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문체 표현 200900148 김보나 200900153 김지윤 200900155 노수인 200900157 박보람.

Similar presentations


Presentation on theme: "문체 표현 200900148 김보나 200900153 김지윤 200900155 노수인 200900157 박보람."— Presentation transcript:

1 문체 표현 김보나 김지윤 노수인 박보람

2 목 차 Ⅰ. 문체 - 문체란? - 단어, 문, 문장의 문체적 성질 Ⅱ. 대우표현 - 대우행동과 대우표현이란? - 대우표현의 종류 - 대우표현의 특징 - 한국어와 일본어의 경어 비교 - 대우표현의 분류(형식에 따른 분류)

3 Ⅰ. 문체

4 문 체 문장의 성질이나 사용처, 혹은 화자 내지 필자의 표현의도에 따라서 단어의 사용과 표현방법의 차이가 생기는 것.
문 체 문장의 성질이나 사용처, 혹은 화자 내지 필자의 표현의도에 따라서 단어의 사용과 표현방법의 차이가 생기는 것. 문체 문장체 회화체 문자를 매개로 하며 쓰기와 읽기에 의해서 성립하는 문자 언어 음성을 매개체로 하여 말하고 듣기에 의해 성립하는 음성언어

5 문체적 성질 – 단어 문체적으로 맞지 않는 단어들을 한 문장에 함께 쓰면 의미적으로 이해는 되지만 올바른 표현이라 하기 어렵 다. A: 一杯飲んで行かない。 B: いや今日は用事があってまっすぐ帰宅するよ。 회화체임에도 불구하고 [帰宅する]라는 문장체 단어를 같이 사용했기 때문에 위화감을 느끼게 된다.

6 문장체 – 회화체 配布する-配る  飲料-飲み物  衣類-服 発見する-見つける  申請-申し込み 문체적으로 대비되는 단어 문장체 회화체

7 일대 다의 형태로 일방적으로 이야기하는 강연이나 TV의 뉴스 등 에서 사용
* 화자와 담화 종류, 위상 등에 의해 다음과 같이 구분하기도 한다. 1. 격식 차린 말씨 – 격의 없는 말씨 <격식 차린 말씨> 일대 다의 형태로 일방적으로 이야기하는 강연이나 TV의 뉴스 등 에서 사용 의논이나, 일대 일 일지라도 상대가 잘 모르는 사람일 경우에 사용되는 표현 <격의 없는 말씨> 부부, 부자, 형제자매와 같은 가족이나, 둘도 없는 친구, 팀의 일원등과 같이 매우 가까운 관계일 경우에 사용되는 표현 격식 차린 말씨 격의 없는 말씨 申し訳ございません ごめんね なければならない なきゃなんない いやになってしまう(지긋지긋해) やんなっちゃう

8 2. 고풍스런 말투 – 새로운 말투 外套-コ-ト   写真機-カメラ  指輪-リング 3. 노인어적 - 유아어적 わし – 자신의 이름 ~じゃ - ~デチュ 4. 남성어적 - 여성어적 めし-ごはん / くう-食べる  / うまい-おいしい / 腹が減る-お腹が空く / だめだよ-だめよ  / いいかい-いいわ 5. 정식 - 일상어적 定期乗車券 - 定期

9 문체적 성질 - 문 문의 문체적 구분은 문말표현에 의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である」/ 동사, 형용사, 조동사의 종지형으로
문장체 회화체 •「である」/ 동사, 형용사, 조동사의 종지형으로 문을 맺음 • 경어를 쓰는 경우가 적음. •「(の、ん)だ」「です」「ます」로 끝나는 경우가 많음. •「~(わ)よ」「~ね」등의 종조사를 많이 사용. • 경어를 쓰는 경우도 많음.

10 「国境の長いトンネルを抜けると雪国であった。夜のそこが白くなった。信号所に汽車が止まった。」 (『雪国』)
문장체 「国境の長いトンネルを抜けると雪国であった。夜のそこが白くなった。信号所に汽車が止まった。」 (『雪国』) 회화체 「どうして僕なんですか?どうして僕なんかを信じてそんな大事な賭にしたんですか?」  「あ、あなたならきっと迎えに来てくれると思ったからよ。悪いの?」(名探偵コナン)

11 문체적 성질 - 문장 한문체는 중국어로 읽을 수 있는 문체로 [순한문]이라고도 한다.
1. 한문체(漢文体) 한문체는 중국어로 읽을 수 있는 문체로 [순한문]이라고도 한다. 한자만을 사용하여 기록한 한문 문장으로 나라 헤이안 시대에는 주로 한문체가 쓰였다. 『日本書紀』, 『懐風藻』 ,『大宝律令』 작품에 한문체가 쓰였다.

