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wnload presentation
Presentation is loading. Please wait.
1
2. 한국 문학의 역사와 갈래 [1] 고대 문학 02 공무도하가 갈래 정리 작품 정리 학습 활동
2
갈래 정리 작품 정리 학습 활동 고대 가요 갈래 정리
3
삼국시대 이전의 노래로, 원시종합예술에서 분화된 서정적 내용의 시가(詩歌)를 의미
갈래 정리 작품 정리 학습 활동 고대 가요의 개념 삼국시대 이전의 노래로, 원시종합예술에서 분화된 서정적 내용의 시가(詩歌)를 의미 오늘날 그 내용을 알 수 있는 것은 ‘구지가’, ‘공무도하가’, ‘황조가’ 세 편뿐인데, 그것도 한자로 짧막하게 뜻만을 기록하고 있어 그 본대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알기가 어려움.
4
집단 활동이나 의식과 관련된 의식요, 노동요가 창작 구지가(龜旨歌) 해가(海歌) 후기
갈래 정리 작품 정리 학습 활동 고대 가요의 특징 발생 초기 집단 활동이나 의식과 관련된 의식요, 노동요가 창작 구지가(龜旨歌) 해가(海歌) 후기 개인적 서정에 바탕을 둔 서정시가 주로 창작 황조가(黃鳥歌) 공무도하가 (公無渡河歌)
5
기록수단이 없어 구전(口傳)되어 오다가, 한자의 습득과 더불어 한역(漢譯)으로 전함.
갈래 정리 작품 정리 학습 활동 고대 가요의 특징 기록수단이 없어 구전(口傳)되어 오다가, 한자의 습득과 더불어 한역(漢譯)으로 전함. 배경설화와 함께 전해지고 있어, 작품 이해에 도 움을 줌. 이 시기의 시가 문학은 서사 문학과 완전 히 분화되지 않은 상태임을 보여줌.
6
두 토막씩 넉 줄 또는 네 토막씩 두 줄로 된 노래 로서 초기 단계의 우리 시가의 기본적인 형식을 보여줌.
갈래 정리 작품 정리 학습 활동 고대 가요의 문학사적 의의 국문학사상 최초의 서정 시가 형태 두 토막씩 넉 줄 또는 네 토막씩 두 줄로 된 노래 로서 초기 단계의 우리 시가의 기본적인 형식을 보여줌. 한국 시가 연원으로서 민족 문화의 뿌리 형성
7
고대 가요의 주요 작품 작품 작가 성격 내용 출전 공무도하가 백수 광부의 아내 개인 서정 남편 애도 해동역사 구지가 구간 등
갈래 정리 작품 정리 학습 활동 고대 가요의 주요 작품 작품 작가 성격 내용 출전 공무도하가 백수 광부의 아내 개인 서정 남편 애도 해동역사 구지가 구간 등 집단 주술 왕 강림 기원 삼국사기 황조가 고구려 유리왕 실연의 슬픔 삼국유사
8
작품 작가 성격 내용 출전 정읍사 개인서정 악학궤범 해가 집단 주술 삼국유사
갈래 정리 작품 정리 학습 활동 고대 가요의 주요 작품 작품 작가 성격 내용 출전 정읍사 미상(행상인의 아내) 개인서정 남편 걱정 악학궤범 해가 강릉 백성 집단 주술 수로부인 구출 삼국유사
9
2. 한국 문학의 역사와 갈래 [1] 고대 문학 02 공무도하가
갈래 정리 작품 정리 학습 활동 2. 한국 문학의 역사와 갈래 [1] 고대 문학 공무도하가 작품 정리
10
갈래 정리 작품 정리 학습 활동 학습 목표 ’공무도하가’는 임을 잃은 슬픔을 애절한 목 소리로 노래하고 있는 작품으로, 집단적 의식 을 담은 노래에서 점차 개인적인 정서를 담은 서정시로 넘어가는 시기를 대표하는 고대 작 품이다. 작품 속에 개인의 정서가 어떻게 담겨 있는지 주목하면서 한국 문학사에 면면히 흐 르는 한(恨)의 정서를 찾아 보자.
