 분류하여 설명할 수 있다. 2
학습주제 서남 아시아와 북부 아프리카의 환경 학습목표 서남 아시아와 북부 아프리카의 지형 과 기후 특징을 파악한다.
생각의 혁명 (Creative Thinking).
날씨와 생활 날씨를 알면 편해져요. 일기 예보와 산업 기상재해.
제목 입력란 그림 340mm x 170mm 글자 크기 30pt, 자간 52pt
가을에 만날 수 있는 곤충.
인천경제자유구역 영종지구 영종하늘도시 개발사업
P 28 (생각열기) 한꺼번에 많은 양의 밥을 지으려면 얇고 가벼운 냄비로 짓지 않고 두껍고 무거운 가마솥으로 지어야 한다. 그 이유는? 답 : 냄비로 지으면 냄비 아래쪽의 밥은 타고, 위쪽의 밥은 설익게 된다. 가마솥으로 지으면 천천히 뜨거워지고 오래 열기를 유지하여.
주유취급소 마) 설치위치 고정주유설비 : 도로경계선 - 4m 부지경계선,담,건축물 벽 - 2m(개구부 없는 벽1m)
Ⅲ. 선로전환기 청소 근거규정 및 점검요령.
과학과 수업연구 6.1 전열기에서 열이 발생하는 까닭은 (2)
(4)잎의 구조와 기능 학습목표 잎의 구조와 기능을 설명할수 있다. 기공의 구조와 증산의 조절 작용을 설명할 수 있다.
2009년 면정보고 초동면.
유체역학 마이크로마노미터의 이론과 공식을 설명하라. 환경공학과 김기복.
세포는 어떻게 분열할까? 학습 주제 <들어가기> 양파를 물이 담긴 유리컵에 기르면 뿌리가
우리나라의 최신무기 천 천 초 등 학 교 6학년 1반 16번 현 승 호.
직장인의 비즈니스 매너 및 에티켓.
Ⅰ. 열에너지.
분리 수거 배출 오물이나 물에 젖지 않도록 비닐, 플라스틱, 알루미늄, 철사 등 이물질이 섞이지 않도록 종이.
교 육 순 서 화재예방과 진화요령 긴급상황 시 대처요령 소방시설 사용 화재진화 및 피난 기타 당부 및 질문.
수 도 작 2013학년 1학기 담당교수 : 김 제 규 한경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아프타성 구내염- 환자 교육용.
건강증진운동 의 효과적인 방법.
Presentation transcript:

3. 세계와 한국의 식량자원 가. 세계의 식량자원 나. 한국의 식량자원

가. 세계의 식량자원 1) 식량자원의 종수와 생산량 종 류 종 수 생산량 (백만 톤) 곡물 환산량 (백 만 톤) 비율(%) 1) 식량자원의 종수와 생산량   종  류 종  수 생산량 (백만 톤) 곡물 환산량 (백 만 톤) 비율(%) 식  물 600 여종 1,855  77 동  물  60 여종    54   378  16 어  류 1,000 여종    86   172   7 합  계 1,660 여종 1,995 2,405 100

2) 식량자원의 종류 0 영양소에 의한 분류 공 급 영양소 식물성 자원 동물성 자원 탄수화물  공 급 영양소   식물성 자원   동물성 자원 탄수화물  벼, 밀, 옥수수, 보리, 수수 조, 감자, 고구마, 카사바, 얌, 토란 등    단백질  콩, 땅콩, 완두, 강낭콩, 녹두 등  소, 돼지, 닭, 다랑어, 전어 등  지 방  콩, 유채, 해바라기, 참깨, 코코넛 등  소, 돼지, 닭, 고등어, 고등어, 뱀장어 등  무기물,  비타민  사과, 배, 포도, 감귤, 토마토, 고추 등  젖소, 닭, 멸치, 뱀장어 등

0 식물학적 분류체계에 따른 분류 구 분 작 물 명 벼 과 벼, 밀 보리, 옥수수, 호밀, 조, 기장,귀리, 티모시, 구 분 작 물 명 벼 과 벼, 밀 보리, 옥수수, 호밀, 조, 기장,귀리, 티모시, 이탈리안 라이그라스 등 콩 과 콩, 팥, 녹두, 강낭콩, 잠두, 비들기콩, 땅콩 등 배추과 무, 배추, 양배추, 순무, 겨자, 유채 등 국화과 해바라기, 홍화, 우엉, 쑥갓, 상치, 곰취 등 명아주과 사탕무, 근대, 시금치 등 가지과 감자, 토마토, 가지, 고추 등 박 과 수박, 참외, 오이, 메론, 호박 등 장미과 사과나무, 복숭아 나무, 배나무, 산딸기 딸기 등 기 타 고구마(메꽃과), 포도(포도과), 메밀(여뀌과),감귤 (운항과),당근(산형과) 마늘,양파(백합과) 등