12 한문체에 일본인이 일상에서 사용한 일본어가 섞인 일본식 한문체이다. 가마쿠라 시대에 공식기록으로 쓰였다.
2. 기록체(記録体) 한문체에 일본인이 일상에서 사용한 일본어가 섞인 일본식 한문체이다. 가마쿠라 시대에 공식기록으로 쓰였다. 한문체이지만 어순이 다르고 경어 표현 등의 비한문적 요소가 섞인 문체를 변한문체라고 하는데 헤이안시대 이후의 고기록에 다용되므로 기록체라고도 한다. 『風土記』 에 쓰임.

13 3. 센묘체(宣命体) 한문체를 기조로 하여 용언의 활용어미나 조사, 조동사 등 한문을 읽을 때 보조적으로 읽혔다고 생각되는 부분은 만요가나로 작게 써넣었는데 처음에는 천황의 말씀을 기록할 때 쓰이다가 공문서나 개인의 편지에도 쓰였다. 4. 일한혼합체(和漢混合体) 和文과漢文을 섞어 쓴 문체로, 특히 가마쿠라 시대의 군사기록문에 쓰인 문체를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14 5. 일문체(和文体) 히라가나로 쓰인 일기나 소설 문체를 말하며 「가나문체 」라고도 한다. 히라가나가 만들어지고 그것으로 문장을 기록하게 된 헤이안 시대에 확립되었다. 『源氏物語』,『枕草子』에 쓰였다. 春はあけぼの。やうやう白くなり行く、山ぎは少しあかりて、紫だちたる雲の細くたなびきたる。夏は夜。月ころはさらなり。やみもなほ、ほたるの多く飛びちがひたる。(『枕草子』) 6.아문체(雅文体) 에도시대의 국학자를 중심으로 헤이안 시대의 화문체 문장을 아문이라 존중하는 경향이 생겼는데 일문체(和文体)를 모방해 만든 문체를 아문체 혹은 의고문체(擬古文体)라 한다. 문말이 현재의 「ーーた」가 아니고, 、「ーーぬ」「ーーつ」「ーーけり」「ーーなり」등이 된다. 「石炭をば早や積み果てつ」(7ページ)-森鴎外『舞姫』

15 구어체 문장을 말하며 문말이 「です・ます体」로 끝나는 「敬体」와 「だ・である体」로 끝나는「常体」로 나뉜다.
7. 소로문체(候文体) 주로 편지에 쓰인 문체로 무로마치시대에 쓰이기 시작하여 에도시대에서 메이지시대에 남성 서간문체로 많이 쓰였다. 문말에 「候(そうろう):「あり」의 공손한 말투)」를 쓴 데서 연유한다. 以下の文は、幕末の皇女和宮親子内親王降嫁の際の村々廻状である[6]。 和宮様御下向之説宿継人馬多入間左之村々中山道浦和宿江當分助郷申付候条問屋方より[7]相觸次第人馬 遅参不致無滞差出し相勤可申候尤當時年季休役御用ニ限り是又相勤可申者也 右村々 文久元年(1861年) (書き下し文) 和宮様御下向之説、宿継人馬多く入る間、左の村々中山道浦和宿へ当分助郷申し付け候条、問屋方より相触れ次第、人馬遅参致さず滞りなく差し出し相勤め申すべく候、もっとも当時年季休役、御用に限り、これまた相勤め申すべきものなり。 8. 구어문체(口語文体) 구어체 문장을 말하며 문말이 「です・ます体」로 끝나는 「敬体」와 「だ・である体」로 끝나는「常体」로 나뉜다. 메이지시대 이후에 확립되어 글도 말하는 것처럼 쓰자고 하는 「언문일치운동(言文一致運動) 」과 더불어 발달하게 되었다. 『浮雲』에 쓰였다.

16 Ⅱ. 대우표현

17 대우행동과 대우표현이란? 대인관계에 있어서 우리들은 보통, 상대에 따라 대응을 달리 하는데, 이러한 대인관계에서의 행동 을 대우행동(待遇行動)이라고 한다. 화제의 인물•청자•장면 등을 배려하여, 그에 따라 표현을 구별하여 사용하는 언어표현을 대우표현 (待遇表現)이라고 한다.

