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세계신화판타지 2016.05.10. 북유럽 신화와 켈트 신화 그리고 판타지의 세계 - 21 세기 마법의 세계를 다루는 판타지 영화의 증가 cf) 1970~1990 년대 SF 영화의 전성기 - 과학성 ⇒ 마법과 판타지 ⇔ 신화적 요소  자연 현상 해결하는 방식에 따른.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세계신화판타지 2016.05.10. 북유럽 신화와 켈트 신화 그리고 판타지의 세계 - 21 세기 마법의 세계를 다루는 판타지 영화의 증가 cf) 1970~1990 년대 SF 영화의 전성기 - 과학성 ⇒ 마법과 판타지 ⇔ 신화적 요소  자연 현상 해결하는 방식에 따른."— Presentation transcript:

1 세계신화판타지 2016.05.10

2 북유럽 신화와 켈트 신화 그리고 판타지의 세계 - 21 세기 마법의 세계를 다루는 판타지 영화의 증가 cf) 1970~1990 년대 SF 영화의 전성기 - 과학성 ⇒ 마법과 판타지 ⇔ 신화적 요소  자연 현상 해결하는 방식에 따른 과학과 마법의 상관관계 - 공통점 : 초월적 존재를 신봉하는 신화 / 종교 믿음과 대립 - 차이점 : 합리적 방법 ( 과학 ) VS 주술적 해결 방법 ( 마법 )

3 북유럽 신화와 켈트 신화 그리고 판타지의 세계 - 과학 지상주의와 기술 발전에 대한 희망과 기대 ⇒ 1,2 차 세계대전 ⇒ 회의적인 시각 ⇒ 인류 생존 위협 ⇒ 과학에 대한 불신 ⇒ 디스토피아적 세 계관 반영 - 디스토피아적 세계관의 반복 ⇒ 대중의 기호 불충족 ⇒ 긍정적 / 낭만적 / 아 름답고 신기한 꿈 필요 ⇒ 판타지 장르의 대두 ⇒ 현대인들의 변화된 기호 를 충족시켜줄 마법의 세계 ⇒ 판타지의 보고

4 북유럽 신화와 켈트 신화 그리고 판타지의 세계

5

6 2. 판타지란 무엇인가 ? 1) 판타지의 사전적 정의 : Phantasie/Fantasme/Fantasy/ 幻想 / 환상 상상, 비현실, 공상, 비밀, 왜곡된 재현 2) 츠베탕 토도로프 (Tzvetan Todorov) 판타지 문학의 정의 - “ 자연의 법칙밖에 모르는 사람이 초자연적인 양상을 가진 사건에 직면해 서 체험하는 망설임 ” - 판타지 : 불확실함과 망설임의 세계, 자연법칙이 깨지는 세계 - 판타지의 세계 : 초자연적인 사건들이 합리적 법칙에 의해 설명

7 북유럽 신화와 켈트 신화 그리고 판타지의 세계 3) 판타지 영화의 세계와 신화 - 판타지 영화에 대한 관객의 망설임 : 환상의 세계 ⇒ 사실 or 허구 - 극중 인물들의 세계에 동화 ⇒ 초자연적 논리 / 환상의 존재 수용 - 판타지 영화의 성패 : 판타지 세계의 거부감 없는 수용을 위한 전략 수립 ⇒ 익숙한 이미지와 상징사용 ⇒ 판타지와 신화가 조우하는 지점 Ex) 과 의 성공 - 판타지 원형으로서의 신화 : 그리스 · 로마 신화 < 북유럽 / 켈트 신화

8 북유럽 신화와 켈트 신화 그리고 판타지의 세계 3. 북유럽 신화란 무엇인가 ? - Norse mythology, Nordic myths, Germanic Mythology - 북유럽 신화 : 기독교 개종 이전 스칸디나비아인들의 종교 · 신앙 · 전설 - 게르만족에 광범위한 영향 ⇒ 북유럽 신화는 고대 게르만 신화의 연속 - 북유럽 신화 : 낯선 듯 하면서 익숙한 이야기 Ex) 바이킹 / 일곱 난쟁이 / 거인 / 나무 / 숲 / 마법사 / 대장장이 이야기 ⇒ 서양 정신의 바탕을 이루는 중요한 신화적 보고

9 북유럽 신화와 켈트 신화 그리고 판타지의 세계 1) 북유럽 신화의 특징 (1) 불완전한 신 ( 神 ) 의 형상 Ex) 오딘 (Odin), 프레 ( 이 ) 야 (Freyja), 토르 (Thor), 로키 (Loki) - 지리적, 기후적 특성 : 불완전, 유한의 생명, 비관적 분위기, 죽음 (2) 파괴와 창조의 순환 - 라그나뢰크 (Ragnarök): 종말론 ⇒ 파괴 / 창조 순환 - 공포 / 살벌 / 터프한 느낌