11
작품 연구 갈래 : 개인적 서정시(4언 사구체의 한역 시가) 어조 : 여성적 화자의 탄식과 원망,
갈래 정리 작품 정리 학습 활동 작품 연구 갈래 : 개인적 서정시(4언 사구체의 한역 시가) 어조 : 여성적 화자의 탄식과 원망, 애절한 울부짖음과 체념적인 어조 성격 : 직서법으로 직정적(直情的)이고, 절박한 호소의 절규적 표현, 비극적 주제 : 임을 여읜 슬픔, 남편의 죽음을 슬퍼함.
12
집단 가요에서 개인적 서정시로 넘어가는 시기의 과도기 작품
갈래 정리 작품 정리 학습 활동 작품 연구 의의 ‘황조가’와 함께 우리 나라 최고의 서정가요 집단 가요에서 개인적 서정시로 넘어가는 시기의 과도기 작품 세계에 대한 근원적 물음으로서 중대한 의미를 갖 는 ‘죽음’의 문제를 다루고 있음.
13
핵심 강의 ‘공무도하가’의 구성 1행 죽음의 만류 안타까움 2행 임과의 이별 한탄 3행 임의 죽음 비애, 체념, 슬픔
갈래 정리 작품 정리 학습 활동 핵심 강의 안타까움 ‘공무도하가’의 구성 한탄 1행 죽음의 만류 비애, 체념, 슬픔 2행 임과의 이별 3행 탄식과 원망 임의 죽음 시적 화자의 정서 변화 4행 임의 죽음 애도
14
물 ’물’의 상징적 의미 2행 임의 부재, 사랑의 종말 3행 1행 임에 대한 화자의 충만한 사랑 임의 죽음과 그에 따른 단절감
갈래 정리 작품 정리 학습 활동 핵심 강의 ’물’의 상징적 의미 2행 임의 부재, 사랑의 종말 3행 1행 임에 대한 화자의 충만한 사랑 임의 죽음과 그에 따른 단절감 아내가 남편을 따라 죽음으로써 성사되는 새로운 차원의 만남 물 산 자와 죽은 자를 가르는 이별 만남 헤어짐
15
公無渡河 임아 그 물을 건너지 마오. 사랑하는 남편이 물속으로 뛰어들려는 순간 公無渡河 임은 끝내 그 물을 건너셨네.
갈래 정리 작품 정리 학습 활동 핵심 강의 公無渡河 임아 그 물을 건너지 마오. 公無渡河 임은 끝내 그 물을 건너셨네. 墮河而死 물에 빠져 돌아가시니 當奈公何 가신 임을 어찌할꼬. 사랑하는 남편이 물속으로 뛰어들려는 순간 임의 부재에 대한 화자의 안타까움 임의 죽음으로 인한 사랑의 종말 안타까운 탄식과 애절한 슬픔이 폭발
16
여성의 비극적 상심을 노래한 것으로 ‘정읍사’, ‘가시리’, ‘진달래꽃’으로 연결되는 전통적 정한의 세계를 표현
갈래 정리 작품 정리 학습 활동 핵심 강의 ’공무도하가’에 대한 여러 견해들 여성의 비극적 상심을 노래한 것으로 ‘정읍사’, ‘가시리’, ‘진달래꽃’으로 연결되는 전통적 정한의 세계를 표현 남편을 따라 죽어야 한다는(一夫從事) 전통적 여 인의 정절을 노래 백수광부는 술의 신, 아내는 음악의 신으로 ‘충만 한 깊이’인 물을 통해 사랑과 죽음을 맞바꿀 수 있 다는 애정 지상주의를 표현
17
- 조선의 뱃사공 곽리자고가 아침 일찍 배를 저어 가 는데 백수광부(白首狂夫)가 술병을 들고 강물을 가 로질러 건너고 있었음.
갈래 정리 작품 정리 학습 활동 핵심 강의 배경 설화 - 조선의 뱃사공 곽리자고가 아침 일찍 배를 저어 가 는데 백수광부(白首狂夫)가 술병을 들고 강물을 가 로질러 건너고 있었음. 아내가 뒤따르며 말렸지만, 끝내 물에 빠져 죽음. 아내는 강가에서 땅을 치고 공후에 맞춰 노래를 부 르며 통곡한 뒤 물에 몸을 던져 죽음. 곽리자고가 집에 돌아와 아내에게 노래를 들려줌.