18 ① ご出発になる。 ご出発になります。 ② 出発なさる。 出発なさいます。 ③ 出発する。 出発します。 ④ 出発しやがる。
대우표현의 예 ① ご出発になる。 ご出発になります。 ② 出発なさる。 出発なさいます。 ③ 出発する。 出発します。 ④ 出発しやがる。

19 대우표현의 종류 상대를 높게 대우하는 표현 1.존경어 2.겸양어 3.존중어 4.미화어 상대를 낮게 대우하는 표현 경어 경비어

20 대우표현의 특징 경어 경비어 욕이나 천한 말, 험담, 은어 등 상대방에 대한 경멸을 표현 손윗사람에 대한 경의를 표현
-잘 모르거나 친하지 않는 사람에게 사용하는 경우가 더 많음 -대중적인 언어생활에 있어 윤활유 역할 -상대에게 실례를 범하지 않으려는 언어적 에티켓 경어 욕이나 천한 말, 험담, 은어 등 상대방에 대한 경멸을 표현 -다른 계층 간의 사람에게는 알리고 싶지 않은 집단어로서의 개념도 내포. 경비어

21 깡패나 불량배 혹은 진드기같이 남한테 기생하여 사는 사람
경어와 경비어의 활용 경어 직급명 이나 격식을 차려야 할 경우 직급명 : 社長・課長 격식을 차려야할 경우 :  本日・少々・あちら 고운 말을 사용하고 싶을 때 쓰는 미화어(美化語)   미화어 : お花・おなか・お手洗 い 경비어 복합어를 포함한 명사가 많음 본래의 사전적 의미로는 경비의 의미를 가지지 않아도, 비유적으 로 사용되면 경비어의 기능을 담 당하는 경우가 많음. タヌキ ダニ 사전적 의미 너구리 진드기 경비어 교활하고 간사하며 능구렁이 같은 사람에 대한 비유 깡패나 불량배 혹은 진드기같이 남한테 기생하여 사는 사람

22 한국어와 일본어의 경어 비교 한국어 일본어 ▶절대 경어(絶対敬語)
: 자기보다 손윗사람일 때에는 상대(청자)가 누구이든 경어를 사용함. ▶ 상대 경어(相対敬語) : 상대(청자)에 의해서 누구에게 경의를 표현하는가가 정해짐. A: お父さん、いらっしゃいますか。 B: 父はおりません。 A : 아버지 계십니까? B : 아니요. 안 계세요.

23 대우표현의 형식에 따른 분류 (2) 부가형식 (1) 자립형식 경어 : おっしゃる・もうす / なさる・いたす
경어 :  おっしゃる・もうす / なさる・いたす 경비어 : ぬかす・ほざく / ばか・たわけ・のろま       くそくらえ (2) 부가형식 ▶ 접사+어(語) 경어 :  경비어 : ど~ (どけち)    ぼろ~ (ぼろ靴)       ばか~ (ばか正直)   くそ~ (くそばばあ) お/ご~ お名前 お考え ご恩 ご存 ご成功 貴~ 貴社 貴校 貴下 貴兄    高~   御高覽, 御高說, 御高評 高名 高著 令~ 令息 令嬢

24 ▶ 어(語)+접사/조동사 ▶ 접사+어(語)+접사/형식동사 경어 : お/ご~さん/さま 예) お子様
경어 :  ~さん/さま/君/殿  예) 貴君 、 厳君, 高橋殿  ~(ら)れる 예) 市長が来られる。 경비어 : ~くさる  예) 何を言いくさるか   ~め  예) ばかなやつめ  ~やがる 예) 食いやがる ▶ 접사+어(語)+접사/형식동사 경어 : お/ご~さん/さま  예) お子様 お/ご~になる 예) お待ちになる 경비어 : ど~め 예) どあほうめ  경어는 부가형식이 많이 사용되고, 문법적으로 발달해 있음. 경비어는 자립형식이 많고, 문법적으로 그다지 발달하지 않음.

25 참고문헌 윤상실 외 2인, 『일본어학의 이해』, 제이엔씨, 2004.
이묘희, 『일본어학의 이해』, 충남대학교출판부, 2004. 北原保雄, 『日本語学概論』, 불이문화, 2004. 이덕봉 외 6인, 『 日本語学의 理解』, 법문사, 2003.

26 Q & A

27 감사합니다.


Download ppt "문체 표현 200900148 김보나 200900153 김지윤 200900155 노수인 200900157 박보람."

Similar presentations


Ads by Goog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