0 이용 부위에 따른 종류와 영양소 이용 부위 재배 식물 명 주 영양소 잎 상추, 배추, 양배추, 시금치 등 무기물, 비타민 종 실 밀, 벼, 보리,옥수수 등 각종 두류 등 참깨, 해바라기, 유채 등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지방질 뿌리, 지하부 감자, 고구마, 카사바 등 무, 당근, 양파, 마늘, 생강 등 과 실 사과, 배, 복숭아, 딸기, 수박 등 바나나, 밤 등 코코넛, 호두 등 지방질 꽃 꽃양배추, 브로커리 등 줄 기 셀러리, 아스파라거스, 죽순 등

3. 세계주요 작물의 재배면적과 생산량 0 재배 면적 - 밀, 벼, 옥수수, 콩, 보리 등 화본과가 많음

0 생산량 - 설탕, 옥수수, 벼, 밀, 감자 등의 순서임

0 세계 3대 식량의 주요 생산 국가 국 가 벼 밀 옥수수 중 국 인 도 인도네시아 방글라데시 태 국 러시아 프랑스 미 국 국   가  벼 밀 옥수수 면  적 (백만 ha) 생산량 (백만 톤) 면 적  중  국  인  도 인도네시아 방글라데시  태  국  러시아  프랑스  미  국  카나다  맥시코  브라질 아르헨티나  호  주   30.2   44.8   11.8   10.8    9.8    0.1    1.3    -   0.07    3.6    0.2   190.6   131.9    51.0    37.0    25.0     0.5     0.1     9.2      -     0.3    11.0     1.1     1.4   26.6    0.8   20.1    5.1   21.0    0.7    6.6   12.4   102.3    71.8     1.9     0.8    37.4    15.4    58.9     3.3     2.4    16.4    23.6    24.2     6.4     3.4     -     1.2     0.6     1.8    28.6     7.2    11.9     2.8     116.8      11.5       9.3       -       4.4       1.1      16.0     244.3       8.1      18.0      35.1      15.2  세  계  154.1   601.1  213.4   585.4   138.3     602.8

나. 한국의 식량자원 1) 식량 자원 0 한국의 서식 예상 식물자원의 종과 기록 종 (’06.7.24 중앙일보) 구 분 세계 기록 종 국내 기록 종 국내서식 예상 종 국내 기록 비율 관속식물 350,000 3,160 3,300 96 이끼류 24,100 695 1,000 70 하등식물 40,000 3,277 6,000 55 계 414,100 7,132 10,300 69 세계대비 : 2%, 국내기록 비율 : 69%

0 한국사람이 이용하는 식량 자원 : 14개군, 206 종류 식량자원 주 요 종 류 종 수 곡 류 서 류 설탕류 두 류 건과류 주  요   종  류 종  수 곡 류 서 류 설탕류 두 류 건과류 유 료 채소류 과 실 유지류 해조류 육 류 계 란 우 유 어 류 갑각류   쌀, 보리, 밀, 옥수수 등   감자, 고구마   설탕, 꿀, 로알제리 등   콩, 팥, 녹두, 완두 등   밤, 호두, 잣, 은행, 아몬드 등   참깨, 들깨   무, 배추, 앙파, 수박, 오이, 버섯류 등   사과, 배, 감 등 콩기름, 참기름, 들기름, 유채기름 등 김, 미역, 다시마 등   쇄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등   달걀   우유, 전지분유, 탈지유 등   고등어, 오징어, 명태, 붕어, 가물치 등   새우, 게, 조개, 성게, 각종 패류 등   10 2 3 7 8 36 14 15 4 1 5 61 34

2) 식량자원 공급량과 영양성분 식량자원 공급량(g/인/일) 공급영양성분 에너지(K cal) 단백질 지방 곡류 서류 설탕류 단백질  지방 곡류 서류 설탕류 두류 채소류 과실류 육류 계란 우유 어패류 해조류 유지류  454.5 32.1 48.7 29.3 451.6 111.1 102.2 23.4 134.8 83.9 13.8 44.2 1,591.7 31.6 187.6 113.9 125.9 55.3 214.4 37.0 92.8 88.7 4.1 390.8 36.56 0.47 0.00 8.91 8.17 0.66 18.28 2.92 4.96 14.92 0.44 0.03  7.15 0.06 4.98 1.59 0.21 14.63 2.50 4.69 2.62 0.04 44.05

3) 한국인의 식생활 문화형성 요인     0 한반도는 바다, 산, 강 그리고 평야가 조화를 이루고 주거 형성     0 4계절이 분명하여 농업도 계절에 알맞게 발달     0 아시아 계절풍의 영향으로 우기와 건기로 구분 그에 알맞은 작물 재배