18
일반적 견해 : 고조선 사람인 백수광부의 아내가 지은 작품
갈래 정리 작품 정리 학습 활동 핵심 강의 ’공무도하가’의 작가와 국적 문제 일반적 견해 : 고조선 사람인 백수광부의 아내가 지은 작품 곽리자고의 아내인 여옥이 작가라는 견해 남편의 죽음을 본 아내가 공후를 들고 와 노래를 부른다는 것이 이치에 맞지 않음. 작가 국적 중국의 작품이라는 견해 중국 문헌에 수록되어 있었으며, 공후가 중국에서 전래한 악기임.
19
경험과 초경험의 연속성이 세계 해석의 중심 기반에 놓인 주술적‧신화적 세계관이 투영되어 있음.
갈래 정리 작품 정리 학습 활동 백수광부의 죽음 핵심 강의 ‘공무도하가’의 이해 경험과 초경험의 연속성이 세계 해석의 중심 기반에 놓인 주술적‧신화적 세계관이 투영되어 있음. 아내의 죽음 노래 형성기의 이중적인 세계 인식이나 전환기의 사유가 반영되어 있음. 경험적 현실이 세계 이해의 중심 문제로 떠오르는 불연속성에 기초한 현실적‧역사적 세계관이 반영되어 있음.
20
비극적 갈등 결과 깊은 상처와 파멸만 남음.→비극미 신화적 숭고, 주술적 숭고의 파탄(동일성의 상실)
갈래 정리 작품 정리 학습 활동 핵심 강의 ‘공무도하가’에 나타난 미의식 남편의 익사 ‘이상’을 체념한 상황에서 ‘현실’에 저항 현실 비극적 갈등 결과 깊은 상처와 파멸만 남음.→비극미 남편이 강물에 빠져 죽어서는 안 된다는 신념 이상 신화적 숭고, 주술적 숭고의 파탄(동일성의 상실) 신화 시대 말기 사회상과 세계관을 반영
21
‘공무도하가’ → 고려 가요 ‘가시리’ → 황진이의 시 조 → 김소월의 ‘진달래꽃’
갈래 정리 작품 정리 학습 활동 핵심 강의 ‘공무도하가’와 한국 문학 ‘공무도하가’는 우리말로 된 노래를 한문으로 옮 긴 것이다. 우리 문자가 없던 시기에 우리말로 된 노래를 한문으로 옮긴 것으로 한국 문학으로 볼 수 있다. 이별의 정한에 따른 한국 문학의 연속성 ‘공무도하가’ → 고려 가요 ‘가시리’ → 황진이의 시 조 → 김소월의 ‘진달래꽃’
22
이별의 슬픔을 인종(忍從)의 의지력으로 극복해 내는 여인으로 이별의 정한을 드러내고 있음.
갈래 정리 작품 정리 학습 활동 핵심 강의 ‘공무도하가’와 ‘진달래꽃’의 비교 공무도하가 진달래꽃 주제 임을 여읜 슬픔 이별의 정한과 그 한스러움의 승화 화자의 태도 임을 잃은 슬픔을 나타냄. 이별의 슬픔을 인종(忍從)의 의지력으로 극복해 내는 여인으로 이별의 정한을 드러내고 있음. 두 작품 모두 임과 이별하는 슬픔을 노래하였으며, 두 시의 화자 모두 임과 이별한 상황에서 임과의 이별로 인한 슬픔을 드러내고 있음.
23
예시 답| 이 노래의 화자는 자신의 만류를 뿌리친 채 물에 빠져 죽은 임에 대한 애절한 슬픔과 사랑을 표현하고 있다.
갈래 정리 작품 정리 학습 활동 2-[1] 고대 문학 ‘공무도하가’를 읽고 다음 활동을 해보자. (1) 이 시의 화자가 읊고자 한 것은 무엇인가? 예시 답| 이 노래의 화자는 자신의 만류를 뿌리친 채 물에 빠져 죽은 임에 대한 애절한 슬픔과 사랑을 표현하고 있다.