10 북유럽 신화와 켈트 신화 그리고 판타지의 세계 4. 켈트 신화 (Celtic mythology) 란 무엇인가 ? - 고대 켈트족이 믿던 켈트 다신교와 관련된 신화 ⇒ 뛰어난 시적 상상력 - 켈트 신화와 전설 ⇒ 유럽 문화 속에 깊이 침착 Ex) 중세 아더왕 (Roi Arthur) 과 원탁의 기사 전설, 성배 (The Holy Grail) ⇒ 유럽 작가들의 상상력에 커다란 영향

11 북유럽 신화와 켈트 신화 그리고 판타지의 세계 ● 켈트 신화와 북유럽 신화의 판타지적 요소 - 그리스의 합리주의 / 인간중심적 사고 ⇒ 마법과 요술에 대한 적대심 ⇒ 20 세기 이전 서구 문학의 대문호들에게 영감 제공 - 켈트 신화와 북유럽 신화의 판타지적 요소 ⇒ 환상, 해학, 비논리적, 초 자연적인 색채 ⇒ 마법과 주술의 세계 포용 ⇒ 20 세기 판타지 문학에 상상 력 제공 ⇒ 21 세기 영화, 드라마, 애니메이션, 온라인 게임으로 확장

12 북유럽 신화와 켈트 신화 그리고 판타지의 세계 5. 의 신화적 요소 - 20 세기 말 ~ 21 세기 해리 포터의 문화적 영향력 : 판타지 전반에 대한 관심 고조 ⇒ C.S Lewis & J.R.R Tolkien 재발견 계기

13 북유럽 신화와 켈트 신화 그리고 판타지의 세계 《해리 포터와 마법사의 돌》 Harry Potter and the Philosopher's Stone 《해리 포터와 비밀의 방》 Harry Potter and the Chamber of Secrets 《해리 포터와 아즈카반의 죄수》 Harry Potter and the Prisoner of Azkaban 《해리 포터와 불의 잔》 Harry Potter and the Goblet of Fire 《해리 포터와 불사조 기사단》 Harry Potter and the Order of Phoenix 《해리 포터와 혼혈 왕자》 Harry Potter and the Half-Blood Prince 《해리 포터와 죽음의 성물》 Harry Potter and the Deathly Hallows

14 북유럽 신화와 켈트 신화 그리고 판타지의 세계 1) 와 켈트 신화적 요소 (1) 드루이드교 (Druidism) 와의 연관성 - 드루이드교 : 켈트족 ( 族 ) 의 고대신앙 체계 ⇒ 영혼의 불멸 · 윤회 ( 輪廻 ) · 전 생 ( 轉生 ) · 죽음 / 자연 신 숭배 - 드루이드 사제 : 고대 마법과 주술 구사 ⇒ 서양 마법의 원류적 역할 - 드루이드교의 쇠퇴 : 로마 침략 + 그리스도교 포교 Ex) 멀린, 스톤헨지

15 북유럽 신화와 켈트 신화 그리고 판타지의 세계 - 마법사들의 복장 ⇒ 드루이드교 사제 복장 형상화 - 마법학교 학생 ⇒ 사제 꿈꾸는 켈트족 젊은이들 모습과 흡사 (2) 성배 (The Holy Grail) 신화와의 연관성 2) 북유럽신화와의 연관성 : 로키 (Loki) ⇔ 볼드모트 (Voldemort)

16 북유럽 신화와 켈트 신화 그리고 판타지의 세계 3) 와 그리스 · 로마신화와의 연관성 - 님부스 (Nimbus): 구름, 그리스 신화의 신 (1) 주요 등장인물과의 연관성 ① 헤르미온느 (Hermione) ② 미네르바 (Minerva) ⇒ 헤르메스 (Hermes), 웅변의 신 ⇒ 지혜 ( 로마 )+ 전쟁 ( 그리스 ) 의 신 - 사이빌 트릴로니 (Sibyl Trelawney) 리무스 루핀 (Remus Lupin)

17 북유럽 신화와 켈트 신화 그리고 판타지의 세계 (2) 해리포터에 등장하는 신화적 동물 ① 히포그리프 (Hippogryph) ② 페가수스 (Pegasus) ③ 케르베로스 (Cerberos) ④ 멘드레이크 (Mandrake), 켄타우로스 (Centaurs) 플러피

18 북유럽 신화와 켈트 신화 그리고 판타지의 세계 6. 의 신화적 요소 - 북유럽 신화를 모태로 한 J.R.R. 톨킨의 동명의 판타지 소설 원작 (1954-1955) - (2001) - (2002) - (2003)

19 북유럽 신화와 켈트 신화 그리고 판타지의 세계 (1) 주요 등장인물과의 연관성 - 중간 대륙내 요정, 난쟁이, 인간, 마법사 ⇒ 켈트 / 게르만 신화 바탕


Download ppt "세계신화판타지 2016.05.10. 북유럽 신화와 켈트 신화 그리고 판타지의 세계 - 21 세기 마법의 세계를 다루는 판타지 영화의 증가 cf) 1970~1990 년대 SF 영화의 전성기 - 과학성 ⇒ 마법과 판타지 ⇔ 신화적 요소  자연 현상 해결하는 방식에 따른."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