4) 한국의 자연환경과 식량자원 0 한국 기상의 특징 - 더운 여름과 추운 겨울의 계절간 기온 교차가 큰 대륙성 기후    가) 기상환경     0 한국 기상의 특징      - 더운 여름과 추운 겨울의 계절간 기온 교차가 큰 대륙성 기후      - 겨울은 3한 4온 현상이 뚜렸하다.      - 봄, 여름, 가을, 겨울의 4계절이 뚜렷하다.      - 연간 강우량이 1200-1300mm로 6-8월에 60-70%가 온다.      - 여름의 장마기에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가 크다      - 태풍, 저온, 한발 등에 의한 농업적 기상재해가 많다     

홍수빈도 강수량 분포 0 우리나라 지역별 강수량과 홍수 빈도

  0 주요 기상지표      - 연 평균기온 : 6.4℃(대관령) ∼ 16.2℃(서귀포)         25℃ 이상 : 130일(남부),  60∼80일(산간)      - 연간 강우량 : 1200-1300mm      - 식물생육기간 : 210일(북부), 280(남부)      - 무상기간 : 144일(대관령), 321일(서귀포)      - 일조시간 : 1,800∼2,700시간/년   

나) 토양환경     0 한국의 토양생성 에 미치는 영향       - 모암이 화강암, 화강편마암이다       - 지형은 경사지와 하천이 많다.       - 여름은 고온이고 비가 많다          ⇒모래와 자갈이 많은 사질, 사양토가 많다     0 한국 지형의 구성       - 산악(54%), 식량 생산지대(37%), 기타(9%)       - 논 경지율 : 한국(18.9%), 일본(17.7), 인도(52), 미국(18.5), 중국(15)

0 한국 토양의 생성 환경 인자 기 후 토 양 지 형 화강암 경사지 하천많음 특징 작용 함량 적음 산성토양 많 음 사질토양 여름 고온 여름 장마 화강암 경사지 하천많음 특징 유기물 분해촉진 염기용탈 촉 진 점토 유실 하천 범람 작용 산성화 조림질화 유기물 함량 적음 산성토양 많 음 사질토양 많 음 결과

6) 주 식량과 쌀 문화 가) 쌀의 경제적 가치 0 국민의 기초식량을 충분히 공급    가) 쌀의 경제적 가치     0 국민의 기초식량을 충분히 공급     0 벼농사는 한국의 생태공간을 가장 효율적으로 활용     0 역사적으로 오랫동안 우리 민족의 주된 식량   나) 쌀의 문화적 가치     0 벼농사를 하는 물을 중심으로 마을이 형성     0 쌀을 이용한 음식문화의 발달     0 벼 짚을 이용한 각종 문화가 폭넓게 형성됨     0 벼농사로 인한 각종 농악, 농요, 민요 등 예술이 발달

논(116만 ha)의 저수량 : 약 31억 톤 (춘천댐의 21배) 0 지하수 함양의 근원임 논 지하수 침투량 다) 쌀의 공익적 가치     0 논의 저수 및 홍수 조절 기능        논(116만 ha)의 저수량 : 약 31억 톤 (춘천댐의 21배)     0 지하수 함양의 근원임        논 지하수 침투량 - 약 136억 3천만 톤/년, 소양강 댐의 7.2배)         - 우리나라 전 국민이 1년간 사용하는 수돗물의 2.3배      -작물재배는 토양유실을 방지하여 국토를 보존    

 0 수질과 대기 정화 기능    -  대기의 정화능력 : ha당 CO2 16톤 흡수, O2 112톤 배출     *  벼와 보리 등 9종의 작물이 고정하는 CO2의 양은 연간 1,898만 톤    - 대기의 냉각효과 : 논에서 증발산 총량은 하루에 6,960만 톤      * 냉방기 사용에 소요되는 원유량으로 환산하면 하루에 3,980만kl    - 수질정화 능력 : 질소 52.1∼66.1%, 인산 26.7∼64.9%를 벼가 흡수  0 연작장해를 없애주고 양분의 천연 공급  0 국토의 녹지 공간

라) 쌀의 문화적 가치 0 벼농사를 위한 물 중심으로 농촌 형성 0 쌀을 이용한 음식문화 가 오랜 역사를 거치면서 다양하게 변화 됨 - 밥을 먹기 위한 된장, 탕, 찌게, 김치 등 음식문화 0 짚을 이용한 짚 공예가 생활의 도구로 이용 - 멍석, 새끼, 가마니, 짚신, 각종 농기구 0 민속 농악, 농요, 민요 등 한국의 전통문화가 벼농사를 중심으로 형성 전래 됨 - 각종 토템 문화도 논농사 중심으로 형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