24
1행 2행 3행 4행 임을 만류함 임이 떠남 임의 죽음 화자의 탄식 한탄 비애, 체념, 슬픔 탄식과 원망
갈래 정리 작품 정리 학습 활동 (2) 이 작품의 시상 전개에 따른 이 시의 화자의 정서를 정리해 보자 1행 2행 3행 4행 임을 만류함 임이 떠남 임의 죽음 화자의 탄식 안타까움 한탄 비애, 체념, 슬픔 탄식과 원망
25
(3) 이 시의 주제와 관련하여 물은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말해 보자.
갈래 정리 작품 정리 학습 활동 (3) 이 시의 주제와 관련하여 물은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말해 보자. 예시 답| 1행에서 물은 충만한 사랑의 이미지를 지닌다. 2행에서 물은 물을 건너 버린 임과 화자 의 기약 없는 이별, 임의 부재, 사랑의 종말을 뜻 한다. 3행에서 물은 ‘생’과 ‘사’의 갈림길이자 불 가항력적인 이미지로 임의 부재라는 소극적 뜻 이 아니라 죽음의 의미로 확대되고 있다.
26
2. 다음의 글을 읽고, 한국 문학사에서 ‘공무도하가’의 위치에 대해 말해 보자.
갈래 정리 작품 정리 학습 활동 2. 다음의 글을 읽고, 한국 문학사에서 ‘공무도하가’의 위치에 대해 말해 보자. 예시 답| 이 작품은 슬픔과 한이라는 개인적 정감을 노래한 것으로 개인적 정서를 다루고 있다. 그러므로 이 시는 ‘서사시’에서 ‘서정시’로 이행하는 단계에 놓인 작품으로 해석할 수 있다.
27
갈래 정리 작품 정리 학습 활동 3. 이 노래는 본래 한시(漢詩)가 아니라 우리말로 된 노래를 한문으로 옮긴 것이다. 이 노래를 한국 문학으로 볼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지 알아보자. 예시 답| 언어에는 말과 문자가 있는데, 우리의 문자인 훈민정음이 만들어지기 전까지 우리 문학은 구비 문학의 형태로 전승되거나, 한문을 빌어서 기록하였다. ‘공무도하가’는 우리 문자가 없던 시기에 우리말로 된 노래를 한문으로 옮긴 것이므로 한국 문학으로 볼 수 있다.
28
4. 다음은 김소월의 시 ‘진달래꽃’이다. 이 시를 읽고, ‘공무도하가’와 비교하는 활동을 해 보자.
갈래 정리 작품 정리 학습 활동 4. 다음은 김소월의 시 ‘진달래꽃’이다. 이 시를 읽고, ‘공무도하가’와 비교하는 활동을 해 보자. (1) 이 시와 ‘공무도하가’의 주제를 비교해 보자. 예시 답| ‘진달래꽃’의 주제는 ‘이별의 정한과 그 한스러움의 승화’이고, ‘공무도하가’의 주제는 ‘임을 여읜 슬픔’이다. 그러므로 두 작품 모두 임과 이별하는 슬픔을 노래하고 있다고 하겠다.
29
(2) 이 시의 화자와 ‘공무도하가’의 화자가 지닌 태도를 비교해 보고 공통점을 말해 보자.
갈래 정리 작품 정리 학습 활동 (2) 이 시의 화자와 ‘공무도하가’의 화자가 지닌 태도를 비교해 보고 공통점을 말해 보자. 예시 답| ‘진달래꽃’의 화자는 이별의 슬픔은 인종(忍從)의 의지력으로 극복해 내는 여인으로 이별의 정한(情恨)을 드러내고 있으며 ‘공무도하가’의 화자 역시 임을 잃은 슬픔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두 시의 화자 모두 임과 이별한 상황에서 임과의 이별로 인한 슬픔을 드러내고 있다는 점이 공통점이다.
30
5. ‘공무도하가’의 형식을 활용하여, 사랑을 잃은 심정을 노래하는 시를 써보자.
갈래 정리 작품 정리 학습 활동 5. ‘공무도하가’의 형식을 활용하여, 사랑을 잃은 심정을 노래하는 시를 써보자. 그 비행기를 타지 마오 끝내 그 비행기를 탔네 다른 나라로 떠나가시니 가신 임을 임아 임은 어찌할꼬?
Similar presentations